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708Y1 - 스피커용 서스펜션 - Google Patents

스피커용 서스펜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708Y1
KR200459708Y1 KR2020100012358U KR20100012358U KR200459708Y1 KR 200459708 Y1 KR200459708 Y1 KR 200459708Y1 KR 2020100012358 U KR2020100012358 U KR 2020100012358U KR 20100012358 U KR20100012358 U KR 20100012358U KR 200459708 Y1 KR200459708 Y1 KR 2004597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coil
bridge
diaphragm
permanent magnet
susp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23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미애
Original Assignee
강미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미례 filed Critical 강미례
Priority to KR20201000123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7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7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7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4Structural combinations of separate transducers or of two parts of the same transducer and responsive respectively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1Centering
    • H04R9/043Inner suspension or damper, e.g. spi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피커용 서스펜션, 특히 가청 주파수대역 중 저대역과 고대역에서 양호한 주파수 특성과 음질을 출력함에 따라 저음부의 풍부하고 묵직한 음질과 고음부의 선명한 음질의 해상도를 구현하는 것으로, 본 고안은 일방향으로 길쭉하게 원바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정부분이 함몰된 한 쌍의 요크부(1a)가 형성된 프레임(1)과, 프레임(1)의 각 요크부(1a)에 안착되는 영구자석(2)과, 영구자석(2)의 상면에 안착되는 플레이트(3)와, 영구자석(2)의 상부 외주면에 권선되며 외부로부터 음향신호의 피크압 전기신호를 공급받는 보이스 코일(4)과, 프레임(1)의 내측에 끼워진 상태로 보이스 코일(4)에 흐르는 전류와 영구자석(2)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된 힘으로 진동하는 진동판(5)을 포함하여 구성된 스피커의 보이스 코일(4)의 진동을 진동판(5)에 전달하는 스피커용 서스펜션에 관한 것으로, 보이스 코일(4)과 통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외부로부터 보이스 코일(4)에 전기신호를 인가하며 이 보이스 코일(4)에 인가된 전기신호의 전자기유도에 의해 영구자석(2)의 길이방향을 따라 보이스 코일(4)이 진동되고 이 보이스 코일(4)의 진동에 연동하여 진동판(5)이 완충된 진동을 하도록 보이스 코일(4)과 진동판(5) 사이에 탄성적으로 밀착결합되는 스윙 브릿지(10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스피커용 서스펜션 {SUSPENSION FOR SPEAKER}
본 고안은 스피커용 서스펜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 구조를 간단하고 얇게 개선하여 가청 주파수대역 중 저대역과 고대역에서 양호한 특성과 음질을 출력함에 따라 저음부의 풍부하고 묵직한 음질과 고음부의 선명한 음질의 해상도를 구현하는 스피커용 서스펜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스피커는 전류가 흐르는 도체가 자기장 속에 있으면 힘을 받는다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하여 공극 사이에 존재하는 보이스 코일(Voice Coil)에 의해 전자기적 에너지를 기계적인 진동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원리로 이루어져 있다.
즉, 여러 주파수가 포함된 음향신호의 피크압 전기신호가 보이스 코일에 인가되면 보이스 코일은 전류의 세기와 주파수의 크기에 따라 기계적인 진동에너지를 발생시키고, 보이스 코일에 부착되어 있는 진동판(Diaphragm)에 진동을 발생시켜 궁극적으로 귀가 인지할 수 있는 음압(音壓)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스피커의 자기회로는 통상적으로 영구자석을 이용하여 영구자석의 외주면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보이스 코일이 권선된다.
권선된 보이스 코일에 일정한 주파수 대역의 음향신호의 피크압 전기신호가 인가되면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권선방향의 직각방향으로 전,후 진동하는 에너지를 발생시킨다.
보이스 코일에 의한 진동으로 진동판에 완충된 진동을 전달하기 위해 보이스 코일과 진동판의 사이인 공극에 서스펜션이 배치되며, 보이스 코일에 의해 발생된 진동에너지는 서스펜션을 통해 진동판에 완충된 진동을 전달하게 된다.
