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732Y1 - Intake Manifold for Vehicle with Vacuum Tank - Google Patents

Intake Manifold for Vehicle with Vacuum Tan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732Y1
KR200459732Y1 KR2020090009349U KR20090009349U KR200459732Y1 KR 200459732 Y1 KR200459732 Y1 KR 200459732Y1 KR 2020090009349 U KR2020090009349 U KR 2020090009349U KR 20090009349 U KR20090009349 U KR 20090009349U KR 200459732 Y1 KR200459732 Y1 KR 2004597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enum chamber
air flow
intake manifold
vacuum
vacuum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9349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00827U (en
Inventor
변창수
김승현
Original Assignee
말레동현필터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말레동현필터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말레동현필터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093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732Y1/en
Publication of KR201100008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827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7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732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7/00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 F02B27/02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09Fluid connections to the air intake system; their arrangement of pipes, valves or the like
    • F02M35/10229Fluid connections to the air intake system; their arrangement of pipes, valves or the like the intake system acting as a vacuum or overpressure source for auxiliary devices, e.g. brake systems; Vacuum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4Intake manifol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에 관한 것으로, 흡기 매니폴드의 하우징 쉘 내부에 플래넘 챔버와 함께 진공 챔버가 분리 구획되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별도의 진공 탱크가 불필요하며 제작 및 조립 공정이 용이하고, 부품수가 감소하여 중량 및 제작 비용이 감소하며, 별도의 진공 탱크 배치를 위한 공간이 불필요하여 엔진 룸 내의 공간 활용의 측면에서 효율성이 증가하는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ake manifold for a vehicle, and the vacuum chamber is separated into a compartment together with the plenum chamber inside the housing shell of the intake manifold so that a separate vacuum tank is unnecessary, and the manufacturing and assembly process is easy, The reduced number of parts reduces weight and manufacturing costs, and eliminates the need for a separate vacuum tank layout, providing a vehicle intake manifold that increases efficiency in terms of space utilization within the engine room.

흡기 매니폴드, 진공 탱크, 진공 챔버, 체크 밸브 Intake Manifold, Vacuum Tank, Vacuum Chamber, Check Valve

Description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Intake Manifold for Vehicle with Vacuum Tank}Intake Manifold for Vehicle with Vacuum Tank

본 고안은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흡기 매니폴드의 하우징 쉘 내부에 플래넘 챔버와 함께 진공 챔버가 분리 구획되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별도의 진공 탱크가 불필요하며 제작 및 조립 공정이 용이하고, 부품수가 감소하여 중량 및 제작 비용이 감소하며, 별도의 진공 탱크 배치를 위한 공간이 불필요하여 엔진 룸 내의 공간 활용의 측면에서 효율성이 증가하는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ake manifold for a vehicle. More specifically, the vacuum chamber is divided into the compartment together with the plenum chamber inside the housing shell of the intake manifold so that a separate vacuum tank is unnecessary, and the manufacturing and assembly process is easy, and the number of parts is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weight and manufacturing. It relates to a vehicle intake manifold which reduces costs and increases efficiency in terms of space utilization in the engine room by eliminating the need for a separate vacuum tank arrangement.

고유가로 인한 에너지 효율과 관련하여 차량 연료 소비의 효율성을 증진시킴과 동시에 신속한 차량 반응을 동시에 이루기 위한 끊임없는 연구 및 생산이 진행되고 있다. 한편, 차량의 엔진에 장착되는 흡기 매니폴드는 엔진 내 연소에 소요되는 공기 등을 공급하는 구성요소인데, 근래 연비와 고출력이라는 요구 사항을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하여 가변 흡기 밸브 장치 또는 스월(swirl) 형성 밸브 장치를 구비하는 흡기 매니폴드에 대한 연구 및 생산도 이루어지고 있다.In relation to energy efficiency due to high oil prices, continuous research and production are being conduct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vehicle fuel consumption and at the same time to achieve rapid vehicle response. On the other hand, the intake manifold mounted on the engine of the vehicle is a component for supplying air for combustion in the engine, etc. In order to simultaneously satisfy the requirements of fuel economy and high power in recent years, a variable intake valve device or swirl forming valve Research and production of intake manifolds with devices have also been made.

흡기 매니폴드는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는 플래넘 챔버(plenum chamber)와 이 에 연통되는 러너(runner)가 형성되어 러너를 통해 엔진의 연소실로 흡기를 분배 공급하는데, 가변 흡기 밸브 장치는 하나의 흡기 매니폴드에 서로 다른 길이의 러너를 적용하여 차량 엔진의 상태에 따라 가변적으로 서로 다른 러너가 개방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즉, 가변 흡기 밸브 장치가 폐쇄 모드로 작동된 경우 상대적으로 러너의 길이가 길어져서 저중속 운전 상태에 적합하도록 조절되고, 가변 흡기 밸브 장치가 개방 모드로 작동된 경우 상대적으로 러너의 길이가 짧아져서 고속 운전 상태에 적합하도록 조절된다. 또한, 스월 형성 밸브 장치는 엔진의 연소 효율 향상을 위해 엔진의 연소실 내에서 혼합기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는 스월 현상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흡기 매니폴드의 흡기 포트 측에 장착되어 스월 현상을 발생시킨다.The intake manifold is formed with a plenum chamber into which air is introduced and a runner communicating with the intake manifold to distribute and supply intake air to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engine through the runner. By applying runners of different lengths to the manifold, the device allows the different runners to be opened variably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vehicle engine. That is, when the variable intake valve device is operated in the closed mode, the length of the runner is relatively long, so that it is adjusted to be suitable for low and medium speed driving conditions, and when the variable intake valve device is operated in the open mode, the length of the runner is relatively shortened, It is adjusted to suit high speed driving conditions. In addition, the swirl forming valve device is a device for generating a swirl phenomenon in which the mixer rotat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engine to improve the combustion efficiency of the engine, it is generally mounted on the intake port side of the intake manifold to generate a swirl phenomenon Let's do it.

이러한 가변 흡기 밸브 장치 및 스월 형성 밸브 장치는 ECU의 신호에 따라 별도의 액츄에이터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액츄에이터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일반적으로 진공압을 이용하고 있다. 즉, 흡기 매니폴드와 별도의 공간에 진공 탱크를 장착하고 이러한 진공 탱크 내에 형성되는 진공압이 액츄에이터에 전달되도록 하여 진공압을 통해 액츄에이터가 구동되는 방식으로 구성되고 있다.The variable intake valve device and the swirl forming valve device are configured to be driven by separate actuators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ECU. In general, vacuum pressure is used as a means for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to the actuator. That is, the vacuum tank is installed in a space separate from the intake manifold, and the vacuum pressure formed in the vacuum tank is transmitted to the actuator, thereby configuring the actuator through the vacuum pressure.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흡기 매니폴드는 이와 같이 별도의 진공 탱크를 제작하여 장착해야 하므로 제작 및 조립 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특히, 진공 탱크의 진공압을 형성하기 위해 별도의 연결 파이프를 통해 흡기 매니폴드와 연결하고 연결 파이프에 체크 밸브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등 추가적인 제작 및 조립 공정이 더욱 크게 요구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별도의 진공 탱크가 장착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므로, 엔진 룸 내의 공간 활용 측면에서 비효율적이고, 부품 수의 증가에 따라 중량 및 제작 비용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Therefore, the general intake manifold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to manufacture and mount a separate vacuum tank as described above, and thus, manufacturing and assembling work is not easy, and in particular, through the intake air through a separate connection pipe to form a vacuum pressure of the vacuum tank. Additional manufacturing and assembly processes, such as connecting to the manifold and installing check valves in the connecting pipes, were required. In addition, since a separate space for mounting a separate vacuum tank is required, it is inefficient in terms of space utilization in the engine room, and there is a problem such that weight and manufacturing cost increase as the number of parts increases.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흡기 매니폴드의 하우징 쉘 내부에 플래넘 챔버와 함께 진공 챔버가 분리 구획되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별도의 진공 탱크가 불필요하여 제작 및 조립 공정이 용이하고, 부품수가 감소하여 중량 및 제작 비용이 감소하며, 별도의 진공 탱크 배치를 위한 공간이 불필요하여 엔진 룸 내의 공간 활용의 측면에서 효율성이 증가하는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is problem, and the vacuum chamber is separated into the compartment together with the plenum chamber inside the housing shell of the intake manifold so that a separate vacuum tank is not necessary, so that the fabrication and assembly process is unnecessary. The objective is to provide an intake manifold for a vehicle which is easy, reduces the number of parts, reduces the weight and manufacturing cost, and increases the efficiency in terms of space utilization in the engine room by eliminating the space for a separate vacuum tank arrangement.

