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807Y1 - 프레임과 커버판의 용이한 체결을 위한 등기구용 클립 - Google Patents

프레임과 커버판의 용이한 체결을 위한 등기구용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807Y1
KR200459807Y1 KR2020100007859U KR20100007859U KR200459807Y1 KR 200459807 Y1 KR200459807 Y1 KR 200459807Y1 KR 2020100007859 U KR2020100007859 U KR 2020100007859U KR 20100007859 U KR20100007859 U KR 20100007859U KR 200459807 Y1 KR200459807 Y1 KR 2004598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plate
plate
clip
finger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78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0851U (ko
Inventor
강덕형
Original Assignee
(주)케이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엔디 filed Critical (주)케이엔디
Priority to KR20201000078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807Y1/ko
Publication of KR201200008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8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8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8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존 작업공수가 많고 또한 체결에 필요한 부품수가 많아 작업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간단한 구조와 방식으로 프레임과 커버판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고안된 등기구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등기구용 클립은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단에서 절곡형성되면서 지지판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는 탄지판과, 상기 탄지판의 하단에서 절곡형성되는 것으로 프레임에 안착된 커버판을 눌러주는 누름부와, 그리고 상기 지지판 또는 탄지판 내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삽입된 프레임에 대한 용이한 빠짐 방지를 위한 걸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레임과 커버판의 용이한 체결을 위한 등기구용 클립{THE CLIP FOR THE LIGHTING}
본 고안은 등기구에 있어 프레임과 커버판을 체결시키는데 사용되는 클립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기존 작업공수가 많고 또한 체결에 필요한 부품수가 많아 작업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간단한 구조와 방식으로 프레임과 커버판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고안된 등기구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등기구 즉 조명은 실내 또는 실외를 밝혀주기 위해 오래전부터 개발되어온 품목으로 종류 또한 쓰임새에 따라 다양하다.
이와 같은 등기구는 크게 본체와 커버와 나눌 수 있는데,
즉 본체에는 PL등 또는 LED와 같은 광원과, 광원에 대한 작동 여부 등을 조절하는 부품을 비롯한 안정기 등이 안치되고,
이러한 본체의 개구를 덮어 본체에 내장된 광원 등을 보호하면서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통과되어 실내 또는 실외를 밝혀주기 위한 커버가 구비된다.
그리고 오랜 기간을 거쳐 조명이 사용되고 개발되어 오면서, 본체와 커버간의 체결에 있어서는 단순한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결합방식 외에도 다양한 방식들이 소개되고 있는 실정이고,
특히 소개된 결합방식의 대부분은 작업의 편의성을 강조한 방식들이 대부분인만큼 작업성을 높이고 이에 따라 제품 생산 단가를 낮추고자 하는 노력이 지속되어 오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 본체의 개구를 덮는 커버에 있어,
이러한 커버는 빛 투과를 위해 아크릴 또는 유리로 제작되는데 아크릴 또는 유리 자체만으로 커버를 형성하기도 하고,
디자인되는 형태에 따라서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공간에 안치되어 광원의 빛 투과 막을 제공하는 커버판으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고, 상기 프레임에 커버판이 체결되어 일체된 후 프레임(또는 커버판)이 본체에 체결됨으로서 최종적인 등기구가 완성되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이와 같은 프레임에 커버판을 보다 용이하게 체결시켜 작업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F)은 실내 또는 실외로 노출되는 수평프레임(Fa)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면에서 수직으로 돌출형성되는 수직프레임(F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프레임이 형성된 하단에서 수평프레임이 내측으로 연장되면서 걸림프레임(Fc)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프레임(Fc)의 상면에 아크릴 또는 유리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커버판(C)이 안치되고 결합되면서 최종적인 커버가 완성되고, 이것이 본체(B)와 결합되어 조명등이 완성된다.
