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451Y1 - 립스틱용기 - Google Patents

립스틱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451Y1
KR200459451Y1 KR2020090013318U KR20090013318U KR200459451Y1 KR 200459451 Y1 KR200459451 Y1 KR 200459451Y1 KR 2020090013318 U KR2020090013318 U KR 2020090013318U KR 20090013318 U KR20090013318 U KR 20090013318U KR 200459451 Y1 KR200459451 Y1 KR 2004594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linear motion
container
tube
surfac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33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3857U (ko
Inventor
배해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성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성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성산업
Priority to KR20200900133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451Y1/ko
Publication of KR201100038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8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4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4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6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0Casings wherein a spring presses the lipstick or like solid into the position for use or into the retrac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8Casing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ratchet-and-pawl mechanism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closure skirt or the tamper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립스틱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용기바디부와, 상기 용기바디부에 결합된 립스틱홀더와, 캡바닥면부와 상기 캡바닥면부로부터 연장형성된 원형관형태의 캡측면부를 가지고 상기 립스틱홀더에 결합된 립스틱을 둘러싸도록 상기 용기바디부에 결합된 용기캡을 갖는 립스틱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바디부는 상기 캡측면부보다 작은 원형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캡바닥면부를 향해 가압할 때 상기 캡바닥면부를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용기바디부를 상기 캡바닥면부를 향해 가압할 때 상기 캡바닥면부를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캡의 내부에 설치된 원형관 형태의 직선운동작동관과, 상기 직선운동작동관이 상기 캡바닥면부를 향해 이동할 때 상기 직선운동작동관을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탄성력을 축적하도록 상기 용기캡의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과, 상기 용기바디부을 상기 캡바닥면부를 향해 가압하는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스프링에 축적된 복귀탄성력이 상기 직선운동작동관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직선운동작동관이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저지하는 복귀저지동작과 상기 스프링에 축적된 복귀탄성력이 상기 직선운동작동관에 전달되는 것을 허용하여 상기 복귀저지동작을 해제하는 복귀저지해제동작을 교대로 수행하는 복귀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립스틱을 사용하지 않을 때 용기캡이 용기바디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립스틱, 용기, 복귀선택, 캡

Description

립스틱용기{Lipstick Container}
본 고안은 립스틱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립스틱을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관하기 위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여성들은 입술을 단장하기 위해 립스틱을 널리 사용하고 있으며, 이들 립스틱이 사용하지 않을 때 옷 등에 묻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립스틱을 둘러싸는 용기캡을 갖는 립스틱용기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13은 종래의 립스틱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종래의 립스틱용기는,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바디부(111)와, 용기바디부(111)에 결합된 립스틱홀더(120)와, 용기바디부(111)에 결합된 용기캡(130)을 갖고 있다.
용기바디부(111)는 원형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립스틱홀더(120)는 종래 알려진 바와 같이 보호관(124)을 잡고 용기바디부(111)을 회전조작하면 립스틱이 보호관(124)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용기캡(130)은 캡바닥면부(131)와, 캡바닥면부(131)로부터 연장 형성된 원형 관형태의 캡측면부(132)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용기캡(130)은 립스틱홀더(120)를 둘러싸도록 용기바디부(111)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립스틱용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입술을 단장하고자 할 때는 용기캡(130)을 용기바디부(111)로부터 분리시킨다.
다음에 보호관(124)을 잡고 용기바디부(111)를 회전조작하여 립스틱(201)을 보호관(124)의 외부로 노출시킨다.
노출된 립스틱으로 입술을 단장한다.
다음에 보호관(124)을 잡고 용기바디부(111)를 역방향으로 회전조작하여 립스틱(1201)이 보호관(124)의 내부로 들어가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용기캡(130)을 용기바디부(111)에 결합한다.
