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262Y1 - 전선피복 탈피기 - Google Patents

전선피복 탈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262Y1
KR200459262Y1 KR2020100011715U KR20100011715U KR200459262Y1 KR 200459262 Y1 KR200459262 Y1 KR 200459262Y1 KR 2020100011715 U KR2020100011715 U KR 2020100011715U KR 20100011715 U KR20100011715 U KR 20100011715U KR 200459262 Y1 KR200459262 Y1 KR 2004592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tripper
lever
gripper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17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석
Original Assignee
최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석 filed Critical 최종석
Priority to KR20201000117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2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2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2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1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liding jaw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04Hand-held tools
    • H02G1/1221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 H02G1/1224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making a transverse c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04Hand-held tools
    • H02G1/1229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making a longitudinal, and a transverse or a helical cut
    • H02G1/1234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making a longitudinal, and a transverse or a helical cut the tool being of the plier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04Hand-held tools
    • H02G1/1236Features relating to cutting elements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전선피복 탈피기는, 전기공사 현장에서 전선의 접속이나 분기 및 선단의 고정을 위하여 전선의 절연피복을 탈피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전선피복 탈피기가 헤드본체의 파지대의 간격조정을 위한 간격조정볼트에 링형상의 조정볼트손잡이가 형성되어 간격조정볼트의 작동이 간편해 지게 되고, 전선을 파지 후 상기 레버가 고정되도록 링크에 걸리게 되는 봉형상의 작동봉이 설치된 링크고정수단이 상기 레버의 하단에 형성되어 작동봉을 작동하므로서 레버의 고정과 해제가 간편하게 되므로 작업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작동봉이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링크고정수단에 의한 부상이 미연에 방지되게 되며, 탈피기 본체의 손잡이에 회동손잡이가 힌지고정되어 형성되므로 회동손잡이를 잡고 탈피기를 돌려주게 되면 파지대에 형성된 커터가 전선의 절연피복을 탈피하게 되므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탈피작업이 이루어 지게 되어 작업시간이 줄어들게 되므로 작업인력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선피복 탈피기{ A wire sheath peeler }
본 고안은 전선피복 탈피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기공사 현장에서 전선의 접속이나 분기 및 선단의 고정을 위하여 전선의 절연피복을 탈피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전선피복 탈피기의 헤드본체에 눈금이 표시된 간격표시대가 형성되어 전선의 규격에 맞도록 파지대의 간격을 조정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고, 상기 헤드본체의 파지대의 간격조정을 위한 간격조정볼트에 링형상의 조정볼트손잡이가 형성되어 간격조정볼트의 작동이 간편해 지게 되고, 전선을 파지 후 상기 레버가 고정되도록 링크에 걸리게 되는 봉형상의 작동봉이 설치된 링크고정수단이 상기 레버의 하단에 형성되어 작동봉을 작동하므로서 레버의 고정과 해제가 간편하게 되므로 작업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탈피기의 일측에 회동작동되는 회동손잡이가 힌지고정되어 형성되므로 회동손잡이를 잡고 탈피기를 돌려주게 되면 파지대에 형성된 커터가 전선의 절연피복을 탈피하게 되므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탈피작업이 이루어 지게 되어 작업시간이 줄어들게 되므로 작업인력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 가능한 전선피복 탈피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전선피복 탈피기는, 전기공사 현장에서 전선의 접속이나 분기 및 선단의 고정을 위해 