본 고안은, 흡기 유동 경로를 이루도록 내부에 플래넘 챔버와 러너가 형성되는 하우징 쉘을 포함하는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쉘의 내부에는 분리 격판이 형성되고 상기 분리 격판에 의해 상기 플래넘 챔버와 분리 구획되는 진공 챔버가 형성되며, 상기 분리 격판에는 상기 진공 챔버로부터 상기 플래넘 챔버 방향으로의 공기 유동을 허용하는 체크 밸브 유닛이 관통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intake manifold including a housing shell in which a plenum chamber and a runner are formed to form an intake flow path, wherein a separating diaphragm is formed inside the housing shell and the plenum is formed by the separating diaphragm. A vacuum chamber is formed which is separated from the chamber, and the separation diaphragm is provided with a check valve unit for allowing air flow from the vacuum chamber toward the plenum chamber.

이때, 상기 하우징 쉘의 진공 챔버 내부에는 분할판이 형성되어 상기 진공 챔버는 다수개로 분할 형성되며, 다수개로 분할된 진공 챔버는 각각 연결 파이프에 의해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a partition plate is formed inside the vacuum chamber of the housing shell, and the vacuum chamber is divided into a plurality, and the plurality of divided vacuum chambers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a connecting pipe.

또한, 상기 하우징 쉘에는 상기 진공 챔버의 진공압을 외부 장치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진공 챔버와 연통되는 연결 파이프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shell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pipe which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vacuum chamber to transfer the vacuum pressure of the vacuum chamber to the external device.

또한, 상기 체크 밸브 유닛은 상기 플래넘 챔버와 진공 챔버가 상호 연통되도록 상기 분리 격판에 관통 형성된 공기 유동홀; 및 상기 공기 유동홀을 폐쇄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플래넘 챔버에 형성된 부압에 의해 상기 공기 유동홀을 개방하도록 동작하는 개폐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heck valve unit may further include an air flow hole formed through the separation diaphragm so that the plenum chamber and the vacuum chamber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an opening / closing means mounted to close the air flow hole and operable to open the air flow hole by a negative pressure formed in the plenum chamber.

또한, 상기 개폐 수단은 상기 분리 격판에 길이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는 밸브 로드; 상기 플래넘 챔버 측에 위치하여 상기 공기 유동홀을 폐쇄할 수 있도록 상기 밸브 로드의 일단에 결합되는 헤드캡; 및 상기 헤드캡이 상기 분리 격판에 압착되어 상기 공기 유동홀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밸브 로드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may further include a valve rod coupled to the separation diaphragm so as to be linearly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head cap positioned at the plenum chamber side and coupled to one end of the valve rod to close the air flow hole; And an elastic member configured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valve ro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head cap is compressed to the separation diaphragm to close the air flow hole.

또한, 상기 개폐 수단은 상기 분리 격판에 관통 결합되어 위치 고정되는 밸브 로드; 및 상기 플래넘 챔버 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밸브 로드의 일단에 결합되는 탄성 재질의 헤드캡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캡은 탄성력에 의해 상기 분리 격판에 압착되어 상기 공기 유동홀을 폐쇄하고 상기 플래넘 챔버에 형성된 부압에 의해 상기 분리 격판으로부터 이격되게 탄성 변형하며 상기 공기 유동홀을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is a valve rod through which the position is fixed through the separation diaphragm; And a head cap made of an elastic material coupled to one end of the valve rod so as to be located at the plenum chamber side, wherein the head cap is compressed to the separating diaphragm by an elastic force to close the air flow hole and to close the plenum chamber. It may be configured to elastically deform from the separation diaphragm by the negative pressure formed in the opening and to open the air flow hole.

본 고안에 의하면, 흡기 매니폴드의 하우징 쉘 내부에 플래넘 챔버와 함께 진공 챔버가 분리 구획되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진공 탱크가 불필 요하여 제작 및 조립 공정이 용이하고, 부품수가 감소하여 중량 및 제작 비용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acuum chamber is separated into a compartment together with the plenum chamber inside the housing shell of the intake manifold, so that a separate vacuum tank is unnecessary, so that the fabrication and assembly process is easy and the number of parts is reduced. The weight and manufacturing cost are reduced.

또한, 별도의 진공 탱크 배치를 위한 공간이 불필요하여 엔진 룸 내의 공간 활용의 측면에서 효율성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차량 조립 공정 속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vacuum tank arrangement, thereby increasing efficiency in terms of space utilization in the engine room, thereby increasing the speed of the vehicle assembly process.

또한, 하우징 쉘 내부에 형성된 분리 격판을 이용하여 별도로 분리 구획된 진공 챔버를 형성함으로써, 진공 챔버로부터 플래넘 챔버로의 공기 유동을 허용하는 체크 밸브 유닛을 분리 격판에 단순한 구성으로 장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작 및 조립 공정이 더욱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a vacuum chamber separately separated by using a separating diaphragm formed inside the housing shell, a check valve unit allowing air flow from the vacuum chamber to the plenum chamber can be mounted in a simple diaphragm,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that the manufacturing and assembly process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또한, 별도의 진공 탱크를 장착하지 않아도 하우징 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된 진공 챔버의 진공압을 이용하여 별도의 외부 기기를 구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used to drive a separate external device using the vacuum pressure of the vacuum chamber integrally formed inside the housing shell even without a separate vacuum tank.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의 동작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a vehicle intake manifo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 매니폴드(10) 내에 플래넘 챔버(VP)와 이에 연통되는 러너(VPR,VCR)가 형성되며, 유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플래넘 챔버(VP)로부터 러너(VPR,VCR)를 통해 엔진의 연소실로 공급된다. 이때, 플래넘 챔버(VP)와 러너(VPR,VCR)가 연결되는 부위에는 엔진의 운전 상태에 따라 러너(VPR,VCR)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가변 밸브 유닛(300)이 장착될 수 있고, 흡기 매니폴드(10)의 흡기 포트(140a) 측에는 흡기의 스월 현상이 발생되도록 스월 밸브 유닛(400)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흡기 매니폴드(10)에는 별도의 진공 챔버(Ve)가 형성되고, 진공 챔버(Ve)로부터 플래넘 챔버(VP) 측으로 공기의 유동을 허용하는 체크 밸브 유닛(200)이 장착된다. 이때, 진공 챔버(Ve)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진공 챔버(Ve1,Ve2)로 분할 형성되어 연결 호스(500)에 의해 상호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a vehicle intake manifo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enum chamber VP and runners VPR and VCR communicating therewith in an intake manifold 10, and through an inlet. Inhaled air is supplied from the plenum chamber VP through the runners VPR and VCR to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engine. At this time, the variable valve unit 300 that can vary the length of the runner (VPR, VCR)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ng state of the engine may be mounted to the site where the plenum chamber (VP) and the runner (VPR, VCR) is connected. On the intake port 140a side of the intake manifold 10, a swirl valve unit 400 may be mounted to cause a swirl phenomenon of the intake air. In addition, a separate vacuum chamber Ve is formed in the intake manifold 10, and a check valve unit 200 that allows the flow of air from the vacuum chamber Ve to the plenum chamber VP is mounted.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 the vacuum chamber Ve may be divided into two vacuum chambers Ve1 and Ve2 and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the connection hose 500.

