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0621B1 - 자카드 직기를 이용한 꼬임 레노직물의 무늬 및 홀 선명도 개선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자카드 직기를 이용한 꼬임 레노직물의 무늬 및 홀 선명도 개선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0621B1
KR102240621B1 KR1020200003997A KR20200003997A KR102240621B1 KR 102240621 B1 KR102240621 B1 KR 102240621B1 KR 1020200003997 A KR1020200003997 A KR 1020200003997A KR 20200003997 A KR20200003997 A KR 20200003997A KR 102240621 B1 KR102240621 B1 KR 102240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d
jacquard
leno
pattern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3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수
Original Assignee
이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수 filed Critical 이영수
Priority to KR1020200003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06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with weave pattern being non-standard or providing special effec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3/00Jacquar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7/00Leno or similar shedding mechanisms
    • D03C7/005Combined leno and patterned shedding motion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9/00Healds; Heald frames
    • D03C9/02Heal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9/00Gauze or leno-woven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무늬가 있는 천을 짤 때 경사를 엇바꾸어 아래위로 이동시켜 다수의 경사를 자유롭게 움직여 무늬를 짜는 카자드 직기에 두 경사를 꽈서 위사를 타이트하게 잡아 짜는 레노직물의 무늬와 홀 선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경사의 수를 증가시켜 고본수의 레노직물을 제직할 수 있도록 한다.
원사를 2가닥을 양측에 구비하되, 그 사이에는 2가닥 내지 6가닥씩 구비한 원사들이 길이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규칙적으로 나열되어 공급하는 경사를 구비하되, 상기 경사의 원사는 레노종광으로, 상기 원사는 자카드종광으로 개별적으로 공급되어 인입시키는 경사공급단계와, 상기 경사공급단계의 레노종광과 자카드종광의 상측에는 자카드묘듈이 연결되도록 구비하되, 상기 자카드묘듈에 공급되는 경사들은 각각 개별적 승·하강 작동에 따라 경사의 꼬임과 비꼬임시에 무늬를 형성하고, 꼬임시에는 홀이 형성되는 문양형성단계와, 상기 문양형성단계를 통해 꼬임과 비꼬임시 원사의 굵기 비율을 조절하여 배출되는 경사의 원사에 의해 선명한 무늬와 홀이 형성되어 위사에 의해 제직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한다.
본 발명은 경사가 공급되어 제직되어 배출될 때 각각 독립적으로 공급되는 레노종광에 원사와 자카드종광의 원사를 제직물의 형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고본수의 제직물을 제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자카드 직기를 이용한 꼬임 레노직물의 무늬 및 홀 선명도 개선방법 및 장치{The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sharpness of twisted leno fabric knitted and holes using a jacquard loom}
본 발명은 자카드 직기를 이용한 꼬임 레노직물의 무늬 및 홀 선명도 개선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무늬가 있는 천을 짤 때 경사를 엇바꾸어 아래위로 이동시켜 다수의 경사를 자유롭게 움직여 무늬를 짜는 카자드 직기에 두 경사를 꽈서 위사를 타이트하게 잡아 짜는 레노직물의 무늬와 홀 선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경사의 수를 증가시켜 고본수의 레노직물을 제직할 수 있도록 한 자카드 직기를 이용한 꼬임 레노직물의 무늬 및 홀 선명도 개선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자카드제직기는 통상 400~1200개의 실을 자유로이 끌어올릴 수 있으며, 경사의 수를 단위로 하여 분할하는데 분할의 경계가 직물 무늬의 경계가 되어 경사의 무늬에 따라 끌어올려 벌어진 경사 속에 위사를 넣어 무늬 직물을 짜는 방식이 일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자카드제직기를 통해 생산되는 직물중에서 성글한 망사 형태로 짜여져 통기성이 우수한 망이나 메쉬소재(스포츠 의류 또는 기능성 의류)로 제직하여 생산하는 레노직물을 생산할 수 있다.
레노직물은 복잡한 문양을 나타낸 직물을 총칭하나 일반적으로 특수직기를 사용하여 문양을 나타낸 직물 또는 2가지 이상의 조직을 짜 맞추어서 형상적인 여러 가지 무늬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자카드 직조기를 이용한 레노직물의 다양한 무늬형성 방법 및 장치에 관련되 다양한 기술분야의 선행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한 예로 앞서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663923호(공개일자: 2016.08.23.)에서 “경사(1)(1a) 한 쌍이 종광(20)의 동작에 따라 상·하로 운동하면서 교차할 때 그 사이로 가로질러 통과하는 위사(2)의 위입 및 얽힘에 따라 제직되고, 밀도가 성글하며 통풍성이 우수한 그물망 형태의 직물패턴인 후레이원단(30)에 무늬(P)를 형성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경사(1)(1a)의 개구운동(상·하로 교차시키는 운동)시, 상·하 교차에 의한 단순한 결속이 아니라 경사(1)(1a)와 위사(2)간 뒤틀어지고 휘감기는 형태로 얽혀 절대 빠지지 않도록 그 완결적 꼬임(C)을 부여시키는 이중 후레이 종광(20)(20a)을 이용하는 것과;
상기 완결적 꼬임(C)의 부여시 한번의 개구운동(S)(한 쌍의 경사가 상·하로 교차하는 운동)에 대하여,
완결적 꼬임을 1회 회피한 것(C-1) 또는 완결적 꼬임을 2회 회피한 것(C-2) 또는 완결적 꼬임을 3회 회피한 것(C-3) 또는 완결적 꼬임을 0회 회피한 것(C-4) 중,
최소 2가지 이상을 적용하여 후레이 원단(30)을 제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임을 이용한 후레이원단 무늬(P)형성방법”이 있고,
또,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557130호(공개일자: 2015.10.02.)에서는 “복수개의 제1 종광이 하나 이상의 열로 배치된 제1 종광더미와,
상기 제1 종광과는 다른 종류의 복수개의 제2 종광이 하나 이상의 열로 배치된 제2 종광더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종광은 레노종광이고 상기 제2 종광은 자카드종광이며, 상기 제1 종광더미 및 상기 제2 종광더미는 경사의 진행 방향으로 차례로 배열된, 이종 조직 직물 직조용 직기”가 있으며,
또,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20-0328397호(공개일자: 2003.09.29.)에서는 “프레임(16)에 바늘(11)이 소정간격으로 수직배열장착되고 상기 프레임(16)과 바늘(11)들 사이에는 각각 1개씩의 바디살(18)이 바늘(11)과 수평으로 배열장착하여 바디살(18)의 타측을 다른 프레임(17)으로 고정한 것으로 형성된 종광을 일측에 구비하는 레노 조직용 종광틀에 있어서,