전선의 절연피복을 탈피하기 위하여 칼, 가위 등을 사용하여 전선의 피복을 손수 도려내거나 펜치, 니퍼와 같은 수공구를 사용하여 전선의 피복을 벗겨내며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칼, 가위 또는 펜치, 니퍼 등을 사용하여 전선의 피복을 벗겨내게 되면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어 인력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피복작업을 잘못 수행하여 피복내의 선들이 잘리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므로 작업시 많은 주의를 요하게 되고, 칼, 가위 또는 펜치, 니퍼 등의 수공구에 의해 부상이 자주 발생하게 되는 큰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전선피복 탈피기(A)는,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이어 형상의 탈피기 본체(1) 상단에 전선을 파지하기위한 파지대(21)와 상기 파지대(21)에 파지된 전선의 피복을 탈피하기 위한 커터(22)가 형성된 헤드본체(2)와, 상기 헤드본체(2)의 파지대(21)를 작동하며 조정링크(4)에 고정되어 해제가 방지되도록 하단에 링크고정수단(31)이 형성된 레버(3)와, 탈피기 본체(1)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헤드본체(2)의 파지대(21)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간격조정볼트(5)를 포함하고 있으나, 이런한 종래의 전선피복 탈피기(A)는 레버(3)작동시 상기 레버(3)의 하단에 형성되어 조정링크(4)의 걸림턱(41)에 걸려 고정되는 링크고정수단(31)이 조정링크(4)의 걸림턱(41)에 걸리는 작동편(32)과 상기 작동편(32)의 작동범위를 가이드하는 지지봉(33)과 상기 지지봉(33)의 외측에 설치되어 작동편(32)을 상부로 탄력지지하는 스프링(34)으로 구성되어 있어 그 구조가 복잡하고, 레버(3) 상에 작동편(32)의 작동범위에 해당하는 만큼 홈(35)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제조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작동편(32)이 레버(3)에 밀착되게 형성되어 작동이 난해하므로 작동편(32)을 작동하다 손에 부상이 자주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탈피기 본체(1)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헤드본체(2)의 파지대(21)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조정볼트(5)에 별도의 손잡이 없이 볼트헤드(51)로 형성되어 있어 간격조정볼트(5)를 돌려 파지대(21)의 간격을 조절하기가 쉽지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선의 절연피복을 벗겨내기 위해선 커터(22)가 형성된 헤드본체(2)의 파지대(21)로 전선을 파지하고 전선이 파지 된 상태에서 전선을 중심으로 탈피기 본체(1)를 돌려 커터(22)에 의해 전선의 피복이 벗겨지게 작업하여야 하나 이와 같은 피복 탈피작업은 탈피기 본체(1)의 손잡이(11)와 레버(3)를 동시에 잡고 탈피기 본체(1)를 계속하여 돌려주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탈피작업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않게 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공사 현장에서 전선의 접속이나 분기 및 선단의 고정을 위하여 전선의 절연피복을 탈피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전선피복 탈피기의 헤드본체에 눈금이 표시된 간격표시대가 형성되어 전선의 규격에 맞도록 파지대의 간격을 조정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고, 상기 헤드본체의 파지대의 간격조정을 위한 간격조정볼트에 링형상의 조정볼트손잡이가 형성되어 간격조정볼트의 작동이 간편해 지게 되고, 전선을 파지 후 상기 레버가 고정되도록 링크에 걸리게 되는 봉형상의 작동봉이 설치된 링크고정수단이 상기 레버의 하단에 형성되어 작동봉을 작동하므로서 레버의 고정과 해제가 간편하게 되므로 작업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작동봉이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링크고정수단에 의한 부상이 미연에 방지되게 되는 것이 가능한 전선피복 탈피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탈피기의 일측에 회동작동되는 회동손잡이가 힌지고정되어 형성되므로 회동손잡이를 잡고 탈피기를 돌려주게 되면 파지대에 형성된 커터가 전선의 절연피복을 탈피하게 되므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탈피작업이 이루어 지게 되어 작업시간이 줄어들게 되므로 작업인력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 가능한 전선피복 탈피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은, 전선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대와 상기 파지대에 파지된 전선의 피복을 탈피하는 커터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유동홈과 상기 유동홈의 일측에 표시눈금이 형성된 간격표시대가 형성된 헤드본체와, 상기 헤드본체의 파지대를 작동하며 일측이 힌지고정된 조정링크에 고정되는 링크고정수단이 하부에 형성된 레버와, 상기 헤드본체의 파지대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해 일측에 링형상의 조정볼트손잡이가 형성된 간격조정볼트와, 상기 간격조정볼트와 인접하게 형성되며 회동작동되는 회동손잡이를 포함하는 본 고안에 따른 전선피복 