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132Y1 - 문구용 자 - Google Patents

문구용 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132Y1
KR200460132Y1 KR2020100006654U KR20100006654U KR200460132Y1 KR 200460132 Y1 KR200460132 Y1 KR 200460132Y1 KR 2020100006654 U KR2020100006654 U KR 2020100006654U KR 20100006654 U KR20100006654 U KR 20100006654U KR 200460132 Y1 KR200460132 Y1 KR 2004601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onery
coupling
forming
inner por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66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2034U (ko
Inventor
이동근
이연실
Original Assignee
이연실
이동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연실, 이동근 filed Critical 이연실
Priority to KR20201000066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132Y1/ko
Publication of KR201100120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20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1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1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7/00Straighte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7/00Straightedges
    • B43L7/10Plural straightedges relatively movab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 Length-Measur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길이를 측정하는 자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문구용 자에 다양한 기능성을 부여하여 길이의 축소 보관이 가능하도록 함과 더불어 수지침으로의 효과 및 장식용으로의 효과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다기능성 문구용 자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양 끝단 부위를 이루는 두 끝단부 및 상기 두 끝단부 사이의 부위를 이루는 내측부로 이루어지면서 그의 표면에는 척도를 표시하는 복수의 눈금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를 이루는 각 끝단부와 이에 인접되는 내측부 간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 결합부; 그리고, 상기 몸체를 이루는 각 끝단부 간을 결합하는 끝단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구용 자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문구용 자{a stationery scale}
본 고안은 길이를 측정하는 자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문구용 자에 다양한 기능성을 부여하여 길이의 축소 보관이 가능하도록 함과 더불어 수지침으로의 효과 및 장식용으로의 효과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다기능성 문구용 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scale)는 공간적 길이를 측정하는 도구로써, 크게 눈금자와 단면자 및 회전자로 구분되며, 상기 눈금자에는 곧은자와 끼움자 및 줄자 등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눈금자 중 곧은자는 학용품 혹은, 사무용품과 같은 문구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자로써, 평판형의 막대에 눈금이 새겨짐으로써 형성되며, 자의 기본적인 목적인 길이의 측정뿐만 아니라 줄긋기나 칼을 이용한 절단 작업의 보조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곧은자는 그 사용 대상자 혹은,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형성되며, 학용품이나 사무용품 같은 문구용 자의 경우 20㎝ 및 30㎝ 등의 길이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50㎝의 자도 사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구용 자는 그 길이로 인한 보관상의 문제점을 항상 가지고 있다는 단점이 있다.
즉, 길이가 긴 문구용 자의 경우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지 못하여 주로 특정 장소에 방치하면서 필요에 따라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전술한 종래의 문구용 자는 단순히 길이의 측정이나 줄긋기 등의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장식용이나 여타의 용도로는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활용도가 낮다는 단점을 가진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문구용 자에 다양한 기능성을 부여하여 제품의 길이 측정이나 줄긋기의 용도만이 아니라 수지침으로의 효과 및 장식용으로의 기능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길이의 축소 보관이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다기능성 문구용 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기능성 문구용 자에 따르면 양 끝단 부위를 이루는 두 끝단부 및 상기 두 끝단부 사이의 부위를 이루는 내측부로 이루어지면서 그의 표면에는 척도를 표시하는 복수의 눈금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를 이루는 각 끝단부와 이에 인접되는 내측부 간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 결합부; 그리고, 상기 몸체를 이루는 각 끝단부 간을 결합하는 끝단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를 이루는 각 끝단부 및 이에 인접되는 