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449Y1 - 스티치캠 작동장치 - Google Patents

스티치캠 작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449Y1
KR200459449Y1 KR2020100005413U KR20100005413U KR200459449Y1 KR 200459449 Y1 KR200459449 Y1 KR 200459449Y1 KR 2020100005413 U KR2020100005413 U KR 2020100005413U KR 20100005413 U KR20100005413 U KR 20100005413U KR 200459449 Y1 KR200459449 Y1 KR 2004594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guide
stitch cam
stitch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54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1106U (ko
Inventor
이백용
Original Assignee
이백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백용 filed Critical 이백용
Priority to KR20201000054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449Y1/ko
Publication of KR201100111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1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4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449Y1/ko

Links

Images

Landscapes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말의 제조기에서 루프(= 코)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스티치캠 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양말을 제조함에 있어서 항상 동일한 크기의 핀을 실린더에 걸어 사용해야만 하던 종래의 기기를 통해서는 핀을 일정한 폭만큼 하향시켜 루프(= 코)의 크기를 일정하게 제작했지만, 본 고안의 스티치캠 작동장치로는 절곡부의 길이를 달리한 핀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그 절곡부의 길이에 따라 서로 다른 하향의 폭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하여 하나의 양말이지만 짜여진 루프(= 코)의 크기는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스티치캠 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티치캠 작동장치{The device to control stitch cam}
본 고안은 양말의 제조기에서 루프(= 코)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스티치캠 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양말을 제조함에 있어서 항상 동일한 크기의 핀을 실린더에 걸어 사용해야만 하던 종래의 기기를 통해서는 핀을 일정한 폭만큼 하향시켜 루프(= 코)의 크기를 일정하게 제작했지만, 본 고안의 스티치캠 작동장치로는 절곡부의 길이를 달리한 핀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그 절곡부의 길이에 따라 서로 다른 하향의 폭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하여 하나의 양말이지만 짜여진 루프(= 코)의 크기는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스티치캠 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말 제조기는 원통형의 실린더의 상부를 돌려서 다수의 핀(9)을 결합시키고, 상기 핀(9)의 상단 후크(2)로 실을 공급하면서 상기 실린더가 핀과 함께 회전하면서 차곡차곡 루프(= 코; 8)를 떠가며 양말을 제작하는 기계를 칭한다.
그런데 종래의 이러한 양말 제조기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실을 공급하는 실린더는, 그 실을 가지고 상향과 하향을 반복해야만 하는 핀(9)의 후크(2)가 수준이 동일해야만 가능했다. 그리고 이에 따라 항상 상기 실린더에 체결되는 핀(9)의 길이와 그 절곡부(1)는 일정한 길이를 유지해야만 했다. 이러한 양말 제조기는 일반적인 루프(= 코; 8)를 일정하게 가진 양말만을 제조할 수 있다. 즉, 양말은 보다 조밀하게 코를 짜서 밀도가 높은 상태로 제조해야만 하는 발바닥부분과, 통풍을 위하고 상표의 로고를 새길 수 있는 발다닥부분과 발등부분을 연결하는 연결부분은 동시에 제작될 수 없는 것이었다. 결국 종래의 양말 제조기는 하나의 양말에 다수의 밀도를 가진 부분들이 동시에 직조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하지 못하였던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서 도시된 도 3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양말이 떠지는 과정을 살펴보면, 연속된 실이 공급되면서 핀(9)의 후크(3)를 통해서 도시된 도 3와 같은 루프(= 코; 8)가 연속되어 생산되고, 그 끝단은 다시 다른 루프(= 코; 8)가 연결되어 양말이 완성된다. 그런데 상기 루프(8)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은 실을 잡고 하향하는 핀의 상향과 하향의 폭이다. 상기 핀(9)이 많이 하향하게 되면 실을 많이 가지고 내려와 보다 넓고 하향된 루프(8)를 형성하고, 조금 가지고 하향하게 되면 보다 좁은 형태의 루프(8)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핀(9)을 가지고 하향시키는 구성이 바로 스티치캠 작동장치이다.