가변 밸브 유닛(300)과 스월 밸브 유닛(400)은 별도의 액츄에이터(700)를 통해 각각 구동될 수 있는데, 이러한 액츄에이터(700)는 차량의 ECU(80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는 솔레노이드 밸브(600)의 제어를 통해 동작된다. 이때, 액츄에이터(700)가 가변 밸브 유닛(300)과 스월 밸브 유닛(400)을 구동하도록 동작하기 위해서는 액츄에이터(700)에 전달되는 별도의 구동력이 필요한데, 이러한 구동력은 진공 챔버(Ve)로부터 전달되는 진공압을 통해 달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엔진이 가동되어 흡기 매니폴드(10) 내의 플래넘 챔버(VP)에 공기 유동으로 인한 부 압이 발생하면, 체크 밸브 유닛(200)을 통해 진공 챔버(Ve)에 진공압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진공압은 연결 호스(500)를 통해 액츄에이터(700)에 전달되며 액츄에이터(700)에 대한 구동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때, 연결 호스(500) 상에는 솔레노이드 밸브(600)가 장착되어 액츄에이터(700)에 진공압 전달 상태를 제어하게 되며, 이러한 제어를 통해 액츄에이터(700)가 동작하며 가변 밸브 유닛(300) 및 스월 밸브 유닛(400)을 구동하게 된다.The variable valve unit 300 and the swirl valve unit 400 may be driven through separate actuators 700, and the actuators 700 are solenoid valves 600 receiving signals from the ECU 800 of the vehicle. It is operated through the control of. In this case, in order to operate the actuator 700 to drive the variable valve unit 300 and the swirl valve unit 400, a separate driving force transmitted to the actuator 700 is required, and the driving force is transmitted from the vacuum chamber Ve. It can be configured to be achieved through vacuum pressure. That is, when the engine is operated to generate negative pressure due to air flow in the plenum chamber VP in the intake manifold 10, a vacuum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vacuum chamber Ve through the check valve unit 200. This vacuum pressure is transmitted to the actuator 700 through the connection hose 500 and acts as a driving force for the actuator 700. At this time, the solenoid valve 600 is mounted on the connection hose 500 to control the vacuum pressure transmission state to the actuator 700. Through this control, the actuator 700 operates to operate the variable valve unit 300 and the swirl valve. The unit 400 is driven.

이와 같이 동작하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기 매니폴드(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진공 챔버(Ve)가 흡기 매니폴드(10)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진공 챔버(Ve)에 의한 진공압은 가변 밸브 유닛(300) 및 스월 밸브 유닛(400) 이외에도 다른 외부 기기에 연결되어 별도의 구동력으로 작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intake manifold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ng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vacuum chamber Ve is integrally formed in the intake manifold 10 as described below. Such a vacuum chamber Ve Vacuum pressure may be connected to other external devices in addition to the variable valve unit 300 and swirl valve unit 400 may act as a separate driving force.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 쉘 및 체크 밸브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의 공기 유동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 밸브의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 밸브의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hape of a vehicle intake manifo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artial exploded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vehicle intake manifo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shape of a body shell and a check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ir flow of an intake manifold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a check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operating state of a check val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cross section.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10)는 하우징 쉘(100), 가변 밸브 유닛(300) 및 스월 밸브 유닛(400)을 구비하는데, 가변 밸브 유닛(300) 및 스월 밸브 유닛(400)은 하우징 쉘(100)에 배치되어 상태 변동을 이룸으로써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적절한 흡기 유량이나 효율을 조절하여 차량의 운전 성능 최적 제어를 이룰 수 있다.Vehicle intake manifold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shell 100, a variable valve unit 300 and a swirl valve unit 400, the variable valve unit 300 and swirl valve unit ( 400 may be disposed in the housing shell 100 to achieve a state change, thereby adjusting the intake air flow rate or efficiency according to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thereby achieving optimal control of the driving performance of the vehicle.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쉘(100)은 흡기 유동 경로를 이루는 플래넘 챔버(plenum chamber, VP)와 러너(runner,VPR 및 VCR)를 포함하는데, 에어크리너(미도시)를 통하여 여과된 공기는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 유입구(120a)를 통하여 유입된다. 흡기(intake)로서의 유입 공기는 플래넘 챔버(VP)와 러너(VPR 및/또는 VCR)을 거쳐 각각의 흡기 포트(intake port, 140a)를 통하여 각각의 엔진 실린더(미도시)로 유입된다.The housing shel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enum chamber (VP) and a runner (runner, VPR and VCR) forming an intake flow path, and is filtered through an air cleaner (not shown).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vehicle intake manifold inlet (120a). Intake air as intake enters each engine cylinder (not shown) through each intake port 140a via plenum chamber VP and runners VPR and / or VCR.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쉘(100)은 커버 쉘(110)과, 바디 쉘(120)과, 이너 쉘(130)과, 플랜지 쉘(140)을 포함한다. 바디 쉘(120)은 상기한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 유입구(120a)를 구비하는데, 플랜지 쉘(140)은 바디 쉘(120)과 함께 플래넘 챔버(VP)를 형성한다. 즉, 플랜지 쉘(140)은 바디 쉘(120)과 고주파 진동 융착(high frequency vibration welding)에 의한 융착 공정을 통하여 결합되며 내부 공간에 분리 구획되는 플레넘 챔버(VP)를 형성한다. 이너 쉘(130)은 바디 쉘(120)과 플랜지 쉘(140) 사이에 배치되고, 커버 쉘(110)은 바디 쉘(120)의 외측에 배치되어 바디 쉘(120)을 사이에 두고 이너 쉘(130)과 마주하여 배치된다. 플랜지 쉘(140)은 이너 쉘(130)과 하기되는 플랜지 러너(VPR)를 형성하고, 바디 쉘(120)과 함께 상기한 바와 같이 플래넘 챔버(VP)를 형성하는데, 플랜지 쉘(140)은 이너 쉘(130)을 사이에 두고 바디 쉘(120)과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커버 쉘(110)은 바디 쉘(120)과 함께 하기되는 커버 러너(VCR)를 형성하고 바디 쉘(120)을 사이에 두고 이너 쉘(130)/플랜지 쉘(140)과 마주하도록 배치된다.The housing shel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ver shell 110, a body shell 120, an inner shell 130, and a flange shell 140. The body shell 120 includes the vehicle intake manifold inlet 120a described above, wherein the flange shell 140 forms a plenum chamber VP together with the body shell 120. That is, the flange shell 140 is coupled to the body shell 120 through a fusion process by high frequency vibration welding and forms a plenum chamber VP separated in an internal space. The inner shell 130 is disposed between the body shell 120 and the flange shell 140, and the cover shell 110 is disposed outside the body shell 120 to sandwich the inner shell 120 with the inner shell 120 interposed therebetween. 130). The flange shell 140 forms a flange runner (VPR) to be described below with the inner shell 130 and forms a plenum chamber (VP) as described above together with the body shell 120, the flange shell 140 being The inner shell 130 is disposed to face the body shell 120. The cover shell 110 forms a cover runner (VCR) to be described together with the body shell 120 and is disposed to face the inner shell 130 / flange shell 140 with the body shell 120 interposed therebetween.