상측으로 걸림공(21)이 수평배열로 형성된 제 1종광판과; 상측으로 걸림공(31)이 수평배열되고 중앙부에는 관통부(32)가 형성된 제 2종광판을 타측에 구비하되, 경사(14)(15)를 바늘(11)의 걸림구(12)(13)에 걸어 종광 밖으로 인출해내고, 다른 경사(22)(23)를 제 1종광판(2)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공(21)에 끼우고 제 2종광판(3)의 관통부(32)를 관통하게 하며, 또다른 경사(33)(34)를 제 2종광판(3)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공(31)에 끼운 후에 종광(1)은 상/하 수직으로만 왕복운동시키고 제 1종광판(2)은 'U'자형으로의 좌우왕복운동과 상하수직왕복운동을 시키고 제 2종광판(3)은 제1종광판(2)과 반대방향으로 'U'자형으로의 우좌왕복운동과 상하수직왕복운동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노 조직용 종광틀”이 있고,
또,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960640호(공개일자: 2019.03.20.)에서는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배치되어 번갈아가며 승강 동작하는 제 1, 2사이드종광, 상기 제 1, 2사이드종광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고정되며 상단 중앙에는 제 2경사가 통과하기 구멍이 형성된 센터종광, 상기 제 1사이드종광과 상기 센터종광 사이 그리고 상기 제 2사이드종광과 상기 센터종광 사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 1, 2사이드종광의 승강 동작에 따라 제 1경사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제 1, 2공간으로 이루어진 레노종광을 이용하여 위사 의 위, 아래로 제 1, 2경사의 위치를 달리하며 레노조직을 직조하는 레노종광 직기에서 상기 제 1, 2사이드종광의 승강 동작이 수직으로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을 가지는 레노종광 직기의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전면프레임;
상기 전면프레임의 후방에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배치되는 후면프레임;
상기 전면프레임 및 후면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핀 및 ;
상기 가이드핀 사이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2사이드종광을 통과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1, 2사이드종광의 승강 동작을 안내하는 안내장공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레노종광 직기의 가이드 장치”가 알려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본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공보 제10-1663923호에서는 상기 경사의 개구운동시, 상·하 교차에 의한 단순한 결속이 아니라 경사와 위사간 뒤틀어지고 휘감기는 형태로 얽혀 절대 빠지지 않도록 그 완결적 꼬임을 부여시키는 이중 후레이종광을 이용하는 것과; 상기 완결적 꼬임의 부여시 한번의 개구운동에 대하여, 완결적 꼬임을 1회 회피한 것 또는 완결적 꼬임을 2회 회피한 것 또는 완결적 꼬임을 3회 회피한 것 또는 완결적 꼬임을 0회 회피한 것 중, 최소 2가지 이상을 적용하여 후레이 원단을 제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하고 있지만, 원사의 공급가닥수는 2가닥을 한조로 꼬임과 비꼬임에 의해 제직되는 원단의 제직 무늬의 형태가 한정적이며, 제직본수가 증가되면 제직이 자카드제직기의 작업공정이 어려워 제직이 어려운 문제점이 노출되어 본수가 높은 선명한 원단의 제직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 상기와 같이 등록특허공보 제10-1557130호에서는 복수개의 제1 종광이 하나 이상의 열로 배치된 제1 종광더미와, 상기 제1 종광과는 다른 종류의 복수개의 제2 종광이 하나 이상의 열로 배치된 제2 종광더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종광은 레노종광이고 상기 제2 종광은 자카드종광이며, 상기 제1 종광더미 및 상기 제2 종광더미는 경사의 진행 방향으로 차례로 배열된 이종 조직 직물 직조용 직기를 구성할 수 있지만 원사의 가닥수가 한정되어 자카드제직기에서는 본수가 높은 원단은 제직이 어려워 저본수의 원단이 생산되어 문양이 선명하지 않아 원단의 특성이 한정되어 있어 다양한 문양 패턴 및 형태의 표현하는데 한정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원사의 무늬와 홀의 선명도를 높이기 위해 원사의 굵기를 고데니어를 사용하게 되면 제직시 원단이 둔탁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상기와 같이 기술평가에 의한 정정공고 제20-0328397호에서는 프레임(16)에 바늘(11)이 소정간격으로 수직배열장착되고 상기 프레임(16)과 바늘(11)들 사이에는 각각 1개씩의 바디살(18)이 바늘(11)과 수평으로 배열장착하여 바디살(18)의 타측을 다른 프레임(17)으로 고정한 것으로 형성된 종광을 일측에 구비하는 레노 조직용 종광틀에 있어서, 상측으로 걸림공(21)이 수평배열로 형성된 제1종광판과; 상측으로 걸림공(31)이 수평배열되고 중앙부에는 관통부(32)가 형성된 제2종광판을 타측에 구비하되, 경사(14)(15)를 바늘(11)의 걸림구(12)(13)에 걸어 종광 밖으로 인출해내고, 다른 경사(22)(23)를 제 1종광판(2)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공(21)에 끼우고 제 2종광판(3)의 관통부(32)를 관통하게 하며, 또 다른 경사(33)(34)를 제 2종광판(3)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공(31)에 끼운 후에 종광(1)은 상/하 수직으로만 왕복운동시키고 제1종광판(2)은 'U'자형으로의 좌우왕복운동과 상하수직왕복운동을 시키고 제 2종광판(3)은 제1종광판(2)과 반대방향으로 'U'자형으로의 우좌왕복운동과 상하수직왕복운동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노 조직용 종광틀에 관한 것이고, 상기 종광틀은 경평기에 사용되는 것이고 뜨개질형태로 경사를 꼬아서 산업용 망으로 제직하는 것이나 문양이나 무늬를 낼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무늬 또는 문양을 제직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등록특허공보 제10-1960640호에서는 승강 동작이 수직으로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을 가지는 레노종광 직기의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전면프레임; 상기 전면프레임의 후방에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배치되는 후면프레임; 상기 전면프레임 및 후면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핀 및 ; 상기 가이드핀 사이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2사이드종광을 통과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1, 2사이드종광의 승강 동작을 안내하는 안내장공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레노종광 직기의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지만, 상기 구조는 사이드종광의 승하강동작시 가이드 장치를 설치하여 불량없이 정확하게 직조될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원사의 가닥수가 한정되어 자카드제직기에서는 본수가 높은 원단은 제직이 어려워 저본수의 원단이 생산되어 문양이 선명하지 않아 원단의 특성이 한정되어 있어 다양한 문양 패턴 및 형태의 표현하는데 한정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663923호(공개일자 : 2016. 10. 07.)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557130호(공개일자 : 2015. 10. 02.) ·국내 기술평가에 의한 정정공고제20-0328397호(공개일자 : 2003. 09. 29.)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960640호(공고일자 : 2019. 03. 20.)