회전하는 실린더에 체결된 핀(9)들은 상기 스티치캠과 캠레일 사이의 공간부를 이동하면서 스티치캠의 가이드외곽부를 타고 상승과 하향을 반복하면서 양말의 루프(= 코; 8)를 짖는 것이다. 결국 종래의 대다수의 스티치캠은 고정된 형태를 유지하기에 루프의 크기를 다르게 제작하기 힘들었다.
물론 종래의 기기 중에는 투입되는 실의 두께를 조절하여 루프의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이 사용되었고, 일단 기기의 작동을 멈추고 스티치캠의 하향 높이를 제어하여 서로 다른 루프의 크기를 결정하는 기기가 존재하기는 했다. 그러나 이러한 모든 기기들 중 하나의 양말을 제조하면서 기기의 작동을 중지시키지 않고, 어떤 부분의 루프는 크게 형성하고 어떤 부분의 루프는 작게 동시에 형성시킬 수 있는 가변적인 스티치캠 작동장치는 본 고안이 처음이다.
본 고안은 양말의 제조기에서 루프(= 코)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스티치캠 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양말을 제조함에 있어서 항상 동일한 크기의 핀을 실린더에 걸어 사용해야만 하던 종래의 기기를 통해서는 핀을 일정한 폭만큼 하향시켜 루프(= 코)의 크기를 일정하게 제작했지만, 본 고안의 스티치캠 작동장치로는 절곡부의 길이를 달리한 핀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그 절곡부의 길이에 따라 서로 다른 하향의 폭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하여 하나의 양말이지만 짜여진 루프(= 코)의 크기는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스티치캠 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스티치캠 작동장치는, 2단으로 커팅된 바 형상의 제1캠지지가이더(11)와 제2캠지지가이더(12)를 중심부에서 터진 가이드공(B)으로 가이드하는 레일블럭(10); 상기 제1캠지지가이더(11)의 전면에 체결되고 내측에 캠연동홈(21)을 가진, 주스티치캠(20); 상기 제2캠지지가이더(12)의 전면에서 상기 주스티치캠(20)의 캠연동홈(21) 내측에 체결되어 주스티치캠(20)의 내측과 하부로 이동가능한 보조스티치캠(30); 상기 스티치캠(20, 30)의 하단으로 레일블럭(10)의 전면에 체결되어 핀(9)의 상하연동을 스티치캠(20, 30)과 함께 가이드하는 캠레일(40)이; 결합하여 서로 다른 절곡부(1)의 길이를 가진 핀(9)을 사용하면서 양말의 서로 다른 크기의 루프(코; 8)를 하나의 기계를 통해서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 스티치캠 작동장치에 따른, 상기 주스티치캠(20)과 보조스티치캠(30)은, 그 외형상이 동일한 "V"형의 가이드외곽부(26)를 형성하고, 주스티치캠(20)과 그 내측에 보조스티치캠(30)이 겹쳐서 형성되어, 보조스티치캠(30)이 캠연동홈(21)의 내, 외부로 상하 연동될 수 있도록 하고 : 레일블럭(10)의 최 상단에는, 일측이 연동가능하게 고정되어, 타측의 레일블럭(10)으로 뻗은 편의 형태의 레버플레이트(60)를 형성하여, 상기 일렬로 체결된 제1캠지지가이더(11)와 제2캠지지가이더(12)를 동시에 동일 높이로 하향시켜 깊고 넓은 양말의 루프(코; 8)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며 : 상기 하단의 제2캠지지가이더(12)의 끝부분 가이더바블럭(A)에는 일측에서 돌출되는 스톱퍼부(18)를 형성하여, 스톱퍼부(18) 가압시 제2캠지지가이더(12)와 보조스티치캠(30)만을 하향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 스티치캠 작동장치에 따른, 스톱퍼부(18)는 에어실린더의 공압을 통해서 제2캠지지가이더(12)를 간헐적으로 하향시킬 수 있도록 하고 : 가이더바블럭(A)의 일측에는 상부로 가이더바블럭(A)을 항상 당기고 있는 탄성스프링(71)을 체결한다.