커버 쉘(110), 바디 쉘(120), 이너 쉘(130) 및 플랜지 쉘(140)은 고주파 진동 융착에 의하여 결합되어 상기한 플래넘 챔버 및 러너를 형성한다. 러너(VPR,VCR)는 플랜지 러너(VPR)와 커버 러너(VCR)를 포함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플랜지 러너(VPR)는 플랜지 쉘(140)과 이너 쉘(130)에 의하여 형성되고 커버 러너(VCR)는 바디 쉘(120)과 커버 쉘(110)에 의하여 형성된다.The cover shell 110, the body shell 120, the inner shell 130 and the flange shell 140 are combined by high frequency vibration welding to form the plenum chamber and runner described above. The runners VPR and VCR include a flange runner VPR and a cover runner VCR. As described above, the flange runner VPR is formed by the flange shell 140 and the inner shell 130 and the cover runner (VPR). The VCR is formed by the body shell 120 and the cover shell 110.

이너 쉘(130)에는 이너 쉘 플랜지 러너 유입구(131)가 구비되고, 플랜지 러너(VPR)는 플랜지 쉘(140)의 플랜지 쉘 러너(143)와 이너 쉘(130)의 이너 쉘 러너(133)에 의하여 구획되는데, 이너 쉘 플랜지 러너 유입구(131)는 플랜지 러너(VPR)의 초입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플랜지 러너(VPR)의 일단은 이너 쉘 러너 유입구(131)를 통하여 플래넘 챔버(VP)와 소통을 이루고 플랜지 러너(VPR)의 타단은 커버 러너(VCR)와 소통을 이룬다. 플랜지 쉘 러너(143)의 단부는 이너 쉘(130)에 형성된 이너 쉘 플랜지 러너 유출구(135)와 연결되는데, 이너 쉘 플랜지 러너 유출구(135)와 커버 러너(VCR) 사이에는 바디 쉘 커버 러너 연결구(128)가 배치된다. 즉, 이너 쉘 플랜지 러너 유출구(135)의 타단과 커버 러너(VCR)의 커버 러너 유입구(111)는 바디 쉘 커버 러너 연결구(128)를 형성하는 각각의 단부와 연결된다.The inner shell 130 is provided with an inner shell flange runner inlet 131, and the flange runner VPR is connected to the flange shell runner 143 of the flange shell 140 and the inner shell runner 133 of the inner shell 130. Inner shell flange runner inlet 131 may define the entry region of the flange runner (VPR). One end of the flange runner VPR communicates with the plenum chamber VP through the inner shell runner inlet 131, and the other end of the flange runner VPR communicates with the cover runner VCR. An end of the flange shell runner 143 is connected to the inner shell flange runner outlet 135 formed in the inner shell 130, and between the inner shell flange runner outlet 135 and the cover runner VCR, a body shell cover runner connector ( 128 is disposed. That is, the other end of the inner shell flange runner outlet 135 and the cover runner inlet 111 of the cover runner VCR are connected to each end forming the body shell cover runner connector 128.

커버 러너(VCR)는 바디 쉘(120)의 바디 쉘 커버 러너(129)와 커버 쉘(110)의 커버 쉘 커버 러너(113)에 의하여 구획되고, 커버 쉘 커버 러너(113)의 단부(115)는 바디 쉘(120)의 바디 쉘 커버 러너 네크(129a)의 일측과 연결되고, 바디 쉘 커버 러너 네크(129a)의 단부는 플랜지 쉘(140)에 형성된 흡기 포트(140a)와 연결된다.The cover runner VCR is partitioned by the body shell cover runner 129 of the body shell 120 and the cover shell cover runner 113 of the cover shell 110, and the end 115 of the cover shell cover runner 113.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ody shell cover runner neck 129a of the body shell 120, and an end of the body shell cover runner neck 129a is connected to an intake port 140a formed in the flange shell 140.

