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910Y1 - 배터리 충전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충전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910Y1
KR200458910Y1 KR2020080008930U KR20080008930U KR200458910Y1 KR 200458910 Y1 KR200458910 Y1 KR 200458910Y1 KR 2020080008930 U KR2020080008930 U KR 2020080008930U KR 20080008930 U KR20080008930 U KR 20080008930U KR 200458910 Y1 KR200458910 Y1 KR 2004589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ttery
negative
present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89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3213U (ko
Inventor
박윤
Original Assignee
(주) 피엔텔레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피엔텔레컴 filed Critical (주) 피엔텔레컴
Priority to KR20200800089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910Y1/ko
Publication of KR200900132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2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9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9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터리 충전 보조 장치에 있어서, 배터리를 장착하고 배터리의 다수의 단자와 접속하여 배터리와 충전기간의 충전을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로서 역할을 수행하며, 배터리의 각 단자들과 접속되면서 배터리의 마이너스 단자 및 배터리 ID 단자간을 스위칭하는 스위치 구조를 구비하는 커넥터를 구비한다.
휴대폰, 배터리, 충전, BTH, 커넥터

Description

배터리 충전 보조 장치{BATTERY CHARGING ASSIST DEVICE}
본 고안은 다양한 휴대 가능한 멀티미디어(데이터) 통신용 중소형 단말기에 충전 및 전원 공급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해당 중소형 단말기의 배터리의 충전을 원활히 보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터리 충전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휴대폰을 비롯하여 MP3(MPEG 3)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노트북 등 다양한 휴대 가능한 멀티미디어(데이터)/통신용 중소형 단말기가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휴대 가능한 중소형 단말기에는 거의 필수적으로 그 휴대성을 위해 배터리를 동작 전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배터리는 최근 정보통신부 규격 인증 충전기 및 BTH(Battery Top Holder)를 이용하여 충전하고 있으며, 이때 배터리에는 배터리 플러스(+) 단자와 배터리 마이너스(-) 단자 및 배터리 ID(Identification) 단자가 마련되며, 이러한 배터리의 단자들이 BTH의 해당 대응되는 단자와 접촉하고 BTH는 충전기와 연결되어, 배터리가 충전된다.
그런데, 최근 들어, 배터리에 필요에 따라 안테나나 메모리 등을 설치하여 이용하는 기술이 제공되고 있으며, 상기 배터리의 ID 단자를 그러한 기술에 따른 용도(원래의 용도와는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이때, 정보통신부 규격 인증 충전기에서는 배터리 ID 단자와 배터리 마이너스 단자간의 저항으로 배터리 용량을 인식하고 충전하는데, 상기 배터리 ID 단자가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등의 이유로 상기 배터리 ID 단자와 배터리 마이너스 단자간에 정보통신부가 규정하는 저항 값이 나오지 않아서, 충전시 에러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충전기 설계 시 여러 가지 복잡한 회로 및 기구적인 메커니즘을 고려하여야 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충전기 설계 시 여러 가지 복잡한 기구적인 메커니즘과 회로설계를 간단히 하면서도, 배터리 ID 단자에 규정된 저항성분이 검출 되지 않아서 충전기가 정상동작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배터리 충전 보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충전 보조 장치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충전기 연결시 배터리 ID(Identification)를 인식하는데 배터리를 삽입 전에는 일반 단자처럼 오픈(open) 상태로 있다가 배터리 삽입 시 배터리 마이너스(-) 단자와 연결시켜 배터리 마이너스 단자와 쇼트(Short)시키는 스위치를 추가함으로써 배터리 패키지(package)에 배터리 마이너스 단자와 배터리 ID 단자간에 연결된 저항이 무시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ID 단자에 규정된 저항성분이 검출 되지 않더라도 