이로 인해, 프레임에 구속되어 있는 진동판을 진동시켜 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보이스 코일의 진동에너지에 연동하여 탄성복원력에 의해 진동하는 서스펜션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질 패턴과 내입력 향상을 결정짓는 핵심기술이다.
그러나 종래의 서스펜션은 단면의 형태가 복잡하고 재질 및 두께 선정의 제약에 따른 광대역 재생에 한계가 있었다. 특히 고주파 영역대(12k ~ 20k)에서 진동판으로의 양호한 진동에너지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구조가 복잡하고 재질 및 두께 선정의 제약으로 고출력 구현을 위한 서스펜션의 탄성복원력이 상대적으로 약해 인가된 전기신호의 고주파 영역대(12k ~ 20k)에서 섬세한 진동에너지를 구현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며, 선명하고 맑은 음질의 해상도를 좌우하는 고음의 본질을 잃게 된다.
구조가 복잡하고 재질 및 두께 선정의 제약을 갖는 일체형 서스펜션으로 인해 저대역, 중대역, 고대역(고주파 영역대)의 주파수 특성을 확보하고 개선함에 있어 어려움이 많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가청 주파수대역 중 저대역과 고대역에서 양호한 주파수 특성의 음질을 출력함에 따라 저음부의 풍부하고 묵직한 음질과 고음부의 선명한 음질의 해상도를 구현하는 스피커용 서스펜션이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가청 주파수대역 중 저대역과 고대역에서 양호한 주파수 특성의 음질을 출력함에 따라 저음부의 풍부하고 묵직한 음질과 고음부의 선명한 음질의 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는 스피커용 서스펜션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용 서스펜션은 일방향으로 길쭉하게 원바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정부분이 함몰된 한 쌍의 요크부가 형성된 프레임과, 프레임의 각 요크부에 안착되는 영구자석과, 영구자석의 상면에 안착되는 플레이트와, 영구자석의 상부 외주면에 권선되며 외부로부터 음향신호의 피크압 전기신호를 공급받는 보이스 코일과, 프레임의 내측에 끼워진 상태로 보이스 코일에 흐르는 전류와 영구자석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된 힘으로 진동하는 진동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스피커의 보이스 코일의 진동을 진동판에 전달하는 스피커용 서스펜션에 관한 것으로, 보이스 코일과 통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외부로부터 보이스 코일에 전기신호를 인가하며 이 보이스 코일에 인가된 전기신호의 전자기유도에 의해 영구자석의 길이방향을 따라 보이스 코일이 진동되고 이 보이스 코일의 진동에 연동하여 진동판이 진동되도록 보이스 코일과 진동판 사이에 탄성적으로 밀착결합되는 스윙 브릿지로 구성되며, 스윙 브릿지는 양단부가 외부로부터 전기신호를 공급받는 단자로서 보이스 코일의 인입선과 인출선이 통전 가능하게 각각 솔더링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양단부에 (+)단자가 일체로 형성되고 보이스 코일의 인입선과 접속되는 제1 브릿지와, 양단부에 (-)단자가 일체로 형성되고 보이스 코일의 인출선에 접속되는 제2 브릿지가 상호 절연된 상태로 마주하여 배치된다.
제1 브릿지와 제2 브릿지는 각각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각각의 보조브릿지가 연장형성되며, 각각의 보조브릿지가 상호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제1 브릿지와 제2 브릿지의 외주면에 절연체인 합성수지재의 필름이 코팅되며, 이 코팅된 필름에 의해 제1 브릿지와 제2 브릿지가 상호 전기적으로 절연되게 일체로 연결된다.