그러나 기존 조명업계에서는 본체와 커버에 대한 용이한 체결 또는 본체와 커버의 프레임(또는 커버판)에 대한 용이한 체결에 대해서는 단순한 볼트 및 너트 결합방식에 탈피하여 많은 방식들이 개발되고 응용되고 있는 실정이나,
상기 프레임(F)에 커버판(C)을 안착시킨 후 이들을 고정시키는 방식에 있어서는 여전히 볼트 및 너트 결합방식을 그대로 이용을 하고 있어 작업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커버판의 대부분은 아크릴 또는 유리 재질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재질은 긁힘이나 파손의 가능성이 커 프레임과 커버판을 체결하는 작업에 있어 보다 조심해야 한다는 작업상 불편함이 있으며,
만약 체결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걸림프레임의 상면에 접착제 등을 분포하게 되면 이후 안착되는 커버판에는 상황에 따라서는 접착제 잔분이 보이게 되어 상품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 역시 있게 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커버판과 프레임 체결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 사무용품 등의 분야에서 사용되어오던 클립을 도입하여 간편한 체결작업으로 손쉽게 프레임과 커버판을 체결시킬 수 있는 등기구용 클립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사무용품 등의 분야에서 사용되던 클립을 단순히 조명분야에 채용한 것이 아니라 분야 특성을 고려하여 커버판을 프레임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으면서 일단 프레임에 삽입된 클립이 잘 빠지지 않으면서도 탄지력을 보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등기구용 클립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하여,
종국적으로는 등기구의 조립작업에 있어 작업 공수를 줄이고, 부품수를 줄여 등기구 제작에 대한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등기구용 클립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등기구용 클립은,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단에서 절곡형성되면서 지지판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는 탄지판과, 상기 탄지판의 하단에서 절곡형성되는 것으로 프레임에 안착된 커버판을 눌러주는 누름부와, 그리고 상기 지지판 또는 탄지판 내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삽입된 프레임에 대한 용이한 빠짐 방지를 위한 걸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걸림부는
상기 지지판 또는 탄지판에 절취선을 형성시킨 후,
지지판 또는 탄지판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상기 절취선 아래를 눌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지지판과 연결형성되는 탄지판의 상부에는 외측으로 돌츨된 곡면을 형성하는 만곡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상기 누름부 저면에는 마찰 형성을 통해 커버판과의 미끄럼방지를 위한 미끄럼방지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을 가진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 많은 작업공수와 체결을 위한 많은 부품수가 필요하였던 프레임과 커버판의 체결작업을 간단 신속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단 본 고안의 클립이 체결된 이상 프레임에서 쉽게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꾀하였으며,
클립을 구성함에 있어 프레임을 압박하게 되는 탄지력을 최대화시킬 수 있는 구조 및 이후 클립을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는데 따른 작업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클립을 구성하였는바,
종국적으로 기존 방식들에 비해 체결성 뿐만 아니라 편의성을 좋아졌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등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클립에 대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클립에 대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특히 도면을 참조한 본 고안의 설명에 있어, 지지판(10)에서 탄지판(20)이 위치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그리고 반대방향을 후방으로 정하고,
지지판과 탄지판이 일체로 형성된 클립에 있어, 지지판과 탄지판이 마주하여 형성되는 공간을 향하는 방향을 내측으로, 그리고 그 반대방향을 외측으로 정하여 이하 본 고안을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클립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프레임(F)과 아크릴 또는 유리 등으로 이루어진 커버판(C)을 체결시키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지지판(10)과, 상기 지지판의 상단에서 연결형성되면서 절곡된 형태로 지지판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는 탄지판(20)과, 그리고 상기 탄지판의 하단에서 절곡형성되는 것으로 프레임에 안착된 커버판을 눌러주는 누름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수직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프레임(Fc)의 상면으로 커버판(C)을 배열시킨 후 일체 형성된 지지판(10)과 탄지판(20)의 내측에 의한 내측공간(S)으로 프레임이 삽입되도록 클립을 수직프레임(Fa)에 결합시키게 되는데,
상기 탄지판(20)의 하단에 연결형성된 누름부(30)가 커버판(C)의 저면을 눌러줄 수 있는 깊이까지 삽입시켜,
상기 누름부(30)에 의해 커버판이 걸림프레임방향으로 눌러져 고정되고, 따라서 커버판이 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결합되게 된다.
