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092Y1 - Hybrid pulley - Google Patents

Hybrid pulle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092Y1
KR200460092Y1 KR2020100013609U KR20100013609U KR200460092Y1 KR 200460092 Y1 KR200460092 Y1 KR 200460092Y1 KR 2020100013609 U KR2020100013609 U KR 2020100013609U KR 20100013609 U KR20100013609 U KR 20100013609U KR 200460092 Y1 KR200460092 Y1 KR 2004600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rope
pulley
moto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3609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08004U (en
Inventor
서홍태
Original Assignee
서홍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홍태 filed Critical 서홍태
Priority to KR20201000136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092Y1/en
Publication of KR201100080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004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0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092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18Means for guiding or supporting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185Means for guiding or supporting belts, ropes, or chains the guiding surface in contact with the belt, rope or chain having particular shapes, structures or materi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ulle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이브리드 풀리를 제공한다. 상기 하이브리드 풀리는 모터와 축 연결되며, 중앙홀이 형성되며, 외주에 로프가 권취되는 원통 형상의 풀리 몸체와; 상기 풀리 몸체의 양측 외주에 형성되는 한 쌍의 외측 격판과; 상기 한 쌍의 외측 격판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풀리 몸체의 외주 중앙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로프가 권취되는 두 개의 권취 경로를 이루도록하고, 상기 로프가 상기 권취 경로들 간을 서로 통과할 수 있는 안내홀이 형성되는 중앙 격판; 및 상기 두 개의 권취 경로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로프의 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제 1축 고정홀과, 상기 두 개의 권취 경로 중 다른 하나에 상기 중앙홀과 연통되는 제 2축 고정홀을 갖는 홀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기구물에 연결되는 로프의 엉킴을 방지하고, 이 로프를 권취하는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ybrid pulley. The hybrid pulley is axially connected to the motor, the central hole is formed, the cylindrical pulley body in which the rope is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A pair of outer diaphragms formed at both outer peripheries of the pulley body;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center of the pulley body to be located between the pair of outer diaphragm, to guide the rope to form two winding paths are wound, the rope can pass through each other between the winding paths Central diaphragm in which the hole is formed; And a first shaft fixing hole formed in any one of the two winding paths, the end of the rope being fitted and fixed, and a second shaft fixing hole communicating with the central hole in the other of the two winding paths. Contains wealth.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entanglement of the rope connected to the apparatus and prevent overload of the motor winding the rope.

Description

하이브리드 풀리{HYBRID PULLEY}Hybrid pulley {HYBRID PULLEY}

본 고안은 풀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구물에 연결되는 로프의 엉킴을 방지하고, 이 로프를 권취하는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풀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lley, and more particularly, to a hybrid pulley capable of preventing tangling of a rope connected to an appliance and preventing overload of a motor winding the rope.

일반적으로, 승강 장치는 기구물을 승강시키기 위한 구성물을 구비한다.Generally, the elevating device includes a construct for elevating an appliance.

종래의 고안인 대한 민국 공개특허 10-2005-0045072호에는 승강 테이블(1), 체인(3), 스프로킷(5), 샤프트(7), 모터(9), 및 웨이트 밸런스(11)을 갖는 승강 장치가 언급된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5-0045072, which is a conventional design, has a lift table 1, a chain 3, a sprocket 5, a shaft 7, a motor 9, and a lift with a weight balance 11. A device is mentioned.

이러한 구성을 갖는 승강 장치는 모터(9)의 구동으로 샤프트(7) 및 스프로킷(5)이 회전되어, 체인(3) 및 승강 테이블(1)이 승강되면서 승강 테이블(1)에 안장된 물체(13)를 소정의 높이로 승강시킨다. 이러한 승강 장치는 모터(9)의 부하를 줄이기 위하여 물체(13) 중량의 일 부분 만큼의 웨이트 밸런스(11)를 물체(13)가 장착되는 체인(3)의 반대 측에 구비하고 있다.The lifting devic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rotates the shaft 7 and the sprocket 5 by the driving of the motor 9, so that the chain 3 and the lifting table 1 are lifted and the object placed on the lifting table 1 ( 13) is raised to a predetermined height. This lift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weight balance 11 equal to a part of the weight of the object 13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hain 3 on which the object 13 is mounted in order to reduce the load of the motor 9.

