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047Y1 - 용기 거치용 선반 - Google Patents

용기 거치용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047Y1
KR200460047Y1 KR2020090016873U KR20090016873U KR200460047Y1 KR 200460047 Y1 KR200460047 Y1 KR 200460047Y1 KR 2020090016873 U KR2020090016873 U KR 2020090016873U KR 20090016873 U KR20090016873 U KR 20090016873U KR 200460047 Y1 KR200460047 Y1 KR 2004600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helf plate
shelf
plate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68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6683U (ko
Inventor
임영진
김영
Original Assignee
범한공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한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범한공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한화건설 filed Critical 범한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168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047Y1/ko
Publication of KR201100066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6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0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04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18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for both soap and toothpaste or the like; in combination with holders for drinking glasses, toothbrushes, or the like ; Toothpaste dispensers; Dental care cen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1Structural features of shelf b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용기 거치용 선반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용기 거치용 선반은 설치벽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표면에 용기가 안착되는 선반 플레이트, 선반 플레이트의 표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선반 플레이트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 구간에 걸쳐 배치되어 선반 플레이트로부터 용기가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이탈 저지용 펜스 및 일단부가 선반 플레이트와 이탈 저지용 펜스 중 어느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용기를 거치시키는 용기 거치부재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용기를 네크(neck) 영역이 아래로 오도록 거치하여 용기 내 내용물의 공급을 용이하게 하고, 각종 용기를 크기에 따라 정렬할 수 있으므로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미관을 좋게 하고 수납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용기, 거치용, 선반, 플레이트

Description

용기 거치용 선반{Fixing shelf of container}
본 고안은 용기 거치용 선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용기를 거꾸로 세워 보관할 수 있는 용기 거치용 선반에 관한 것이다.
용기 거치용 선반은 욕실, 파우더 룸 등에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샴푸나 린스 용기, 그 외에 각종 화장품 용기, 욕실용 세제용기 등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조체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용 용기 거치용 선반은 단순한 선반으로서 각종 용기를 올려서 보관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각종 액상이나 콜로이드, 분말 형태의 물질을 담고 있는 용기는 그 용기의 네크(neck) 영역의 한 부분에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공급받기 위해서는, 용기를 거꾸로 세워 용기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토출구를 통하여 내용물이 나오도록 하거나 또는 소정의 힘으로 흔들어 관성과 중력을 이용하여 내용물이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용기 내의 내용물을 대부분 사용하여 소량의 내용물만이 용기의 바닥에 남아 있는 경우에는 토출구를 통하여 내용물을 공급받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내용물을 쉽게 공급받을 수 있는 방법으로 용기를 토출구 부분 즉 용기의 네크(neck) 영역이 아래를 향하도록 용기를 거꾸로 하여 보관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용기 내의 내용물은 용기를 거꾸로 하여 보관하는 동안 중력에 의하여 토출구 쪽으로 자연스럽게 흘러내리고 다음 사용 시에는 토출구로 내용물을 용이하게 공급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선반에는 용기를 거꾸로 하여 고정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용기를 상기와 같은 상태로 보관하기가 어렵고, 억지로 선반의 일부분이나 선반이 설치된 벽면에 의존하여 용기를 세워놓는 경우에는 미관상 좋지 않을 뿐 아니라, 용기가 쓰러질 수도 있어 용기의 재질에 따라서는 자칫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의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용기의 네크(neck) 영역이 아래로 오도록 하여 용기를 