제1 브릿지와 제2 브릿지 각각은 원바디 형태로 이루어지며 몸체에 보이스 코일의 인입선과 인출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솔더링되는 솔더랜드가 형성되며, 보이스 코일의 인입선에 대응되는 솔더랜드와 보이스 코일의 인출선에 대응되는 솔더랜드는 제1 브릿지와 제2 브릿지가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각각의 상기 몸체로부터 일정길이 돌출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용 서스펜션은,
첫째, 상세하게 몸체의 일단부가 프레임의 양단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부가 보이스 코일에 통전되게 부착되는 스윙 브릿지로 이루어져 보이스 코일에 의한 진동을 온전히 진동판에 전달할 수 있으므로 보이스 코일에 광대역의 음향신호의 피크압 전기신호가 인가되는 경우에도 양호한 음을 출력하고 특히 저음부의 풍부하고 묵직한 음질과 고음부의 선명한 음질의 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제1 브릿지와 제2 브릿지가 상호 마주하는 형태로 구성된 스윙 브릿지의 외주면에 절연체인 합성수지재의 필름이 열압착 방식으로 코팅되어, 외부에서 인가되는 고전압에 의한 큰 진동에너지와 연동하여 지속적으로 진동하는 경우에도 피로하중에 의한 절단을 방지하는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다.
셋째, 제1 브릿지와 제2 브릿지가 마주하는 방향으로 각각의 보조브릿지가 상호 일정거리 이격되어 절연된 상태로 연장형성된 상태에서 스윙 브릿지의 외주면에 일체로 절연체인 합성수지재의 필름을 코팅함으로써 제1 브릿지와 제2 브릿지가 상호 절연된 상태를 유지한 채로 일정한 대칭구조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넷째, 제1 브릿지와 제2 브릿지가 마주하는 방향으로 각각의 보조브릿지가 상호 일정거리 이격되어 절연된 상태로 연장형성된 상태에서 스윙 브릿지의 외주면에 일체로 절연체인 합성수지재의 필름을 코팅함으로써 제1 브릿지와 제2 브릿지가 상호 절연된 상태로 단일의 스윙 브릿지를 보이스 코일에 간편하게 솔더링할 수 있게 된다. 기존에는 금속판재인 연결편이 제1 브릿지와 제2 브릿지를 연결한 상태에서 각각의 제1 브릿지와 제2 브릿지를 보이스 코일에 솔더링한 다음 연결편을 물리적으로 절단하여 제1 브릿지와 제2 브릿지를 상호 절연하는 번거로운 작업단계를 거치게 되었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였다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용 서스펜션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용 서스펜션의 전체구성 중 일부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용 서스펜션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용 서스펜션을 통해 출력된 음량과 주파수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용 서스펜션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용 서스펜션의 전체구성 중 일부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용 서스펜션을 도시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용 서스펜션은 일방향으로 길쭉하게 원바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정부분이 함몰된 한 쌍의 요크부(1a)가 형성된 프레임(1)과, 프레임(1)의 각 요크부(1a)에 안착되는 영구자석(2)과, 영구자석(2)의 상면에 안착되는 플레이트(3)와, 영구자석(2)의 상부 외주면에 권선되며 외부로부터 음향신호의 피크압 전기신호를 공급받는 보이스 코일(4)과, 프레임(1)의 내측에 끼워진 상태로 보이스 코일(4)에 흐르는 전류와 영구자석(2)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된 힘으로 진동하는 진동판(5)을 포함하여 구성된 스피커의 보이스 코일(4)의 진동을 진동판(5)에 전달하는 스피커용 서스펜션에 관한 것으로, 보이스 코일(4)과 통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외부로부터 보이스 코일(4)에 전기신호를 인가하며 이 보이스 코일(4)에 인가된 전기신호의 전자기유도에 의해 영구자석(2)의 길이방향을 따라 보이스 코일(4)이 진동되고 이 보이스 코일(4)의 진동에 연동하여 진동판(5)이 완충된 진동을 하도록 보이스 코일(4)과 진동판(5) 사이에 탄성적으로 밀착결합되는 스윙 브릿지(100)로 구성되며, 스윙 브릿지(100)는 양단부가 외부로부터 전기신호를 공급받는 단자로서 보이스 코일(4)의 인입선과 인출선이 통전 가능하게 각각 솔더링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양단부에 (+)단자가 일체로 형성되고 보이스 코일(4)의 인입선과 접속되는 제1 브릿지(110)와, 양단부에 (-)단자가 일체로 형성되고 보이스 코일(4)의 인출선에 접속되는 제2 브릿지(120)가 상호 절연된 상태로 마주하여 배치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레임(1)은 일방향으로 길쭉하게 원바디의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양단부의 테두리부는 상방으로 절곡형성된다.