그런데 종래의 립스틱용기에 따르면, 용기캡(130)이 용기바디부(111)를 둘러싸는 구간을 조절할 수 없어 립스틱(201)을 사용하지 않을 때 용기캡(130)이 용기바디부(111)로부터 이탈할 염려가 있기 때문에 립스틱용기로서의 기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립스틱을 사용하지 않을 때 용기캡이 용기바디부 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립스틱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용기바디부와, 상기 용기바디부에 결합된 립스틱홀더와, 캡바닥면부와 상기 캡바닥면부로부터 연장형성된 원형관형태의 캡측면부를 가지고 상기 립스틱홀더에 결합된 립스틱을 둘러싸도록 상기 용기바디부에 결합된 용기캡을 갖는 립스틱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바디부는 상기 캡측면부보다 작은 원형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캡바닥면부를 향해 가압할 때 상기 캡바닥면부를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용기바디부를 상기 캡바닥면부를 향해 가압할 때 상기 캡바닥면부를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캡의 내부에 설치된 원형관 형태의 직선운동작동관과, 상기 직선운동작동관이 상기 캡바닥면부를 향해 이동할 때 상기 직선운동작동관을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탄성력을 축적하도록 상기 용기캡의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과, 상기 용기바디부을 상기 캡바닥면부를 향해 가압하는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스프링에 축적된 복귀탄성력이 상기 직선운동작동관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직선운동작동관이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저지하는 복귀저지동작과 상기 스프링에 축적된 복귀탄성력이 상기 직선운동작동관에 전달되는 것을 허용하여 상기 복귀저지동작을 해제하는 복귀저지해제동작을 교대로 수행하는 복귀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립스틱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복귀저지동작과 복귀저지해제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상기 복귀선택부는 상기 직선운동작동관의 저면에 상기 직선운동작동관의 상단을 향해 경사를 이루고 상기 직선운동작동관의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한 이격거리를 두고 분산 형성되어 있는 상향운동안내경사면과, 상기 직선운동작동관의 외표면 하측 영역 상기 각 상향운동안내경사면이 시작되는 지점에 각각 동일한 폭으로 상기 캡측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저면에는 상기 상향운동안내경사면과 동일한 경사방향을 갖는 직선운동작동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직선운동안내돌부와, 상기 용기바디부가 상기 캡바닥면부를 향해 이동할 때 상기 각 직선운동안내돌부의 직선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캡측면부의 내표면에 형성된 안내홈과, 상기 안내홈의 바닥면에 하나 걸러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과, 상기 용기바디부가 상기 캡바닥면부를 향해 이동할 때 상기 상향운동안내경사면에 정렬하도록 상기 캡측면부의 내표면 상기 안내홈의 사이영역에 기립 형성된 상향보조안내경사면과, 원형관형태의 회전운동작동관과 상기 직선운동안내돌부에 하나 걸러 대응하고 상기 회전운동작동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배치되도록 상기 회전운동작동관의 외표면에 각각 돌출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상향운동안내경사면과 동일한 경사방향을 갖는 회전운동작동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운동작동돌부와 상기 회전운동작동관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배치되도록 상기 회전운동작동관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지지판을 가지고 상기 회전운동작동경사면이 상기 안내홈에서 상기 직선운동작동경사면에 접촉하고 상기 지지판에 상기 스프링이 접촉하도록 상기 용기캡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회전운동작동체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복귀저지동작과 복귀저지해제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복귀선택부는 상기 직선운동작동관의 하단에 형성된 축연결부와, 상기 직선운동작동관의 중심축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직선운동작동관의 하단을 넘어 돌출되도록 상기 축연결부에 결합된 지지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은 상기 회전운동작동관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축이 삽입되도록 축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복귀선택부를 추가하여 용기캡이 용기바디부를 둘러싸는 구간을 조절함으로써, 립스틱을 사용하지 않을 때 용기캡이 용기바디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립스틱용기의 결합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립스틱용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립스틱용기의 요부분해사시도이며,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립스틱용기의 단면도이며, 도5는 도2에 도시된 용기캡과 직선운동작동관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립스틱용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바디부(11)와, 용기바디부(11)에 결합된 립스틱홀더(20)와, 캡바닥면부(31)를 가 지고 용기바디부(11)에 결합된 용기캡(30)과, 용기캡(30)의 내부에 설치된 원형관 형태의 직선운동작동관(12)과, 직선운동작동관(12)과 캡바닥면부(31)사이에 설치된 스프링(13)과, 용기캡(30)을 캡바닥면부(31)를 향해 가압하는 동작에 연동하여 스프링(13)에 축적된 복귀탄성력이 직선운동작동관(12)에 전달되는 것을 교대로 차단하거나 허용하는 복귀선택부(40)를 갖고 있다.