여기서, 웨이트 밸런스(11)의 무게는 승강 테이블(1)의 무게에 승강될 물체(13)의 1/2무게의 합으로 선정된다. 모터(9)는 이 밸런스 웨이트(11)의 무게를 승강시키는 용량으로 선정된다. 결국, 종래의 승강 장치는 실제로 승강시키고자 하는 물체의 무게 이상을 승강시킬 수 있는 모터(9)를 필요로 하게 된다.Here, the weight of the weight balance 11 is selected as the sum of the 1/2 weight of the object 13 to be lifted and lowered by the weight of the lifting table 1. The motor 9 is selected as a capacity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weight of the balance weight 11. As a result, the conventional hoisting apparatus requires a motor 9 capable of elevating more than the weight of the object to actually elevate.

또한, 상기 승강 장치는 자동차 생산라인과 같이 다품종 생산라인에 사용될 때, 승강될 물체의 종류(차종)가 변경될 때마다 판상으로 형성된 수십 kg의 웨이트 밸런스(11)를 추가하거나 빼내야 하는 불편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을 갖는다.In addition, when the lifting device is used in a multi-line production line, such as an automobile production line, whenever the type (car model) of the object to be lifted, causing the inconvenience of adding or removing dozens of kg weight balance 11 formed in the plate form Has a problem.

또한, 기구물을 다양한 각도로 경사를 이루기 위하여 승강 시키는 동작을 구현 하는 경우에 모터에 부하가 증가되는 문제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oad on the motor is increased in the case of implementing the operation to elevate the mechanism to make the inclination at various angles.

이에 더하여, 종래에는 이러한 승강 장치에서 승강 기능을 갖는 리프트를 풀리를 사용하여 구현하기도 하였다.In addition, conventionally, a lift having a lifting function in such a lifting device is implemented using a pulley.

이러한, 종래의 와이어 등을 이용한 풀리 리프트는 와이어의 외연부에 접설회동하는 다수개의 가이드 로울러를 구비하고, 와이어를 양단의 드럼 상에서 정역방향으로 구동하여 이송장치가 와이어 상을 정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바, 이러한 이송장치는 설치된 와이어의 경사각이 클 경우 정확한 이송이 어려운 문제점 등이 있었고, 또한 이송물 등을 리프팅 또는 견인토록 하는 호이스트, 윈치 등은 와인딩 드럼을 필히 구비하고, 상기 와인딩드럼 상에 와이어의 일단을 연결하여 드럼을 일정위치에 취부한 후 정역방향으로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하여야 만이 와이어를 정역 이송할 수 있었으므로 그 용도가 극히 제한되었다.Such a pulley lift using a conventional wire or the like has a plurality of guide rollers which are pivoted on the outer edge of the wire, and drive the wire in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on the drums at both ends so that the transfer device can move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The transfer device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convey whe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stalled wire is large, and the hoist, winch, etc. for lifting or towing the transport must be provided with a winding drum. One end of the wire was connected to the drum, and the drum was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then driven by the driving means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그리고 구동 풀리 상에 와이어 등을 접설하여 구동 풀리의 정역구동으로 이송물인 기구물 등을 리프팅, 견인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풀리 리프트는 구동 풀리와 와이어 상간에 마찰저항이 다대하게 발생하여 구동시 과부하로 인한 장치의 내구성 저하는 물론 동력손실이 다대하고, 브레이킹수단으로 디스크브레이크등을 사용하므로 안전성에 문제가 발생되어, 주로 경량물의 이송 등에만 사용할 수 있는 등 극히 제한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정역 회전시 와이어 간의 엉킴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어, 오작동의 주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ulley lift, which is used for lifting and towing the transported object by forward and reverse driving of the driving pulley by connecting wires on the driving pulley, generates a large amount of frictional resistance between the driving pulley and the wire phase. The durability of the device due to overload is greatly reduced, and the power loss is large, and the disc brake is used as the braking means, which causes safety problems. The entanglement between wires frequently occurs during rotation, which is a major cause of malfunction.