상방으로 절곡형성된 프레임(1)의 양단부 테두리부에는 진동판(5)과 스윙 브릿지(100)의 양단부가 안착되어 고정된다.
프레임(1)의 중앙부 일정부분에는 하방으로 함몰된 한 쌍의 요크부(1a)가 형성되고, 이 요크부(1a)에 원통형의 영구자석(2)이 끼워져 안착되며, 영구자석(2)의 상단면에 원반형의 플레이트(3)가 안착된다.
영구자석(2)의 외주면과 플레이트(3)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영구자석(2)의 외주면과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보이스 코일(4)이 권선된다.
권선된 보이스 코일(4)에 음향신호의 피크압 전기신호가 인가되면 자기장 속에 있는 도선에 전류가 흐를 때 자기장의 방향과 도선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도선이 힘을 받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보이스 코일(4)은 영구자석(2)의 길이방향으로 전,후 진동하게 된다.
보이스 코일(4)과 영구자석(2)의 동작으로 영구자석(2)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프레임(1)의 양단부에 맞물려 체결된 플레이트 형태의 진동판(5)이 연동하여 진동하게 된다.
진동판(5)은 절연체인 바디(5b)와 이 바디(5b)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엣지(5a)로 구성된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서스펜션은 보이스 코일(4)에 통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외부로부터 보이스 코일(4)에 전기신호를 인가하며 이 보이스 코일(4)에 인가된 전기신호의 전자기유도에 의해 영구자석(2)의 길이방향을 따라 보이스 코일(4)이 진동되고 이 보이스 코일(4)의 진동에 연동하여 진동판(5)이 진동되도록 보이스 코일(4)과 진동판(5) 사이에 탄성적으로 밀착결합되는 스윙 브릿지(100)로 구성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윙 브릿지(100)는 양단부가 외부로부터 전기신호를 공급받는 단자로서 보이스 코일(4)의 인입선과 인출선에 통전 가능하게 각각 솔더링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양단부에 (+)단자가 일체로 형성되고 보이스 코일(4)의 인입선과 접속되는 제1 브릿지(110)와, 양단부에 (-)단자가 일체로 형성되고 보이스 코일(4)의 인출선에 접속되는 제2 브릿지(120)가 상호 절연된 상태로 마주하여 한 쌍으로 배치된다.
보이스 코일(4)이 전,후 방향으로 진동하는 경우 이 진동은 보이스 코일(4)의 전단부와 밀착된 진동판(5)과 연동하여 진동하며, 양단부가 프레임(1)의 테두리에 고정된 상태로 보이스 코일(4)과 진동판(5) 사이에 탄성적으로 밀착결합된 스윙 브릿지(100)도 진동판(5)의 진동에 연동하여 탄성적으로 진동을 하게 된다.
즉, 스윙 브릿지(100)는 보이스 코일(4) 및 진동판(5)의 전,후방 진동을 지지하는 브릿지 기능을 하게 된다.
이로 인해, 스윙 브릿지(100)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질패턴과 전기적 특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스윙 브릿지(100)가 탄성적으로 진동하면서 보이스 코일(4)과 진동판(5)을 브릿지하는 구조는 보이스 코일(4)에 고주파 영역대에 대응되는 음향신호의 피크압 전기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미세한 진동을 전달하는 온전히 전달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스윙 브릿지(100)는 바람직하게 원바디 형태의 몸체가 통전을 위한 연성의 구리(Cu), 알루미늄(Al), 스테인레스강, 니켈합금 등의 재질로 구성되며, 몸체의 외표면에는 내열성, 내화학성, 내마모성, 복원성이 탁월한 절연체인 폴리이미드 필름(polyimide film)이 열압착 방식으로 코팅된다.