일반 충전기가 정상 동작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충전 보조 장치는 배터리 ID 단자에 규정된 저항성분이 검출 되지 않아도 충전기가 정상 동작할 수 있도록 하며, 본 고안에 따른 충전기 설계 시 여러 가지 복잡한 기구적인 메커니즘과 회로설계를 간단히 할 수 있도록 하고 단가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고안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보조 장치의 배터리 및 충전기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 중 주요 부품(B)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 중 상세 주요 부품의 구성도이며, 도 4는 도 2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로서 도 3의 A-A'간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때 도 4의 (a)는 배터리가 접속되지 않은 상태를 보이며, 도 4의 (b)는 배터리가 접속된 상태를 보인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충전 보조 장치(20)는 먼저, 배터리(10)를 장착하며 배터리의 다수의 연결 단자와 접속하여 배터리와 충전기(30)간의 충전을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즉 본 고안의 배터리 충전 보조 장치(20)는 통상의 BTH(Battery Top Holder)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충전 보조 장치(20)에서는 배터리의 각 단자들과 접속되면서 배터리의 마이너스 단자 및 배터리 ID 단자간을 스위칭하는 스위치 구조를 구비하는 커넥터(B)가 구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B)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커넥터(B)는 바디(5)와, 배터리 ID 단자와 접속하기 위한 ID 단자(4)와, 배터리 플러스 단자와 접속하기 위한 플러스 단자(2)와, 배터리 마이너스 단자와 접속하기 위한 마이너스 단자(3)를 구비하며,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상기 ID 단자(4)와 마이너스 단자(3)간을 스위칭 구조를 통해 연결하기 위한 ID-마이너스 접촉 단자(1)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ID 단자(4), 플러스 단자(2) 및 마이너스 단자(3)는 다소의 탄성력을 가져서 배터리(10)가 삽입될 될 경우에 그에 따라 밀려들어가는 구조를 가지며,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ID 단자(4)와 마이너스 단자(3)의 후단에 설치되는 ID-마이너스 접촉 단자(1)에 해당 ID 단자(4)와 마이너스 단자(3)가 접속하게 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므로,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충전 보조 장치(20)는 배터리(10)를 장착하기 전 즉, 작동 전 상태는 정통부 규격 인증 충전기(30)와 연결되어 있어도 그림 도 4의 (a)와 같이, ID 단자(4)와 마이너스 단자(3)가 ID-마이너스 접촉 단자(1)에 접촉되지 않으므로 오픈(Open) 상태가 되어 에러가 발생하지 않게 되며, 배터리(10)를 장착하여 배터리(10)의 각 단자들과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B)의 각 단자들이 연결되면 도 4의 (b)와 같이, ID 단자(4)와 마이너스 단자(3)가 ID-마이너스 접촉 단자(1)에 공통적으로 접촉되므로 BTH에 설계된 저항에 의해 충전기가 정상 동작되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보조 장치 중 주요 부품(B')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 중 상세 주요 부품의 구성도이며, 도 7은 도 5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로서 도 6의 A-A'간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때 도 7의 (a)는 배터리가 접속되지 않은 상태를 보이며, 도 7의 (b)는 배터리가 접속된 상태를 보인다. 도 8은 도 5의 회로 블록 구성도로서, (a)는 종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며, (b)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 구성을 나타낸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보조 장치는 먼저,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배터리(10)를 장착하며 배터리의 다수의 연결 단자와 접속하여 배터리와 충전기(30)간의 충전을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로서 역할을 수행하며, 배터리의 각 단자들과 접속되면서 배터리의 마이너스 단자 및 배터리 ID 단자간을 스위칭하는 스위치 구조를 구비하는 커넥터가 구비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B')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커넥터(B')는 상기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바디(5)와, 배터리 ID 단자와 접속하기 위한 ID 단자(4)와, 배터리 플러스 단자와 접속하기 위한 플러스 