본 고안의 목적은 기구물의 일측부 또는 양측부에 연결되는 로프를 사용하여 기구물을 승강시키는 경우에 로프의 당김 또는 풀림 동작에서 로프가 서로 엉키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이송 대상인 기구물을 승강시켜 경사지도록 하는 경우 모터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풀리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fficiently prevent the ropes from tangling with each other in the pulling or unwinding of the ropes when lifting and lowering the objects by using the ropes connected to one or both sides of the device. In the case of lifting and inclining to provide a hybrid pulley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the motor is overloaded.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본 고안은 하이브리드 풀리를 제공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ybrid pulley.

상기 하이브리드 풀리는 모터와 축 연결되며, 중앙홀이 형성되며, 외주에 로프가 권취되는 원통 형상의 풀리 몸체와; 상기 풀리 몸체의 양측 외주에 형성되는 한 쌍의 외측 격판과; 상기 한 쌍의 외측 격판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풀리 몸체의 외주 중앙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로프가 권취되는 두 개의 권취 경로를 이루도록하고, 상기 로프가 상기 권취 경로들 간을 서로 통과할 수 있는 안내홀이 형성되는 중앙 격판; 및 상기 두 개의 권취 경로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로프의 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제 1축 고정홀과, 상기 두 개의 권취 경로 중 다른 하나에 상기 중앙홀과 연통되는 제 2축 고정홀을 갖는 홀부를 포함한다.The hybrid pulley is axially connected to the motor, the central hole is formed, the cylindrical pulley body in which the rope is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A pair of outer diaphragms formed at both outer peripheries of the pulley body;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center of the pulley body to be located between the pair of outer diaphragm, to guide the rope to form two winding paths are wound, the rope can pass through each other between the winding paths Central diaphragm in which the hole is formed; And a first shaft fixing hole formed in any one of the two winding paths, the end of the rope being fitted and fixed, and a second shaft fixing hole communicating with the central hole in the other of the two winding paths. Contains wealth.

여기서, 상기 안내홀은, 상기 중앙 격판의 일부분을 절개한 절개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절개홀은 서로 마주 보는 한 쌍의 측벽과, 상기 한 쌍의 측벽의 하단을 잇는 저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개홀의 상단은 개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guide hole is made of a cutting hole in which a portion of the central diaphragm is cut, wherein the cutting hole is formed of a pair of side walls facing each other and a bottom wall connecting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side walls, The upper end is preferably opened.

그리고, 상기 안내홀의 내측벽에는 베어링이 더 설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bearing may be further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guide hole.

본 고안은 기구물의 일측부 또는 양측부에 연결되는 로프를 사용하여 기구물을 승강시키는 경우에 로프의 당김 또는 풀림 동작에서 로프가 서로 엉키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이송 대상인 기구물을 승강시켜 경사지도록 하는 경우 모터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prevent the ropes from getting tangled with each other in the pulling or unwinding of the rope when lifting the device by using a rope connect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device. When it is inclined, the motor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being overloaded.

도 1은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 풀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안내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안내홀에 베어링이 더 설치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 풀 리가 채택되는 경사 조절용 승강 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승강 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ybrid pulle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the guide hole of FIG. 1.
3 is a view showing that the bearing is further installed in the guide hole of FIG.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inclination adjustment lifting device that the hybrid pulle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opted.
FIG. 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lifting device of FIG. 4. FIG.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 풀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안내홀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안내홀에 베어링이 더 설치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 풀 리가 채택되는 경사 조절용 승강 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승강 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ybrid pulle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guide hole of Figure 1,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at the bearing is further installed in the guide hole of Figure 2, Figure 4 is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inclination adjustment lifting device is adopted,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lifting device of FIG.