따라서, 에어크리너(미도시)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는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 유입구(120a)를 통하여 플래넘 챔버(VP)로 전달된다. 하기되는 가변 밸브 유니트가 폐쇄된 상태를 형성하는 경우, 플래넘 챔버(VP)의 내부 형상 설계에 의하여 유입된 공기가 균등하게 이너 쉘 플랜지 러너 유입구(131)를 거쳐 플랜지 러너(VPR)로 전달되고, 플랜지 러너(VPR)를 따라 관류하는 공기는 이너 쉘 플랜지 러너 유출구(135) 및 커버 러너 유입구(111)를 통하여 커버 러너(VCR)로 유동한다. 커버 러너(VCR)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바디 쉘 커버 러너 네크(129a) 및 흡기 포트(140a)를 통하여 각각의 실린더(미도시)로 유입된다.Therefore,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cleaner (not shown) is delivered to the plenum chamber VP through the intake manifold inlet 120a for the vehicle. When the variable valve unit described below forms a closed state, the air introduced by the inner shape design of the plenum chamber VP is evenly transmitted to the flange runner VPR through the inner shell flange runner inlet 131. The air flowing through the flange runner VPR flows to the cover runner VCR through the inner shell flange runner outlet 135 and the cover runner inlet 111. Air flowing along the cover runner VCR is introduced into each cylinder (not shown) through the body shell cover runner neck 129a and the intake port 140a.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10)는 가변 밸브 유닛(300)을 구비할 수 있다. 가변 밸브 유닛(300)은 하우징 쉘(100)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가변 밸브 플랩(310)을 구비하여 플래넘 챔버(VP) 및 러너(VPR,VCR)에 의하여 형성되는 흡기 유동 경로를 가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본 고안에 따른 가변 밸브 유닛(300)의 가변 밸브 플랩(310)이 개폐시키고자 하는 가변 밸브 공기 유동구(123)는 하우징 쉘(100), 보다 구체적으로 바디 쉘(120)에 직접 형성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밸브 공기 유동구(123)는 바디 쉘(120) 의 플래넘 챔버(VP)의 하류에 배치되는데, 가변 밸브 공기 유동구(123)를 사이에 두고 플래넘 챔버(VP)와 커버 러너(VCR)가 대응하여 배치됨으로써 가변 밸브 공기 유동구(123)가 개방되는 경우 플래넘 챔버(VP)는 커버 러너(VCR)와 직접적인 유체 소통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가변 밸브 유닛(300)은 상기한 다수개의 가변 밸브 플랩(310)과, 다수개의 가변 밸브 플랩(310)에 관통 결합되는 가변 밸브 샤프트(3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가변 밸브 샤프트(320)는 바디 쉘(1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가변 밸브 샤프트(320)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가변 밸브 플랩(310)이 일체로 회전하며 가변 밸브 공기 유동구(123)를 개폐하게 된다. 이때, 가변 밸브 샤프트(3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진공 챔버(Ve)의 진공압에 의해 동작하는 별도의 액츄에이터(700)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ehicle intake manifold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variable valve unit (300). The variable valve unit 300 is disposed in the housing shell 10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variable valve flaps 310 to vary the intake flow path formed by the plenum chamber VP and the runners VPR, VCR. To this end, the variable valve air flow port 123 which the variable valve flap 310 of the variable valve uni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open and clos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housing shell 100, more specifically, the body shell 120. Is formed. 3 and 4, the variable valve air inlet 123 is disposed downstream of the plenum chamber VP of the body shell 120, with the variable valve air inlet 123 interposed therebetween. When the variable valve air flow port 123 is opened by the corresponding arrangement of the VP and the cover runner VCR, the plenum chamber VP may be in direct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cover runner VCR. The variable valve unit 300 includes a plurality of variable valve flaps 310 and a variable valve shaft 320 penetrating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variable valve flaps 310, the variable valve shaft 320 Is rotatably mounted to the body shell 120. Therefore, by rotating the variable valve shaft 320, the variable valve flap 310 is integrally rotated to open and close the variable valve air flow port 123. In this case, the variable valve shaft 320 may be configured to be driven by a separate actuator 700 operated by the vacuum pressure of the vacuum chamber Ve as described above.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10)는 스월 밸브 유닛(400)을 구비할 수 있다. 스월 밸브 유닛(400)은 플랜지 쉘(140)의 흡기 포트(140a)에 장착되어 각각의 실린더로 유입되는 공기에 스월 현상이 발생되도록 구성된다. 즉, 플랜지 쉘(140)의 흡기 포트(140a)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로 분리 형성되는데, 이중 하나의 흡기 포트(140a)에 스월 밸브 유닛(400)이 장착되고 이러한 스월 밸브 유닛(400)이 흡기 포트(140a)를 개폐하는 동작에 따라 실린더로 유입되는 공기의 스월 현상이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스월 밸브 유닛(400)은 다수개의 흡기 포트(140a)에 각각 장착되는 다수개의 스월 밸브 플랩(410)과, 다수개의 스월 밸브 플랩(410)에 관통 결합되는 스월 밸브 샤프트(4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스월 밸브 샤프트(420)는 플랜지 쉘(14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스월 밸브 샤프트(420)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스월 밸브 플랩(410)이 일체로 회전하며 흡기 포트(140a)를 개폐하게 된다. 이때, 스월 밸브 샤프트(4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변 밸브 샤프트(320)와 마찬가지로 진공 챔버(Ve)의 진공압에 의해 동작하는 별도의 액츄에이터(700)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intake manifold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wirl valve unit 400. The swirl valve unit 400 is mounted to the intake port 140a of the flange shell 140 and configured to generate a swirl phenomenon in the air flowing into each cylinder. That is, the intake port 140a of the flange shell 140 is divided into two, as shown in FIGS. 2 and 3, wherein one of the intake ports 140a is equipped with a swirl valve unit 400 and the swir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opening and closing the intake port 140a of the valve unit 400, the swirl phenomenon of the air flowing into the cylinder is controlled. The swirl valve unit 400 includes a plurality of swirl valve flaps 410 respectively mounted to the plurality of intake ports 140a, and a swirl valve shaft 420 penetrating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swirl valve flaps 410. The swirl valve shaft 420 is rotatably mounted to the flange shell 140. Therefore, by rotating the swirl valve shaft 420, the swirl valve flap 410 rotates integrally to open and close the intake port 140a. In this case, the swirl valve shaft 420 may be configured to be driven by a separate actuator 700 operated by the vacuum pressure of the vacuum chamber Ve, similar to the variable valve shaft 320 as described abov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10)는 하우징 쉘(100)의 내부에 분리 격판(121)이 형성되고, 이러한 분리 격판(121)에 의해 플래넘 챔버(VP)와 분리 구획되는 진공 챔버(Ve)가 형성된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하우징 쉘(100),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디 쉘(120)에 분리 격판(121)이 형성되고, 이러한 바디 쉘(120)에 플랜지 쉘(140)이 결합됨에 따라 하우징 쉘(100)의 내부 공간에는 분리 격판(121)을 기준으로 양측에 플래넘 챔버(VP)와 진공 챔버(Ve)가 형성된다. 즉, 분리 격판(121)을 기준으로 일측 공간에는 전술한 흡기 유동 경로를 형성하도록 플래넘 챔버(VP)가 형성되고, 분리 격판(121)을 기준으로 타측 공간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격판(121)과 바디 쉘 커버 러너 네크(129a) 사이 공간에 플래넘 챔버(VP)와 분리 구획된 진공 챔버(Ve)가 형성된다. 이때, 분리 격판(121)에는 진공 챔버(Ve)로부터 플래넘 챔버(VP) 방향으로만 공기 유동을 허용하는 체크 밸브 유닛(200)이 관통 장착되며, 이에 따라 플래넘 챔버(VP)에 부압이 발생하면 체크 밸브 유닛(200)이 개방되어 진공 챔버(Ve)로부터 플래넘 챔버(VP) 측으로 공기 유동이 발생하게 되고, 플래넘 챔버(VP)에 부압 발생이 해제되거나 양압이 발생하면 체크 밸브 유닛(200)이 폐쇄되어 진공 챔버(Ve)와 플래넘 챔버(VP) 간에 상호 공기 유동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The intake manifold 10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separating diaphragm 121 formed inside the housing shell 100, and the plenum chamber VP is formed by the separating diaphragm 121. And a vacuum chamber Ve which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is formed. Looking in more detail, the separation shell 121 is formed in the housing shell 100, more specifically, the body shell 120, the flange shell 140 is coupled to the body shell 120, the housing shell 100 In the inner space of the plenum chamber VP and the vacuum chamber Ve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paration diaphragm 121. That is, the plenum chamber VP is formed in one space based on the separating diaphragm 121 to form the intake flow path described above, and the other space based on the separating diaphragm 121 is illustrated in FIGS. 3 and 4. As described above, the plenum chamber VP and the vacuum chamber Ve separated from each other are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separating diaphragm 121 and the body shell cover runner neck 129a. At this time, the separator diaphragm 121 is equipped with a check valve unit 200 that allows air flow only from the vacuum chamber Ve to the plenum chamber VP, and thus negative pressure is applied to the plenum chamber VP. When the check valve unit 200 is opened, air flow is generated from the vacuum chamber Ve to the plenum chamber VP, and when the negative pressure is released or the positive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plenum chamber VP, the check valve unit is generated. The 200 is closed such that mutual air flow does not occur between the vacuum chamber Ve and the plenum chamber VP.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는, 엔진 가동시에 흡기 공기 유동에 따라 플래넘 챔버(VP) 내에 부압이 발생되면, 체크 밸브 유닛(200)를 통해 진공 챔버(Ve)로부터 플래넘 챔버(VP)로 공기가 유동하여 진공 챔버(Ve) 내에 진공압이 형성되며, 이러한 진공압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액츄에이터(700)에 대한 구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밸브 유닛(300) 및 스월 밸브 유닛(400)을 개폐시키는 별도의 액츄에이터(700)가 각각 연결 호스(500)를 통해 진공 챔버(Ve)에 연결될 수 있고, 진공 챔버(Ve)에 의해 형성되는 진공압이 연결 호스(500)를 통해 액츄에이터(700)로 전달되며, 액츄에이터(700)는 이러한 진공압에 의해 구동되며 가변 밸브 유닛(300) 및 스월 밸브 유닛(400)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 호스(500)에는 ECU(800)의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별도의 솔레노이드 밸브(600)가 장착되어 연결 호스(500)의 유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600)가 ECU(800)의 신호에 따라 개방되면 액츄에이터(700)로 진공압이 전달되어 가변 밸브 유닛(300) 및 스월 밸브 유닛(400)이 개방되고, 솔레노이드 밸브(600)가 ECU(800)의 신호에 따라 폐쇄되면 액츄에이터(700)로 진공압이 전달되지 않아 가변 밸브 유닛(300) 및 스월 밸브 유닛(400)이 폐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는 이러한 구성 이외에도 진공 챔버(Ve)에 의한 진공압이 다른 외부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는 구동력으로 작용하도록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in the vehicle intake manifo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plenum chamber VP in accordance with the intake air flow when the engine is operated, the vacuum chamber Ve is provided through the check valve unit 200. Air flows from the plenum chamber VP to a vacuum pressure in the vacuum chamber Ve, and the vacuum pressure may act as a driving force for the separate actuator 700 as described above. That is, as shown in FIG. 1, a separate actuator 70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variable valve unit 300 and the swirl valve unit 400 may be connected to the vacuum chamber Ve through the connection hose 500, respectively. The vacuum pressure formed by the vacuum chamber Ve is transmitted to the actuator 700 through the connection hose 500, and the actuator 700 is driven by the vacuum pressure, and the variable valve unit 300 and the swirl valve unit ( 400 may be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At this time, the connection hose 500 is equipped with a separate solenoid valve 600 that operates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of the ECU 800 may be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flow path of the connection hose 500, accordingly the solenoid valve 600 Is opened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ECU 800, the vacuum pressure is transmitted to the actuator 700 to open the variable valve unit 300 and swirl valve unit 400, the solenoid valve 600 is a signal of the ECU 800 In accordance with this, the vacuum pressure is not transmitted to the actuator 700 so that the variable valve unit 300 and the swirl valve unit 400 may be configured to be closed. In addition, the intake manifold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such that the vacuum pressure by the vacuum chamber Ve acts as a driving force for operating other external devices.