탈피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전선피복 탈피기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 및 장점들을 명백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전선피복 탈피기는, 전기공사 현장에서 전선의 접속이나 분기 및 선단의 고정을 위하여 전선의 절연피복을 탈피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전선피복 탈피기의 헤드본체에 눈금이 표시된 간격표시대가 형성되어 전선의 규격에 맞도록 파지대의 간격을 조정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고, 헤드본체의 파지대의 간격조정을 위한 간격조정볼트에 링형상의 조정볼트손잡이가 형성되어 간격조정볼트의 작동이 간편해 지게 되고, 전선을 파지 후 상기 레버가 고정되도록 링크에 걸리게 되는 봉형상의 작동봉이 설치된 링크고정수단이 상기 레버의 하단에 형성되어 작동봉을 작동하므로서 레버의 고정과 해제가 간편하게 되므로 작업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작동봉이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링크고정수단에 의한 부상이 미연에 방지되게 되며, 탈피기 본체의 손잡이에 회동손잡이가 힌지고정되어 형성되므로 회동손잡이를 잡고 탈피기를 돌려주게 되면 파지대에 형성된 커터가 전선의 절연피복을 탈피하게 되므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탈피작업이 이루어 지게 되어 작업시간이 줄어들게 되므로 작업인력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 가능한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선피복 탈피기의 사시도
도 2a, 2b는 도 1에 도시된 전선피복 탈피기의 레바의 작동을 나타낸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피복 탈피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피복 탈피기의 정면도
도 5a는 도 4에 도시된 전선피복 탈피기의 레바의 작동 전,후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5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피복 탈피기의 헤드본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확대정면도
도 6a, 6b는 레바의 링크고정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피복 탈피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전선피복 탈피기의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전선피복 탈피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고안에 대한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선피복 탈피기(A)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대(210)와 상기 파지대(210)에 파지된 전선(C)의 피복(C1)을 탈피하는 커터(220)와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홈(231)이 형성되고 상기 유동홈(231)의 일측에 표시눈금(232)이 형성된 간격표시대(230)가 형성된 헤드본체(200)와, 상기 헤드본체(200)의 파지대(210)를 작동하며 일측이 힌지고정된 조정링크(400)에 고정되는 링크고정수단(310)이 하부에 형성된 레버(300)와, 상기 헤드본체(200)의 파지대(210)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해 일측에 링형상의 조정볼트손잡이(520)가 형성된 간격조정볼트(500)와, 상기 간격조정볼트(500)와 인접하게 형성되며 회동작동되는 회동손잡이(600)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본체(200)는, 피복작업을 위한 전선(C)을 파지하도록 절곡되어 탈피기 본체(100)의 상단에 형성된 상부파지대(211)와, 상기 상부파지대(211)의 하부에 위치되며 레버(300)에 의해 작동되도록 일측은 탈피기 본체(100)에 힌지고정되고 타측은 레버(300)에 힌지고정된 하부파지대(212)와, 상기 상,하부파지대(211,212)에 파지된 전선(C)의 피복(C1)을 파고들어 탈피하도록 상기 상부파지대(211) 상에 형성된 커터(220)와, 일단이 상부파지대(211)에 일측에 고정되어 파지대(210)의 간격을 표시하는 눈금이 표시된 간격표시대(230)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파지대(212)는, 상부파지대(211)와 협동하여 전선(C)을 파지하도록 절곡된 파지부(2121)가 형성되고, 일측이 탈피기 본체(100)에 힌지고정되며, 타측이 레버(300)에 힌지고정되므로 상기 레버(300)를 당기게 되면 하부파지대(212)가 상부로 상승하며 상부파지대(211)와 간격이 좁아지게 되어 전선(C)을 압착하여 파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헤드본체(200) 상에 전선(C)을 파지하는 상,하부 파지대(211,212)가 형성되고 상부파지대(211) 상에 커터(220)가 형성되어 파지된 전선(C)의 피복(C1)을 탈피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파지대(212) 상에 커터(220)가 형성되어 전선의 피복을 탈피하는 것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상기 간격표시대(230)는 장방형의 얇은 판재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파지대(212)의 돌기(212a)가 유동되는 유동홈(231)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일측에 전선의 규격을 표시하는 표시눈금(232)이 형성되어 일단이 상부파지대(211)의 일측에 고정된다.