먼저,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 풀리를 설명하도록 한다.First, to describe the hybrid pulle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2를 참조 하면,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 풀리(230)는 상기 모터(220)와 축(미도시) 연결되고, 상기 모터(22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아 로프(250)를 당겨 감거나 푸는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 로프들(250)의 감고 푸는 동작에서 서로 엉키는 현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1 to 2, the hybrid pulley 2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shaft (not shown) with the motor 220, and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motor 220 to pull the rope 250 or When the loosening operation is performed, entanglement of each other in the winding and loosening operation of the ropes 250 may be easily prevented.

즉, 본 고안에 따르는 하이브리드 풀리(230)는 중앙 격판(233)을 경계로 양측 외측 격판(232)의 사이 공간에 두 개의 권취 경로(a1,a2)가 형성된다. 이를 제 1권취 경로(a1)와 제 2권취 경로(a2)라 한다.That is, in the hybrid pulley 2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wo winding paths a1 and a2 are formed in a space between the outer side plates 232 on both sides of the center diaphragm 233. This is called a first winding path a1 and a second winding path a2.

여기서, 상기 제 1권취 경로(a1)와 제 2권취 경로(a2)는 중앙 격판(233)에 형성되는 안내홀(234)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고, 이 안내홀(234)을 통하여 상기 로프(250)는 상기 제 1,2권취 경로(a1,a2)로 이어지어 유동될 수 있다.Here, the first winding path a1 and the second winding path a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guide hole 234 formed in the central diaphragm 233, and the rope 250 through the guide hole 234. ) May flow to the first and second winding paths a1 and a2.

따라서, 본 고안에서의 하이브리드 풀리(230)는 로프(250)가 유동되는 경로를 하나의 풀리 몸체(231)에서 두 개의 권취 경로(a1,a2)를 독립적으로 형성함으로써, 로프(250)의 감김 도는 풀림의 동작이 반복되는 경우에, 로프(250)가 서로 엉키는 현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the hybrid pulley 2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dependently forms two winding paths a1 and a2 in one pulley body 231 in which the rope 250 flows, thereby winding the rope 250. In the case where the operation of loosening is repeated, the ropes 250 can be easily prevented from being entangled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안내홀(234)은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중앙 격판(233)에 형성되되, 절개된 형상을 이룰 수도 있고, 일정의 크기를 이루는 홀(구멍)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guide hole 234 is formed in the central diaphragm 233, as shown in Figure 2, may form a cut shape, it may be formed as a hole (hole) of a predetermined size.

한편, 도 3을 참조 하면, 상기 안내홀(234)에는 상기 유동되는 로프(250) 또는 와이어의 물리적 접촉으로 인하여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베어링(235)이 더 설치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ure 3, the guide hole 234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bearing 235 that can prevent damage due to the physical contact of the flowing rope 250 or wire.

상기 안내홀(234)이 절개된 형상을 이루는 경우에 상기 베어링(235)은 상기 절개된 형상으로 인하여 형성되는 벽체 부분에 일정 길이를 갖고 구름 동작되도록 설치되고, 이로 인하여 유동되는 로프(250)의 외면은 물리적 마찰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guide hole 234 has a cut-out shape, the bearing 235 is install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wall portion formed by the cut-out shape, so that the rolling operation is performed. The outer surface can be protected from physical friction.

한편, 본 고안의 풀리는 홀부를 더 갖는다. 이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ulley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has a hole. Its configuration is explained.

본 고안에서의 풀리 몸체(231)에는 상기와 같이 제 1,2권취 경로(a1,a2)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 1권취 경로(a1)에 해당되는 풀리 몸체(231)에는 그 외주로부터 일정 깊이를 이루는 제 1축 고정홀(H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축 고정홀(H1)은 로프(250)의 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홀이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 1축 고정홀(H1)의 내부 벽면에는 로프(250)의 외주와 일정의 마찰력을 형성하여 그립할 수 있도록 스크래치와 같은 마감 처리가 될 수도 있다.The pulley body 23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the first and second winding paths a1 and a2 as described above. Here, the first shaft fixing hole (H1)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outer periphery is formed in the pulley body 231 corresponding to the first winding path (a1). Here, the first shaft fixing hole (H1) is a hole to which the end of the rope 250 is fitted.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first shaft fixing hole (H1) may be a finish treatment such as a scratch so that the grip can be formed by forming a predetermined frictional force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pe 250.