거치시킬 수 있는 용기 거치용 선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용기 거치용 선반은, 설치 벽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표면에 용기가 안착 되는 선반 플레이트, 상기 선반 플레이트의 표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선반 플레이트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 구간에 걸쳐 배치되어 상기 선반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용기가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이탈 저지용 펜스 및 일단부가 상기 선반 플레이트와 상기 이탈 저지용 펜스 중 어느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용기를 거치시키는 용기 거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용기 거치부재는 부분적으로 벤딩 가공되는 단면 원형상의 금속 봉에 의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용기 거치부재는, 양 자유단부에서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벤딩되어 상기 이탈 저지용 펜스에 걸리는 걸림부, 상기 걸림부로부터 상기 선반 플레이트의 판면에 가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일 영역이 상기 선반 플레이트의 측벽에 지지되는 연장지지부 및 상기 연장지지부가 끝나는 지점에서 상기 연장지지부의 길이 방향에 가로 방향을 따라 벤딩되어 상기 용기의 네크(neck) 영역이 부분적으로 통과되면서 거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상호 나란한 한 쌍의 직선구간 및 상기 한 쌍의 직선구간을 아크(arc) 형으로 연결하는 곡선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반 플레이트의 판면에는 상기 용기의 네크(neck) 영역이 끼워지면서 안착되는 다수의 안착홀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안착홀은 상기 선반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진적으로 커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반 플레이트의 하부 영역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이막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 저지용 펜스와 상기 선반 플레이트가 만나는 지점에서 그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걸이막대는 일단부 가 상기 회전체에 연결되어 아크(arc) 형의 환봉으로 마련되며, 상기 회전체와 상기 걸이막대는 상호 대칭되게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반 플레이트는 부채꼴 형상을 가지며, 상호 간 대면 되는 측벽은 상기 설치 벽면의 코너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측벽에는 상기 설치 벽면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 브래킷이 마련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용기의 토출구를 포함하는 네크(neck) 영역이 아래로 오도록 용기를 거꾸로 거치하여 보관할 수 있어서 용기 내 내용물의 공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각종 용기를 크기에 따라 정리하여 거치할 수 있으므로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미관을 좋게 하고 수납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완전한 설명을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거치용 선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용기 거치용 선반과 용기 거치부재에 거치되는 용기를 함께 도시한 측면도이다.
여기서, 용기(2)는 각종 액체, 콜로이드 용액, 분말형태의 내용물을 저장할 수 있는 그릇이다. 또한, 용기(2)의 상단에는 용기의 병목에 해당하는 네크(4) 영 역이 배치된다. 이때, 네크(4) 영역에는 용기(2) 내에 포함되는 내용물이 밖으로 나올 수 있는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의하면, 용기 거치용 선반(100)은 크게 선반 플레이트(10), 이탈 저지용 펜스(20) 및 용기 거치부재(30a)를 포함한다.
선반 플레이트(10)는 부채꼴 형상의 판으로 이루어지고, 판면에는 복수 개의 안착홀(14)이 형성되어 있다. 설치 벽면이 코너영역인 경우에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일반적으로 중심각의 크기가 직각이 되는 부채꼴일 수 있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경우에 따라 코너의 벽면이 이루는 각에 따라 중심각의 크기는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코너가 아닌 벽면에 설치하는 경우 반원 형태의 판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선반 플레이트(10)의 재질은 유리 또는 적절한 강도를 갖는 합성수지일 수 있으며, 유리인 경우에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강화유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반 플레이트(10)에는 각종 용기나 그 외에 물건들을 놓을 수 있으며 용기(2)는 안착홀(14)에 네크(4)가 끼워지도록 거꾸로 세워 놓을 수 있다.
또한, 용기(2)의 밑면의 직경은 네크(4)의 직경보다 일반적으로 크므로, 내용물이 비교적 많이 남아 있는 경우에는 용기(2)를 안착홀(14)이 형성되어 있는 선반 플레이트(10) 상에 안착홀(14)이 용기의 밑면에 의해 가려지도록 올려놓아도 무방하다. 더불어, 선반 플레이트(10) 상의 안착홀(14)은 욕실에서의 사용시 물기가 선반 플레이트(10)에서 쉽게 빠지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중심각을 사이에 두고 대면 되는 선반 플레이트(10)의 두 측면에는 각 각 체결 브래킷(12)을 하나 이상 배치할 수 있다. 체결 브래킷(12)은 선반 플레이트(10)가 설치되는 벽면에 접촉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하며, 용기 거치용 선반(100)을 착탈가능하게 하므로, 경우에 따라 용기 거치용 선반(100)을 이동하여 다른 장소에 설치할 수도 있다.