용기바디부(11)는 후술하는 캡측면부(32)보다 작은 원형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용기바디부(11)는 캡바닥면부(31)를 향해 가압할 때 캡바닥면부(31)를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립스틱홀더(20)는 용기바디부(11)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용기바디부(11)에 결합된 직선홈관(21)과, 직선홈관(21)의 외표면에 결합된 나선홈관(22)과, 외표면에 180도의 위상차를 두고 한 쌍의 안내돌기(23a)가 형성되어 있는 립스틱고정관(23)과, 나선홈관(22)에 장착된 보호관(24)을 갖고 있다.
직선홈관(21)은 180도의 위상차를 두고 한 쌍의 직선안내홈(21a)이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나선홈관(22)은 내표면에 나선안내홈(22a)이 형성되어 있다.
립스틱고정관(23)은 각 안내돌기(23a)가 직선안내홈(21a)을 통과하여 나선안내홈(22a)에 진입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나선홈관(22) 또는 보호관(24)을 잡고 용기바디부(11)을 회전조작하면 립스틱고정관(23)과 립스틱고정관(23)에 결합된 립스틱은 나선홈관(22)의 길 이방향을 따라 승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나선홈관(22)은 종래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립스틱홀더(20)는 립스틱의 승강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용기캡(30)은 캡바닥면부(31)에 더하여 캡바닥면부(31)로부터 연장 형성된 원형관형태의 캡측면부(32)와, 캡바닥면부(31)에 기립형성된 스프링지지기둥(33)을 갖고 있다.
캡바닥면부(31)와 캡측면부(32)의 일부는 엔드캡(34)형태로 제작되어 캡측면부(32)의 나머지 부분에 나사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용기캡(30)은 립스틱홀더(20)를 둘러싸도록 용기바디부(11)에 결합된다.
직선운동작동관(12)은 저면에 상단을 향해 경사를 이루는 상향운동안내경사면(41)이 일정한 이격거리를 두고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직선운동작동관(12)은 보호관(24)에 접촉하도록 용기캡(30)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직선운동작동관(12)은 용기바디부(11)를 캡바닥면부(31)를 향해 가압할 때 캡바닥면부(31)를 향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스프링(13)은 스프링지지기둥(33)을 둘러싼 상태로 양단이 각각 캡바닥면부(31)와 후술하는 지지판(53)의 저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스프링(13)은 회전운동작동체(50)를 직선운동작동관(12)을 향해 가압하게 되고, 용기바디부(11)을 캡바닥면부(31)를 향해 가압할 때 직선운동작동관(12)을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탄성력이 축적될 수 있다.
복귀선택부(40)는 직선운동작동관(12)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향운동안내경사면(41)과, 직선운동작동관(12)의 외표면 하측 영역 각 상향운동안내경사면(41)이 시작되는 지점에 형성된 직선운동안내돌부(43)와, 캡측면부(32)의 내표면에 형성된 안내홈(44), 걸림턱(45) 및 상향보조안내경사면(46)과, 직선운동작동관(12)의 하단에 형성된 축연결부(47)와, 축연결부(47)에 결합된 지지축(48)과, 용기캡(3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회전운동작동체(50)를 갖고 있다.
상향운동안내경사면(41)은 직선운동작동관(12)의 상단을 향해 경사를 이루고 직선운동작동관(12)의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한 이격거리를 두고 분산 형성되어 있다.