본 고안에 따라 하나의 양말을 제조하면서 양말을 형성하는 루프들간의 크기를 완벽하게 조절하여 어떤 부위는 크게 형성시키고 어떤 부위는 작게 형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라 하나의 양말을 제조하면서, 양말의 발바닥부분은 밀도가 높고 조밀한 루프로서 직조를 하고, 발바닥과 발등을 연결하는 부위는 다소 밀도가 작고 루프의 크기가 커서 통풍성을 향상시킨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라 루프를 형성하는 스티치캠을 주스티치캠과 보조스티치캠으로 형성하고, 상기 스티치캠을 동시에 하향시킬 수도 있지만 보조스티치캠만을 하향시켜 서로 다른 하향의 높이를 제어할 수 있어, 보다 다양한 양말을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스티치캠 작동장치를 결합하여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스티치캠 작동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스티치캠 작동장치를 통해서 제어될 수 있는 루프(= 코)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절곡부가 다른 핀과 스티치캠과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스티치캠 작동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스티치캠 작동장치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스티치캠이 별도로 작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은 스티치캠 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구성과 그 작동을 도시된 도 1 내지 도 7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작동장치는 2단으로 커팅된 바 형상의 제1캠지지가이더(11)와 제2캠지지가이더(12)를 중심부에서 터진 가이드공(B)으로 가이드하는 레일블럭(10)이 있고, 상기 제1캠지지가이더(11)의 전면에 체결되고 내측에 캠연동홈(21)을 가진, 주스티치캠(20)이 있으며, 상기 제2캠지지가이더(12)의 전면에서 상기 주스티치캠(20)의 캠연동홈(21) 내측에 체결되어 주스티치캠(20)의 내측과 하부로 이동가능한 보조스티치캠(30)이 있다. 또한 상기 스티치캠(20, 30)의 하단으로 레일블럭(10)의 전면에 체결되어 핀(9)의 상하연동을 스티치캠(20, 30)과 함께 가이드하는 캠레일(40)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여 서로 다른 절곡부(1)의 길이를 가진 핀(9)을 사용하면서 양말의 서로 다른 크기의 루프(코; 8)를 하나의 기계를 통해서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조적인 큰 특징은 하나의 양말 제조기를 통해서 서로 다른 크기의 루프(= 코; 8)를 직조하여 하나의 양말에 서로 다른 섬유 밀도를 가진 부분을 동시에 형성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이를 보다 세밀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시된 도 3을 통해 설명하자면, 종래의 양말 제조기나 본 고안의 양말 제조기나 대다수의 양말 제조기들은 하나 하나의 루프(= 코; 8)를 떠서 직조를 완성한다. 이때 도시된 형상의 코를 떠서 직조를 하게 되는데, 상기 코의 크기가 크면 보다 밀도가 작은 부분이 형성되어 통풍이 유리하고, 상기 코의 크기가 작으면 보다 밀도가 큰 부분이 형성되어 통풍이 없이 땀 흡수를 유리하게 한다. 전자인 통풍이 유리한 부분은 양말의 발바닥부분과 발등부분을 연결하는 연결부일 경우가 많고, 발 바닥부분은 밀도를 크게하고 그 코를 작게하여 두툼하게 직조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이러한 코를 형성시키는 구성이 본 고안과 같은 양말 제직기에서 스티치캠 작동장치인데, 특히 이 스티치캠(20, 30)의 가이드홈(K)의 높이 차를 따라 상하 연동하는 핀(9)이 상단의 후크부(2)를 통해서 끌어내리는 실의 길이에 따라 코의 크기는 결정된다. 