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380Y1 - 자연석을 이용한 소방용 연결송수구 장치 - Google Patents

자연석을 이용한 소방용 연결송수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380Y1
KR200459380Y1 KR2020090017155U KR20090017155U KR200459380Y1 KR 200459380 Y1 KR200459380 Y1 KR 200459380Y1 KR 2020090017155 U KR2020090017155 U KR 2020090017155U KR 20090017155 U KR20090017155 U KR 20090017155U KR 200459380 Y1 KR200459380 Y1 KR 2004593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core
pipe
connection
natural 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71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6886U (ko
Inventor
정병원
구재열
정인효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171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380Y1/ko
Publication of KR201100068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8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3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3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화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옥외에 설치되는 소방용 연결송수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정면에서 내부의 중앙까지 수평으로 천공되어 형성되는 수평코어(110) 및 상기 수평코어(110)의 일단에서 연속하여 수직으로 천공되는 수직코어(120)로 이루어지는 자연석(100); 전체적으로 ㄱ자 형태로써, 지면(E) 위에 수직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것으로 상기 수직코어(120) 및 수평코어(110)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송수구(200); 및, 상기 송수구(200)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코어(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연결송수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석을 이용한 소방용 연결송수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추가로 상기 송수구(200)는 수직배관인 수직관(210), 수평배관인 수평관(220) 및 상기 수직관(210)과 수평관(220)을 연결하는 연결관(2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석을 이용한 소방용 연결송수구 장치를 제공한다.
소방용 연결송수구, 자연석, 현무암

Description

자연석을 이용한 소방용 연결송수구 장치{Fire Department Connection Device Using Natural Stone}
본 고안은 현무암 등의 자연석을 이용하여 소방용 연결송수구 장치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관이 우수하고, 전체로써 조경의 일부가 되는 자연석을 이용한 소방용 연결송수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방용 연결송수구는 소방설비에 소화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건물 외벽이나 정원 등에 설치되며 크게 노출형과 매립형으로 구분된다.
상기 소방용 연결송수구는 내부에 체크밸브가 내장되어 사용 중에도 호스 연결이 가능한 구조로서 건물 외부에 사용목적 및 사용용도에 따라 옥내소화전, 스프링쿨러 송수구, 연결살수 송수구, 연결송수관 송수구 등으로 구분되어 그 용도에 따라 명판을 부착하여야 하며 한 장소에 여러 용도의 송수구를 설치할 경우 대형 명판에 용도별로 표시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에 사용된 소방용 연결송수구는 건물 외벽이나 정원 등에 배관인 송수구와 함께 그대로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으며, 보행자의 보행경로를 방해하여 보행자가 소방용 연결송수구에 발이 걸려 넘어지는 등 안전상의 문제가 있어 왔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시되는 것이다.
그 목적은 소화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옥외에 설치되는 소방용 연결송수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현무암 등의 자연석을 이용하여 소방용 연결송수구 장치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관이 우수하고, 전체로써 조경의 일부가 되는 자연석을 이용한 소방용 연결송수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소화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옥외에 설치되는 소방용 연결송수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정면에서 내부의 중앙까지 수평으로 천공되어 형성되는 수평코어(110) 및 상기 수평코어(110)의 일단에서 연속하여 수직으로 천공되는 수직코어(120)로 이루어 지는 자연석(100); 전체적으로 ㄱ자 형태로써, 지면(E) 위에 수직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것으로 상기 수직코어(120) 및 수평코어(110)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송수구(200); 및, 상기 송수구(200)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코어(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연결송수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석을 이용한 소방용 연결송수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추가로 상기 송수구(200)는 수직배관인 수직관(210), 수평배관인 수평관(220) 및 상기 수직관(210)과 수평관(220)을 연결하는 연결관(2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석을 이용한 소방용 연결송수구 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첫째, 현무암 등의 자연석을 이용하여 미관이 우수하고 전체로써 조경의 일부가 되는 자연석을 이용한 소방용 연결송수구 장치를 제공한다.
둘째, 보행자의 진로를 방해하지 않아 안전한 소방용 연결송수구 장치를 제공한다.
셋째, 시공이 간편하여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소방용 연결송수구 장치를 제공한다.
넷째,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므로 유지보수가 간편한 소방용 연결송수구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자연석을 이용한 소방용 연결송수구 장치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자연석을 이용한 소방용 연결송수구 장치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고안의 자연석을 이용한 소방용 연결송수구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자연석을 이용한 소방용 연결송수구 장치의 제1실시예는 소화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옥외에 설치되는 소방용 연결송수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정면에서 내부의 중앙까지 수평으로 천공되어 형성되는 수평코어(110) 및 상기 수평코어(110)의 일단에서 연속하여 수직으로 천공되는 수직코어(120)로 이루어지는 자연석(100); 전체적으로 ㄱ자 형태로써, 지면(E) 위에 수직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것으로 상기 수직코어(120) 및 수평코어(110)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송수구(200); 및, 상기 송수구(200)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코어(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연결송수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연석(100)은 본 고안에서 케이스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정면에서 내부의 중앙까지 수평으로 천공되어 수평코어(110)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코어(110)의 일단에서 연속하여 수직으로 천공되어 수직코어(120)가 형성된다.
상기 수평코어(110) 및 수직코어(120)의 경우 내부에 동결방지를 위한 보온 및 단열을 위하여 단열재를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수평코어(110) 및 수직코어(120)의 직경은 각각 150mm 및 300mm로 천공하는 것이 천공 후 상기 송수구(20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연석(100)의 재질은 중량 및 가공성을 고려하여 중량이 가볍고 가공이 쉬운 현무암 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연석(100)을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는 종래의 소방용 연결송수구 장치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자연석을 이용한 소방용 연결송수구 장치의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상기 송수구(200)를 시공편의에 따라 수직관(210), 수평관(220) 및 연결관(230)의 3부분으로 나눈 것으로, 반드시 3부분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자연석(100)의 수평코어(110) 및 수직코어(120)의 직경 및 위치를 고려하여 그 이상 또는 이하로 나누어 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소방용 연결송수구 장치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현무암 등의 자연석을 이용하여 미관이 우수하고 전체로써 조경의 일부가 되며, 보행자의 진로를 방해하지 않아 안전하고, 시공이 간편하여 설치 및 해체 그리고 유지보수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청구범위는 이건 고안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자연석을 이용한 소방용 연결송수구 장치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자연석을 이용한 소방용 연결송수구 장치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자연석을 이용한 소방용 연결송수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 지면
100: 자연석
110: 수평코어
120: 수직코어
200: 송수구
210: 수직관
220: 수평관
230: 연결관
300: 연결송수구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소화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옥외에 설치되는 소방용 연결송수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정면에서 내부의 중앙까지 수평으로 천공되어 형성되는 수평코어(110) 및 상기 수평코어(110)의 일단에서 연속하여 수직으로 천공되는 수직코어(120)로 이루어지는 자연석(100);
    전체적으로 ㄱ자 형태로써, 지면(E) 위에 수직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것으로 상기 수직코어(120) 및 수평코어(110)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송수구(200); 및,
    상기 송수구(200)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코어(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연결송수구(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송수구(200)는 수직배관인 수직관(210), 수평배관인 수평관(220) 및 상기 수직관(210)과 수평관(220)을 연결하는 연결관(230)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코어(110) 및 수직코어(120)의 직경은 각각 150mm 및 300mm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석을 이용한 소방용 연결송수구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2020090017155U 2009-12-31 2009-12-31 자연석을 이용한 소방용 연결송수구 장치 KR2004593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7155U KR200459380Y1 (ko) 2009-12-31 2009-12-31 자연석을 이용한 소방용 연결송수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7155U KR200459380Y1 (ko) 2009-12-31 2009-12-31 자연석을 이용한 소방용 연결송수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886U KR20110006886U (ko) 2011-07-07
KR200459380Y1 true KR200459380Y1 (ko) 2012-03-23