또한, 상기 제 1축 고정홀(H1)은 그 내주에 스크류 결합 가능한 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로프(250)의 단부에는 금속 재질의 끼움 부재가 더 끼워질 수도 있고, 이 끼움 부재는 제 1축 고정홀(H1)과 스크류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haft fixing hole H1 may be formed as a hole that can be screwed on its inner circumference. In this case, a fitting member made of metal may be further fitted to the end of the rope 250, and the fitting member may be formed to be screw-coupled with the first shaft fixing hole H1.

이에 더하여, 상기 제 1축 고정홀(H1)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로프(250)의 단부가 끼워져 그립되고, 그 몸체가 상기 제 1축 고정홀(H1)에 끼워져 설치되는 로프 고정 부재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이 로프 고정 부재는 제 1축 고정홀(H1)에 억지 끼움으로 끼워질 수도 있고, 상기와 같이 스크류 결합 방식으로 끼워질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end of the rope 250 is gripped by the first shaft fixing hole H1, and the rope fix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body of the first shaft fixing hole H1. It may be installed further. The rope fixing member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shaft fixing hole H1 by interference fitting, or may be fitted in a screw coupling manner as described above.

그리고, 제 2권취 경로(a2)에 해당되는 풀리 몸체에는 그 외주로부터 중앙홀(231a)을 잇는 제 2축 고정홀(H2)이 더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2축 고정홀(H2)에는 일정 길이의 고정축이 끼워져 설치될 수 있다.The pulley body corresponding to the second winding path a2 further includes a second shaft fixing hole H2 connecting the central hole 231a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Here, the fixed shaft of a predetermined length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shaft fixing hole H2.

또한, 풀리 몸체(231)의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중앙홀(231a)에는 모터(220)의 모터축(미도시)이 끼워져 설치되며, 상기 모터축에는 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홈은 고정축의 단부가 끼워질 수 있는 홈이다.In addition, a motor shaft (not shown) of the motor 220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central hole 231a forme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pulley body 231, and a groove (not shown) is formed in the motor shaft. Here, the groove is a groove into which the end of the fixed shaft can be fitted.

따라서, 제 2축 고정홀(H2)에 끼워지는 고정축(미도시)은 그 단부가 중앙홀에 끼워진 모터축의 홈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모터축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Therefore, the fixed shaft (not shown) fitted to the second shaft fixing hole H2 can be easily fixed by inserting the end portion into the groove of the motor shaft inserted into the center hole.

상기에 언급된 제 1,2축 고정홀(H1,H2)은 그 단면의 형상이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aforementioned first and second axis fixing holes H1 and H2 may have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in cross section.

상기에 미설명된 부호 'c'는 풀리의 중심축이다.
Reference numeral 'c', not described above, is the central axis of the pulley.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 풀 리가 채택되는 승강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Next, it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lifting device that is adopted as the hybrid pulley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도 4 및 도 5를 참조 하면, 본 고안에 따르는 경사 조절용 승강 장치(20)는 도시되지 않은 기구물의 경사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4 and 5, the tilt control lifting device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rves to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mechanism not shown.

상기 승강 장치(20)는 바람직하게는 기구물의 양측부에 위치되어 서로 마주 보도록 한 쌍으로 구성된다.The lifting device 20 is preferably arranged in pairs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appliance.

즉, 일측의 승강 장치(200)는 상기 기구물의 일측부에 위치되고 마주 보고 있는 측의 승강 장치(201)는 상기 기구물의 타측부에 위치된다.That is, the lifting device 200 on one side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appliance, and the lifting device 201 on the opposite side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appliance.