상향운동안내경사면(41)의 사이 영역에는 연결경사면(42)이 형성되어 있다.
직선운동안내돌부(43)는 각각 동일한 폭으로 캡측면부(32)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직선운동안내돌부(43)는 저면에 상향운동안내경사면(41)과 동일한 경사방향을 갖는 직선운동작동경사면(43a)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홈(44)은 용기바디부(11)가 캡바닥면부(31)를 향해 이동할 때 각 직선운동안내돌부(43)의 직선이동을 안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걸림턱(45)은 안내홈(44)의 바닥면에 하나 걸러 형성되어 있다.
상향보조안내경사면(46)은 용기바디부(11)가 캡바닥면부(31)를 향해 이동할 때 상향운동안내경사면(41)에 정렬하도록 안내홈(44)의 사이영역에 기립 형성되어 있다.
삭제
지지축(48)은 직선운동작동관(12)의 중심축선상에 배치되고 직선운동작동관(12)의 하단을 넘어 돌출되도록 축연결부(47)에 결합된다.
회전운동작동체(50)는 원형관형태의 회전운동작동관(51)과, 회전운동작동관(51)의 외표면에 각각 돌출형성된 회전운동작동돌부(52)와, 회전운동작동관(51)의 상단에 형성된 지지판(53)을 갖고 있다.
회전운동작동돌부(52)는 직선운동안내돌부(43)에 하나 걸러 대응하고 회전운동작동관(51)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운동작동돌부(52)는 상면에 상향운동안내경사면(41)과 동일한 경사방향을 갖는 회전운동작동경사면(52a)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판(53)은 회전운동작동관(51)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배치되도록 회전운동작동관(51)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판(53)은 회전운동작동관(51)의 중심축선상에 축공(53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회전운동작동체(50)는 안내홈(44)에서 직선운동작동경사면(43a)이 회전운동작동경사면(52a)에 접촉하고 지지판(53)의 저면에 스프링(13)이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회전운동작동체(50)는 축공(53a)에 지지축(48)이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복귀선택부(40)의 동작을 도6 내지 도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용기바디부(11)를 캡바닥면부(31)를 향해 가압하면 직선운동작동관(12)은 회전운동작동체(50)와 함께 캡바닥면부(31)를 향해 이동한다(도6 참조).
회전운동작동체(50)가 캡바닥면부(31)를 향해 이동하는 동안 스프링(13)에는 복귀탄성력이 축적된다.
회전운동작동체(50)가 캡바닥면부(31)를 향해 이동하여 직선운동작동경사면(43a)이 상향보조안내경사면(46)에 정렬되면 스프링(13)에 축적된 복귀탄성력에 의해 회전운동작동돌부(52)는 상향보조안내경사면(46)을 타고 미끄럼 이동한다(도7, 도8 및 도9 참조). 여기서 상향보조안내경사면(46)이 회전운동작동돌부(52)보다 작지 않은 높이(같거나 큰 높이)로 형성하는 경우 회전운동작동돌부(52)가 직선운동작동관(12)의 방해를 받지 아니하고 상향보조안내경사면(46)을 타고 미끄럼 이동할 수 있게 되어 바람직하다.
회전운동작동돌부(52)의 미끄럼 이동은 걸림턱(45)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된다.
상향보조안내경사면(46)이 회전운동작동돌부(52)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 회전운동작동돌부(52)는 용기바디부(11)에 대한 가압해제가 있을 때 걸림턱(45) 에 도달하게 된다.
회전운동작동돌부(52)가 걸림턱(45)에 도달하면 스프링(13)에 축적된 복귀탄성력이 직선운동작동관(12)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직선운동작동관(12)이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저지하는 복귀저지동작이 이루어진다.
스프링(13)에 축적된 복귀탄성력이 직선운동작동관(12)에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면 용기바디부(11)는 가압된 상태가 되어 용기캡(30)에 의해 둘러싸여지지 않은 구간이 감소하게 된다.