스윙 브릿지(100)의 두께는 0.2mm 이하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주파수 대역별 특성 및 음질 튜닝을 위해 가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윙 브릿지(100)는 양단부가 외부로부터 전기신호를 공급받는 단자로서 보이스 코일(4)의 인입선과 인출선에 통전 가능하게 각각 솔더링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양단부에 (+)단자가 일체로 형성되고 보이스 코일(4)의 인입선과 접속되는 제1 브릿지(110)와, 양단부에 (-)단자가 일체로 형성되고 보이스 코일(4)의 인출선에 접속되는 제2 브릿지(120)가 상호 절연된 상태로 마주하여 배치된다.
도면부호 112는 외부의 전기신호가 인가되는 (+)단자부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122는 외부의 전기신호가 인가되는 (-)단자부를 나타낸다.
제1 브릿지(110)에 일체로 형성된 (+)단자와 제2 브릿지(120)에 일체로 형성된 (-)단자는 보이스 코일(4)의 인입선, 인출선이 솔더링되는 방식에 따라 상호 바뀔 수 있다.
제1 브릿지(110)의 (+)단자와 제2 브릿지(120)의 (-)단자는 프레임(1)의 테두리에 안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즉, 스윙 브릿지(100)는 프레임(1)의 테두리에 고정된 양 단자부(112,122)를 중심축으로 하여 스윙 브릿지(100) 몸체의 중앙부가 보이스 코일(4)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판(5)과 연동하여 탄성적으로 완충된 진동을 하게 된다.
이처럼 스윙 브릿지(100)는 각 구성 간의 이음부를 배제한 원바디 형태로 구성하여 가청 주파수대역 중 저대역과 고대역에서 양호한 주파수 특성의 음질을 출력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저음부의 풍부하고 묵직한 음질과 고음부의 선명한 음질의 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브릿지(110)와 상기 제2 브릿지(120)는 각각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각각의 보조브릿지(111,121)가 연장형성되며, 각각의 보조브릿지(111,121)가 상호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제1 브릿지(110)와 제2 브릿지(120)의 외주면에 절연체인 합성수지재의 필름이 열압착 방식으로 코팅되며, 이 코팅된 필름에 의해 제1 브릿지(110)와 제2 브릿지(120)가 상호 전기적으로 절연되게 일체로 연결된다.
제1 브릿지(110)와 제2 브릿지(120)가 상호 마주하는 형태로 구성된 스윙 브릿지(100)의 외주면에 고내열성의 복원력이 우수한 절연체인 합성수지재의 필름이 열압착 방식으로 코팅되어, 외부에서 스피커에 인가되는 지속적인 고전압에 의한 진동에도 피로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다.
제1 브릿지(110)와 제2 브릿지(120)가 상호 절연된 상태로 구성된 것은 (+)단자가 일체로 연결된 제1 브릿지(110)와, (-)단자가 일체로 연결된 제2 브릿지(120)를 통해 외부로부터 각각 인가된 전기신호에 의해 쇼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브릿지(110)와 제2 브릿지(120) 각각은 원바디 형태로 이루어지며 몸체에 보이스 코일(4)의 인입선과 인출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솔더링되는 솔더랜드(113,123)가 형성되며, 보이스 코일(4)의 인입선에 대응되는 솔더랜드(113)와 보이스 코일(4)의 인출선에 대응되는 솔더랜드(123)는 제1 브릿지(110)와 제2 브릿지(120)가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각각의 상기 몸체로부터 일정길이 돌출형성된다.
이처럼 각각의 제1 브릿지(110)와 제2 브릿지(120)는 각 구성 간의 이음부를 최대한으로 배제한 원바디 형태로 구성하여 가청 주파수대역 중 저대역과 고대역에서 양호한 주파수 특성과 음질을 출력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저음부의 풍부하고 묵직한 음질과 고음부의 선명한 음질의 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제1 브릿지(110)와 제2 브릿지(120)에 형성된 각각의 솔더랜드(113,123)는 제1 브릿지(110)와 제2 브릿지(120)가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각각의 상기 몸체로부터 일정길이 돌출형성함으로써, 제1 브릿지(110)와 제2 브릿지(120) 사이에 배치되는 보이스 코일(4)과의 솔더링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용 서스펜션을 통해 출력된 음압과 주파수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면부호 F2는 외부로부터 보이스 코일(4)에 인가된 음향신호의 피크압 전기신호가 고주파 영역대(high-frequency range)인 경우 기존의 서스펜션을 통해 전달된 진동이 온전히 진동판(5)에 전달되지 않아 양호하지 않은 음향출력 상태에 대한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다.
