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002Y1 - 안테나 홀더 - Google Patents

안테나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002Y1
KR200459002Y1 KR2020100011383U KR20100011383U KR200459002Y1 KR 200459002 Y1 KR200459002 Y1 KR 200459002Y1 KR 2020100011383 U KR2020100011383 U KR 2020100011383U KR 20100011383 U KR20100011383 U KR 20100011383U KR 200459002 Y1 KR200459002 Y1 KR 2004590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connector
pad
mounting groov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13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국
김윤회
김영화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113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0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0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0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088Quick-releasable antenna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안테나 홀더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안테나 홀더는, 안테나와, 일측은 상기 안테나에 결합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를 갖고 타측은 연결봉을 구비하는 커넥터를 지지하는 안테나 홀더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플랜지가 삽입되는 장착 홈과, 상기 커넥터가 삽입되는 제1 홀이 형성된 덮개 패드와, 상기 커넥터가 삽입되는 제2 홀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 홈에 삽입되어 상기 장착 홈의 바닥과 상기 플랜지에 맞닿는 제1 탄성 패드와, 상기 커넥터의 상기 연결봉이 삽입되는 제3홀이 형성되며 상기 안테나가 고정되는 함체와 상기 덮개 패드 사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제2 탄성 패드, 및 상기 덮개 패드와 상기 제2 탄성 패드를 관통하여 상기 함체에 고정된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테나 홀더{ANTENA HOLDER}
본 고안은 안테나 홀더에 관한 것이다.
옥외에 설치되는 와이브로(WiBro) 등의 안테나는 와셔 너트를 이용하여 안테나와 커넥터를 연결 설치하고 안테나를 브라켓 등으로 감싸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방풍에는 큰 문제가 없으나 와셔 너트로 연결된 부분으로 물이 스며들어 노이즈를 증가시킨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실리콘 등으로 연결부위를 실링하는 방법이 적용되었다. 그러나 실리콘으로 실링하는 경우에는 양산성 및 조립성이 저하되고, 안테나를 보수하여야 하는 경우, 실리콘을 제거해야 하므로 유지 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수밀성이 향상되고 보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안테나 홀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안테나 홀더는 안테나와, 일측은 상기 안테나에 결합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를 갖고 타측은 연결봉을 구비하는 커넥터를 지지하는 안테나 홀더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플랜지가 삽입되는 장착 홈과, 상기 커넥터가 삽입되는 제1 홀이 형성된 덮개 패드와, 상기 커넥터가 삽입되는 제2 홀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 홈에 삽입되어 상기 장착 홈의 바닥과 상기 플랜지에 맞닿는 제1 탄성 패드와, 상기 커넥터의 상기 연결봉이 삽입되는 제3홀이 형성되며 상기 안테나가 고정되는 함체와 상기 덮개 패드 사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제2 탄성 패드, 및 상기 덮개 패드와 상기 제2 탄성 패드를 관통하여 상기 함체에 고정된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패드에는 상기 제1 탄성패드를 향하여 돌출된 차단돌기가 상기 제1 홀의 둘레를 따라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 패드에는 상기 장착 홈에서 외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장착 홈의 둘레 방향으로 이어진 차단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홀더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되, 상기 브라켓은 중앙판과 상기 중앙판의 측단에서 절곡되어 마주하는 측판들, 및 상기 측판에서 절곡되어 덮개 패드와 맞닿는 고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관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른 안테나 홀더는 수밀성이 향상되고 보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와 안테나 홀더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와 안테나 홀더를 도시한 분해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부재들이 결합된 상태에서 잘라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홀더가 함체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와 안테나 홀더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와 안테나 홀더를 도시한 분해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안테나(10)는 커넥터(30)를 매개로 함체(80) 내부에 설치된 장치와 연결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홀더(100)는 커넥터(30)의 플랜지(32)가 삽입되는 장착 홈(21)이 형성된 덮개 패드(20)와, 장착 홈(21)에 삽입되어 장착 홈(21)의 바닥과 커넥터(30)의 플랜지(32)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탄성 패드(40), 안테나(10)가 고정되는 함체(80)와 덮개 패드(20) 사이에 설치되는 제2 탄성 패드(50), 및 덮개 패드(20)와 제2 탄성 패드(50)를 관통하여 함체(80)에 고정된 고정부재(71)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10)는 일방향으로 길게 이어진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부에는 돌출되어 커넥터(30)와 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면이 나사 가공된 안테나 단자(12)가 형성된다. 