없음
본 발명은 자카드제직기에서 저본수에 의한 제직방법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2가닥이 한조로 작동되는 레노종광에 2가닥 내지 6가닥이 한조로 공급되는 자카드종광에 의해 고본수의 제직물이 생산은 물론 제직물의 무늬와 홀이 선명하게 생산할 수 있도록 하고, 고본수의 제직물을 제직할 때 발생될 수 있는 작동공정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 분리되어 작동되는 자카드모듈을 이용하여 레노종광의 작동에 따라 꼬임과 비꼬임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제직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원사의 공급 가닥수를 확장시키면서도 정밀하고 선명한 제직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고, 또, 작동에 따른 원활한 제직을 위해 자카드묘듈, 가압텐션롤러, 개구부확보를 위한 가이드종광을 구비하여 제직작업효율을 증대시켜 대량 양산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 자카드 직기를 이용한 꼬임 레노직물의 무늬 및 홀 선명도 개선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도1 내지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사 2가닥을 양측에 구비하고, 그 사이에는 2가닥 내지 6가닥 범위내에서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원사들이 길이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규칙적으로 나열되어 공급되는 경사를 구비하며, 상기 경사들 중에서 원사는 레노종광으로, 상기 원사는 자카드종광으로 개별적으로 공급되어 인입시키는 경사공급단계와, 상기 경사공급단계의 레노종광과 자카드종광의 상측에는 자카드묘듈이 통사로 연결되도록 구비하되, 그 하측에는 탄성체에 의해 항시 당김력이 발생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자카드묘듈에 공급되는 경사들은 상기 통사에 의해 승·하강 작동에 따라 무늬와 홀이 형성되는 문양형성단계와, 상기 문양형성단계를 통해 각각의 원사들에 의해 무늬와 홀이 형성된 경사는 위사에 의해 제직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하고, 상기 경사공급단계의 경사는 상기 원사를 2가닥씩 길이방향으로 나열시켜 별도로 분리되어 공급될 수 있도록 1차경사빔을 구비하되, 상기 원사를 2가닥 내지 6가닥 범위내에서 길이방향으로 나열되어 공급되는 2차경사빔에 의해 상기 자카드묘듈의 작동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경사공급단계의 경사는 상기 원사를 2가닥씩 길이방향으로 나열시켜 별도로 분리되어 공급될 수 있도록 1차경사빔을 구비하되, 상기 원사는 2가닥 내지 6가닥 범위 내에서 선택적으로 길이방향으로 나열되어 공급되는 2차경사빔에 의해 상기 자카드묘듈의 작동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경사는 상기 원사들이 선택적으로 나열되어 공급될 때 자카드제직기의 제직본수는 최소 2000본 내지 최대 6000본 범위 내에서 제직이 이루어져 제직물이 생산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자카드종광은 2가닥 내지 6가닥이 선택적으로 가이딩되면서 공급되는 원사를 구비하고, 상기 자카드묘듈의 통사 승·하강 제어에 의해 각각 개별적 승·하강 왕복운동에 의해 무늬를 형성하거나, 2가닥 내지 6가닥이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원사가 동시에 승·하강시에는, 상기 레노종광과는 반대로 엇갈리게 승·하강시켜 꼬임에 의한 홀이 형성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문양형성단계의 무늬는 상기 자카드종광과 레노종광의 경사가 각각 서로 개별적으로 승·하강에 의해 무늬가 형성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문양형성단계의 홀은 상기 자카드종광에 가이딩되면서 이동되는 원사 전체가 하측 방향으로 진행하고, 상기 레노종광의 2가닥이 가이딩되면서 이동되는 원사가 한조로 동시에 승강시에 형성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레노종광은 상기 자카드묘듈의 통사의 제어에 의해 각각 승·하강 또는 동시에 승·하강에 따라 비꼬임시에는 무늬 또는 꼬임시에는 홀이 형성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경사공급단계와 자카드종광사이에는 위사의 원활한 개구부 작동 및 공간확보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경사들의 진행방향 상면 전체를 가압시킬 수 있도록 텐션가압장치를 분리시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텐션가압장치는 상기 원사들의 진행방향 상면에 전체를 가압시키되 가압시 5~25mm 범위내에서 텐션이 유지되는 레노원사가압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원사들의 진행방향 상면에 전체를 가압시키되 가압시 5~25mm 범위내에서 텐션이 유지되는 자카드원사가압롤러를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텐션가압장치의 전측에는 상기 자카드종광과 레노종광의 개구부 형성 효율성 증대시킬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가이드레노종광을 구비하되, 상기 가이드레노종광은 본수가 많은 제직물의 경우에는 상기 자카드종광과 레노종광이 각각 별개로 승·하강 작동이 이루어질 때, 상기 각 원사가 이동을 가이드 하면서도 안정적인 경사 진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레노종광의 경사 걸림구조와 동일하게 상기 자카드종광 사이에 배치되어 경사가 진입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자카드묘듈은 최소 2개 내지 4개 범위내에서 선택적으로 설치하여,상기 자카드종광, 레노종광 및 가이드종광을 각각 개별적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레노종광에 인입되는 경사는 75~1500데니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자카드종광에 인입되는 경사는 75~1500데니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자카드모듈은 상기 자카드종광과 레노종광은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작동방향을 전자식으로 승·하강시키는 전자식자카드모듈을 구비비될 수 있고,