내측부 간의 대향 부위는 일부가 겹쳐지면서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 결합부는 상기 끝단부와 내측부 간의 대향면 중 어느 한 면에 요입 형성되는 형합홈 및 다른 한 면에 돌출 형성되는 형합돌기와, 상기 끝단부와 내측부의 각 부위 중 상기 형합홈과 형합돌기 간이 결합되는 부위를 그 결합 방향과는 수직하게 관통하면서 결합되는 회전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를 이루는 두 끝단부의 외측 끝단면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기 두 끝단부의 외측 끝단면에는 서로 간의 선택적인 착탈이 가능한 착탈부재가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를 이루는 각 끝단부와 내측부의 외표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표면에는 지압 효과의 부여 혹은, 심미감의 제공을 위한 복수의 돌기부가 규칙적 혹은, 비규칙적으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함께, 상기 각 돌기부는 형광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문구용 자는 복수로 등분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이 등분된 부위 간은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휴대시 길이를 줄일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문구용 자는 다양한 형상의 도형을 구현할 수 있게 됨으로써 단순히 줄긋기 및 길이의 측정을 위한 용도로도 정확한 사용이 가능함과 더불어 장식용으로의 사용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문구용 자의 외표면에 다양한 형상의 돌기부나 장식부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지압용으로의 사용 뿐만 아니라 장식용의 사용시 심미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문구용 자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문구용 자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2의 Ⅰ-Ⅰ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Ⅱ-Ⅱ선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문구용 자를 이용한 도형의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구용 자를 설명하기 위해 정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구용 자를 설명하기 위해 측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문구용 자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문구용 자는 크게 몸체(100)와 회전 결합부(200) 및 끝단 결합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몸체(100)는 문구용 자의 외관을 이루는 부위이며, 그의 전방측 표면에는 척도를 표시하는 복수의 눈금(10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몸체(100)가 투명 재질로 형성될 경우라면 상기 눈금(101)은 상기 몸체(100)의 전방측 저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몸체(100)가 불투명 재질로 형성될 경우라면 상기 눈금(101)은 상기 몸체(100)의 전방측 상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몸체(100)가 투명 재질로 형성될 경우이더라도 상기 눈금(101)이 상기 몸체(100)의 전방측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몸체(100)는 문구용 자의 양 끝단 부위를 이루는 두 끝단부(110,120) 및 상기 두 끝단부(110,120) 사이의 부위를 이루는 내측부(13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몸체(100)를 이루는 두 끝단부(110,120)의 외측면 간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됨으로써 원하는 도형 형상으로의 구성시 상기 두 끝단부(110,120) 간은 서로 정확히 밀착된 상태를 이루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를 이루는 내측부(130)는 하나로만 제공될 수도 있을 뿐 아니라 다수로 제공될 수도 있는데, 이는 본 고안의 문구용 자를 이용하여 구현하고자 하는 다양한 형상의 도형에 따라 달리 설정된다.
예컨대, 본 고안의 문구용 자를 이용하여 첨부된 도 5와 같이 삼각형의 도형 형상을 구현하고자 할 경우 상기 내측부(130)는 하나로만 제공됨이 바람직하고, 첨부된 도 6과 같이 사각형의 도형 형상을 구현하고자 할 경우 상기 내측부(130)는 둘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며, 첨부된 도 7과 같이 오각형의 도형 형상을 구현하고자 할 경우 상기 내측부(130)는 셋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한 내측부(130)의 수를 더욱 늘린다면 6각형의 도형이나 8각형의 도형 등 더욱 다양한 형상의 도형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한 내측부(130) 및 끝단부(110,120)는 서로 균등한 길이로 등분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모든 변의 길이가 동일한 안정적인 형상의 도형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 결합부(200)는 상기 몸체(100)를 이루는 각 끝단부(110,120)와 이에 인접되는 내측부(130) 간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일련의 구성이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몸체(100)의 각 끝단부(110,120)와 내측부(130) 간의 회전이 일 방향으로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제시한다. 