끌어내리는 실의 길이가 길수록 큰 루프(= 코; 8)가 형성되고 끌어내리는 실이 길이가 작을 수록 작은 루프(= 코; 8)가 형성된다. 이 원리는 도시된 도 4, 5와 같은 스티치캠(20, 30)과 캠레일(40) 사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K)을 타고 핀(9)의 절곡부(1)가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홈(K)은 스티치캠(20, 30)의 가이드외곽부(26)가 "V"자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에 상기 가이드외곽부(26)를 타고 핀(9)의 절곡부(1)가 이동하면 가이드외곽부(26)의 높이 차만큼 하향하였다가 다시 상승하는 작동을 하는 것이다. 이 핀(9)은 하향하면서 실을 가지고 내려가며, 루프(= 코; 8)를 형성시킨다. 결국 상기 코(8)의 크기는 상기 가이드외곽부(26)를 타고 이동하면서 하강을 하는 핀(9)의 이동거리만큼이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특이하게도 이러한 스티치캠(20, 30)이 2개가 형성된다. 전방으로 도시된 도 1 내지 5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주스티치캠(20)이 있고, 상기 주스티치캠(20)의 내부인 캠연동홈(21) 내측에 상하로 연동가능한 보조스티치캠(30)이 있다. 상기 보조스티치캠(30)은 간헐적으로 돌출되어 필요시에만 캠연동홈(21)에서 빠져나와 주스티치홈(20)의 아래로 돌출되는 위치를 확보가능하다. 이는 본 고안에서 아주 중요한 사항인데, 이 때문에 본 고안은 하나의 양말을 직조하면서 서로 다른 코(8)의 크기를 가진 양말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도시된 도 4와 5에서처럼, 만일 상기 주스티치캠(20)의 아래로 보조스티치캠(30)이 돌출된 상태라면, 그 정확한 위치가 주스티치캠(20)이 전방에 있고, 그 후방에 다소 포개인 위치에 보조스티치캠(30)이 있는 것이다. 이 보조스티치캠(30)은 상기 주스티치캠(20)에 비하여 간헐적으로 캠연동홈(21)에서 빠져나와 보다 하향된 위치를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대응되게 도 4에 도시된 핀의 경우 그 절곡부(1)의 길이가 서로 다른 핀(9)이 본 고안의 직조기에 장착된다. 상기 핀(9)의 절곡부(1)는 도시된 도 4(a)에서처럼 짧은 형태의 절곡부(t1)의 핀이 있고, 긴 형태의 절곡부(t2) 핀(9)이 있다. 이 핀(9)들 중 짧은 절곡부(t1) 형태의 핀(9)은 루프(= 코; 8)가 작은 직조를 위해서 장착되고 루프(= 코; 8)가 넓은 직조를 위한 위치에는 핀(9)의 절곡부(t2)가 긴 것을 장착한다.
그리고 이러한 핀(9)이 상기 스티치캠(20, 30)의 가이드외곽부(26)를 지나게 되면, 짧은 절곡부(1)의 핀(9)은 그 길이가 짧기에 후방의 보조스티치캠(30)에 걸리지 않고 전방의 주스티치캠(20)의 가이드외곽부(26)를 타고 이동하며 하향하는 것이다. 결국 주스티치캠(20)의 가이드외곽부(26)를 타고 짧은 거리만큼 하향했다가 다시 복귀하면서 짧은 루프(= 코; 8)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반하여 핀(9)의 절곡부(1)가 긴 형태는 그 길이가 길기에 주스티치캠(20)과 함께 보조스티치캠(30)의 외곽부까지 영역을 미치게 된다. 결국 최 끝단이 보조스티치캠(30)의 가이드외곽부(26)에 걸려 어쩔 수 없이 보조스티치캠(30)의 가이드외곽부(26)를 타고 상하 연동하는 것이다. 전술된 주스티치캠(20)에 비하여 하향하여 돌출된 보조스티치캠(30)의 가이드외곽부(26) 만큼 더 하향시켜 핀(9)을 안내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도 3에서 보이는 더 깊은 거리만큼 핀(9)이 실을 잡아당기는 결과를 가져와 보다 큰 루프(= 코; 8)를 형성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바로 본 고안은 이러한 하나의 양말을 직조하면서도 서로 다른 루프(= 코; 8)를 가진 양말을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큰 특징이다. 도 3에서는 더 큰 루프(h2)와 작은 루프(h1)를 별도로 도시하고 있다. h2 루프가 보조스티치캠(30)을 타고 승하강 하는 긴 절곡부(t2)를 가진 핀(9)이 형성시킨 루프이다.