상기 간격표시대(23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전선의 규격을 표시하는 5mm, 58SQ, 95SQ, 160SQ, 240SQ의 표시눈금(232)이 형성되어 파지대(210)의 간격을 조정하여 상기 하부파지대(212)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212a)를 전선의 규격이 표시된 표시눈금(232)에 맞도록 조정 후 전선을 파지하게 되므로 전선의 파지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간격표시대(230)는 일측의 표시눈금(232) 중 최상단의 표시눈금은 5mm 규격을 나타내고, 상단에서 두번째 표시눈금은 58SQ 규격을 나타내고, 세번째 표시눈금은 95SQ 규격을 나타내고, 네번째 표시눈금은 160SQ 규격을 나타내고, 최하단의 표시눈금은 240SQ 규격을 나타내므로 파지대(210)의 간격을 눈금에 맞게 조정하여 하부파지대(212)의 돌기(212a)를 각 표시눈금에 맞추게 되면 규격에 맞는 전선의 파지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간격표시대(230)의 일측에 5mm, 58SQ, 95SQ, 160SQ, 240SQ의 표시눈금(232)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규격의 눈금이 표시되는 것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상기 레버(300)는, 상기 하부파지대(212)에 상단이 힌지고정되고 중단에 타단이 탈피기 본체(100)의 내측에 지지되는 조정링크(400)의 일단이 힌지고정되며 하단에 레버 작동시 조정링크(400)에 걸려 고정되는 링크고정수단(310)이 형성된다.
상기 링크고정수단(310)은, 스프링(312)과 작동봉(313)이 설치되어 상하로 작동되도록 작동홈(3111)이 내측에 형성된 케이스(311)와, 상기 케이스(311)의 작동홈(3111)에 설치되어 작동봉(313)을 상부로 탄력지지하는 스프링(312)과, 상기 작동홈(3111)에 끼워져 작동홈(3111)내에 설치된 스프링(312)에 의해 상부로 탄력지지되어 조정링크(400)의 걸림턱(410)에 걸려 고정되는 고정부(3131)가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에 원형의 손잡이(3132)가 형성된 작동봉(313)으로 구성된다.
상기 조정링크(400)는, 일단이 상기 레버(300)의 중단에 힌지고정되고 타단이 탈피기 본체(100)의 내측에 지지되며 중간에 레버(300)의 링크고정수단(310)의 작동봉(313)의 고정부(3131)가 고정되도록 걸림턱(410)이 형성된다.
상기 조정링크(400)는 레버(300)의 중단에 힌지고정되어 레버(300)를 잡아당겼을 때 레버(300)와 함께 탈피기 본체(100)에 인접하도록 회동하면서 상기 조정링크(400)의 중간에 형성된 걸림턱(400)이 상기 레버(300)의 링크고정수단(310)의 작동봉(313)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부(3131)를 누르게 되고 이때 스프링(312)에 의해 상부로 탄력지지된 작동봉(313)은 하부로 후퇴하였다가 다시 상부로 상승하게 되면서 상기 조정링크(400)의 걸림턱(400)에 작동봉(313)의 고정부(3131)가 걸려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고정상태를 해제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작동봉(313)의 하부에 형성된 원형의 손잡이(3132)를 하부로 잡아당기게 되면 스프링(312)에 의해 탄력지지된 작동봉(313)은 하부로 후퇴하게 되어 상기 조정링크(400)의 걸림턱(410)에서 작동봉(313)의 고정부(3131)가 빠져나오게 되므로 간단하게 해제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간격조정볼트(500)는, 일측이 상기 탈피기 본체(100)의 하단에 형성된 암나사부(111)에 결합되도록 숫나사가 형성된 볼트부(510)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암나사부(111)에 결합된 볼트부(510)를 손쉽게 돌려 고정할 수 있도록 링형상의 조정볼트손잡이(520)가 형성된다.