즉 커버판(C)을 프레임(F)에 고정시켜주기 위해 본 고안에는 누름부(30)의 구성을 도입하였는바,
이와 같은 누름부의 구성은 조명분야 특히 프레임에 커버판을 고정시켜야 한다는 목적을 가진 특수성으로 인해 본 고안에서 도입된 새로운 구성이라 할 수 있으며,
통상 사무용품 등에서 사용되는 단순한 클립 구성과 차이가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클립을 보다 자세히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의 지지판(10)과 탄지판(20)은 소위 철재로 이루어진 판을 절곡시킨 후 일면을 지지판으로 그리고 타면을 탄지판으로 명한 것으로,
재질의 특성상 한번 절곡되면 기계적인 힘이 아니라면 원상복구가 되지 않아 상기 지지판과 탄지판에 형성된 내측공간(S)으로 프레임을 삽입시켜 억지끼움 방식으로 프레임에 클립을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본 고안에서는 내측공간(S)으로 프레임(F) 삽입시 필요한 공간만큼 클립이 쉽게 벌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지지판(10)과 연결형성되는 탄지판(20)의 상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곡면을 형성하는 만곡부(25)를 구비하게 된다.
즉, 상기 만곡부(25)는 지지판과 탄지판의 절곡된 부분에서 탄지판쪽으로 반원과 같은 형태로 탄지판(2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만곡부(25)의 구성에 의하면
프레임의 삽입으로 인해 탄지판(20)이 지지판(10)을 기준으로 쉽게 벌어지면서도 프레임 삽입 후에는 다시 원상복구에 필요한 복원력이 원활히 작용되도록 하여 작업자는 쉽게 클립을 끼울 수 있고,
이후 커버판 교체로 인해 클립을 프레임에서 해체시켜야 할 경우 쉽게 해체작업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이와 같은 만곡부(25)는 사용에 따라서는 지지판에 형성될 수도, 그리고 지지판과 탄지판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고안에서의 클립은 지지판(10)을 기준으로 탄지판(20)이 벌어졌다 오므라졌다 하는 구조로 사용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지지판(10)은 삽입된 프레임을 지지해주고 고정해주는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하고 탄지판(20)을 통해 벌어졌다 오므라졌다를 할 수 있도록 상기 만곡부(25)는 탄지판, 보다 구체적으로는 탄지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보다 안정된 탄발력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프레임(F)으로부터 클립을 해체하는 경우 작업자는 엄지와 검지로 지지판(10)과 탄지판(20)을 잡고 클립을 프레임으로부터 빼내게 되는데,
이 때 만곡부(25)가 형성됨으로 인해 지지판(10)과 탄지판(20)의 파지시 작업자는 미끄러지지 않고 이들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만곡부(25)에 의해 형성된 공간 사이로 공구 등을 삽입시킬 수 있어, 특히 공구를 사용하여 클립을 프레임으로부터 해체시키는 경우 상기 만곡부가 공구의 걸림부 역할을 할 수 있게 되는바,
탄지판(20)에 형성된 만곡부(25)는 요긴하게 사용되는 구조이다.
다음으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지지판(10)은 삽입된 프레임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고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
상기 지지판의 내측으로는 삽입된 프레임이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걸림부(40)를 형성하게 된다.