도 5a 및 도 5b에는 이러한 진공 챔버(Ve)가 형성되는 흡기 매니폴드(10)의 내부 구조가 개략적으로 도시되는바, 분리 격판(121)에 의해 플래넘 챔버(VP)와 분리 구획되는 진공 챔버(Ve)의 공간 및 공기의 유동 경로가 도시된다. 도 5a는 가변 밸브 유닛(300)과 스월 밸브 유닛(400)이 폐쇄된 상태로, 엔진의 흡기 행정시 공기의 유동은 플래넘 챔버(VP)로부터 플랜지 러너(VPR) 및 커버 러너(VCR)를 거쳐 흡기 포트(140a)를 통과하도록 발생하며 실린더로 유입시 스월 현상이 발생되도록 형성된다. 도 5b는 가변 밸브 유닛(300)과 스월 밸브 유닛(400)이 개방된 상태로, 공기의 유동은 플래넘 챔버(VP)로부터 가변 밸브 공기 유동구(123)를 통해 커버 러너(VCR)를 통과하도록 발생되며 흡기 포트(140a)를 통과할 때 스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때, 분리 격판(121)의 체크 밸브 유닛(200)은 도 5a 상태와 마찬가지로 플래넘 챔버(VP)의 부압에 의해 개방된 상태가 되어 진공 챔버(Ve)에 진공압이 형성된다. 이러한 가변 밸브 유닛(300)과 스월 밸브 유닛(400) 각각의 개폐 상태는 엔진의 주행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조합할 수 있는데, 이러한 다양한 개폐 상태의 조합은 엔진의 가동시 진공 챔버(Ve)에 진공압이 발생 유지되는 상태에서 각 밸브 유닛(300,400)의 액츄에이터(700)에 연결된 솔레노이드 밸브(600)의 제어를 통해 전술한 동작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5A and 5B schematically show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intake manifold 10 in which such a vacuum chamber Ve is formed, which is separated from the plenum chamber VP by a separating plate 121. The space of Ve and the flow path of air are shown. 5A shows that the variable valve unit 300 and the swirl valve unit 400 are closed, and the flow of air during the intake stroke of the engine is carried out from the plenum chamber VP to the flange runner VPR and the cover runner VCR. It is generated so as to pass through the intake port (140a) and is formed so that a swirl phenomenon occurs when entering the cylinder. 5B shows that the variable valve unit 300 and the swirl valve unit 400 are open, such that the flow of air passes from the plenum chamber VP through the variable valve air inlet 123 through the cover runner VCR. Is generated and is formed so that a swirl phenomenon does not occur when passing through the intake port 140a. At this time, the check valve unit 200 of the separating diaphragm 121 is opened by the negative pressure of the plenum chamber VP as in FIG. 5A, and a vacuum pressure is formed in the vacuum chamber Ve.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s of each of the variable valve unit 300 and the swirl valve unit 400 may be variously combined according to the driving state of the engine, and the combination of the various opening and closing states may be set in the vacuum chamber Ve when the engine is running. In the state where the pneumatic pressure is generated and maintained, it may be achieved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through the control of the solenoid valve 600 connected to the actuators 700 of the respective valve units 300 and 400.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챔버(Ve)는 진공압이 별도의 외부 장치에 전달될 수 있도록 연결 호스(500)가 진공 챔버(Ve)에 연통되게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진공 챔버(Ve)를 형성하는 하우징 쉘(100)에는 연결 호스(500)가 삽입 결합될 수 있는 연결 포트(124,14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 결 포트(124,144)는 진공 챔버(Ve)를 형성하는 바디 쉘(120) 또는 플랜지 쉘(140)에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 포트(124,144)의 위치는 전체적인 배치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As such, the vacuum chamber 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such a vacuum because the connection hose 500 may be coupled to communicate with the vacuum chamber Ve so that the vacuum pressure may be transmitted to a separate external device. In the housing shell 100 forming the chamber Ve, connection ports 124 and 144 to which the connection hose 500 may be inserted may be formed. The connection ports 124 and 144 may be formed in the body shell 120 or the flange shell 140 forming the vacuum chamber Ve, and the positions of the connection ports 124 and 144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overall arrangement. Do.

한편, 진공 챔버(Ve)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로 분할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필요에 따라 2개 이상 다수개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진공 챔버(Ve)가 분할 형성되는 방식은 바디 쉘(120)의 진공 챔버(Ve) 공간에 분할판(125)이 형성되고 이러한 분할판(125)에 따라 진공 챔버(Ve)가 분할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바디 쉘(120)에 결합되는 플랜지 쉘(140)은 이러한 분할판(125)에 따라 진공 챔버(Ve)가 분할될 수 있도록 이에 상응하게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진공 챔버(Ve)가 다수개로 분할 형성되는 경우 분할된 진공 챔버(Ve1,Ve2) 각각에 체크 밸브 유닛(200)이 장착되어 각각 별도의 진공압이 발생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된 진공 챔버(Ve1,Ve2) 중에 하나의 진공 챔버(Ve1)에만 체크 밸브 유닛(200)이 장착되고, 분할된 진공 챔버(Ve1,Ve2) 각각은 별도의 연결 호스(500)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동일한 진공압이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호스(500)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분할된 진공 챔버(Ve1,Ve2)에 각각 연통되는 연결 포트(144)가 플랜지 쉘(140)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vacuum chamber Ve may be divided into two as shown in FIGS. 3 and 4, which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as necessary. The vacuum chamber Ve is dividedly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a divider 125 is formed in a space of the vacuum chamber Ve of the body shell 120, and the vacuum chamber Ve is divided according to the divider 125. Can be formed. In this case, the flange shell 140 coupled to the body shell 120 should be correspondingly formed so that the vacuum chamber Ve may be divided according to the partition plate 125. As such, when the vacuum chamber V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the check valve units 200 may be mounted on the divided vacuum chambers Ve1 and Ve2, respectively, so that separate vacuum pressures may be generated. As shown in FIG. 1, the check valve unit 200 is mounted only in one of the divided vacuum chambers Ve1 and Ve2, and each of the divided vacuum chambers Ve1 and Ve2 has a separate connection hose ( It may be configured in a form that is connected to each other by 500) one equal vacuum pressure is formed.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 a connection port 144 communicating with the divided vacuum chambers Ve1 and Ve2 may be formed in the flange shell 140 so that the connection hose 500 may be inserted and coupled thereto. will b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는 하우징 쉘(100)의 내부에 진공 챔버(Ve)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진공 챔 버(Ve)를 별도로 장착하지 않아도 되며 이에 따라 구성 부품수가 감소하고 조립이 용이하며 중량 및 제작 비용이 감소된다.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intake manifold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separately install the vacuum chamber Ve because the vacuum chamber Ve is integrally formed inside the housing shell 100. This reduces component count, eases assembly, and reduces weight and manufacturing costs.