이는 문구용 자의 기본적인 역할(예컨대, 길이 측정 및 줄긋기 등)에 대한 사용시 원치않는 방향으로의 회전됨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다각의 도형 형상으로 구현시에는 해당 형상의 원활한 구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본 고안의 문구용 자를 책상 위나 지면에 얹은 상태에서는 각 부분들이 상부를 향해 회전됨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고, 본 고안의 문구용 자를 세운 상태에서는 각 부분들이 내측을 향해 회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도형 형상으로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회전 결합부(200)가 형합홈(210)과 형합돌기(220) 및 회전핀(23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형합홈(210)은 상기 끝단부(110,120)와 내측부(130) 간의 서로 대향되는 두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 요입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형합돌기(220)는 상기 끝단부(110,120)와 내측부(130) 간의 대향되는 두 측면 중 다른 한 측면에 돌출 형성됨으로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핀(230)은 상기 끝단부(110,120)와 내측부(130)의 각 부위 중 상기 형합홈(210)과 형합돌기(220) 간이 결합되는 부위를 그 결합 방향과는 수직하게 관통(몸체의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면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형합홈(210) 및 형합돌기(220) 간의 대향면과, 상기 형합홈(210)의 양측 부위(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봤을 때 전방 및 후방측 부위) 및 형합돌기(220)의 양측 부위(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봤을 때 전방 및 후방측 부위) 간의 대향면은 상기 회전핀(230)을 회전 중심으로하여 서로 간섭없이 회전될 수 있도록 서로 대응되는 라운드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물론, 상기한 각 대향면들 중 회전 중심으로부터 몸체(100)의 저면까지 부위는 라운드지게 형성하기 보단 수직하게 형성하거나 혹은, 90° 이상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해당 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상기한 형합홈(210) 및 형합돌기(220)의 두께는 몸체(100)의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됨과 더불어 회전 중심은 상기 몸체(100)의 중앙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면에 더욱 가까운 부위에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끝단부(110,120)와 내측부(130) 간의 회전(혹은, 내측부와 내측부 간의 회전)시 서로 간의 간섭 발생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형합홈(210) 및 형합돌기(220)는 상기 몸체(100)의 전 부위에 형성할 수도 있지만,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형합홈(210) 및 형합돌기(220) 가 상기 몸체(100)에 비해 상기 눈금(101)이 형성되는 부위에 이르기까지만 형성됨을 제시한다.
물론,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형합홈(210) 및 형합돌기(220)를 상기 몸체(100)에 비해 짧게 형성할 경우 나머지 부분에 의한 회전 간섭이 발생될 수도 있음을 고려할 때 상기 눈금(101)이 형성되는 부위의 저면은 상기 회전 결합부(200)의 회전 중심과 동일하거나 혹은, 더욱 낮도록 절개한다.
다음으로, 상기 끝단 결합부(300)는 상기 몸체(100)를 이루는 두 끝단부(110,120) 상호 간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구성이다.
즉, 상기 끝단 결합부(300)는 몸체(100)의 각 부위를 회전시켜 원하는 형상의 다각형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두 끝단부(110,12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현된 다각형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끝단 결합부(300)가 상기 두 끝단부(110,120)의 외측 끝단면에 서로 대응되게 구성됨을 제시하며, 이와 같은 끝단 결합부(300)는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자석(고무 자석 등)이 될 수도 있고,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벨크로(velcro)가 될 수도 있으며, 서로 대응되는 요부 및 돌부가 될 수도 있는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한 끝단 결합부(300)는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상기 두 끝단부(110,120)에 부착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전술된 문구용 자의 각 구성 중 몸체(100)를 이루는 각 끝단부(110,120)의 외표면(상면 및 저면)과 내측부(130)의 외표면(상면 및 저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외표면에는 복수의 돌기부(400)가 돌출 형성됨을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한 돌기부(400)는 단면이 삼각형이나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 혹은, 원형 등으로 형성되면서 지압 효과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다양한 형태의 문양(그림 등)으로 형성되면서 심미감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한 각 돌기부(400)는 불규칙적인 배치 구조를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지만, 규칙적인 배치 구조를 갖도록 형성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상기한 각 돌기부(400)를 이용하여 특정 형상의 문양을 나타내고자 한다면 상기 각 돌기부(400)는 규칙적인 배치 구조를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물론, 상기한 각 돌기부(400)를 이용하여 지압 효과를 제공하고자 할 경우에도 지압 구조에 맞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각 돌기부(400)를 형광체로 형성하여 야간에 해당 돌기부(400)가 발광되면서 심미감이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을 추가로 제시한다.