안착홀(14)은 선반 플레이트(10)의 판면에 형성되는 홀로서, 용기(2)의 네크(4) 부분이 끼워져 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안착홀(14)에 의해 거치된 용기(2) 내의 내용물은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흘러내려 네크(4) 영역 즉, 토출구 주변에 모일 수 있다. 따라서 내용물을 사용할 때, 용기 거치용 선반(100)으로부터 용기(2)를 꺼내게 되면 네크(40) 영역에 형성된 토출구를 통하여 신속하게 내용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안착 홀(14)의 개수와 크기, 모양, 형성하는 위치는 경우에 따라 달리 정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할 이탈 저지용 펜스(20)가 배치되는 부분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차 커지거나 작아지도록 복수 개의 홀을 형성할 수 있으며, 홀의 형태는 원형으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경우에 따라 홀의 형태는 다각형이나 다양한 형태의 폐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고, 안착홀(14)의 배치는 선반 플레이트(10)에 소정의 문양이 나타나도록 하거나, 전체 판면에 고르게 분포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높이가 높은 용기(2)들은 이탈 저지용 펜스(20)에 근접한 안착홀(14)에 거치시키고,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은 용기(2)들은 이탈 저지용 펜스(20)와는 떨어진 곳에 형성된 안착홀(14)에 거치시키는 것이 바람 직하다.
이에 따라, 용기(2)들은 각각의 네크(4)의 직경에 따라 부합하는 안착홀(14)에 정렬되어 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탈 저지용 펜스(20)는 선반 플레이트(10)의 둘레에 부합하는 형태의 굴곡을 이루는 봉으로서, 판면보다 높은 위치에 즉, 판면의 윗면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부식에 강한 금속 재질로 제작된다. 그러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경우에 따라 선반 플레이트(10)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일부 구간에 걸쳐 있을 수 있다.
이탈 저지용 펜스(20)는 시작되는 지점과 끝나는 지점이 벤딩 가공되어 선반 플레이트(10) 쪽을 향하게 하고, 양단부가 선반 플레이트(10)에 연결됨으로써 고정된다.
따라서 이탈 저지용 펜스(20)는 안착홀(14)에 의해 거치된 용기(2)를 2차적으로 지지하여 안착홀(14)을 벗어나 쓰러지거나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반 플레이트(10)의 공간 활용도를 최대화하고, 수납에 안정을 기할 수 있다.
용기 거치부재(30a)는 단면의 형상이 원형인 금속 봉으로서, 걸림부(32), 연장 지지부(34) 및 거치부(36)를 포함한다.
걸림부(32)는 용기 거치부재(30a)를 이탈 저지용 펜스(20)에 걸 수 있도록 하는 부분으로서, 용기 거치부재(30a)의 양 자유단부에서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벤딩되어 갈고리 모양을 형성한다.
또한, 연장 지지부(34)는 걸림부(32)로부터 선반 플레이트(10)의 판면에 가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일 영역이 선반 플레이트(10)의 측벽에 지지된다.
거치부(36)는 연장 지지부(34)가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연장 지지부(34)의 길이 방향에 가로방향으로 연장 절곡되어 마련된다.
이러한 거치부(36)는 직선구간(36a) 및 곡선구간(36b)을 포함한다. 이때, 직선구간(36a)은 연장 지지부(34)와 연결되는 한 쌍의 금속봉으로 마련되고, 한 쌍의 금속봉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채 평행을 이루게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한 쌍의 금속봉은 곡선구간(36b) 쪽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지게 제조할 수도 있는데, 이는 네크(4) 영역의 직경이 다양한 용기(2)들을 모두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만약, 한 쌍의 금속봉이 곡선구간(36b) 쪽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도록 마련되면, 직경이 큰 네크(4)를 갖는 용기(2)일수록 연장 지지부(34)에 가까운 위치에 네크(4) 영역이 끼워져 거치될 수 있다.
곡선구간(36b)은 직선구간(36a)과 일체로 연결되며, 아크(arc)형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용기(2)의 네크(4) 영역은 거치부(36)의 두 직선구간(36a)과 곡선구간(36b)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부분적으로 통과되고, 용기(2)의 몸체는 연장 지지부(34)와 이탈 저지용 펜스(20)에 지지되어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빈도가 높은 샴푸 등의 용기를 제1 용기 거치부재(30a)에 거치시켜 보관하면, 내용물 사용시 용기(2)를 들어올려 내용물을 공급받을 필요없이 거치된 상태로 내용물을 공급받을 수 있어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필요에 따라 제1 용기 거치부재(30a)는 복수 개를 설치하여 사 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 거치용 선반(100)은 걸이막대(42)를 더 포함하며, 걸이막대(42)는 일단부가 회전체(40)에 연결된다.
