KR200460710Y1 - 수도계량기용 봉인장치 - Google Patents

수도계량기용 봉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710Y1
KR200460710Y1 KR2020100003573U KR20100003573U KR200460710Y1 KR 200460710 Y1 KR200460710 Y1 KR 200460710Y1 KR 2020100003573 U KR2020100003573 U KR 2020100003573U KR 20100003573 U KR20100003573 U KR 20100003573U KR 200460710 Y1 KR200460710 Y1 KR 2004607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meter
groove
ring
shaped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5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9685U (ko
Inventor
김암규
Original Assignee
김진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559625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60710(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설 filed Critical 김진설
Priority to KR20201000035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710Y1/ko
Publication of KR201100096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6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7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7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6Windows; Cover glasses; Sealing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4Casings, e.g. of special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도 계량기용 봉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수도 계량기는 수도물의 사용량을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이때 계량기는 계량기 본체와 그 상부에 뚜껑이 결합되고, 상기 뚜껑에는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유리판을 부착한 커버가 서로 결합되는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일부의 사용자가 봉인상태를 교묘하게 훼손한 다음, 뚜껑을 임으로 열어서 계량상태를 조작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계량기 본체에 강제로 결합되는 하부 뚜껑의 내부에 하부 요홈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 뚜껑에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상부 뚜껑에 상기 하부 요홈과 동일한 위치에 있도록 내주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 요홈)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 요홈과 하부 요홈의 내부에 링형 스프링을 삽입하여 결합한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수도계량기용 봉인장치{A Seal Device for the water supply meters}
본 고안은 수도계량기용 봉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수도 계량기에 부착되는 미터기의 뚜껑을 열 수 없도록 한 수도계량기용 봉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 계량기는 수도물의 사용량을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이때 계량기는 첨부한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량기 본체(1)와 그 상부에 뚜껑(3)이 결합되고, 상기 뚜껑(3)에는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유리판을 부착한 커버(5)가 서로 결합되는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계량기 본체(1)와 뚜껑(3) 사이에는 봉인공(4)에 와이어(6)를 서로 통과시키는 봉인장치에 의하여 뚜껑(3)를 회전시키는 경우에 와이어(6)가 파손되는가의 여부에 따라 계량상태의 조작을 감시하는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일부의 사용자가 와이어의 봉인상태를 교묘하게 훼손한 다음, 두껑을 임으로 열어서 계량상태를 조작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사용자가 임으로 상기 계량기의 뚜껑을 열수 없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계량기 본체에 강제로 결합되는 하부 뚜껑의 내부에 하부 요홈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 뚜껑에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상부 뚜껑에 상기 하부 요홈과 동일한 위치에 있도록 내주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 요홈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 요홈과 하부 요홈의 내부에 링형 스프링을 삽입하여 결합하였다.
이러한 결합에 의하여 상기 상, 하부 뚜껑은 서로 헛돌거나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계량기 본체에서 상기 뚜껑이 열릴 수 없도록 하여 계량기를 조작할 수 없도록 함에 있다.