즉, 보이스 코일(4)의 진동에 연동하여 브릿지 구조로 진동하는 서스펜션이 진폭이 작은 고주파 대역의 미세한 진동을 온전히 진동판(5)에 전달하지 못하는 데서 발생되는 현상이다.
도면부호 F1은 외부로부터 보이스 코일(4)에 인가된 전기신호가 고주파 영역대(high-frequency range)인 경우 본 발명의 서스펜션인 스윙 브릿지를 통해 전달된 진동이 온전히 진동판(5)에 전달된 양호한 음향출력 상태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다.
도면부호 F4는 외부로부터 보이스 코일(4)에 인가된 전기신호가 저주파 영역대(low-frequency range)인 경우 기존의 서스펜션을 통해 전달된 진동이 온전히 진동판(5)에 전달되지 않아 양호하지 않은 음향출력 상태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다.
즉, 보이스 코일(4)의 진동에 연동하여 브릿지 구조로 진동하는 기존 서스펜션의 비탄력적인 스티프니스(stiffness)로 인해 진동에 제약을 받게 되고 그로 인한 미세한 진동을 온전히 진동판(5)에 전달하지 못하는 데서 발생되는 현상이다.
도면부호 F3는 외부로부터 보이스 코일(4)에 인가된 전기신호가 저주파 영역대(low-frequency range)인 경우 본 발명의 서스펜션인 스윙 브릿지를 통해 전달된 진동이 온전히 진동판(5)에 전달되어 가청 주파수 내의 저역대가 확장된 주파수 특성을 보여준다.
1 : 프레임 1a : 요크
1b : 통기공 2 : 영구자석
3 : 플레이트 4 : 보이스 코일
5 : 진동판 5a : 엣지
5b : 바디 100 : 스윙 브릿지
110 : 제1 브릿지 111 : 보조브릿지
112 : (+)단자부 113 : 솔더랜드
120 : 제2 브릿지 121 : 보조브릿지
122 : (-)단자부 123 : 솔더랜드

Claims (3)

  1. 일방향으로 길쭉하게 원바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정부분이 함몰된 한 쌍의 요크부(1a)가 형성된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의 각 요크부(1a)에 안착되는 영구자석(2)과, 상기 영구자석(2)의 상면에 안착되는 플레이트(3)와, 상기 영구자석(2)의 상부 외주면에 권선되며 외부로부터 음향신호의 피크압 전기신호를 공급받는 보이스 코일(4)과, 상기 프레임(1)의 내측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보이스 코일(4)에 흐르는 전류와 상기 영구자석(2)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된 힘으로 진동하는 진동판(5)을 포함하여 구성된 스피커의 상기 보이스 코일(4)의 진동을 상기 진동판(5)에 전달하는 스피커용 서스펜션으로서,
    상기 보이스 코일(4)과 통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보이스 코일(4)에 전기신호를 인가하며 이 보이스 코일(4)에 인가된 전기신호의 전자기유도에 의해 상기 영구자석(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보이스 코일(4)이 진동되고 이 보이스 코일(4)의 진동에 연동하여 상기 진동판(5)이 진동되도록 상기 보이스 코일(4)과 상기 진동판(5) 사이에 탄성적으로 밀착결합되는 스윙 브릿지(100)로 구성되고,
    상기 스윙 브릿지(100)는 양단부가 외부로부터 전기신호를 공급받는 단자로서 상기 보이스 코일(4)의 인입선과 인출선이 통전 가능하게 각각 솔더링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양단부에 (+)단자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보이스 코일(4)의 인입선과 접속되는 제1 브릿지(110)와, 양단부에 (-)단자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보이스 코일(4)의 인출선에 접속되는 제2 브릿지(120)가 상호 절연된 상태로 마주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1 브릿지(110)와 상기 제2 브릿지(120)에는 각각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각각의 보조브릿지(111,121)가 연장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보조브릿지(111,121)가 상호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브릿지(110)와 상기 제2 브릿지(120)의 외주면에 절연체인 합성수지재의 필름이 코팅되며, 상기 코팅된 필름에 의해 상기 제1 브릿지(110)와 상기 제2 브릿지(120)가 상호 전기적으로 절연되게 일체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용 서스펜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릿지(110)와 상기 제2 브릿지(120) 각각은 원바디 형태로 이루어지며 몸체에 상기 보이스 코일(4)의 인입선과 인출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솔더링되는 솔더랜드(113,123)가 형성되며, 상기 보이스 코일(4)의 인입선에 대응되는 솔더랜드(113)와 상기 보이스 코일(4)의 인출선에 대응되는 솔더랜드(123)는 상기 제1 브릿지(110)와 상기 제2 브릿지(120)가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각각의 상기 몸체로부터 일정길이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용 서스펜션.