역시 상기 걸림부는 탄지판 또는 지지판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각 판들의 기능을 고려할 때, 상기 걸림부는 도면에서와 같이 지지판에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부(40)는 프레임이 삽입된 상태에서 프레임에 대한 마찰을 주어 쉽게 프레임이 지지판과 탄지판 사이인 내측공간(S)에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돌기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다 할 것인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걸림부(40)는 지지판에 절취선(41)을 형성시킨 후 지지판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상기 형성된 절취선의 아랫 부분을 눌러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걸림부(40)에 의하면,
걸림부 형성이 간단하면서도 (즉, 별도의 돌기를 부착시키는 것이 아니어서 제작이 간판하고, 이로 인해 제품 생산에 대한 단가 역시 줄일 수 있다)
형성된 걸림부의 형상은 프레임이 삽입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뉘어지는 경사면(42)이 형성되어 내측공간(S)으로 프레임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삽입된 후에는 걸림부의 첨단부(43) 즉, 경사면 형성에 의해 형성된 첨단부(43)에 의해서 프레임이 쉽게 빠져나가지 못하고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물론 본 고안에서와 같은 걸림부는 지지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나, 탄지판에 형성시킬 경우에도 지지판에 형성되는 걸림부와 동일하게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고안의 누름부(30) 저면에는 역시 마찰 형성을 통해 커버판의 미끄럼 등과 같은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미끄럼방지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도 2(b)의 좌측 원호 참조),
상기 미끄럼방지수단은 작은 크기로 된 다수의 돌기(31)인 것이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제작시 생산 단가를 줄이기 위해여 앞서 살펴본 걸림부에서와 같이 누름부에 다수의 절취선을 형성하고, 상기 절취선의 일정 부분을 상부에서 하부로 눌러 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지지판(10)을 다시 보면,
상기 지지판(10)의 길이는 탄지판(20)의 길이에 비하여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지지판의 하단에는 지지판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지지판 하단이 마감되는 마감부(15)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지지판(10)이 일자로 마감되는 것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마감부(145)가 형성되면서 하단이 마감되는 구조에 의하면 도 3(도 3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감부(15)가 클립의 내측공간(S)으로 프레임(F) 삽입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유도부 역할을 하게 되어 바람직하고,
또한 프레임으로부터 클립 해제시 공구를 걸 수 있는 단턱 역할을 하게 되어 바람직하다.
또한 프레임에 장착된 클립을 해체함에 있어 지지판(10)에 형성된 마감부(15)를 이용할 수도 있는데,
즉, 앞서 설명된 만곡부(25)에서와 같이 공구를 이용하여 프레임으로부터 클립을 해체하는 경우 상기 마감부가 해체작업에 필요한 걸림부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구가 마감부(15)의 저면에 쉽게 닿을 수 있도록 하고 공구의 충분한 움직임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서 지지판(10)은 수평프레임의 저면에 닿지 않는 길이 즉, 탄지판보다 짧은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등기구용 클립"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F: 프레임 Fa: 수평프레임 Fb; 수직프레임
Fc: 걸림프레임 S: 내측공간
C; 커버판 B; 본체
10: 지지판 15: 마감부
20: 탄지판 25: 만곡부
30; 누름부 31: 돌기
40: 걸림부 41: 절취선
42: 경사면 43: 첨단부

Claims (4)

  1. 프레임에 삽입되어 프레임에 안착된 커버를 프레임에 결합시키는 등기구용 클립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단에서 절곡형성되면서 지지판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는 탄지판과,
    상기 탄지판의 하단에서 절곡형성되는 것으로 프레임에 안착된 커버판을 눌러주는 누름부와, 그리고
    상기 지지판 또는 탄지판 내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삽입된 프레임에 대한 용이한 빠짐 방지를 위한 걸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지지판 또는 탄지판에 절취선을 형성시킨 후 상기 절취선 아래를 눌러 프레임이 삽입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뉘어지는 경사면을 포함하여,
    프레임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삽입된 후에는 경사면 형성에 의해 형성된 첨단부에 의해서 프레임이 쉽게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지지판과 연결형성되는 탄지판의 상부에는 외측으로 돌츨된 곡면을 형성하는 만곡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의 길이는 탄지판의 길이에 비하여 짧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의 하단에는 지지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마감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판의 용의한 체결을 위한 등기구용 클립.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 저면에는 마찰 형성을 통해 커버판과의 미끄럼방지를 위한 미끄럼방지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과 커버판의 용의한 체결을 위한 등기구용 클립.