상기 홀은 상기 자카드종광 하측으로 전체가 하강하되, 상기 레노종광은 전체가 상측으로 승강한 상태에서, 상기 자카드종광에 인입되는 원사는 2가닥 내지 6가닥 중 일부를 승강시켜 홀의 꼬임 중 일부를 비꼬임으로 새로운 무늬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 구비하거나, 자카드종광의 홀의 꼬임 중 일부 비꼬임의 작동 순서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승·하강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레노종광은 내부 형태가 원형 형태로 이루어진 센터가이드, 상기 센터가이드의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구성된 승하강바, 상기 승하강바의 일측 끝단에는 장공형태의 홈을 구성한 안전고리로 이루어진 경사꼬임바를 양측으로 구성한 것과; 상기 승하강바에는 상기 승하강바가 끼워지는 이탈방지레일턱,상기 이탈방지레일턱의 전·후측에는 작동공간을 구성하되, 그 외측으로는 경사각이 형성된 경사걸림턱이 구성된 승하강몸체을 구성한 것과; 상기 승하강몸체 상측에는 내부가 관통되어 상기 통사가 걸림되는 걸림구멍을 구비한 걸림고리를 구성하되 그 하단에는 길이방향 하부레일홈을 구비한 상부가이드를 구성한 것과; 상기 승하강몸체 하측에는 길이방향 하부레일홈을 구비한 하부가이드와 상기 하부가이드의 하측에는 나사산을 구비한 축봉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자카드 직기를 이용한 꼬임 레노직물의 무늬 및 홀 선명도 개선방법 및 장치는 경사가 공급되어 제직되어 배출될 때 각각 독립적으로 공급되는 레노종광에 원사와 자카드종광의 원사를 제직물의 형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고본수의 제직물을 제직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기존 자카드제직기의 제직본수의 한계를 극복하면서도 정밀한 무늬와 홀을 가지는 제직물을 기존 자카드제직기에서 생산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기존 장비를 그대로 이용하기에 제조설비 투자비용을 감소시켜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또, 고본수의 원단을 제직할 수 있어 다양한 문양 패턴 및 홀의 패텐을 다양하여 하여 원단을 생산할 수 있는이점이 있으며,
원사의 굵기를 작은것에서 큰것까지 사용할 수 있어 제직물의 무늬와 홀의 선명도와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는 등 그 기대하는 바라 실로 다대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직 실시상태 개념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직방법을 평면에서 각 원사들로 나열되어 배치된 경사가 진행될 때 경사의 배열순서를 나타낸 평면 예시도
도 3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제직형태에 따라 꼬임 또는 비꼬임에 의한 무늬 또는 홀이 형성되는 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자카드종광 및 레노종광의 경사의 원사들이 공급되는 연결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8 내지 도 9는 자카드종광 및 레노종광의 경사들이 작동순서에 따라 무늬와 홀이 형성되는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자카드종광의 일부를 선택적 작동에 따라 다른 무늬를 구성할 수 있는 응용실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레노종강의 구조 및 측단면 확대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자카드묘듈의 응용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직방법으로 제직물에 관한 것이며 (가)는 무늬이고 (나)는 홀에 제직될 실시 예시도임.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는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카드제직기의 무늬 및 홀 선명도 향상 방법에 있어서,
도 1 내지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사(101) 2가닥을 양측에 구비하고, 그 사이에는 2가닥 내지 6가닥 범위내에서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원사(105)들이 길이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규칙적으로 나열되어 공급되는 경사(100)를 구비하며, 상기 경사(100)들 중에서 원사(101)는 레노종광(200)으로, 상기 원사(105)는 자카드종광(300)으로 개별적으로 공급되어 인입시키는 경사공급단계(A)와,
상기 경사공급단계(A)의 레노종광(200)과 자카드종광(300)의 상측에는 자카드묘듈(F)이 통사(3)로 연결되도록 구비하되, 그 하측에는 탄성체에 의해 항시 당김력이 발생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자카드묘듈(F)에 공급되는 경사(100)들은 상기 통사(3)에 의해 승·하강 작동에 따라 무늬(P)와 홀(H)이 형성되는 문양형성단계(B)와,
상기 문양형성단계(B)를 통해 각각의 원사(101)(105)들에 의해 무늬(P)와 홀(H)이 형성된 경사(100)는 위사(500)에 의해 제직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공급단계(A)의 경사(100)는,
상기 원사(101)를 2가닥씩 길이방향으로 나열시켜 별도로 분리되어 공급될 수 있도록 1차경사빔(1)을 구비하되,
상기 원사(105)는 2가닥 내지 6가닥 범위 내에서 선택적으로 길이방향으로 나열되어 공급되는 2차경사빔(2)에 의해 상기 자카드묘듈(F)의 작동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구비하고,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100)는,
상기 원사(101)(105)들이 선택적으로 나열되어 공급될 때 자카드제직기의 제직본수는 최소 2000본 내지 최대 6000본 범위 내에서 제직이 이루어져 제직물이 생산될 수 있도록 구비하며,
상기 자카드종광(300)은,
2가닥 내지 6가닥이 선택적으로 가이딩되면서 공급되는 원사(105)를 구비하고,
상기 자카드묘듈(F)의 통사(3) 승·하강 제어에 의해 각각 개별적 승·하강 왕복운동에 의해 무늬(P)를 형성하거나,
2가닥 내지 6가닥이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원사(105)가 동시에 승·하강시에는 상기 레노종광(200)과는 반대로 엇갈리게 승·하강시켜 꼬임에 의한 홀(H)이 형성되도록 구비하고,
도 6, 도 8 또는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문양형성단계(B)의 무늬(P)는,
상기 자카드종광(300)과 레노종광(200)의 경사(100)가 각각 서로 개별적으로 승·하강에 의해 무늬(P)가 형성될 수 있도록 구비하며,
도 4, 도 9 또는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문양형성단계(B)의 홀(H)은,
상기 자카드종광(300)에 가이딩되면서 이동되는 원사(105) 전체가 하측 방향으로 진행하고,
상기 레노종광(200)의 2가닥이 가이딩되면서 이동되는 원사(101)가 한조로 동시에 승강시에 형성될 수 있도록 구비하고,
상기 레노종광(200)은,
상기 자카드묘듈(F)의 통사(3)의 제어에 의해 각각 승·하강 또는 동시에 승·하강에 따라 비꼬임시에는 무늬(P) 또는 꼬임시에는 홀(H)이 형성되도록 구비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공급단계(A)와 자카드종광(300)사이에는,
위사(500)의 원활한 개구부(I) 작동 및 공간확보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경사(100)들의 진행방향 상면 전체를 가압시킬 수 있도록 텐션가압장치(150)를 구비하고,
상기 텐션가압장치(150)는,
상기 원사(101)들의 진행방향 상면에 전체를 가압시키되 가압시 5~25mm 범위내에서 텐션이 유지되는 레노원사가압롤러(15)를 구비하고,
상기 원사(105)들의 진행방향 상면에 전체를 가압시키되 가압시 5~25mm 범위내에서 텐션이 유지되는 자카드원사가압롤러(10)를 구비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텐션가압장치(150)의 전측에는,
상기 자카드종광(300)과 레노종광(200)의 개구부(I) 형성 효율성 증대시킬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가이드레노종광(400)을 구비하되,
상기 가이드레노종광(400)은,