하기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문구용 자의 작용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문구용 자를 일반적인 계측이나 줄긋기 등에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첨부된 도 2 및 도 3과 같이 몸체(100)를 이루는 두 끝단부(110,120) 및 내측부(130)를 모두 펼치면 된다.
즉, 몸체(100)를 펼친 상태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몸체(100)의 저면이 지면(책상의 상면 등)에 안정적으로 얹힌 상태를 이룰 수 있음에 따라 길이의 계측이나 줄긋기 등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몸체(100)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몸체(100)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각 돌기부(400)로 인해 사용자는 간단한 지압 목적으로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만일,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문구용 자를 보관 혹은, 휴대하고자 할 경우에는 몸체(100)를 다단으로 절곡시킨다.
즉, 어느 한 끝단부(110)와 이에 인접된 내측부(130) 사이의 회전 결합부(200)를 절곡시킴과 더불어 상기 내측부(130)와 다른 한 끝단부(120)(혹은, 또 다른 내측부) 사이의 회전 결합부(200)를 절곡(접음)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 결합부(200)를 이루는 형합돌기(220)는 회전핀(230)의 지지를 받으면서 상기 회전핀(230)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형합홈(210)으로부터 회전됨에 따라 끝단부(110,120)와 내측부(혹은, 내측부와 내측부)(130) 간이 서로 절곡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모든 회전 결합부(200)가 구비된 부위에 대한 절곡이 완료되면 두 끝단부(110,120)의 외측면에 구비된 끝단 결합부(300)를 이용하여 상기 두 끝단부(110,120) 간이 서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몸체(100)는 사용자가 원하는 도형으로 구현된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이 문구용 자의 몸체(100)가 특정 도형으로 구현될 경우 상기 몸체(100)의 표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던 돌기부(400)는 장식 및 문양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단순 보관으로도 장식용으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한 각 돌기부(400)는 형광체로 형성됨을 고려할 때 야간에 빛을 발함으로써 장식용으로의 역할은 더욱 원활히 이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문구용 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의 구조로만 구성되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전술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는 문구용 자를 줄긋기에 사용하고자 할 경우 눈금(101)이 형성된 부위가 책상 상면과 같은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이기 때문에 정확히 줄을 긋는 작업이 어렵다는 단점이 야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회전 결합부(200)를 이루는 형합홈(210) 및 형합돌기(220)의 회전 중심을 몸체(100)의 중앙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면에 더욱 가까운 부위에 형성되도록 구성하고, 길이의 측정을 위한 눈금(101)은 몸체(100)의 저면에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눈금(101)이 형성되는 부위의 상면은 상기 회전 결합부(200)의 회전 중심과 동일하거나 혹은, 더욱 낮도록 절개한다. 이는, 첨부된 도 8 및 도 9와 같다.