여기서, 회전체(40)는 이탈 저지용 펜스(20)와 선반 플레이트(10)가 만나는 지점에서 선반 플레이트(10)의 하부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화살표 방향 또는 화살표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걸이막대(42)는 일단부가 회전체(40)에 연결되고, 아크(arc)형의 환봉으로 마련된다. 회전체(40)와 걸이막대(42)는 이탈 저지용 펜스(20)와 선반 플레이트(10)가 만나는 두 지점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호 대칭이 되도록 한 쌍으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걸이막대(42)를 아크형의 환봉으로 제조하는 것은 회전체(40)를 회전시켜 선반 플레이트(10)의 곡면에 부합하도록 위치시킴으로써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고 미관을 좋게 하기 위함이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경우에 따라, 걸이막대(42)를 직선형으로 하거나 복수개의 물건을 수납하기에 용이하도록 요철을 형성할 수도 있다. 걸이막대(42)는 타월이나 그외에 걸어서 수납할 수 있는 상대적으로 질량이 작은 물건들을 보관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거치용 선반의 측면도이다.
도 3에 의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거치용 선반(200)은 도 1 및 도 2에서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거치용 선반(100)과 거의 유사하나, 용기 거치부재(도 1 및 도 2의 30a) 대신에 선반 플레이트(10)에 직접 결합되는 용 기 거치부재(30b)가 마련되는 것이 상이하다.
용기 거치부재(30b)는, 걸림부(도 1 및 도 2의 32)에 의해 이탈 저지용 펜스(20)에 걸려 용기 거치용 선반(100)과 결합되는 전술한 용기 거치부재(30a)와 달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 플레이트(10)의 밑면의 일측에 직접 결합됨으로써 연결될 수 있다. 이외에 다른 부분은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거치용 선반(100)의 용기 거치부재(30a)에서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용기 거치부재(30b)는 선반 플레이트(10)의 일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어 미관상 깔끔하고, 안정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곳에 용기(2)의 네크(4) 영역이 아래로 오도록 거치시키면 도시한 바와 같이 이탈 저지용 펜스(20)나 경우에 따라 선반 플레이트(10)의 측벽에 지지되어 안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용기 거치부재(30b)도 용기 거치부재(30a)와 같이 복수 개 설치할 수도 있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선반 플레이트는 부채꼴 형상만을 제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사각형이나 그 밖의 다각형의 형태로도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걸이막대 또한 상기 이탈 저지용 펜스와 선반 플레이트가 만나는 지점 외에 다른 지점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회전체를 생략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거치용 선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용기 거치용 선반과 용기 거치부재에 거치되는 용기를 함께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거치용 선반의 측면도이다.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용기 4: 네크
10: 선반 플레이트 12: 체결 브래킷
14: 안착홀 20: 이탈 저지용 펜스
30a, 30b: 용기 거치부재 32: 걸림부
34: 연장 지지부 36a: 직선구간
36b: 곡선구간 36: 거치부
40: 회전체 42: 걸이막대
100, 200: 용기 거치용 선반

Claims (9)

  1. 설치 벽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표면에 용기가 안착되는 선반 플레이트;
    상기 선반 플레이트의 표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선반 플레이트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 구간에 걸쳐 배치되어 상기 선반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용기가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이탈 저지용 펜스; 및
    부분적으로 벤딩(bending) 가공되는 단면 원형상의 금속 봉에 의해 마련되며, 일단부가 상기 선반 플레이트와 상기 이탈 저지용 펜스 중 어느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용기를 거치시키는 용기 거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 거치부재는,
    양 자유단부에서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벤딩되어 상기 이탈 저지용 펜스에 걸리는 걸림부;
    상기 걸림부로부터 상기 선반 플레이트의 판면에 가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일 영역이 상기 선반 플레이트의 측벽에 지지되는 연장지지부; 및
    상기 연장지지부가 끝나는 지점에서 상기 연장지지부의 길이 방향에 가로 방향을 따라 벤딩되어 상기 용기의 네크(neck) 영역이 부분적으로 통과되면서 거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거치용 선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호 나란한 한 쌍의 직선구간; 및
    상기 한 쌍의 직선구간을 아크(arc) 형으로 연결하는 곡선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거치용 선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플레이트의 판면에는 상기 용기의 네크(neck) 영역이 끼워지면서 안착되는 다수의 안착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거치용 선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안착홀은 상기 선반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진적으로 커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거치용 선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플레이트의 하부 영역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이막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거치용 선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저지용 펜스와 상기 선반 플레이트가 만나는 지점에서 그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걸이막대는 일단부가 상기 회전체에 연결되어 아크(arc) 형의 환봉으로 마련되며,
    상기 회전체와 상기 걸이막대는 상호 대칭되게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거치용 선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플레이트는 부채꼴 형상을 가지며,
    상호 간 대면 되는 측벽은 상기 설치 벽면의 코너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측벽에는 상기 설치 벽면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 브래킷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거치용 선반.