Family

ID=45568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7155U KR200459380Y1 (ko) 2009-12-31 2009-12-31 자연석을 이용한 소방용 연결송수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380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741Y1 (ko) * 2000-02-28 2000-07-15 김창우 미관용제수변보호실철개
KR200243413Y1 (ko) * 2001-05-14 2001-10-15 윤창진 옥외소화전
KR200296539Y1 (ko) * 2002-07-02 2002-11-29 박우봉 소화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741Y1 (ko) * 2000-02-28 2000-07-15 김창우 미관용제수변보호실철개
KR200243413Y1 (ko) * 2001-05-14 2001-10-15 윤창진 옥외소화전
KR200296539Y1 (ko) * 2002-07-02 2002-11-29 박우봉 소화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886U (ko)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436717U (zh) 用于高层建筑施工外脚手架的消防喷淋装置
CA2331983A1 (en) Fire-suppression sprinkler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ation and retrofit
JP2008501077A (ja) 複数階の建物用の一体化された水供給システム
Min et al. A Study on Improvement of Discharge Pressure Measurement of Indoor Fire Hydrant System
KR101331616B1 (ko) 산불방지용 수막타워
CN104606832A (zh) 一种立体车库节能水循环灭火组合装置
KR101365674B1 (ko) 지하 전력구 또는 공동구내 케이블 방화장치
KR200459380Y1 (ko) 자연석을 이용한 소방용 연결송수구 장치
CN205062936U (zh) 一种新型房屋建筑排水系统管道
KR20060091331A (ko) 스프링클러 시험 밸브함
CN104288948A (zh) 多功能自动喷水灭火装置
KR102265322B1 (ko) 옥외 비상 소방함
CN110975202B (zh) 一种用于建筑消防的喷淋系统
CN103021105B (zh) 墙体嵌入式明装水力报警装置及其安装方法
CN204193374U (zh) 室内埋地式消防栓装置
KR20150130130A (ko) 소화전 겸용 수도 계량 장치
CN205502145U (zh) 一种新型水路控制系统
RU2535587C2 (ru) Водосток высотного здания
CN205348502U (zh) 一种具有室内消防功能的现浇混凝土空心楼盖内模系统
CN213760318U (zh) 一种能够灭火的水管
CN203886085U (zh) 一种房屋灭火装置
CN202876179U (zh) 家用自救式消火栓
JPH11319138A (ja) 簡易スプリンクラー設備
KR20110003170A (ko) 건물 화재 진압용 소방 쿨러 시스템
KR200258506Y1 (ko) 스프링클러 배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