본수가 많은 제직물의 경우에는 상기 자카드종광(300)과 레노종광(200)이 각각 별개로 승·하강 작동이 이루어질 때 상기 각 원사(101)(105)의 이동을 가이드 하면서도 안정적인 경사(100) 진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레노종광(200)의 경사(100)에 걸림되는 원사(101)와 동일하게 상기 자카드종광(300) 사이에 배치되어 경사(100)에 걸림되는 원사(105)가 진입되도록 구비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카드묘듈(F)은,
최소 2개 내지 4개 범위내에서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
상기 자카드종광(300) 및 레노종광(200)을 각각 개별적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비하며,
상기 레노종광(200)에 인입되는 경사(100)는 75~1500데니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하고,
상기 자카드종광(300)에 인입되는 경사(100)는 75~1500데니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하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카드모듈(F)은,
상기 자카드종광(300)과 레노종광(200)은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작동방향을 전자식으로 승·하강시키는 전자식자카드모듈(F-1)을 구비하고,
도 10 또는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H)은,
상기 자카드종광(300)은 하측으로 전체가 하강하되,상기 레노종광(200)은 전체가 상측으로 승강한 상태에서,
상기 자카드종광(300)에 인입되는 원사(105)는 2가닥 내지 6가닥 중 일부를 승강시켜 홀(H)의 꼬임 중 일부를 비꼬임으로 새로운 무늬(P)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 구비하거나, 자카드종광(300)의 홀(H)의 꼬임 중 일부 비꼬임의 작동 순서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승·하강시키도록 작동되도록 하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노종광(200)은,
내부 형태가 원형 형태로 이루어진 센터가이드(251),
상기 센터가이드(251)의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구성된 승하강바(253),
상기 승하강바(253)의 일측 끝단에는 장공형태의 홈을 구성한 안전고리(252)로 이루어진 경사꼬임바(250)을 양측으로 구성한 것과;
상기 승하강바(253)에는,
상기 승하강바(253)가 끼워지는 이탈방지레일턱(270a),
상기 이탈방지레일턱(270a)의 전·후측에는 작동공간(270b)을 구성하되, 그 외측으로는 경사각이 형성된 경사걸림턱(270c)(270d)이 구성된 승하강몸체(270)을 구성한 것과;
상기 승하강몸체(270) 상측에는,
내부가 관통되어 상기 통사(3)가 걸림되는 걸림구멍(271)을 구비한 걸림고리(272)를 구성하되 그 하단에는 길이방향 하부레일홈(273)을 구비한 상부가이드(275)를 구성한 것과;
상기 승하강몸체(270) 하측에는,
길이방향 하부레일홈(293)을 구비한 하부가이드(295)와,
상기 하부가이드(295)의 하측에는 나사산(291)을 구비한 축봉(292)을 구비한 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자카드 직기를 이용한 꼬임 레노직물의 무늬 및 홀 선명도 개선방법 및 장치는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2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카드제직기의 제직본수는 최소 2000본 내지 최대 6000본 범위 내에서 경사(100)가 공급될 때,
원사(101)가 평면에서 레노종광(200)으로 인입될 때 양측에 2가닥을 구비하되, 그 사이에는 2가닥 내지 6가닥 범위내에서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원사(105)들이 나열되어 공급되도록 하는 경사공급단계(A)를 통해 공급되도록 작동하고, 상기 원사(10)(105)가 일정한 순서로 경사빔을 통해 공급되어 최소 2000본 내지 최대 6000본 범위내에서 조밀하게 공급되어 정밀한 무늬와 홀이 형성될 수 있도록 공급되도록 작동하고,
도 1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공급단계(A)의 경사(100)는,
고본수에서 제직공정이 이루어질 때 자카드묘듈(F)에 레노종광(200)과 자카드종광(300)이 상·하로 무늬와 홀을 제직하기 위해 작동하여 배출될 때 최종적으로 위사(500)에 의해 제직이 완료되게되는데, 이때 고본수의 개구 활동이 원할하지 않으면 정밀한 무늬(P)와 홀(H)의 불량이 발생될 수 있어 원활한 개구부(I)확보를 위해서 경사(100)가 공급되어 제직될 때 각 원사(101)(105)의 개구활동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나누어져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상기 원사(101)는 2가닥씩 길이방향으로 나열되어 공급되는 1차경사빔(1)과, 상기 원사(105)를 2가닥 내지 6가닥 범위 내에서 선택적으로 길이방향으로 나열되어 2차경사빔(2)으로 나누어 공급될 수 있도록 작동하며,
상기 규칙적으로 나열된 각각의 원사(101)(105)로 이루어진 경사(100)들 중에서 상기 레노종광(200)으로 인입되는 2가닥의 원사(101)들은 상기 자카드묘듈(F)의 승·하강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2개가 한조인 레노종광(200)의 각 센터가이드(251)의 한가닥씩 끼워져 통과되는 원사(101)와 비통과 되는 원사(101)를 구비하여 상기 레노종광(200)의 동시 움직임과 비동시 움직임에 따라 꼬임과 비꼬임에 의해 무늬 제직과 홀 제직이 이루어지도록 작동하고,
상기 자카드종광(300)으로 인입되는 2가닥 내지 6가닥의 원사(105)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측에 구성된 원사(101)들 사이에 원사(105)가 배열되어 상기 2개 내지 6개의 자카드종광(300)으로 끼워져 진입되어 통과되면서 상기 자카드묘듈(F)의 의해 작동되는 레노종광(200)의 양측에 구비된 상부가이드(275) 사이를 통과하도록 하여 상기 양측 원사(101)에 의해 꼬임과 비꼬임에 의해 무늬(P)와 홀(H)이 형성되는 문양형성단계(B)를 통해 작동하고,
상기 문양형성단계(B)를 통해 배출되는 경사(100)는 각각 꼬임과 비꼬임에 의해 제직된 원사(101)(105)가 위사(500)에 의해 완전한 제직물이 제조될 수 있도록 작동하며,
상기 레노종광(200)과 자카드종광(300)의 승·하강 작동은 상측 자카드묘듈(F)에 의해 작동하도록 하고, 제직본수가 높은 제직물은 사용환경에 따라 자카드묘듈(F) 별개로 분리시켜 최소 2개 내지 4개 범위 내에서 자카드묘듈(F)을 설치하여 사용하여 상기 자카드종광(300) 및 레노종광(200)을 서로 개별적으로 작동되도록 하여 작동효율성이 증대되도록 작동하며,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카드종광(300)은 2가닥 내지 6가닥이 가이딩 되면서 공급되는 원사(105)를 각각 구비하여 상기 자카드묘듈(F)의 통사(3) 승·하강 제어에 의해 각각 개별적 승·하강 왕복운동에 의해 무늬(P)를 형성하거나, 2가닥 내지 6가닥이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원사(105)가 동시에 승·하강시에는 상기 레노종광(200)과는 반대로 엇갈리게 승·하강시켜 꼬임에 의한 홀(H)이 형성되도록 구비하여 다양한 무늬(P)와 홀(H)을 형성할 수 있도록 작동하고,
도 6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문양형성단계(B)의 무늬(P)는 자카드종광(300)이 승강하면 레노종광(200)은 하강하거나, 자카드종광(300)이 하강하면 레노종광(200)은 승강하면서 상기 원사(101)(105)가 제직되면서 무늬(P)가 형성될 수 있도록 작동하며,