상기 간격조정볼트(50)는 볼트부(510)의 일단이 탈피기 본체(100)의 내측에 지지된 조정링크(400)의 타단을 밀어주게 되어 상기 조정링크(400)의 일단이 고정된 레버(300)를 밀어주게 되고, 상기 레버(300)가 밀리면서 레버(300)의 상단에 고정된 하부파지대(212)를 밀어주게 되므로 상기 하부파지대(212)의 위치가 상부로 조정되게 되어 상부파지대(211)와의 간격이 좁아지게 조정되는 것이다.
상기 회동손잡이(600)는, 외면에 미끌림방지면(610)이 형성되고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탈피기 본체(100)의 하단에 형성된 지지대(110)상에 좌우회동 상관없이 회동 되도록 고정볼트(620)에 의해 힌지고정된다.
상기 회동손잡이(600)는, 상,하부파지대(211,212) 상에 전선을 위치시키고 레버(300)를 잡아당겨 상기 전선(C)을 압착하여 파지한 후, 상기 회동손잡이(600)를 잡고 파지된 전선(C)을 중심으로 탈피기 본체(100)를 돌려주게 되므로 회동손잡이(600)에 의해 탈피기 본체(100)의 회전작업이 손쉽게 이루어 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선피복 탈피기(A)는, 전기공사 현장에서 전선의 접속이나 분기 및 선단의 고정을 위하여 전선(C)의 피복(C1)을 탈피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전선피복 탈피기(A)가 헤드본체(200)의 파지대의 간격조정을 위한 간격조정볼트(500)의 타측에 링형상의 조정볼트손잡이(520)가 형성되어 상기 조정볼트손잡이(520)를 잡고 간격조정볼트(500)를 돌려주게 되므로 상기 간격조정볼트(500)의 작동이 간편해 지게 되고, 레버(300)를 잡아당겨 전선(C)을 파지 후 상기 레버(300)가 고정되도록 링크(400)에 걸리게 되는 봉형상의 작동봉(313)이 설치된 링크고정수단(310)이 상기 레버(300)의 하단에 형성되어 작동봉(313)을 작동하므로서 레버(300)의 고정과 해제가 간편하게 되므로 작업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작동봉(313)이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링크고정수단(310)에 의한 부상이 미연에 방지되게 되는 것이 가능하며, 탈피기 본체(100)의 일측에 회동작동되는 회동손잡이(600)가 힌지고정되어 형성되므로 회동손잡이(600)를 잡고 탈피기를 돌려주게 되면 상부파지대(211)에 형성된 커터(220)가 전선(C)의 피복(C1)을 탈피하게 되므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탈피작업이 이루어 지게 되어 작업시간과 작업인력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전선피복 탈피기는 일반 탈피기 제조공장에서 동일한 방법으로 반복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고안이라고 할 것이다.
100. 탈피기 본체 200. 헤드본체 210. 파지대
220. 커터 300. 레버 310. 링크고정수단
400. 조정링크 500. 간격조정볼트 510. 볼트부
520. 조정볼트손잡이 600. 회동손잡이

Claims (4)

  1. 전선피복 탈피기(A)에 있어서,
    상기 전선피복 탈피기(A)는 전선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대(210)와 상기 파지대(210)에 파지된 전선(C)의 피복(C1)을 탈피하는 커터(220)와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홈(231)이 형성되고 상기 유동홈(231)의 일측에 표시눈금(232)이 형성된 간격표시대(230)가 형성된 헤드본체(200)와,
    상기 헤드본체(200)의 파지대(210)를 작동하며 일측이 힌지고정된 조정링크(400)에 고정되는 링크고정수단(310)이 하부에 형성된 레버(300)와,
    상기 헤드본체(200)의 파지대(210)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해 일측에 링형상의 조정볼트손잡이(520)가 형성된 간격조정볼트(500)와,
    상기 간격조정볼트(500)와 인접하게 형성되며 회동작동되는 회동손잡이(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피복 탈피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고정수단(310)은, 내측에 작동홈(3111)이 형성된 케이스(311)와, 상기 케이스(311)의 작동홈(3111)에 설치되어 작동봉(313)을 상부로 탄력지지하는 스프링(312)과, 상기 작동홈(3111)에 끼워져 스프링(312)에 의해 상부로 탄력지지되고 조정링크(400)에 걸려 고정되는 고정부(3131)가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에 원형 손잡이(3132)가 형성된 작동봉(31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피복 탈피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정볼트(500)는, 탈피기 본체(100)의 하단에 형성된 암나사부(111)에 결합되도록 숫나사가 형성된 볼트부(510)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 링형상의 조정볼트손잡이(5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피복 탈피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손잡이(600)는, 외면에 미끌림방지면(610)이 형성되고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탈피기 본체(100)의 하단에 형성된 지지대(110)상에 좌우회동 상관없이 회동 되도록 고정볼트(620)에 의해 힌지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피복 탈피기.