상기 승강 장치(20)는 제 1승강 장치(200)와 제 2승강 장치(201)로 구성된다. 상기 제 1승강 장치(200)와 상기 제 2승강 장치(201)는 서로 동일한 구성을 이룰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 1승강 장치(200)의 구성만을 설명하도록 한다.The elevating device 20 includes a first elevating device 200 and a second elevating device 201. Since the first elevating device 200 and the second elevating device 201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each other, only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levating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상기 제 1승강 장치(200)는 상기 기구물의 일측부에 배치되는 조절부 몸체(210)와, 상기 제어 모듈(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조절부 몸체(210)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 모듈(60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는 모터(220)와, 상기 조절부 몸체(210)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22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는 하이브리드 풀리(230)와, 상기 조절부 몸체(210)의 내부에서 상단에 2개, 하단에 1개가 설치되는 가이드 롤러들(240)과, 상기 조절부 몸체(210)에서 상기 하이브리드 풀리(230)에 권취되고 상기 가이드 롤러들(240)을 통하여 이동이 가이드되며 상기 제 2테두리 부(121)의 양측단에 설치되는 브라켓(251)에 연결되는 로프(250)로 구성된다.The first lifting device 2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body 210 and the control module 600, which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appliance, is installed on the control unit body 210 and the control module The motor 220 receives the electrical signal from the 600, and the hybrid pulley 230 is installed in the control unit body 210 and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motor 220, and the control unit body 210 Two guide rollers 240 are installed at the top and one at the bottom of the inside, and are wound around the hybrid pulley 230 in the adjusting unit body 210 and guided through the guide rollers 240. And a rope 250 connected to brackets 251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edge portion 121.

도 3 및 도 4를 참조 하면, 상기 하이브리드 풀리(230)는 상기 모터(220)와 축 연결되는 원통 형상의 풀리 몸체(231)와, 상기 풀리 몸체(231)의 양측 외주로부터 일정 간격을 이루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로프(250)가 권취되는 권취 경로들(a1,a2)을 형성하는 한 쌍의 외측 격판(232)과, 상기 한 쌍의 외측 격판(232)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풀리 몸체(231)의 외주 중앙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로프(250)가 상기 권취 경로들(a1,a2) 간을 서로 통과할 수 있는 안내홀(234)을 갖는 중앙 격판(233)으로 구성된다.3 and 4, the hybrid pulley 230 protrudes with a cylindrical pulley body 231 axially connected to the motor 220 at regular intervals from both outer peripheries of the pulley body 231. And the pulley body 231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outer diaphragms 232 and the pair of outer diaphragms 232 which form winding paths a1 and a2 on which the rope 250 is wound.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s formed with a central diaphragm 233 having a guide hole 234 through which the rope 250 can pass between the winding paths a1 and a2.

여기서, 상기 다수개의 가이드 롤러들(240)은 도르래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고, 이는 모터(22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통하여 로프(250)를 당기거나 푸는 동작을 함으로써 브라켓(251)에 고정되는 기구물의 일측에서의 경사 조절을 실시하는 경우에 상기 경사 조절을 이룸에 따르는 부하가 모터(220)에서 경감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Here, the plurality of guide rollers 240 serves as a pulley, which is fixed to the bracket 251 by the operation of pulling or unwinding the rope 250 through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motor 220 When the inclination adjustment is performed at one side of the in order to reduce the load of the motor 220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adjustment.

도시되지 않은 제어 모듈은 모터(220)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고, 이 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220)는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이 회전력은 축을 통하여 하이브리드 풀리(230)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하이브리드 풀리(230)는 회전된다.The control module (not shown) transmits an electrical signal to the motor 220, and the motor 220 generates a rotational force according to the signal. This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hybrid pulley 230 through the shaft. Thus, the hybrid pulley 230 is rotated.