KR2020100012358U 2010-11-30 2010-11-30 스피커용 서스펜션 KR2004597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358U KR200459708Y1 (ko) 2010-11-30 2010-11-30 스피커용 서스펜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358U KR200459708Y1 (ko) 2010-11-30 2010-11-30 스피커용 서스펜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9708Y1 true KR200459708Y1 (ko) 2012-05-04

Family

ID=46607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2358U KR200459708Y1 (ko) 2010-11-30 2010-11-30 스피커용 서스펜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708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7491A (ja) 1997-05-22 1998-12-08 Kenwood Corp スピーカ
KR20100011199A (ko) * 2008-07-24 2010-02-03 주식회사 진영지앤티 장방형 박막스피커
KR20100092080A (ko) * 2009-02-12 2010-08-20 주식회사 진영지앤티 장방형 스피커 모듈
KR20100121771A (ko) * 2009-05-11 2010-11-19 주식회사 성주음향 B-댐퍼 및 fpcb를 갖는 스피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7491A (ja) 1997-05-22 1998-12-08 Kenwood Corp スピーカ
KR20100011199A (ko) * 2008-07-24 2010-02-03 주식회사 진영지앤티 장방형 박막스피커
KR20100092080A (ko) * 2009-02-12 2010-08-20 주식회사 진영지앤티 장방형 스피커 모듈
KR20100121771A (ko) * 2009-05-11 2010-11-19 주식회사 성주음향 B-댐퍼 및 fpcb를 갖는 스피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8085B1 (ko) 헤드폰
US7505603B2 (en) Dynamic micro speaker with dual suspension
KR100842093B1 (ko) 감각 신호 출력 장치
JP5886126B2 (ja) イヤホンとそれを用いた聴取装置
US20120155694A1 (en) Multi-layer armature for moving armature receiver
US10979821B2 (en) Sound generator
JPWO2016170595A1 (ja) 電気音響変換装置
JP2012227923A (ja) 耳穴装着型骨伝導装置
KR101158028B1 (ko) 스피커용 서스펜션
KR101052622B1 (ko) 보이스코일용 터미널 및 이를 구비한 스피커
JP6458276B2 (ja) ボイスコイル、電気音響変換器、ヘッドホンおよび振動板
US9282410B2 (en) Transducer motor structure with enhanced flux
KR20130111906A (ko) 스피커용 서스펜션
KR200459708Y1 (ko) 스피커용 서스펜션
KR101154253B1 (ko) 입체형 트랙타입 보이스코일판을 갖는 평판형 스피커
KR100965740B1 (ko) 초슬림형 음향 변환 장치
KR20130111897A (ko) 스피커용 서스펜션
JP6792979B2 (ja) 電気音響変換装置
JP4801568B2 (ja) スピーカ用磁気回路及びスピーカ
CN104507026A (zh) 具有大振动力电枢的受话器
JP2005260306A (ja) ダイナミックマイクロホン
CN204442675U (zh) 具有防撞抗振动功能的新型受话器
CN103747383A (zh) 一种新型受话器
CN111478546B (zh) 高灵敏度高功率宽频磁电激励器马达一体件
KR101389664B1 (ko) 고출력 및 고음질의 전자음향변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