KR2020090016873U 2009-12-28 2009-12-28 용기 거치용 선반 KR2004600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873U KR200460047Y1 (ko) 2009-12-28 2009-12-28 용기 거치용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873U KR200460047Y1 (ko) 2009-12-28 2009-12-28 용기 거치용 선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683U KR20110006683U (ko) 2011-07-06
KR200460047Y1 true KR200460047Y1 (ko) 2012-05-02

Family

ID=45568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6873U KR200460047Y1 (ko) 2009-12-28 2009-12-28 용기 거치용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04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7826B1 (ko) 2015-04-27 2015-11-10 송상호 욕실용 선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54841A (zh) * 2015-07-23 2015-11-18 韦振彬 一种牙具收纳盒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3543U (ja) * 2002-10-21 2003-05-16 アスベル株式会社 浴室用収納ラック
KR200383414Y1 (ko) * 2005-02-23 2005-05-03 대신건기산업 주식회사 다용도 컵대
KR200417342Y1 (ko) * 2006-03-15 2006-05-25 브리앙산업주식회사 욕실용 코너선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3543U (ja) * 2002-10-21 2003-05-16 アスベル株式会社 浴室用収納ラック
KR200383414Y1 (ko) * 2005-02-23 2005-05-03 대신건기산업 주식회사 다용도 컵대
KR200417342Y1 (ko) * 2006-03-15 2006-05-25 브리앙산업주식회사 욕실용 코너선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7826B1 (ko) 2015-04-27 2015-11-10 송상호 욕실용 선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683U (ko) 201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57429A (en) Shower shelf
US9586803B1 (en) Bottle rack dispenser apparatus
US7909181B2 (en) Article holders
JPH05193660A (ja) ロック可能な取っ手を有する積重ね可能なバケツ
US4324381A (en) Beverage container support
US6126256A (en) Portable stemmed glass/container retention rack and serving tray
US9833067B2 (en) Holding arrangement for packages
NO841032L (no) Flaskekurv
PT2639168E (pt) Caixa de transporte e de apresentação
KR200460047Y1 (ko) 용기 거치용 선반
RU2390988C2 (ru) Подставка для хранения и полива растений,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ива
US5890686A (en) Bottle swing
EP2036482A1 (en) Support for glasses for dishwasher baskets
US5553723A (en) Rack system for displaying and dispensing candy
US6662940B1 (en) Draining soap dish for multiple bars of soap
EP1065960A1 (en) Merchandising rack
US11492247B1 (en) Large water bottle dispenser
KR20100002790A (ko) 병 걸이 운반구
JP3732968B2 (ja) ボトルラック及びボトル収納棚
JP2006130117A (ja) 瓶の支持ラック及び瓶の支持方法
JP2008302048A (ja) ボトルラック
KR940001086Y1 (ko) 식기세척기용 수납바구니
JP5919136B2 (ja) シンク用水切りラック
KR102511308B1 (ko) 지지대를 포함하는 승강기 거치용 함
CN107374272A (zh) 酒杯架及家用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