그럼 이러한 작동을 위해서 형성된 스티치캠(20, 30)의 구성을 그 형태면에서 상세히 살펴본다. 본 고안은 전술된 작동을 위해서 중심에 가이드공(B)이 형성된 레일블럭(10)이 있다. 이 레일블럭(10)의 가이드공(B)에는 제1캠지지가이더(11)가 끼워지고 그 하단으로 제2캠지지가이더(12)가 순차적으로 끼워진다. 상기 가이드공(B)을 타고 상기 제1캠지지가이더(11)와 제2캠지지가이더(12)는 슬라이딩되면서 승하강이 가능하지만, 그 순서를 바꿀 수는 없는 고정된 위치를 확보한다. 항상 제2캠지지가이더(12)가 제1캠지지가이더(11)의 아래에 위치할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제1캠지지가이더(11)의 전방에는 상기 주스티치캠(20)이 체결된 상태이기에 주스티치캠(20)이나 제1캠지지가이더(11)가 승하강 운동을 하게 되면 동시에 같은 거리를 연동하게 된다. 제2캠지지가이더(12)의 전방에는 상기 보조스티치캠(30)이 체결된 상태이기에 이 구성들도 모두 동일한 연동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첨가된 구성으로 상기 캠레일(40)이 존재하는데 이 구성은 상기 핀(9)의 절곡부(1)가 캠레일(40)과 스티치캠(20, 30)의 사이 가이드홈(K)을 타고 이동할 때 핀(9)을 원래대로 복귀시킬 수 있는 가이드레일이 되는 역할을 한다.
그럼 본 고안의 보다 세부적인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주스티치캠(20)과 보조스티치캠(30)은, 그 외형상이 동일한 "V"형의 가이드외곽부(26)를 형성하고, 주스티치캠(20)과 그 내측에 보조스티치캠(30)이 겹쳐서 형성되어, 보조스티치캠(30)이 캠연동홈(21)의 내, 외부로 상하 연동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고안의 주스티치캠(20)과 보조스티치캠(30)의 보다 정확한 위치에 대한 정의로 주스티치캠(20)의 내측 캠연동홈(21)에 상기 보조스티치캠(30)을 내장시키되 필요에 따라서 상기 보조스티치캠(30)을 하향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실시한다. 물론 상기 주스티치캠(20)이나 보조스티치캠(30)의 외형은 모두 "V"자형의 가이드외곽부(26)를 가질 수 있도록 해야만 대응되는 핀(9)과 상호 결합하여 핀(9)의 승하강을 용이하게 가이드할 것이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서 레일블럭(10)의 최 상단에는, 일측이 연동가능하게 고정되어, 타측의 레일블럭(10)으로 뻗은 편의 형태의 레버플레이트(60)를 형성하여, 상기 일렬로 체결된 제1캠지지가이더(11)와 제2캠지지가이더(12)를 동시에 동일 높이로 하향시켜 깊고 넓은 양말의 루프(코; 8)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스티치캠 작동장치는 스티치홈 자체를 간헐적으로 하향시킬 수 있다. 이를 담당하는 구성이 상기 레버플레이트(60)이다. 상기 레버플레이트(60)는 도시된 도면에서처럼, 일측이 레일블럭(10)에 연동가능하게 체결되지만 타측은 자유단으로 형성되어 승하강이 가능한 플레이트 형태이다. 그리고 상기 레버플레이트(60)의 직 하단에는 도시된 제1캠지지가이더(11)가 면접된 상태이고, 상기 제1캠지지가이더(11)의 하단에는 제2캠지지가이더(12)가 면접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레버플레이트(60)가 가압되면 상기 제1캠지지가이더(11)와 제2지지가이더(12)는 레버플레이트(60)가 가압한 상태로 하향하여 루프(= 코; 8)를 형성하게 된다. 본 고안의 상기 제1캠지지가이더(11)와 제2캠지지가이더(12)는 후술되는 탄성스프링(71)에 의해서 항상 상부로 올라가려는 탄성력을 부여받고 있기에 이러한 레버플레이트(60)의 작동은 간헐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레버플레이트(60)의 가압을 공압실린더를 통한 가압력으로 작동시키고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서는 상기 하단의 제2캠지지가이더(12)의 끝부분 가이더바블럭(A)에는 일측에서 돌출되는 스톱퍼부(18)를 형성하여, 스톱퍼부(18) 가압시 제2캠지지가이더(12)와 보조스티치캠(30)만을 하향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항상 제1캠지지가이더와 제2캠지지가이더는 상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고 있다. 이때 레버플레이트(60)를 통해서 상기 제1, 2캠지지가이더(11, 12)를 동시에 하향시키는 작용이 있을 수 있지만, 본 고안에서는 제1캠지지가이더(11)는 상향된 위치로 있지만 제2캠지지가이더(12)는 하향된 위치로 작동시켜 보조스티치캠(30)을 하향시키는 동작도 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2캠지지가이더(12)와 일체로 형성되는 가이더바블럭(A)의 끝단부분에 스톱퍼부(18)를 형성하고, 이 스톱퍼부(18)에 공압을 통해서 가압력을 작용시키게 되면, 상기 제1캠지지가이더(11)는 상부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2캠지지가이더(12)는 그 보조스터치캠(30)과 함께 하향하여 큰 루프(= 코; 8)를 형성시킨다.