KR2020100007859U 2010-07-27 2010-07-27 프레임과 커버판의 용이한 체결을 위한 등기구용 클립 KR2004598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859U KR200459807Y1 (ko) 2010-07-27 2010-07-27 프레임과 커버판의 용이한 체결을 위한 등기구용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859U KR200459807Y1 (ko) 2010-07-27 2010-07-27 프레임과 커버판의 용이한 체결을 위한 등기구용 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851U KR20120000851U (ko) 2012-02-06
KR200459807Y1 true KR200459807Y1 (ko) 2012-04-18

Family

ID=45843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7859U KR200459807Y1 (ko) 2010-07-27 2010-07-27 프레임과 커버판의 용이한 체결을 위한 등기구용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80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971B1 (ko) 2012-07-17 2014-01-02 권영학 조명등의 전면유리 장착장치
KR20210087865A (ko) * 2020-01-02 2021-07-13 이기용 천장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3235Y1 (ko) * 1994-12-06 1998-04-13 성재갑 천정 점검구
KR20050117921A (ko) * 2004-06-11 2005-12-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각도 조절이 가능한 고정클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3235Y1 (ko) * 1994-12-06 1998-04-13 성재갑 천정 점검구
KR20050117921A (ko) * 2004-06-11 2005-12-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각도 조절이 가능한 고정클립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971B1 (ko) 2012-07-17 2014-01-02 권영학 조명등의 전면유리 장착장치
KR20210087865A (ko) * 2020-01-02 2021-07-13 이기용 천장등
KR102413626B1 (ko) 2020-01-02 2022-06-28 이기용 천장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851U (ko) 2012-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7160B2 (en) LED light assembly
KR200459807Y1 (ko) 프레임과 커버판의 용이한 체결을 위한 등기구용 클립
KR101626771B1 (ko) Led 평판조명기구 구조
KR101114910B1 (ko) 조명등 기구
KR100953608B1 (ko) 커버판의 간편한 착탈구조를 갖는 천정 조명등
KR20150001011U (ko) 커버의 탈착이 용이한 엘이디조명등
KR200420588Y1 (ko) 매입등의 커버 결합구조
KR200465380Y1 (ko) 투광판의 슬라이딩 결합구조를 갖는 천장등
KR200461380Y1 (ko) 스프링을 이용한 조명커버 장착구조
KR102082928B1 (ko) 고정부와 가압부를 구비한 고정스프링을 이용한 매립형 등기구
KR100924103B1 (ko) 등기구
KR200403391Y1 (ko) 매입형 등기구
KR101029897B1 (ko) 천정 매입등의 고정장치
KR102615975B1 (ko) 엣지형 조명등 장착장치
KR101011995B1 (ko) 커버틀체의 용이한 체결구조를 갖는 천장 매립등
KR200478407Y1 (ko) 원터치로 측면커버가 결합되는 조명등
KR200452530Y1 (ko) 분리형 커버를 구비한 조명기구
KR100978199B1 (ko) 천장등 케이스와 커버의 결합장치
KR102413626B1 (ko) 천장등
KR200367356Y1 (ko) 형광램프용 투광커버
CN210485609U (zh) 一种编织灯的组合及固定连接结构
CN207626707U (zh) 可拆卸灯珠结构及伞具
CN220169263U (zh) 一种带双侧发光的护墙板灯
KR200235224Y1 (ko) 형광등용 등기구
KR200471931Y1 (ko) 매입등의 커버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