또한, 몸체(100)의 저면에는 심미감의 부여를 위한 별도의 장식부(500)가 추가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장식부(500)는 통상의 보석류로 이루어지면서 다양한 문양을 형성하도록 구성함과 더불어 상기 몸체(100)의 저면으로부터 요입되게 구성함으로써, 심미감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문구용 자를 줄긋기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장식부(500)의 돌출로 인한 유동됨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구용 자는 길이의 측정 및 줄긋기를 위한 부분이 실질적으로 지면에 밀착될 수 있기 때문에 바른 줄긋기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물론,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구용 자를 이용하여 도형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몸체(100)를 이루는 각 부위(두 끝단부 및 내측부)(110,120,130)의 상면은 도형의 내벽면을 이루도록 조작되지만 몸체(100)를 이루는 각 부위의 저면에는 장식부(500)가 존재하고, 이러한 장식부(500) 도형의 구현시 외벽면에 위치되기 때문에 장식용으로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100. 몸체 101. 눈금
110. 제1끝단부 120. 제2끝단부
130. 내측부 200. 회전 결합부
210. 형합홈 220. 형합돌기
230. 회전핀 300. 끝단 결합부
400. 돌기부 500. 장식부

Claims (5)

  1. 양 끝단 부위를 이루는 두 끝단부 및 상기 두 끝단부 사이의 부위를 이루는 내측부로 이루어지면서 그의 표면에는 척도를 표시하는 복수의 눈금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를 이루는 각 끝단부와 이에 인접되는 내측부 간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 결합부; 그리고,
    상기 몸체를 이루는 각 끝단부 간을 결합하는 끝단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구용 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결합부는
    상기 끝단부와 내측부 간의 대향면 중 어느 한 면에 요입 형성되는 형합홈 및 다른 한 면에 돌출 형성되는 형합돌기와,
    상기 끝단부와 내측부의 각 부위 중 상기 형합홈과 형합돌기 간이 결합되는 부위를 그 결합 방향과는 수직하게 관통하면서 결합되는 회전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구용 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끝단 결합부는
    상기 몸체를 이루는 두 끝단부의 외측 끝단면에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자석, 한 쌍의 벨크로(velcro) 혹은, 요부 및 돌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구용 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를 이루는 각 끝단부와 내측부의 외표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표면에는 지압 효과의 부여 혹은, 심미감의 제공을 위한 복수의 돌기부가 규칙적 혹은, 비규칙적으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구용 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돌기부는 형광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구용 자.

KR2020100006654U 2010-06-24 2010-06-24 문구용 자 KR2004601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654U KR200460132Y1 (ko) 2010-06-24 2010-06-24 문구용 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654U KR200460132Y1 (ko) 2010-06-24 2010-06-24 문구용 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034U KR20110012034U (ko) 2011-12-30
KR200460132Y1 true KR200460132Y1 (ko) 2012-05-04

Family

ID=45569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6654U KR200460132Y1 (ko) 2010-06-24 2010-06-24 문구용 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1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2404A (ko) * 2016-02-03 2017-08-11 아주자동차대학 산학협력단 궤도형 직선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654U (ko) * 1998-07-28 2000-02-25 이신우 문구용 자
JP2006027246A (ja) 2004-07-22 2006-02-02 Takatoshi Moriya 定規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654U (ko) * 1998-07-28 2000-02-25 이신우 문구용 자
JP2006027246A (ja) 2004-07-22 2006-02-02 Takatoshi Moriya 定規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2404A (ko) * 2016-02-03 2017-08-11 아주자동차대학 산학협력단 궤도형 직선자
KR101878828B1 (ko) * 2016-02-03 2018-07-16 아주자동차대학 산학협력단 궤도형 직선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034U (ko) 2011-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0453S (en) Watch dial
KR200460132Y1 (ko) 문구용 자
CN201011724Y (zh) 手机
US9016471B2 (en) Toothbrush including kit for decorating said toothbrush
TWM543897U (zh) 具有收納功能的裝飾板及其收納部件
US2847780A (en) Wall display
CN204060463U (zh) 斑马帘结构
USD860329S1 (en) Bubble wand
KR20130052388A (ko) 교체형 장식이 구비된 시계
CN210096905U (zh) 一种发光旋转盘
KR200404974Y1 (ko) 장식자석놀이완구
CA117864S (en) Marking pen
KR20220119546A (ko) 스톱워치가 부착된 연필꽃이
AU2011345249B2 (en) Toothbrush including kit for decorating said toothbrush
JP3189380U (ja) 立体定規、立体定規キット
JP3141372U (ja) 装飾パーツのカード型ホルダーセット
CN204635376U (zh) 化妆盒用装饰件
KR20170008671A (ko) 시계
KR101925844B1 (ko) 장식용 금덩이가 고정되는 장식용 카드
JP3127375U (ja) 一輪挿し置物
JP2018083036A (ja) 孔開き板
GR1009678B (el) Τρισδιαστατη ψηφιδα
KR200451151Y1 (ko) 퍼즐반지
FR2808241B3 (fr) Structure de panneau decoratif a bulle tridimensionnel
TWM598243U (zh) 手作併組式飾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