즉, 본 고안에서는 상기 스톱퍼부(18)는 에어실린더의 공압을 통해서 제2캠지지가이더(12)를 간헐적으로 하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가이더바블럭(A)의 일측에는 상부로 가이더바블럭(A)을 항상 당기고 있는 탄성스프링(71)을 체결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이더바블럭(A)은 항상 상부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어서 제2캠지지가이더(12)와 보조스티치캠(30)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작동되어야만 한다. 특별히 큰 코를 형성하기 위해서 간헐적으로 보조스티치캠(30)을 하향시켜야만 하기에 이러한 특별한 경우에만 에어실린더의 작동을 통해서 스톱퍼부(18)가 눌려 가이더바블럭(A), 제2캠지지가이더(12) 및 보조스티치캠(30)이 하향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시간은 상기 가이더바블럭(A)이 상승된 위치를 확보해야만 하기에 상기 가이더바블럭(A)의 끝단에 탄성스프링(71)을 체결하고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주고 있어야만 하는 것이다.
도시된 도 7을 참조하여 작동을 설명하자면, 도 7의 (a)는 스티치캠에 어떠한 작동을 부가하지 않은 상태 즉, 레버플레이트의 가압도 없는 일반적인 상태의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런 스터치캠 작동장치가 상기 레부플레이트가 눌리게 되면 제1캠지지가이더와 제2캠지지가이더가 동시에 하향한 도 7의 (b)와 같은 상태로 전환된다. 그리고 이러한 작동이 없이 상기 가이더바블럭의 스톱퍼부가 가압되면 제2캠지지가이더가 그 보조스터치캠과 함께 하향하여 큰 코를 형성시키게되는데 이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 도 7의 (c)이다.
10; 레일블럭 11; 제1캠지지가이더
12; 제2캠지지가이더 B ; 가이드공
20; 주스티치캠 21; 캠연동홈
26; 가이드외곽부 30; 보조스티치캠
40; 캠레일 60; 레버플레이트
71; 탄성스프링

Claims (6)

  1. 스티치캠 작동장치에 있어서,
    2단으로 커팅된 바 형상의 제1캠지지가이더(11)와 제2캠지지가이더(12)를 중심부에서 터진 가이드공(B)으로 가이드하는 레일블럭(10);
    상기 제1캠지지가이더(11)의 전면에 체결되고 내측에 캠연동홈(21)을 가진, 주스티치캠(20);
    상기 제2캠지지가이더(12)의 전면에서 상기 주스티치캠(20)의 캠연동홈(21) 내측에 체결되어 주스티치캠(20)의 내측과 하부로 이동가능한 보조스티치캠(30);
    상기 스티치캠(20, 30)의 하단으로 레일블럭(10)의 전면에 체결되어 핀(9)의 상하연동을 스티치캠(20, 30)과 함께 가이드하는 캠레일(40)이; 결합하여 서로 다른 절곡부(1)의 길이를 가진 핀(9)을 사용하면서 양말의 서로 다른 크기의 루프(코; 8)를 하나의 기계를 통해서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치캠 작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스티치캠(20)과 보조스티치캠(30)은,
    그 외형상이 동일한 "V"형의 가이드외곽부(26)를 형성하고, 주스티치캠(20)과 그 내측에 보조스티치캠(30)이 겹쳐서 형성되어, 보조스티치캠(30)이 캠연동홈(21)의 내, 외부로 상하 연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치캠 작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레일블럭(10)의 최 상단에는,
    일측이 연동가능하게 고정되어, 타측의 레일블럭(10)으로 뻗은 편의 형태의 레버플레이트(60)를 형성하여, 상기 레일블럭(10)에 일렬로 체결된 제1캠지지가이더(11)와 제2캠지지가이더(12)를 동시에 동일 높이로 하향시켜 깊고 넓은 양말의 루프(코; 8)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치캠 작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의 제2캠지지가이더(12)의 끝부분 가이더바블럭(A)에는 일측에서 돌출되는 스톱퍼부(18)를 형성하여, 스톱퍼부(18) 가압시 제2캠지지가이더(12)와 보조스티치캠(30)만을 하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치캠 작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스톱퍼부(18)는 에어실린더의 공압을 통해서 제2캠지지가이더(12)를 간헐적으로 하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치캠 작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가이더바블럭(A)의 일측에는 상부로 가이더바블럭(A)을 항상 당기고 있는 탄성스프링(71)을 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치캠 작동장치.