안테나(10)는 무선 신호, 예를 들면 와이브로 신호, 를 수신하는 다양한 종류의 안테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넥터(30)는 안테나 단자(12)에 결합되는 커넥터 단자(33)와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32), 및 플랜지(32)에서 돌출되어 일방향으로 길게 이어진 막대 형상의 연결봉(31)을 포함한다. 커넥터 단자(33)는 안테나 단자에 나사 결합되며, 연결봉(31)은 함체(80) 내부에 설치된 장치의 연결 단자(85)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커넥터(30)는 안테나(10)를 통해서 수신된 신호를 함체(80) 내부에 설치된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함체(8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공간을 갖는 상자 또는 건축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장착 홈(21)은 덮개 패드(20)의 중앙에 형성되며 사각 단면 형상을 갖는다. 이 장착 홈(21)의 외측에서 이격된 부분에는 장착 홈(21)의 둘레 방향으로 이어진 차단 홈(26)이 형성되며, 이 차단 홈(26)은 사각 고리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여기서 장착 홈(21) 및 차단 홈(26)은 사각 형상 이외에 다양한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을 것이나, 본 고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사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으로 설명한다.
장착 홈(21)의 중앙에는 커넥터(30)가 삽입되는 제1 홀(23)이 형성되며, 제1 홀(23)의 외측에는 제1 홀(23)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이어진 복수 개의 차단 돌기(28)가 형성된다. 차단 돌기들(28)은 리브(rib) 형태로 이루어지며 복수 개가 이격 배열되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단 돌기(28)가 원형 고리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이어져 형성되나, 본 고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차단 돌기는 타원형 고리, 다각형 고리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덮개 패드(20)의 각 모서리에는 고정부재(71)가 삽입되는 4개의 체결 홀(25)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 홈(21)에는 제1 탄성 패드(40)와 커넥터(30)의 플랜지(32)가 삽입되는 바, 제1 탄성 패드(40)는 장착 홈(21)의 바닥과 플랜지(32)에 밀착된다. 제1 탄성 패드(4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커넥터(30)가 삽입되는 제2 홀(41)이 형성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부재들이 결합된 상태에서 잘라 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탄성 패드(40)가 플랜지(32)와 덮개 패드(20) 사이에 설치되면 커넥터(30)와 안테나(10)의 결합력에 의하여 제1 탄성 패드(40)가 압축되고, 이에 따라 제1 탄성 패드(40)와 덮개 패드(20) 및 플랜지(32) 사이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장착 홈(21)에 차단 돌기(28)가 형성되는 바, 차단 돌기(28)가 제1 탄성 패드(40)를 가압하여 밀착되므로 수분이 차단 돌기(28)를 넘어서 내측으로 침투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2 탄성 패드(50)는 사각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덮개 패드(20)와 함체(80) 사이에 설치된다. 제2 탄성 패드(50)는 덮개 패드(20)에서 장착 홈(21)의 외측에 형성된 판면에 밀착되어 덮개 패드(20)와 함체(80) 사이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2 탄성 패드(50)의 중앙에는 커넥터(30)가 삽입되는 제3 홀(51)이 형성되며, 각 모서리 부분에는 고정부재(71)가 삽입되는 체결 홀(2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탄성 패드(5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71)에 의하여 덮개 패드(20)와 함체(80)가 고정될 때, 덮개 패드(20)는 가압되어 함체(80)에 밀착된다. 또한, 제2 탄성 패드(50)가 차단 홈(26)과 맞닿아 있는 바, 차단 홈(26)의 입구 쪽에 형성된 모서리 부분에 덮개 패드(20)가 가압된다. 일반적으로 가압에 의한 밀봉의 경우, 마주하는 면들이 균일하게 접촉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는 마주하는 면의 표면에 미세한 돌기들이 형성되어 돌기들 사이에 틈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같이 고리 형상의 차단 홈(26)을 형성하면 차단 홈(26) 부분에서는 가압력이 적용되지 않고, 차단 홈(26)의 입구 모서리 부분에 가압력이 집중되므로 돌기를 형성하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외부에서 침투한 수분이 차단 홈(26)에 진입하더라도 가압된 차단 홈(26)의 입구 부분에서 차단되어 내측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므로 수분의 침투를 더욱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홀더(100)는 브라켓(60)을 더 포함하는 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60)은 사각판 형태의 중앙판(61)과 중앙판(61)의 양쪽 측단에서 절곡되어 마주하는 측판(62), 및 측판(62)에서 절곡되어 덮개 패드(20)과 맞닿는 고정판(63)을 포함할 수 있다.
측판(62)은 중앙판(61)에서 수직으로 절곡되며, 고정판(63)은 중앙판과 평행하도록 절곡된다. 고정판(63)에는 고정부재(71)가 삽입 설치되는 체결 홀(65)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재(71)는 나사 형태로 이루어지며, 브라켓(60)과 덮개 패드(20), 및 제2 탄성 패드(50)에 형성된 체결홀(25,52)들을 관통하여 함체(80)에 고정된다. 함체(80)에는 고정부재(71)와 나사 결합되는 고정부(8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덮개 패드(20)의 장착 홈(21)에 제1 탄성 패드(40)와 플랜지(32)가 삽입되고, 덮개 패드(20)와 함체(80) 사이에 제2 탄성 패드가 삽입되므로 안테나가 설치된 부분을 통해서 함체의 내측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부재들의 결합에 의하여 밀봉이 실현되므로 안테나를 분리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고정부재를 이탈시키는 것으로 용이하게 안테나를 분리하고 보수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고안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안테나 홀더 10: 안테나
12: 안테나 단자 20: 덮개 패드
21: 장착 홈 23: 제1 홀
25, 52, 65: 체결 홀 26: 차단 홈
28: 차단 돌기 30: 커넥터
31: 연결봉 32: 플랜지
33: 커넥터 단자 40: 제1 탄성 패드
41: 제2 홀 50: 제2 탄성 패드
51: 제3 홀 60: 브라켓
61: 중앙판 62: 측판
63: 고정판 71: 고정부재
80: 함체 82: 고정부
85: 연결 단자