도 4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문양형성단계(B)의 홀(H)은 상기 상기 자카드종광(300)에 가이딩되면서 이동되는 원사(105) 전체가 하측 방향으로 진행하고, 상기 레노종광(200)의 2가닥이 가이딩되면서 이동되는 원사(101)가 한조로 동시에 승강시에 형성되면서 꼬임에 의한 홀(H)이 형성될 수 있도록 작동하고,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노종광(200)은,
상기 자카드묘듈(F)의 통사(3)의 제어에 의해 각각 승·하강 또는 동시에 승·하강에 따라 비꼬임시에는 무늬(P) 또는 꼬임시에는 홀(H)이 형성될 수 있도록 작동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공급단계(A)와 자카드종광(300)사이에는,
위사(500)의 원활한 개구부(I) 작동 및 공간확보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경사(100)들의 진행방향 상면 전체를 가압시킬 수 있도록 텐션가압장치(150)를 구비하여 인의적인 경사진행 각도를 조절하여 꼬임과 비꼬임의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개구부(I)에서 상기 위사(500)와의 제직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동하고,
도 1 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텐션가압장치(150)는 제1경사빔(1)과 제2경사빔(2)에서 공급되는 원사(101)(10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순서로 나열되어 연속적으로 공급되도록 작동하는 상태에서,
상기 상기 원사(101)들의 진행방향 상면에 전체를 일괄적으로 가압시키되 가압시 5~25mm 범위 내에서 텐션이 유지되는 레노원사가압롤러(15)를 구비하여 항시 텐션 범위내에서 가압되도록 작동하고, 또 상기 원사(105)들의 진행방향 상면에 전체를 가압시키되 가압시 5~25mm 범위내에서 텐션이 유지되는 자카드원사가압롤러(10)를 구비하여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작동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텐션가압장치(150)의 전측에는 상기 자카드종광(300)과 레노종광(200)의 개구부(I) 형성 효율성 증대시킬 수 있도록 자카드종광(300)과 레노종광(200)이 서로 승·하강 작동이 이루어질 때 본수가 많은 상태에서 상기 각 원사(101)(105)의 이동을 가이드 하면서도 안정적인 경사(100) 진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레노종광(200)의 경사(100)에 걸림되는 원사(101)와 동일하게 상기 자카드종광(300) 사이에 배치되어 경사(100)에 걸림되는 원사(105)가 진입되도록 구비하는 가이드레노종광(400)을 구비하여 상기 레노종광(200)의 종광이 각각 작동하거나 동시에 작동시에 꼬임 또는 비꼬임에 의한 무늬(P)와 홀(H)의 승·하강 작동을 원활히 수행하여 작동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작동하며,
상기 레노종광(200)과 자카드종광(300)에 인입되는 경사(100)는 75~1500데니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하여 가늙고 굵은 경사(100)를 제직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제직물을 제직할 수 있도록 작동하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카드모듈(F)은 상기 자카드종광(300)과 레노종광(200)은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당기면서 기존 자카드묘듈(F)의 작동방향을 반대 로 작동될 수 있도록 전자식자카드모듈(F-1)을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작동하며,
또는 상기 가이드종광(400)에도 전자식자카드모듈(F-1)을 적용시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H)은 상기 자카드종광(300)은 하측으로 전체가 하강하되,상기 레노종광(200)은 전체가 상측으로 승강한 상태에서,
상기 자카드종광(300)에 인입되는 원사(105)는 2가닥 내지 6가닥 중 일부를 승강시켜 홀(H)의 꼬임 중 일부를 비꼬임으로 새로운 무늬(P)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 작동하고,
또는, 자카드종광(300)의 홀(H)의 꼬임 중 일부 비꼬임의 작동 순서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승·하강시키도록 작동하여도 무방하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노종광(200)은 상기 자카드묘듈(F)에 의해 승·하강하는 통사(3)에 의해 연결될 수 있도록 걸림구멍(271)을 구비한 걸림고리(272)를 구성한 상부가이드(275)를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걸림구멍(271)에 고정되어 상기 자카드묘듈(F)의 작동에 따라 위치 이동에 의해 레노종광(200)이 움직이도록 작동하고,
상기 통사(3)에 의해 상기 양측 상부가이드(275)가 각각 또는 동시에 승·하강하도록 작동하고,
상기 상부가이드(275)의 하방 중심에는 승하강몸체(270)를 구비하되, 상기 승하강몸체(270)에는 하부레일홈(273)을 갖는 상부가이드(275)를 양측에 구비하여 상기 승하강몸체(270)에 진입되는 원사(101)에 의해 꼬임 또는 비꼬임이 발생될 수 있도록 작동하며,
상기 승하강몸체(270)에는 내부 형태가 원형 형태로 이루어진 센터가이드(251)을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원사(101)가 진입 또는 비진입에 의해 꼬임 또는 비꼬임이 될 수 있도록 작동하고,
상기 센터가이드(251)의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형태의 홈을 구성한 안전고리(252)로 이루어진 경사꼬임바(250)을 양측으로 구성된 승하강바(253)를 구비하여 상기 하측에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을 연결되도록 설치하여 상기 상부가이드(275)에 따라 일정한 텐션으로 잡아당길 수 있도록 작동하고,
상기 승하강바(253)은 이탈방지레일턱(270a)에 끼워져 승·하강하도록 작동하되, 상기 이탈방지레일턱(270a)에 걸림된 양측 승하강몸체(270)가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자카드묘듈(F)의 통사(3) 제어에 의해 상기 상부가이드(275)를 움직여 상기 센터가이드(251)에 통과하는 원사(101)과 그 외주면에 이동하는 원사(101)를 서로 꼬임 및 비꼬임이 발생되도록 제어작동되며,
이때 상기 원사(101) 2가닥은 상기 자카드종광(300)을 통해 레노종광(200)을 관통하는 원사(105)는 상기 레노종광(200)의 승·하강 작동에 따라 꼬임 및 비꼬임에 의한 무늬(P)와 홀(H)이 형성되도록 작동되고,
상기 이탈방지레일턱(270a)의 전·후측에는 경사걸림턱(270c)(270d)을 구비한 작동공간(270b)을 구비하여 상기 양측 상부가이드(275)가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작동되며,
상기 승하강몸체(270)의 하측에는 길이방향 하부레일홈(293)을 구비한 하부가이드(295)와 나사산(291)을 구비한 축봉(292)을 구비하여 하방에 탄성스프링 또는 탄성체에 의해 항시 당기도록 작동된다.
또,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늬(P)와 홀(H)은 자카드제직기에서 다양하게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작동된다.