다음에 다시 용기바디부(11)를 캡바닥면부(31)를 향해 가압하면 직선운동작동관(12)은 혼자 안내홈(44)의 길이구간만큼 캡바닥면부(31)를 향해 이동한 후 회전운동작동체(50)와 함께 캡바닥면부(31)를 향해 이동한다(도10 참조).
회전운동작동체(50)가 캡바닥면부(31)를 향해 이동하는 동안 스프링(13)에는 복귀탄성력이 축적된다.
회전운동작동체(50)가 캡바닥면부(31)를 향해 이동하여 직선운동작동경사면(43a)이 상향보조안내경사면(46)에 정렬되면 스프링(13)에 축적된 복귀탄성력에 의해 회전운동작동돌부(52)는 상향보조안내경사면(46)을 타고 미끄럼 이동한다.
회전운동작동돌부(52)의 미끄럼 이동은 안내홈(44)에 진입할 때까지 계속된다.
회전운동작동돌부(52)가 안내홈(44)에 진입하면 스프링(13)에 축적된 복귀탄성력이 직선운동작동관(12)에 전달되되는 것이 허용되어 복귀저지동작을 해제하는 복귀저지해제동작이 이루어진다(도11 및 도12 참조). 그리고 안내홈(44)에서 직선 운동작동경사면(43a)이 회전운동작동경사면(52a)에 접촉하게 된다.
스프링(13)에 축적된 복귀탄성력이 직선운동작동관(12)에 전달되는 것이 허용되면 용기바디부(11)는 가압해제된 상태가 되어 용기캡(30)에 의해 둘러싸여지지 않은 구간이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립스틱용기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귀선택부(40)는 복귀저지동작상태에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입술을 단장하고자 할 때는 용기바디부(11)를 캡바닥면부(31)를 향해 가압하여 복귀선택부(40)가 복귀저지해제동작상태가 되도록 한다.
다음에 용기캡(30)을 용기바디부(11)로부터 분리시킨다.
다음에 보호관(24)을 잡고 용기바디부(11)를 회전조작하여 립스틱(201)을 보호관(24)의 외부로 노출시킨다.
노출된 립스틱으로 입술을 단장한다.
다음에 보호관(24)을 잡고 용기바디부(11)를 역방향으로 회전조작하여 립스틱(201)이 보호관(24)의 내부로 들어가도록 한다.
다음에 용기캡(30)을 용기바디부(11)에 결합한다.
마지막으로 용기바디부(11)를 캡바닥면부(31)를 향해 가압하여 복귀선택부(40)가 복귀저지동작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귀선택부(40)를 추가하여 용기캡(30)이 용기바디부(11)를 둘러싸는 구간을 조절함으로써, 립스틱(201)을 사 용하지 않을 때 용기캡(30)이 용기바디부(1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안내홈을 통해 직선운동작동관(12)의 직선이동을 안내하고 미끄럼이동동작을 통해 회전운동작동관의 회전동작을 안내함으로써, 복귀저지동작과 복귀저지해제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축(48)을 통해 회전운동작동관(51)의 회전운동을 안정적으로 유지함으로써, 복귀저지동작과 복귀저지해제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삭제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립스틱용기의 결합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립스틱용기의 분해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립스틱용기의 요부분해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립스틱용기의 단면도,
도5는 도2에 도시된 용기캡과 직선운동작동관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 도7, 도8, 도9, 도10, 도11 및 도12는 각각 도2에 도시된 복귀선택부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3은 종래의 립스틱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111 : 용기바디부 12 : 직선운동작동관
13 : 스프링 20, 120 : 립스틱홀더
30, 130 : 용기캡 31 : 캡바닥면부
32 : 캡측면부 40 : 복귀선택부
41 : 상향운동안내경사면 43 : 직선운동안내돌부
44 : 안내홈 45 : 걸림턱
46 : 상향보조안내경사면 50 : 회전운동작동체
51 : 회전운동작동관 52 : 회전운동작동돌부

Claims (4)