Claims (4)

  1. 안테나와, 일측은 상기 안테나에 결합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를 갖고 타측은 연결봉을 구비하는 커넥터를 지지하는 안테나 홀더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플랜지가 삽입되는 장착 홈과, 상기 커넥터가 삽입되는 제1 홀이 형성된 덮개 패드;
    상기 커넥터가 삽입되는 제2 홀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 홈에 삽입되어 상기 장착 홈의 바닥과 상기 플랜지에 맞닿는 제1 탄성 패드;
    상기 커넥터의 상기 연결봉이 삽입되는 제3홀이 형성되며 상기 안테나가 고정되는 함체와 상기 덮개 패드 사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제2 탄성 패드; 및
    상기 덮개 패드와 상기 제2 탄성 패드를 관통하여 상기 함체에 고정된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안테나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패드에는
    상기 제1 탄성패드를 향하여 돌출된 차단돌기가 상기 제1 홀의 둘레를 따라 이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홀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패드에는
    상기 장착 홈에서 외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장착 홈의 둘레 방향으로 이어진 차단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홀더.
  4. 제1항에 있어서,
    브라켓을 더 포함하되,
    상기 브라켓은
    중앙판과
    상기 중앙판의 측단에서 절곡되어 마주하는 측판들 및
    상기 측판에서 절곡되어 덮개 패드와 맞닿는 고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홀더.
KR2020100011383U 2010-11-04 2010-11-04 안테나 홀더 KR2004590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383U KR200459002Y1 (ko) 2010-11-04 2010-11-04 안테나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383U KR200459002Y1 (ko) 2010-11-04 2010-11-04 안테나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9002Y1 true KR200459002Y1 (ko) 2012-03-21

Family

ID=47625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1383U KR200459002Y1 (ko) 2010-11-04 2010-11-04 안테나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00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17220A (zh) * 2016-07-27 2019-03-01 英特尔公司 具有可拆离式天线支持的可穿戴电子设备
KR102343875B1 (ko) * 2021-07-06 2021-12-24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케이블 실링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무인잠수정의 안테나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0456A (ko) * 2006-11-03 2008-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커넥터용 홀더 및 이를 포함한 안테나 커넥터의장착구조
KR101006390B1 (ko) 2009-03-17 2011-01-10 김경훈 휴대폰 단말기의 착탈식 안테나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0456A (ko) * 2006-11-03 2008-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커넥터용 홀더 및 이를 포함한 안테나 커넥터의장착구조
KR101006390B1 (ko) 2009-03-17 2011-01-10 김경훈 휴대폰 단말기의 착탈식 안테나 커넥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17220A (zh) * 2016-07-27 2019-03-01 英特尔公司 具有可拆离式天线支持的可穿戴电子设备
CN109417220B (zh) * 2016-07-27 2021-03-12 英特尔公司 具有可拆离式天线支持的可穿戴电子设备
KR102343875B1 (ko) * 2021-07-06 2021-12-24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케이블 실링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무인잠수정의 안테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0433B2 (en) Waterproof structure for portion where members are tightened with screw
US20160211568A1 (en) Clamp device for mounting antenna to rail
KR102329125B1 (ko) 원격 무선 유닛, 이에 사용되는 케이블 연결 조립체 및 하우징
US20090058571A1 (en) Connector and waveguide assembly
US20130025932A1 (en) Waterproof assembly and device employing the same
JP2012249378A (ja) グロメット
KR200459002Y1 (ko) 안테나 홀더
US20210328420A1 (en) Cable Sealing Device and Cable Sealing System
US8553399B2 (en) Electronic device with locking assembly
CN107024606B (zh) 一种天线测试工装
US1197895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RU201036U1 (ru) Водонепроницаемый узел
JP5410332B2 (ja) 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ユニット及び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
KR200392716Y1 (ko) 스프링클러 리듀서 장착장치
US11015633B2 (en) Snap fit fasteners
WO2019189677A1 (ja) 筐体構造体及びその組立方法
US9621216B1 (en) Cove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WO2019011137A1 (zh) 一种低频辐射单元垫片和双极化基站天线
KR102606357B1 (ko) 케이블 고정용 커넥터 모듈 및 이를 가진 단자 연결 블록
CN212108512U (zh) 脉冲盒和烹饪设备
KR200470182Y1 (ko) 수동 경보기의 케이블 그랜드용 접지 태그
JP2001085918A (ja) 平面アンテナ
CN210518809U (zh) 扬声器组件
WO2018193925A1 (ja) カバー付きコネクタ
CN210724756U (zh) 一种塔放式射频设备、射频设备及其壳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