이때, 상기 하이브리드 풀리(230)의 제 1,2권취 경로(a1,a2)에 권취된 로프는 일측으로 유동된다. 이 유동되는 로프(250)는 조절부 몸체(210)의 내측 상단 및 하단에 설치되는 도르래와 같은 역할을 하는 다수개의 가이드 롤러들(240)을 통하여 유동되면서 브라켓(251)을 통하여 연결된 기구물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구물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유동시키는 경우에 힘은 상기 다수개의 가이드 롤러들(240)을 통하여 경감될 수 있다. 즉, 일정 이하의 적은 모터(220)의 회전력으로 기구물의 경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ope wound in the first and second winding paths a1 and a2 of the hybrid pulley 230 flows to one side. The flowing rope 250 flows through a plurality of guide rollers 240 serving as pulleys installed at the inner upper and lower ends of the adjuster body 210, and upwards or upwards a mechanism connected through the bracket 251. Can be moved downward. In this case, the force may be reduced through the plurality of guide rollers 240 in the case of moving the instrument upward or downward. That is, the inclination of the apparatus can be easily adjus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220 less than a certain level.

상기의 제 1승강 장치(200)와 동일 구성인 제 2승강 장치(201)는 서로 마주 보는 상태에서, 상기 기구물의 양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2승강 장치(200,201) 각각의 로프(250)는 상기 기구물의 양측부에 설치되는 브라켓(251)에 각각 연결된다.The second elevating device 201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elevating device 200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appliance in a state facing each other, and the ropes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evating devices 200 and 201 ( 250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brackets 251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apparatus.

이에 따라, 제 1,2승강 장치(200,201) 각각의 모터(220)의 구동에 따라 상기 기구물의 경사는 조절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inclination of the apparatus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motor 220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lifting devices 200 and 201.

예컨대, 제 1,2승강 장치(200,201)의 모터(220)를 동시에 동일 방향 및 동일한 회전력이 발생되도록 구동시키면, 상기 기구물의 양측부는 동일하게 상방 또는 하방으로 기울어져 일정의 경사를 유지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motors 220 of the first and second elevating devices 200 and 201 are driven at the same time to generate the same direction and the same rotational force, both sides of the apparatus may be inclined upward or downward in the same manner to maintain a constant inclination.

또한, 제 1,2승강 장치(200,201) 중 어느 하나의 모터(220)를 구동시키거나, 제 1,2승강 장치(200,201) 각각의 모터(220)의 회전 방향을 반대를 이루도록 제어하는 경우에, 상기 기구물(120)의 양측부가 서로 틀어지는 즉, 좌우로의 일정의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driving the motor 220 of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ifting devices 200 and 201, or to control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tor 220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lifting devices 200 and 201 to be reversed. Both sides of the appliance 120 are twisted with each other, that is, a predetermined inclination to the left and right may be formed.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르는 한 쌍을 이루는 승강 장치(20)는 예컨대, 연습용 퍼팅 그린을 구현 할 수 있는 연습용 퍼팅 장치와 같은 기구물의 상하 및 좌우로의 경사를 조절함으로써, 골프공(미도시)이 이동되는 필드의 다양한 현장 상황을 연출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air of lifting devices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by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upper and lower and left and right of the instrument, such as a practice putting device that can implement a practice putting green, golf balls (not shown) Various field situations of this moving field can be produced.

200 : 제 1승강 장치 201 : 제 2승강 장치
210 : 조절부 몸체 220 : 모터
230 : 하이브리드 풀리 240 : 가이드 롤러
250 : 로프 c : 풀리의 중심축
200: first lifting device 201: second lifting device
210: control unit body 220: motor
230: hybrid pulley 240: guide roller
250: rope c: central axis of the pulley

Claims (4)