본 고안은 수도 계량기의 조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작용 및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도 계량기의 간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참고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의 참고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도.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살피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량기 본체(1)에 나선 결합되는 하부 뚜껑(10)과 상기 하부 뚜껑(10)에 링형 스프링(30)에 의하여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상부 뚜껑(20)을 구성하며, 상기 상부 뚜껑(20)에는 종래와 같이 별도로 커버(5)를 결합하여 본 고안을 완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 뚜껑(10)의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하부 요홈(12)을 형성하되 상기 하부 요홈(12)은 안쪽에서 바깥쪽을 향하면서 하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성한 하부 테이퍼면(11)을 가진 구조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뚜껑(20)은 상기 하부 뚜껑(10)과 결합 하였을때 상기 하부 요홈(12)과 동일한 위치에 있도록 내주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 요홈(22)을 형성하되 상기 상부 요홈(22)은 안쪽에서 바깥쪽을 향하면서 하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성한 상부 테이퍼면(21)을 가지도록 구성하고, 상단에는 내주면을 따라 안쪽을 향하는 걸림턱(23)을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뚜껑(20)의 상부 요홈(22)의 내부에 상기 상부 요홈(22)의 폭 보다 큰 폭의 길이를 가지면서 한쪽에 개구부(31)을 가진 링형 스프링(30)을 삽입한다.
이때 상기 링형 스프링(30)은 한쪽에 개구부(31)를 가지므로 탄성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상부 뚜껑(20)의 내부에 상기 하부 뚜껑(10)을 밀어 강제로 결합을 행하게 되면, 링형 스프링(30)이 하부 뚜껑(10)의 외주면과 접촉하면서 안쪽으로 오므려 들면서, 첨부한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된다.
즉, 상기 하부 뚜껑(10)이 걸림턱(23)에 걸리면서 하부 뚜껑(10)이 상부 뚜껑(20)의 내부에 완전히 내장되는 형태가 되면서 상기 링형 스프링(30)은 상기 상부 뚜껑(20)의 상부 요홈(22)와 하부 뚜껑(10)의 하부 요홈(12)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바와 같이 링형 스프링(30)은 상부 요홈(12)의 폭 보다 큰 폭의 길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일부는 상기 하부 뚜껑(10)의 요홈(12)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조립 단계에 의하여 본 고안을 완성하게 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별도로 종래와 같은 와이어(6)에 의한 봉인공(4)을 부가하여 상기 상부 뚜껑(20)과 계량기 본체(1)사이를 봉인을 할 수 있으며, 또한 필요에 따라 상부 뚜껑(20)을 하부로 연장한 연장부(50)를 구성하여 계량기 본체(1)의 상부와 맞닿도록 하여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삽입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들이 계량기를 조작하기 위하여, 봉인상태를 훼손한 상태에서 본 고안의 상부 뚜껑(20)을 잡고 돌려도 상부 뚜껑(20)은 열리지 않게 되는데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와 같이 상부 뚜껑(20)을 돌려주게 되면, 상기 상부 뚜껑(20)은 동일한 위치에 있는 상,하 요홈(22),(12)의 내부에 링형 스프링(30)이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 뚜껑(20)은 하부 뚜껑(10)의 주변을 따라 헛 회전을 하게 되므로 이러한 회전에 의해서는 상부 뚜껑(20)이 하부 뚜껑(10)에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부 뚜껑(20)을 해제하기 위하여 상부로 잡아당기게 되면, 첨부한 도면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링형 스프링(30)의 일부가 상기 하부 뚜껑(10)의 하부 요홈(12)을 구성하고 있는 상부단에 걸리게 되어 상기 링형 스프링(30)은 하향을 하게 되고, 이러한 하향은 상기 상부 요홈(22)의 하단에 구성된 상부 테이퍼면(21)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부 테이퍼면(21)의 끝단에 오게 되면서 결국에는 하부 뚜껑(10)의 하부 테이퍼면(11)의 하부에 까지 위치하게 되어 결국 링형 스프링(30)은 안쪽으로 오무러지면서 상기 상부 테이퍼면(21)과 하부 테이퍼면(11)의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하여 상부 뚜껑(20)을 상부로 잡아 당겨도 링형 스프링(30)에 의하여 상부 뚜껑(20)은 하부 뚜껑(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여 계량기 본체(1)에서 상, 하부 뚜껑(20),(10)을 해지할 수 없게 되므로 그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계량상태를 조작할 수 없게 된다.
1 :계량기 본체 4 : 봉인공
10 : 하부 뚜껑 12 : 하부 요홈
20 : 상부 뚜껑 22 : 상부 요홈
23 : 걸림턱 30 : 링형 스프링