KR2020100011715U 2010-11-15 2010-11-15 전선피복 탈피기 KR2004592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715U KR200459262Y1 (ko) 2010-11-15 2010-11-15 전선피복 탈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715U KR200459262Y1 (ko) 2010-11-15 2010-11-15 전선피복 탈피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9262Y1 true KR200459262Y1 (ko) 2012-03-23

Family

ID=47625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1715U KR200459262Y1 (ko) 2010-11-15 2010-11-15 전선피복 탈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26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054B1 (ko) * 2016-06-01 2018-09-12 양희성 전선 피박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390Y1 (ko) 1998-02-16 2000-04-15 김정세 전선 외피 제거용 공구
KR20040094010A (ko) * 2003-05-01 2004-11-09 (합) 광전사 전선 피박기
JP2006136073A (ja) 2004-11-04 2006-05-25 Mcc Corp 横ハンドル型の電線被覆剥離工具
JP2009261141A (ja) 2008-04-17 2009-11-05 Vessel Industrial Co Ltd 被覆電線のストリッパ及び被覆電線の被覆材剥離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390Y1 (ko) 1998-02-16 2000-04-15 김정세 전선 외피 제거용 공구
KR20040094010A (ko) * 2003-05-01 2004-11-09 (합) 광전사 전선 피박기
JP2006136073A (ja) 2004-11-04 2006-05-25 Mcc Corp 横ハンドル型の電線被覆剥離工具
JP2009261141A (ja) 2008-04-17 2009-11-05 Vessel Industrial Co Ltd 被覆電線のストリッパ及び被覆電線の被覆材剥離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054B1 (ko) * 2016-06-01 2018-09-12 양희성 전선 피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0388B2 (en) Multi-function wire stripping hand tool and kit and method for using same
CN205104851U (zh) 一种控制电缆剥线钳
KR200450026Y1 (ko) 전동식 전선피복 탈피기
JP5848410B1 (ja) コッターピン用間接活線先端工具
KR200459262Y1 (ko) 전선피복 탈피기
KR20160038687A (ko) 전선 피복용 박피공구
WO2019017419A1 (ja) 剥離用工具
KR20140146316A (ko) 전선 피복 제거 장치
CN201813111U (zh) 剥线钳
CN103928875B (zh) 电缆皮剥线器
CN210007264U (zh) 一种剥线钳
CN204793554U (zh) 一种多功能网线钳
CN103618264A (zh) 一种电缆剥切工具
CN203800498U (zh) 电缆皮剥线器
WO2014187131A1 (zh) 绝缘导线绝缘层环切器及切割绝缘层的方法
CN210404326U (zh) 一种电缆剥皮器
WO2020034261A1 (zh) 指环式小型电缆环剥切断器
JP2012161169A (ja) 電線被覆剥取器用操作道具および電線被覆剥取器用操作道具先端具
CN203760942U (zh) 一种电缆剥切工具
CN220762296U (zh) 一种具备分线功能的电工钳
CN217720232U (zh) 一种电气工程接线钳
CN214280729U (zh) 一种多功能电工用剥线钳
CN218040520U (zh) 一种电缆半导电层剥切工具
CN203760944U (zh) 一种电缆剥切工具
CN203760943U (zh) 一种电缆剥切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