다음으로, 분리 격판(121)에 관통 장착되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 밸브 유닛(200)의 구성 및 동작 상태를 자세히 살펴보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 밸브 유닛(200)은, 플래넘 챔버(VP)와 진공 챔버(Ve)가 상호 연통되도록 분리 격판(121)에 관통 형성된 공기 유동홀(240)과, 공기 유동홀(240)을 폐쇄하도록 장착되어 플래넘 챔버(VP)에 형성된 부압에 의해 공기 유동홀(240)을 개방하도록 동작하는 개폐 수단(2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플래넘 챔버(VP)에 부압이 형성되면 개폐 수단(210)이 공기 유동홀(240)을 개방하여 진공 챔버(Ve)로부터 플래넘 챔버(VP)로 공기가 유동되도록 하고, 플래넘 챔버(VP)에 부압이 해제되면 개폐 수단(210)이 공기 유동홀(240)을 다시 폐쇄하여 공기 유동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Next,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state of the check valve uni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mounted through the separation plate 121 in detail, as shown in Figure 6 and 7 check valve unit 200 ) Is mounted to close the air flow hole 240 and the air flow hole 240 formed through the separation plate 121 so that the plenum chamber VP and the vacuum chamber V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an opening / closing means 210 operable to open the air flow hole 240 by the negative pressure formed in VP). That is, when a negative pressure is formed in the plenum chamber VP,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210 opens the air flow hole 240 so that air flows from the vacuum chamber Ve to the plenum chamber VP, and the plenum chamber When the negative pressure is released to the VP,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210 is configured to close the air flow hole 240 again to block the air flow.

이러한 개폐 수단(210)은 공기 유동홀(240)을 개폐하도록 분리 격판(121)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하는 힌지 플랩(미도시)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링크 장치 또는 압력 센서 등을 이용하여 공기 유동홀(240)을 개폐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수단(2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로드(212), 헤드 캡(211) 및 탄성 부재(2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밸브 로드(212)는 분리 격판(121)에 관통 형성된 결합홀(230)에 삽입되어 길이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러한 밸브 로드(212)의 플래넘 챔버(VP) 측 일단에 공기 유동홀(240)을 폐쇄할 수 있도록 헤드 캡(211)이 결합된다. 이때, 헤드 캡(211)은 플래넘 챔버(VP) 측에 위치하도록 결합되어 분리 격판(121)의 플래넘 챔버(VP) 측의 일면에 압착되며 공기 유동홀(240)을 폐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탄성 부재(214)는 이러한 헤드 캡(211)이 분리 격판(121)에 압착되며 공기 유동홀(240)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밸브 로드(212)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탄성 부재(214)는 밸브 로드(212)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판스프링(미도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로드(212)에 삽입되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 부재(214)가 밸브 로드(212)에 삽입되는 코일 스프링으로 적용되는 경우, 밸브 로드(212)의 끝단에는 이러한 탄성 부재(214)가 고정될 수 있도록 스토퍼(213)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210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hinge flap (not shown) that is hinged to the separating plate 121 to rotate to open and close the air flow hole 240, a separate link device or a pressure sensor, etc. It may be configured in such a way to open and close the air flow hole 240,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alve rod 212, the head cap 211 as shown in FIG. And an elastic member 214. The valve rod 212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230 penetrating through the separating plate 121 to be linearly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ir flows at one end of the valve rod 212 at the plenum chamber VP side. The head cap 211 is coupled to close the hole 240. At this time, the head cap 211 is coupled to be located on the plenum chamber (VP) side is pressed to one surface of the plenum chamber (VP) side of the separation plate 121 and formed to close the air flow hole 240 do. The elastic member 214 is configured such that the head cap 211 is pressed against the separating diaphragm 121 and exerts an elastic force on the valve rod 212 in the direction of closing the air flow hole 240. The elastic member 214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leaf spring (not shown)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alve rod 212, the valve rod 212 as shown in Figure 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oil spring inserted in. When the elastic member 214 is applied as a coil spring inserted into the valve rod 212 as described above, the stopper 213 is mounted at the end of the valve rod 212 so that the elastic member 214 can be fixed. Would be preferred.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 밸브 유닛(200)은 도 6의 (a) 상태에서와 같이 플래넘 챔버(VP)에 부압이 발생되지 않으면, 탄성 부재(214)의 탄성력에 의해 밸브 로드(212)가 진공 챔버(Ve) 측으로 탄성 편의되며 헤드 캡(211)이 분리 격판(121)의 공기 유동홀(240)을 폐쇄하게 된다. 반면, 도 6의 (b) 상태에서와 같이 플래넘 챔버(VP)에 부압이 발생하게 되면, 이러한 부압에 의해 밸브 로드(212) 및 헤드 캡(211)이 플래넘 챔버(VP) 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공기 유동홀(240)이 개방된다. 따라서, 진공 챔버(Ve)의 공기가 공기 유동홀(240)을 통해 플래넘 챔버(VP)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진공 챔버(Ve)에는 진공압이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플래넘 챔버(VP)에 부압이 해제되면, 밸브 로드(212) 및 헤드 캡(211)은 탄성 부재(214)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 다시 공기 유동 홀(240)을 폐쇄하는 도 6의 (a)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check valve unit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generate negative pressure in the plenum chamber VP as shown in FIG. 6 (a),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14 is used. As a result, the valve rod 212 is elastically biased toward the vacuum chamber Ve, and the head cap 211 closes the air flow hole 240 of the separation diaphragm 121. On the other hand, when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plenum chamber VP as shown in FIG. 6B, the valve rod 212 and the head cap 211 are moved toward the plenum chamber VP by the negative pressure. The air flow hole 240 is opened to move. Therefore, the air in the vacuum chamber Ve moves to the plenum chamber VP through the air flow hole 240, whereby a vacuum pressure is formed in the vacuum chamber Ve. When the negative pressure is released to the plenum chamber VP in this state, the valve rod 212 and the head cap 211 close the air flow hole 240 again by the elastic return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14. It returns to the state (a) of.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 밸브 유닛(200)의 개폐 수단(2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 없이 밸브 로드(212)와 헤드 캡(211)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폐 수단(210)에 대해 도 6에 도시된 구성과 비교하여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밸브 로드(212)의 플래넘 챔버(VP) 측 일단에 헤드 캡(211)이 결합되고, 이러한 헤드 캡(211)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분리 격판(121)에 압착되며 공기 유동홀(240)을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즉, 헤드 캡(211)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래넘 챔버(VP)에 부압이 발생되지 않으면, 자체 탄성력에 의해 공기 유동홀(240)을 폐쇄하고,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래넘 챔버(VP)에 부압이 발생되면, 이러한 부압에 의해 분리 격판(121)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탄성 변형하며 공기 유동홀(240)을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이 상태에서 플래넘 챔버(VP)의 부압이 해제되면, 헤드 캡(211)은 다시 탄성 복귀하며 분리 격판(121)에 압착되어 공기 유동홀(240)을 폐쇄하게 된다. 이때, 분리 격판(121)의 결합홀(230)에 삽입 결합되는 밸브 로드(212)는 이동 불가능하게 위치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밸브 로드(212)가 결합홀(230)에 억지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서로 대응하는 결합 돌기(미도시) 및 결합홈 등을 통해 맞물림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밸브 로드(212)의 끝단부에는 분리 격판(121)과의 결합 고정력 강화를 위한 스토퍼(213)가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210 of the check valve unit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a valve rod 212 and the head cap 211 without an elastic member as shown in FIG. have. Referring to other parts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210 compared to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6, the head cap 211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plenum chamber VP side of the valve rod 212. The head cap 211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nd compressed to the separating plate 121 and configured to close the air flow hole 240. That is, when no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plenum chamber VP as shown in FIG. 7A, the head cap 211 closes the air flow hole 240 by its own elastic force, and When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plenum chamber VP as shown in b), the negative pressure is elastically deformed to be separated from the separating diaphragm 121 and is configured to open the air flow hole 240. When the negative pressure of the plenum chamber VP is released in this state, the head cap 211 is elastically returned again and is compressed to the separating diaphragm 121 to close the air flow hole 24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valve rod 212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230 of the separating plate 121 is coupled so as to be fixed in a non-movable position. To this end, the valve rod 212 may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230 in a fitting manner, or may be coupled to be engaged through separate coupling protrusions and coupling groov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stopper 213 may be coupled to the end of the valve rod 212 to strengthen the coupling fixing force with the separating diaphragm 121.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흡기 매니폴 드(10)는 분리 격판(121)에 의해 진공 챔버(Ve)가 하우징 쉘(100)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체크 밸브 유닛(200)을 분리 격판(121)에 관통 장착되도록 단순한 구성으로 제작할 수 있어 제작 공정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구조이다.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intake manifold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heck valve because the vacuum chamber Ve is integrally formed inside the housing shell 100 by the separating diaphragm 121. Since the unit 200 may be manufactured in a simple configuration so as to penetrate the separation plate 121, the manufacturing process may be easily performed.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above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의 동작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vehicle intake manifo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hape of a vehicle intake manifo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3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vehicle intake manifo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 쉘 및 체크 밸브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hape of a body shell and a check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의 공기 유동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ir flow of the intake manifold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 밸브의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check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 밸브의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check val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하우징 쉘 120: 바디 쉘100: housing shell 120: body shell