KR2020100005413U 2010-05-25 2010-05-25 스티치캠 작동장치 KR2004594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413U KR200459449Y1 (ko) 2010-05-25 2010-05-25 스티치캠 작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413U KR200459449Y1 (ko) 2010-05-25 2010-05-25 스티치캠 작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106U KR20110011106U (ko) 2011-12-01
KR200459449Y1 true KR200459449Y1 (ko) 2012-03-27

Family

ID=47625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5413U KR200459449Y1 (ko) 2010-05-25 2010-05-25 스티치캠 작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44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0613B1 (ko) 2018-06-11 2019-09-11 이백용 양말 편직기용 커팅 조절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664Y1 (ko) * 1993-08-20 1995-05-11 주원기업 주식회사 환편기의 편직 간극 조절장치
JPH1053944A (ja) 1996-07-31 1998-02-24 Hakuryu Kikaisho Kofun Yugenkoshi 丸編機のジャカード装置
KR20090027427A (ko) * 2007-09-12 2009-03-17 파이룽 머시너리 밀 코., 엘티디. 원형 편직기용 방적사 루프 밀도 조정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664Y1 (ko) * 1993-08-20 1995-05-11 주원기업 주식회사 환편기의 편직 간극 조절장치
JPH1053944A (ja) 1996-07-31 1998-02-24 Hakuryu Kikaisho Kofun Yugenkoshi 丸編機のジャカード装置
KR20090027427A (ko) * 2007-09-12 2009-03-17 파이룽 머시너리 밀 코., 엘티디. 원형 편직기용 방적사 루프 밀도 조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106U (ko) 201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35218C (zh) 横机的喂纱装置的纱线供给器
CN100445447C (zh) 纬编机的导纱器
CN101018901B (zh) 横机的喂纱装置的纱线供给器
KR101178028B1 (ko) 양말편직기를 이용한 덧버선, 그 제직장치 및 제직방법
CN106087225A (zh) 一种两面提花双向移圈圆型纬编电脑针织机
KR102240621B1 (ko) 자카드 직기를 이용한 꼬임 레노직물의 무늬 및 홀 선명도 개선방법 및 장치
CN107574553B (zh) 可分段走针的提花片组件、纬编机针床提花机构及纬编机
KR200459449Y1 (ko) 스티치캠 작동장치
TWI743527B (zh) 紗羅綜絲織機之導引裝置
CN106637638B (zh) 一种纵向鞋眼扣花型的编织方法
CN202187152U (zh) 一种电子提花针织圆纬机的三角机构
CN104420068B (zh) 用于编织机的经线的积极进给装置及编织机
CN215826357U (zh) 一种弦丝排图机
ITTO990983A1 (it) Macchina per maglieria crochet di larghezza ristretta avente un meccanismo di azionamento per una barra di guida di trama e per due o piu' b
US2868231A (en) Pile fabric loom and pile wire therefor
CN105525432B (zh) 机编织针、用于缝线形成的装置及该装置在编织机中的使用
JPS641577B2 (ko)
KR101155205B1 (ko) 색상 무늬 메쉬를 형성하는 직물 편직기
TWM539515U (zh) 改良型織針
CN106087224A (zh) 一种单面移圈圆型纬编电脑针织机
CN116623353A (zh) 一种手套双向编织的三角装置
KR200467945Y1 (ko) 덧버선 편직기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덧버선
CN107641891B (zh) 一种双卫衣机
CN116200866A (zh) 一种暗花纺织物的编织方法
KR101161824B1 (ko) 다변화 패턴 직물 제조용 종광 모듈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