A: 경사공급단계 B: 문양형성단계
F: 자카드묘듈 F-1: 전자식자카드모듈
H: 홀 I: 개구부
P: 무늬 1: 1차경사빔
3: 통사 10: 자카드원사가압롤러
15: 레노원사가압롤러 100: 경사
101,105: 원사 150: 텐션가압장치
200: 레노종광 250: 경사꼬임바
251: 센터가이드 252: 안전고리
253: 승하강바 270: 승하강몸체
270a: 이탈방지레일턱 270b: 작동공간
270c,270d: 경사걸림턱 271: 걸림구멍
272: 걸림고리 273: 하부레일홈
275: 상부가이드 291: 나사산
292: 축봉 293: 하부레일홈
295: 하부가이드 300: 자카드종광
400: 가이드레노종광 500: 위사

Claims (16)

  1. 자카드제직기의 무늬 및 홀 선명도 향상 방법에 있어서,

    원사(101) 2가닥을 양측에 구비하고, 그 사이에는 2가닥 내지 6가닥 범위내에서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원사(105)들이 길이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규칙적으로 나열되어 공급되는 경사(100)를 구비하며, 상기 경사(100)들 중에서 원사(101)는 레노종광(200)으로, 상기 원사(105)는 자카드종광(300)으로 개별적으로 공급되어 인입시키는 경사공급단계(A)와,
    상기 경사공급단계(A)의 레노종광(200)과 자카드종광(300)의 상측에는 자카드묘듈(F)이 통사(3)로 연결되도록 구비하되, 그 하측에는 탄성체에 의해 항시 당김력이 발생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자카드묘듈(F)에 공급되는 경사(100)들은 상기 통사(3)에 의해 승·하강 작동에 따라 무늬(P)와 홀(H)이 형성되는 문양형성단계(B)와,
    상기 문양형성단계(B)를 통해 각각의 원사(101)(105)들에 의해 무늬(P)와 홀(H)이 형성된 경사(100)는 위사(500)에 의해 제직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자카드 직기를 이용한 꼬임 레노직물의 무늬 및 홀 선명도 개선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공급단계(A)의 경사(100)는,
    상기 원사(101)를 2가닥씩 길이방향으로 나열시켜 별도로 분리되어 공급될 수 있도록 1차경사빔(1)을 구비하되, 상기 원사(105)는 2가닥 내지 6가닥 범위 내에서 선택적으로 길이방향으로 나열되어 공급되는 2차경사빔(2)에 의해 상기 자카드묘듈(F)의 작동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자카드 직기를 이용한 꼬임 레노직물의 무늬 및 홀 선명도 개선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100)는,
    상기 원사(101)(105)들이 선택적으로 나열되어 공급될 때 자카드제직기의 제직본수는 최소 2000본 내지 최대 6000본 범위 내에서 제직이 이루어져 제직물이 생산될 수 있도록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자카드 직기를 이용한 꼬임 레노직물의 무늬 및 홀 선명도 개선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카드종광(300)은,
    2가닥 내지 6가닥이 선택적으로 가이딩되면서 공급되는 원사(105)를 구비하고,
    상기 자카드묘듈(F)의 통사(3) 승·하강 제어에 의해 각각 개별적 승·하강 왕복운동에 의해 무늬(P)를 형성하거나,
    2가닥 내지 6가닥이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원사(105)가 동시에 승·하강시에는,
    상기 레노종광(200)과는 반대로 엇갈리게 승·하강시켜 꼬임에 의한 홀(H)이 형성되도록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자카드 직기를 이용한 꼬임 레노직물의 무늬 및 홀 선명도 개선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양형성단계(B)의 무늬(P)는,
    상기 자카드종광(300)과 레노종광(200)의 경사(100)가 각각 서로 개별적으로 승·하강에 의해 무늬(P)가 형성될 수 있도록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자카드 직기를 이용한 꼬임 레노직물의 무늬 및 홀 선명도 개선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양형성단계(B)의 홀(H)은,
    상기 자카드종광(300)에 가이딩되면서 이동되는 원사(105) 전체가 하측 방향으로 진행하고,
    상기 레노종광(200)의 2가닥이 가이딩되면서 이동되는 원사(101)가 한조로 동시에 승강시에 형성될 수 있도록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자카드 직기를 이용한 꼬임 레노직물의 무늬 및 홀 선명도 개선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노종광(200)은,
    상기 자카드묘듈(F)의 통사(3)의 제어에 의해 각각 승·하강 또는 동시에 승·하강에 따라 비꼬임시에는 무늬(P) 또는 꼬임시에는 홀(H)이 형성되도록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자카드 직기를 이용한 꼬임 레노직물의 무늬 및 홀 선명도 개선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공급단계(A)와 자카드종광(300)사이에는,
    위사(500)의 원활한 개구부(I) 작동 및 공간확보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경사(100)들의 진행방향 상면 전체를 가압시킬 수 있도록 텐션가압장치(150)를 분리시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자카드 직기를 이용한 꼬임 레노직물의 무늬 및 홀 선명도 개선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가압장치(150)는,
    상기 원사(101)들의 진행방향 상면에 전체를 가압시키되 가압시 5~25mm 범위내에서 텐션이 유지되는 레노원사가압롤러(15)를 구비하고,
    상기 원사(105)들의 진행방향 상면에 전체를 가압시키되 가압시 5~25mm 범위내에서 텐션이 유지되는 자카드원사가압롤러(1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자카드 직기를 이용한 꼬임 레노직물의 무늬 및 홀 선명도 개선방법
  10. 제8에 있어서,
    상기 텐션가압장치(150)의 전측에는,
    상기 자카드종광(300)과 레노종광(200)의 개구부(I) 형성 효율성 증대시킬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가이드레노종광(400)을 구비하되,
    상기 가이드레노종광(400)은,
    본수가 많은 제직물의 경우에는 상기 자카드종광(300)과 레노종광(200)이 각각 별개로 승·하강 작동이 이루어질 때,
    상기 각 원사(101)(105)의 이동을 가이드 하면서도 안정적인 경사(100) 진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레노종광(200)의 경사(100)에 걸림되는 원사(101)와 동일하게 상기 자카드종광(300) 사이에 배치되어 경사(100)에 걸림되는 원사(105)가 진입되도록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자카드 직기를 이용한 꼬임 레노직물의 무늬 및 홀 선명도 개선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카드묘듈(F)은,
    2개 내지 4개 범위내에서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
    상기 자카드종광(300) 및 레노종광(200)을 각각 개별적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자카드 직기를 이용한 꼬임 레노직물의 무늬 및 홀 선명도 개선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노종광(200)에 인입되는 경사(100)는 75~1500데니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자카드 직기를 이용한 꼬임 레노직물의 무늬 및 홀 선명도 개선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카드종광(300)에 인입되는 경사(100)는 75~1500데니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자카드 직기를 이용한 꼬임 레노직물의 무늬 및 홀 선명도 개선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카드모듈(F)은,
    상기 자카드종광(300)과 레노종광(200)은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작동방향을 전자식으로 승·하강시키는 전자식자카드모듈(F-1)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자카드 직기를 이용한 꼬임 레노직물의 무늬 및 홀 선명도 개선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H)은,
    상기 자카드종광(300)은 하측으로 전체가 하강하되,상기 레노종광(200)은 전체가 상측으로 승강한 상태에서,