121: 분리 격판 200: 체크 밸브121: separation plate 200: check valve

210: 개폐 수단 240: 공기 유동홀210: opening and closing means 240: air flow hole

Claims (6)

흡기 유동 경로를 이루도록 내부에 플래넘 챔버와 러너가 형성되는 하우징 쉘을 포함하는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에 있어서,A vehicle intake manifold comprising a housing shell having a plenum chamber and a runner formed therein to form an intake flow path, 상기 하우징 쉘의 내부에는 분리 격판이 형성되고 상기 분리 격판에 의해 상기 플래넘 챔버와 분리 구획되는 진공 챔버가 형성되며, 상기 분리 격판에는 상기 진공 챔버로부터 상기 플래넘 챔버 방향으로의 공기 유동을 허용하는 체크 밸브 유닛이 관통 장착되고, A separating diaphragm is formed inside the housing shell and a vacuum chamber is formed to be separated from the plenum chamber by the separating diaphragm, and the separating diaphragm permits air flow from the vacuum chamber toward the plenum chamber. The check valve unit is mounted through, 상기 체크 밸브 유닛은The check valve unit 상기 플래넘 챔버와 진공 챔버가 상호 연통되도록 상기 분리 격판에 관통 형성된 공기 유동홀; 및An air flow hole formed through the separation diaphragm so that the plenum chamber and the vacuum chamber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상기 공기 유동홀을 폐쇄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플래넘 챔버에 형성된 부압에 의해 상기 공기 유동홀을 개방하도록 동작하는 개폐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And an opening / closing means mounted to close the air flow hole and operable to open the air flow hole by a negative pressure formed in the plenum chamb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하우징 쉘의 진공 챔버 내부에는 분할판이 형성되어 상기 진공 챔버는 다수개로 분할 형성되며, 다수개로 분할된 진공 챔버는 각각 연결 파이프에 의해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A partition plate is formed in the vacuum chamber of the housing shell so that the vacuum chamber is divided into a plurality, and the plurality of divided vacuum chambers are formed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a connecting pip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하우징 쉘에는 상기 진공 챔버의 진공압을 외부 장치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진공 챔버와 연통되는 연결 파이프가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The housing shell is an intake manifold for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pipe is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vacuum chamber to transfer the vacuum pressure of the vacuum chamber to the external devic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개폐 수단은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상기 분리 격판에 길이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는 밸브 로드;A valve rod coupled to the separation diaphragm so as to be linearly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플래넘 챔버 측에 위치하여 상기 공기 유동홀을 폐쇄할 수 있도록 상기 밸브 로드의 일단에 결합되는 헤드캡; 및A head cap positioned at the plenum chamber side and coupled to one end of the valve rod to close the air flow hole; And 상기 헤드캡이 상기 분리 격판에 압착되어 상기 공기 유동홀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밸브 로드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An elastic member for compressing the head cap to the separation diaphragm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valve rod in a direction of closing the air flow hol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Intake manifold for vehicles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개폐 수단은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상기 분리 격판에 관통 결합되어 위치 고정되는 밸브 로드; 및A valve rod penetratingly coupled to the separation diaphragm to fix the position; And 상기 플래넘 챔버 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밸브 로드의 일단에 결합되는 탄성 재질의 헤드캡An elastic head cap coupled to one end of the valve rod to be located at the plenum chamber side 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캡은 탄성력에 의해 상기 분리 격판에 압착되어 상기 공기 유동홀을 폐쇄하고 상기 플래넘 챔버에 형성된 부압에 의해 상기 분리 격판으로부터 이격되게 탄성 변형하며 상기 공기 유동홀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Wherein the head cap is compressed to the separating diaphragm by an elastic force to close the air flow hole and to elastically deform from the separation diaphragm by the negative pressure formed in the plenum chamber to open the air flow hole. An intake manifold for a vehicle.
KR2020090009349U 2009-07-17 2009-07-17 Intake Manifold for Vehicle with Vacuum Tank KR20045973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349U KR200459732Y1 (en) 2009-07-17 2009-07-17 Intake Manifold for Vehicle with Vacuum Ta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349U KR200459732Y1 (en) 2009-07-17 2009-07-17 Intake Manifold for Vehicle with Vacuum Tan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827U KR20110000827U (en) 2011-01-25
KR200459732Y1 true KR200459732Y1 (en) 2012-04-16

Family

ID=44205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9349U KR200459732Y1 (en) 2009-07-17 2009-07-17 Intake Manifold for Vehicle with Vacuum Tan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732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7325B1 (en) * 2016-07-20 2022-07-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Variable intake system for vehic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2181A (en) * 1994-06-10 1995-12-22 Aisin Takaoka Ltd Negative pressure supply devic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2181A (en) * 1994-06-10 1995-12-22 Aisin Takaoka Ltd Negative pressure supply devic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827U (en) 2011-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7503B2 (en) Engine air intake apparatus
US20100122680A1 (en) Intake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032634A (en) Air induction system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
US8851041B2 (en) Intake system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3379051B1 (en) Air intake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110114050A1 (en) Variable intake duct structure of engine
US8015958B2 (en) Active intake manifold flap cartridge and method
KR100194532B1 (en) Intake apparatu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459732Y1 (en) Intake Manifold for Vehicle with Vacuum Tank
JP2003120447A (en) Intake manifol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ultiple independent intake air passage body
US5406913A (en) Air intake system of an internal-combustion engine
CN105556090B (en) Actuator for intake manifold
KR101480625B1 (en) Solenoid valve
JP3610772B2 (en) Variable intake system for V-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480624B1 (en) Solenoid valve assembled in vacuum actuator
CN108915905B (en) Integrated electronic throttle valve
CN217270552U (en) Intake manifold structure, power assembly and vehicle
JP3675226B2 (en) Intake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61157717A (en) Air intake device of multicylinder engine
KR20160065276A (en) Intake manifold having vacuum chamber
CN102052498B (en) Car carbon tank electromagnetic valve
EP1486651B1 (en) Unit for supplying combustion air to the cylinders of an endothermic engine
KR20100090022A (en) Intake manifodl for a vehicle with variable induction system
US20220163007A1 (en) Single-inlet air intake control structure
CN207315473U (en) A kind of automobile engine gs-oil sepa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