  1. 용기바디부와, 상기 용기바디부에 결합된 립스틱홀더와, 캡바닥면부와 상기 캡바닥면부로부터 연장형성된 원형관형태의 캡측면부를 가지고 상기 립스틱홀더에 결합된 립스틱을 둘러싸도록 상기 용기바디부에 결합된 용기캡을 갖는 립스틱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바디부는 상기 캡측면부보다 작은 원형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캡바닥면부를 향해 가압할 때 상기 캡바닥면부를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용기바디부를 상기 캡바닥면부를 향해 가압할 때 상기 캡바닥면부를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캡의 내부에 설치된 원형관 형태의 직선운동작동관과, 상기 직선운동작동관이 상기 캡바닥면부를 향해 이동할 때 상기 직선운동작동관을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탄성력을 축적하도록 상기 용기캡의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과, 상기 용기바디부을 상기 캡바닥면부를 향해 가압하는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스프링에 축적된 복귀탄성력이 상기 직선운동작동관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직선운동작동관이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저지하는 복귀저지동작과 상기 스프링에 축적된 복귀탄성력이 상기 직선운동작동관에 전달되는 것을 허용하여 상기 복귀저지동작을 해제하는 복귀저지해제동작을 교대로 수행하는 복귀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립스틱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선택부는 상기 직선운동작동관의 저면에 상기 직선운동작동관의 상단을 향해 경사를 이루고 상기 직선운동작동관의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한 이격거리를 두고 분산 형성되어 있는 상향운동안내경사면과, 상기 직선운동작동관의 외표면 하측 영역 상기 각 상향운동안내경사면이 시작되는 지점에 각각 동일한 폭으로 상기 캡측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저면에는 상기 상향운동안내경사면과 동일한 경사방향을 갖는 직선운동작동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직선운동안내돌부와, 상기 용기바디부가 상기 캡바닥면부를 향해 이동할 때 상기 각 직선운동안내돌부의 직선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캡측면부의 내표면에 형성된 안내홈과, 상기 안내홈의 바닥면에 하나 걸러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과, 상기 용기바디부가 상기 캡바닥면부를 향해 이동할 때 상기 상향운동안내경사면에 정렬하도록 상기 캡측면부의 내표면 상기 안내홈의 사이영역에 기립 형성된 상향보조안내경사면과, 원형관형태의 회전운동작동관과 상기 직선운동안내돌부에 하나 걸러 대응하고 상기 회전운동작동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배치되도록 상기 회전운동작동관의 외표면에 각각 돌출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상향운동안내경사면과 동일한 경사방향을 갖는 회전운동작동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운동작동돌부와 상기 회전운동작동관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배치되도록 상기 회전운동작동관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지지판을 가지고 상기 회전운동작동경사면이 상기 안내홈에서 상기 직선운동작동경사면에 접촉하고 상기 지지판에 상기 스프링이 접촉하도록 상기 용기캡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회전운동작동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립스틱용기.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선택부는 상기 직선운동작동관의 하단에 형성된 축연결부와, 상기 직선운동작동관의 중심축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직선운동작동관의 하단을 넘어 돌출되도록 상기 축연결부에 결합된 지지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은 상기 회전운동작동관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축이 삽입되도록 축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립스틱용기.