모터와 축 연결되며, 중앙홀이 형성되며, 외주에 로프가 권취되는 원통 형상의 풀리 몸체;
상기 풀리 몸체의 양측 외주에 형성되는 한 쌍의 외측 격판;
상기 한 쌍의 외측 격판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풀리 몸체의 외주 중앙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로프가 권취되는 두 개의 권취 경로를 이루도록하고, 상기 로프가 상기 권취 경로들 간을 서로 통과할 수 있는 안내홀이 형성되는 중앙 격판; 및
상기 두 개의 권취 경로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로프의 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제 1축 고정홀과, 상기 두 개의 권취 경로 중 다른 하나에 상기 중앙홀과 연통되는 제 2축 고정홀을 갖는 홀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홀은, 상기 중앙 격판의 일부분을 절개한 절개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절개홀은 서로 마주 보는 한 쌍의 측벽과, 상기 한 쌍의 측벽의 하단을 잇는 저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개홀의 상단은 개구되고,
상기 안내홀의 내측벽에는 베어링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풀리.
A cylindrical pulley body having a shaft connected to the motor and having a central hole, the rope being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A pair of outer diaphragms formed at both outer peripheries of the pulley body;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center of the pulley body to be located between the pair of outer diaphragm, to guide the rope to form two winding paths are wound, the rope can pass through each other between the winding paths Central diaphragm in which the hole is formed; And
A hole portion having a first shaft fixing hole formed in one of the two winding paths and fixed to the end of the rope, and having a second shaft fixing hole communicating with the central hole in the other of the two winding paths; Including,
The guide hole is made of a cutting hole in which a portion of the central diaphragm is cut,
The incision hole comprises a pair of side walls facing each other, and a bottom wall connecting the lower end of the pair of side walls, the upper end of the incision hole is opened,
Hybrid pulley, characterized in that the bearing is further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guide ho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홀은,
상기 중앙 격판의 일부분에 형성되는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풀리.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guide hole,
And a hole formed in a portion of the central diaphragm.
KR2020100013609U 2010-12-30 2010-12-30 Hybrid pulley KR20046009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3609U KR200460092Y1 (en) 2010-12-30 2010-12-30 Hybrid pulle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3609U KR200460092Y1 (en) 2010-12-30 2010-12-30 Hybrid pulley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346U Division KR200460088Y1 (en) 2010-02-05 2010-02-05 Lifting apparatus for adjusting slo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004U KR20110008004U (en) 2011-08-11
KR200460092Y1 true KR200460092Y1 (en) 2012-05-02

Family

ID=45596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3609U KR200460092Y1 (en) 2010-12-30 2010-12-30 Hybrid pulle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092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34601B (en) * 2019-01-15 2021-08-17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Double-groove primary-secondary type steel wire rope reel and steel wire rope coiling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1022U (en) * 1991-11-25 1993-06-24 정범모 Lifter
JPH05325624A (en) * 1992-05-27 1993-12-10 Tokyo Electric Co Ltd Lifting device for electric apparatus
JP2002068677A (en) * 2000-08-28 2002-03-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Lifting/lowering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1022U (en) * 1991-11-25 1993-06-24 정범모 Lifter
JPH05325624A (en) * 1992-05-27 1993-12-10 Tokyo Electric Co Ltd Lifting device for electric apparatus
JP2002068677A (en) * 2000-08-28 2002-03-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Lifting/lower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004U (en) 201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6384B1 (en) Winch and autonomous mobi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672334B1 (en) A wire rope spool device provided to the tension adjusting
US8616527B2 (en) Hoist using friction wheel
CA2815762C (en) Lift installation
KR101475730B1 (en) Switchgear for a floodgate by using a two way wire drum
KR200460092Y1 (en) Hybrid pulley
JP5026260B2 (en) Elevator equipment
KR101593609B1 (en) Tower crane
KR200464796Y1 (en) A drive machine for stage
US20140319440A1 (en) Electric hoist
JP2018083713A (en) Irregular winding preventing device for winch and crane
KR101342537B1 (en) Winch
KR20180043509A (en) Stage drive device screw drum moves
US20220324684A1 (en) Line Gripping Winch Drum
JP5031558B2 (en) Elevator equipment
CN111032562B (en) Rope guiding device and method for guiding a rope
CN218025167U (en) Rope skipping prevention device for winding multilayer steel wire rope by duplex winding drum and crane
KR102650156B1 (en) Stage lifter with vertical winding drum
JP2018177500A (en) Electric hoist, and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4743463B (en) A kind of protecting device for wire rope and the rotary drilling rig with it
KR101177562B1 (en) Stage setting apparatus
KR200460088Y1 (en) Lifting apparatus for adjusting slope
CN214611035U (en) Host installation structure of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CN214828631U (en) Mute type lift
CN114229665B (en) Special electromagnetic lifting appliance for wire sh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