    상기 자카드종광(300)에 인입되는 원사(105)는 2가닥 내지 6가닥 중 일부를 승강시켜 홀(H)의 꼬임 중 일부를 비꼬임으로 새로운 무늬(P)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 구비하거나,
    자카드종광(300)의 홀(H)의 꼬임 중 일부 비꼬임의 작동 순서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승·하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 자카드 직기를 이용한 꼬임 레노직물의 무늬 및 홀 선명도 개선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노종광(200)은,
    내부 형태가 원형 형태로 이루어진 센터가이드(251),
    상기 센터가이드(251)의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구성된 승하강바(253),
    상기 승하강바(253)의 일측 끝단에는 장공형태의 홈을 구성한 안전고리(252)로 이루어진 경사꼬임바(250)을 양측으로 구성한 것과;
    상기 승하강바(253)에는,
    상기 승하강바(253)가 끼워지는 이탈방지레일턱(270a),
    상기 이탈방지레일턱(270a)의 전·후측에는 작동공간(270b)을 구성하되, 그 외측으로는 경사각이 형성된 경사걸림턱(270c)(270d)이 구성된 승하강몸체(270)을 구성한 것과;
    상기 승하강몸체(270) 상측에는,
    내부가 관통되어 상기 통사(3)가 걸림되는 걸림구멍(271)을 구비한 걸림고리(272)를 구성하되 그 하단에는 길이방향 하부레일홈(273)을 구비한 상부가이드(275)를 구성한 것과;
    상기 승하강몸체(270) 하측에는,
    길이방향 하부레일홈(293)을 구비한 하부가이드(295)와,
    상기 하부가이드(295)의 하측에는 나사산(291)을 구비한 축봉(29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자카드 직기를 이용한 꼬임 레노직물의 무늬 및 홀 선명도 개선방법











KR1020200003997A 2020-01-13 2020-01-13 자카드 직기를 이용한 꼬임 레노직물의 무늬 및 홀 선명도 개선방법 및 장치 KR102240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997A KR102240621B1 (ko) 2020-01-13 2020-01-13 자카드 직기를 이용한 꼬임 레노직물의 무늬 및 홀 선명도 개선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997A KR102240621B1 (ko) 2020-01-13 2020-01-13 자카드 직기를 이용한 꼬임 레노직물의 무늬 및 홀 선명도 개선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0621B1 true KR102240621B1 (ko) 2021-04-14

Family

ID=75477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3997A KR102240621B1 (ko) 2020-01-13 2020-01-13 자카드 직기를 이용한 꼬임 레노직물의 무늬 및 홀 선명도 개선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06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37935A (zh) * 2021-06-04 2021-09-03 岳氏纺机科技(常州)有限公司 可以将功能性纱线隐藏在织物中间的织造方法
CN114481410A (zh) * 2022-02-17 2022-05-13 海宁中纺面料科技有限公司 一种花式纱罗织物的生产工艺
KR102473288B1 (ko) * 2021-12-31 2022-12-01 송수복 다중조직 레노-자카드 직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신발갑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397Y1 (ko) 2003-06-24 2003-09-29 서동수 레노 조직용 종광틀
KR101557130B1 (ko) 2015-04-24 2015-10-02 송수복 이종 조직 직물 직조용 직기, 이를 이용하여 직조된 신발갑피 및 신발
KR20160100259A (ko) * 2015-02-13 2016-08-23 이영수 꼬임을 이용한 후레이원단 전용 무늬형성방법 및 그 제직장치
KR20170010918A (ko) * 2015-07-20 2017-02-02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장력 밸런싱된 원사가 감긴 싱글 빔을 이용하여 레노 조직과 우븐 조직을 포함하는 복합 직물을 제직하는 방법
KR101960640B1 (ko) 2018-09-17 2019-03-20 주식회사 석영텍스타일 레노종광 직기의 가이드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397Y1 (ko) 2003-06-24 2003-09-29 서동수 레노 조직용 종광틀
KR20160100259A (ko) * 2015-02-13 2016-08-23 이영수 꼬임을 이용한 후레이원단 전용 무늬형성방법 및 그 제직장치
KR101663923B1 (ko) 2015-02-13 2016-10-07 이영수 꼬임을 이용한 후레이원단 전용 무늬형성방법 및 그 제직장치
KR101557130B1 (ko) 2015-04-24 2015-10-02 송수복 이종 조직 직물 직조용 직기, 이를 이용하여 직조된 신발갑피 및 신발
KR20170010918A (ko) * 2015-07-20 2017-02-02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장력 밸런싱된 원사가 감긴 싱글 빔을 이용하여 레노 조직과 우븐 조직을 포함하는 복합 직물을 제직하는 방법
KR101960640B1 (ko) 2018-09-17 2019-03-20 주식회사 석영텍스타일 레노종광 직기의 가이드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없음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37935A (zh) * 2021-06-04 2021-09-03 岳氏纺机科技(常州)有限公司 可以将功能性纱线隐藏在织物中间的织造方法
CN113337935B (zh) * 2021-06-04 2022-06-10 深圳市恩裳纺织品有限公司 可以将功能性纱线隐藏在织物中间的织造方法
KR102473288B1 (ko) * 2021-12-31 2022-12-01 송수복 다중조직 레노-자카드 직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신발갑피
WO2023128184A3 (ko) * 2021-12-31 2023-09-21 송수복 다중조직 레노-자카드 직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신발갑피
CN114481410A (zh) * 2022-02-17 2022-05-13 海宁中纺面料科技有限公司 一种花式纱罗织物的生产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0621B1 (ko) 자카드 직기를 이용한 꼬임 레노직물의 무늬 및 홀 선명도 개선방법 및 장치
US7066212B2 (en) Method for producing a woven and a heddle particularly for use thereby
CN1997783B (zh) 织机、特别是用于生产一种具有配列花纹的纱罗织物的喷气织机
EP1900861A1 (en) Method for weaving a fabric and fabric woven according to such a method
CN104947292B (zh) 一种一体编织成型的四叉织带及其编织方法和织机
KR100958732B1 (ko) 비대칭 양면 무늬를 지닌 자카드 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63923B1 (ko) 꼬임을 이용한 후레이원단 전용 무늬형성방법 및 그 제직장치
CN105926140B (zh) 一种可用于织造三维正交多层织物的织样机及其织造方法
KR100712675B1 (ko) 자카드 제직장치 및 그를 이용한 직물제직방법
TW202012714A (zh) 紗羅綜絲織機之導引裝置
KR100925014B1 (ko) 자카드가 표현된 벨벳 및 이를 제조하는 장치와 그제조방법
CA1260804A (en) Loop-forming assembly for weaving machine
CN106120115B (zh) 一种可改变织口位置的织样机及其织造方法
KR101093774B1 (ko) 다변화 패턴 직물 제조용 종광 모듈
KR100907882B1 (ko) 직물의 제직장치 및 그 방법
KR101279668B1 (ko) 자카드를 이용한 천연섬유사 제직장치
CN211595909U (zh) 罗织机的弹性下垂结构
CN114717724B (zh) 一种云锦剑杆机专用织机及其使用方法
CN205741408U (zh) 芝麻纱花楼木织机
CN105420878B (zh) 一种大提花机可变化目板装置
CN114232181B (zh) 一种用双把吊提花机织造独幅渐变提花织物的制造方法
CN205775086U (zh) 绞纱花楼木织机
CN113388943B (zh) 无固定绞组二经绞纱罗织物的下开口机构及穿综方法
KR100936113B1 (ko) 자카드직기로 제직되는 트리플블라인드지 및 제직방법
CN220433144U (zh) 低延伸率丝网的综框及丝网编织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