KR2020090013318U 2009-10-13 2009-10-13 립스틱용기 KR2004594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318U KR200459451Y1 (ko) 2009-10-13 2009-10-13 립스틱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318U KR200459451Y1 (ko) 2009-10-13 2009-10-13 립스틱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857U KR20110003857U (ko) 2011-04-20
KR200459451Y1 true KR200459451Y1 (ko) 2012-03-27

Family

ID=44209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3318U KR200459451Y1 (ko) 2009-10-13 2009-10-13 립스틱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45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086U (ko) * 2016-06-21 2019-01-08 샤 흐신 패키징 인더스트리 (차이나) 코., 엘티디. 프레스형 화장품 커버 구조
WO2019009537A1 (ko) 2017-07-03 2019-01-10 펌텍코리아(주) 측면버튼이 구비된 스틱형 화장료용기
KR20210028485A (ko) * 2019-09-04 2021-03-12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099Y1 (ko) * 2015-08-21 2017-04-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용 도구
KR102068148B1 (ko) * 2018-09-13 2020-01-20 (주)아모레퍼시픽 립스틱 인출이 편리한 립스틱 보호케이스
KR102282237B1 (ko) * 2019-10-29 2021-07-27 (주)연우 출몰식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79410U (ko) * 1987-11-13 1989-05-29
KR200181122Y1 (ko) 1999-11-27 2000-05-15 김금례 스프링이 이중으로 내장된 화장용품 케이스
KR200230137Y1 (ko) 2000-12-18 2001-07-03 주식회사 다인산업 정량의 화장액을 공급할 수 있는 버튼식 화장용기
KR100913110B1 (ko) 2009-03-25 2009-08-19 이성환 화장품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79410U (ko) * 1987-11-13 1989-05-29
KR200181122Y1 (ko) 1999-11-27 2000-05-15 김금례 스프링이 이중으로 내장된 화장용품 케이스
KR200230137Y1 (ko) 2000-12-18 2001-07-03 주식회사 다인산업 정량의 화장액을 공급할 수 있는 버튼식 화장용기
KR100913110B1 (ko) 2009-03-25 2009-08-19 이성환 화장품 케이스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086U (ko) * 2016-06-21 2019-01-08 샤 흐신 패키징 인더스트리 (차이나) 코., 엘티디. 프레스형 화장품 커버 구조
KR200491443Y1 (ko) 2016-06-21 2020-04-09 샤 흐신 패키징 인더스트리 (차이나) 코., 엘티디. 프레스형 화장품 커버 구조
WO2019009537A1 (ko) 2017-07-03 2019-01-10 펌텍코리아(주) 측면버튼이 구비된 스틱형 화장료용기
CN110799061A (zh) * 2017-07-03 2020-02-14 蒲木科技韩国株式会社 具有侧面按钮的杆型化妆品材料用容器
US11375796B2 (en) 2017-07-03 2022-07-05 Pum-Tech Korea Co., Ltd Stick-type cosmetic material container having side button
CN110799061B (zh) * 2017-07-03 2022-07-12 蒲木科技韩国株式会社 具有侧面按钮的杆型化妆品材料用容器
KR20210028485A (ko) * 2019-09-04 2021-03-12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용기
KR102635516B1 (ko) 2019-09-04 2024-02-08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857U (ko) 201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9451Y1 (ko) 립스틱용기
JP3207151U (ja) 係止保持装置
US8813298B2 (en) Cleaning tool and stick-like tool
KR101058055B1 (ko) 화장품 용기
JP5702804B2 (ja) 格納式塗布具要素を有するスティック状化粧品または衛生製品用容器
JP2011207469A (ja) スイベルキャスター
US7441482B2 (en) Quick switching hand tool
CN104274122A (zh) 吸尘器-抽吸管
US6318776B1 (en) Tongs for holding cooking container
US8632442B2 (en) Weight control apparatus for a weight training machine
ES2645103T3 (es) Válvula alimentadora y mecanismo de pulsador para control multi-medida de dicha válvula de alimentación
WO2016190045A1 (ja) トリガスイッチ
US8459890B2 (en) Cylindrical cosmetic container
JP2018058580A (ja) 動力で動く乗物用のギア・シフト装置
CN109890570A (zh) 蓄电池容纳部
US20030074988A1 (en) Pipette device
EP3593670A1 (en) Cosmetic container
GB2428190A (en) Locking mechanism for castor
JP4384539B2 (ja) シフトレバー
US20120030946A1 (en) Electric Hair Removal Apparatus
JP3214750U (ja) スーツケースキャスターのロック装置
JP6682877B2 (ja) セレクタスイッチ
CN100389716C (zh) 可自挤干的拖把及其反转锁止装置
JP7065695B2 (ja) 吐出容器
AU2017279754B2 (en) Push-button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