Claims (3)

  1. 계량기 본체(1), 뚜껑(3), 커버(5)로 구성된 수도 계량기에 있어서,
    상기 계량기 본체(1)에 나선 결합되는 하부 뚜껑(10)은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하부 요홈(12)을 형성하되 상기 하부 요홈(12)은 안쪽에서 바깥쪽을 향하면서 하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성한 하부 테이퍼면(11)을 가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하부 뚜껑(10)에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상부 뚜껑(20)은 상기 하부 뚜껑(10)과 결합 하였을때 상기 하부 요홈(12)과 동일한 위치에 있도록 내주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 요홈(22)을 형성하되 상기 상부 요홈(22)은 안쪽에서 바깥쪽을 향하면서 하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성한 상부 테이퍼면(21)을 가지도록 구성하고, 상단에는 내주면을 따라 안쪽을 향하는 걸림턱(23)을 형성한 구조로 구성하여,
    상기 상부 요홈(22)의 내부에 상기 상부 요홈(22)의 폭 보다 큰 폭의 길이를 가진 링형 스프링(30)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뚜껑(20)의 내부에 상기 하부 뚜껑(10)을 강제로 삽입하여 상기 링형 스프링(30)이 상부 요홈(22)과 하부 요홈(12)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계량기용 봉인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형 스프링(30)의 일단이 개구된 개구부(31)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계량기용 봉인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뚜껑(20)의 하부에 연장부(50)를 형성하여 상기 계량기 본체(1)에 까지 미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계량기용 봉인장치.
KR2020100003573U 2010-04-06 2010-04-06 수도계량기용 봉인장치 KR2004607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573U KR200460710Y1 (ko) 2010-04-06 2010-04-06 수도계량기용 봉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573U KR200460710Y1 (ko) 2010-04-06 2010-04-06 수도계량기용 봉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685U KR20110009685U (ko) 2011-10-12
KR200460710Y1 true KR200460710Y1 (ko) 2012-06-13

Family

ID=45596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573U KR200460710Y1 (ko) 2010-04-06 2010-04-06 수도계량기용 봉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71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774B1 (ko) 2012-07-18 2013-11-08 주식회사 델타 계량기의 커버 봉인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392Y1 (ko) * 2001-06-01 2001-11-16 한서정밀계기주식회사 수도 계량기의 봉인체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392Y1 (ko) * 2001-06-01 2001-11-16 한서정밀계기주식회사 수도 계량기의 봉인체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774B1 (ko) 2012-07-18 2013-11-08 주식회사 델타 계량기의 커버 봉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685U (ko) 201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9069B1 (ko) 측면 가압식 안전캡
KR101147005B1 (ko) 버튼식 용기마개
WO2006124246A3 (en) Container sytem
KR200486058Y1 (ko) 다중 걸림구조를 가진 용기용 마개
CN106163937A (zh) 防擅启盖
AU2013391067A1 (en) Dispensing closure
JP2014055478A5 (ko)
KR101221795B1 (ko) 측면 가압식 안전캡
JP2013075672A (ja) レフィール容器及び二重容器
JP2014055477A5 (ko)
JP2015105132A (ja) ヒンジキャップ
KR200460710Y1 (ko) 수도계량기용 봉인장치
JP5097860B1 (ja) 容器
KR20120103019A (ko) 슬라이드 개폐식 식품용기
KR200467260Y1 (ko) 견고하게 밀봉되는 액체용기용 마개
TW201532908A (zh) 瓶蓋及具有該瓶蓋之容器
JP5047017B2 (ja) バルブ開閉器
KR200432805Y1 (ko) 개폐장치가 구비된 용기
JP2015081107A (ja) 誤飲防止器具及びこれを備えた容器
JP5086148B2 (ja) 合成樹脂製容器蓋
KR100602384B1 (ko) 문 손 끼임 방지구
KR102416533B1 (ko) 원터치 개폐 장치
KR100807949B1 (ko) 용기와 용기뚜껑의 체결구조.
KR200463129Y1 (ko) 용기 뚜껑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JP5916437B2 (ja) 封印帯付き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4100001218;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918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91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4200007851;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4100002334;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41104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4110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4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4200007851;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41104

Effective date: 20150724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41104

Effective date: 2015072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