단자(2)와, 배터리 마이너스 단자와 접속하기 위한 마이너스 단자(3)를 구비하며,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상기 ID 단자(4)와 마이너스 단자(3)간을 스위칭 구조를 통해 연결하기 위한 ID-마이너스 접촉 단자(1)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ID 단자(4), 플러스 단자(2) 및 마이너스 단자(3)는 다소의 탄성력을 가져서 배터리(10)가 삽입될 될 경우에 그에 따라 밀려들어가는 구조를 가지며,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ID 단자(4)와 마이너스 단자(3)의 후단에 설치되는 ID-마이너스 접촉 단자(1)에 해당 ID 단자(4)와 마이너스 단자(3)가 접속하게 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때,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D-마이너스 접촉 단자(1)는 해당 ID 단자(4)와 마이너스 단자(3)가 각각 개별적으로 접속되는 다소의 탄성을 가진 ID 접촉 단자(1-1) 및 마이너스 접촉 단자(1-2)로 구성되며, 이때 ID 접촉 단자(1-1) 및 마이너스 접촉 단자(1-2)는 내부적으로 각각 ID 단자(4)와 마이너스 단자(3)를 쇼트(short) 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ID-마이너스 접촉 단자(1)는 이중 스위치 구조를 갖게 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1D-마이너스 접촉 단자(1)는 두 개의 단자(ID 접촉 단자 및 마이너스 접촉 단자) 중 어느 하나만 ID 단자(4) 또는 마이너스 단자(3)와 접속되어도 ID 단자(4)와 마이너스 단자(3)를 쇼트(short) 시키게 되어, 배터리 ID가 없거나 다른 저항 값을 갖더라도 배터리를 정상적으로 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상기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에 비해 보다 강화되고 안정적인 배터리 충전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므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보조 장치(20)는 배터리(10)를 장착하기 전 즉, 작동 전 상태는 정통부 규격 인증 충전기(30)와 연결되어 있어도 그림 도 7의 (a)와 같이, ID 단자(4)와 마이너스 단자(3)가 ID-마이너스 접촉 단자(1)에 접촉되지 않으므로 오픈(Open) 상태가 되어 에러가 발생하지 않게 되며, 배터리(10)를 장착하여 배터리(10)의 각 단자들과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B)의 각 단자들이 연결되면 도 7의 (b)와 같이, ID 단자(4)와 마이너스 단자(3)가 ID-마이너스 접촉 단자(1) 중 ID 접촉 단자(1-1)나 마이너스 접촉 단자(1-2)에 어느 하나만 연결되어도 BTH에 설계된 저항에 의해 충전기가 정상 동작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배터리 충전 보조 장치가 구성될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보조 장치의 배터리 및 충전기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 중 주요 부품(B)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 중 상세 주요 부품의 구성도
도 4는 도 2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보조 장치 중 주요 부품(B')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 중 상세 주요 부품의 구성도
도 7은 도 5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8은 도 5의 회로 블록 구성도

Claims (5)

  1. 삭제
  2. 배터리 충전 보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를 장착하고 상기 배터리의 다수의 단자와 접속하여 상기 배터리와 충전기간의 충전을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로서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배터리의 각 단자들과 접속되면서 상기 배터리의 마이너스 단자 및 배터리 ID 단자간을 스위칭하는 스위치 구조를 구비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바디와,
    상기 배터리 ID 단자와 접속하기 위한 ID 단자와,
    상기 배터리 플러스 단자와 접속하기 위한 플러스 단자와,
    상기 배터리 마이너스 단자와 접속하기 위한 마이너스 단자와,
    상기 ID 단자와 상기 마이너스 단자간을 스위칭 구조를 통해 연결하기 위한 ID-마이너스 접촉 단자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보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ID 단자와, 상기 플러스 단자 및 상기 마이너스 단자 탄성력을 가져서 상기 배터리가 삽입될 될 경우에 그에 따라 밀려들어가서 상기 ID 단자와 상기 마이너스 단자의 후단에 설치되는 ID-마이너스 접촉 단자에 접속하는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보조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ID-마이너스 접촉 단자는
    상기 ID 단자와 마이너스 단자가 각각 개별적으로 접속되는 ID 접촉 단자 및 마이너스 접촉 단자로 구성되며, 상기 ID 접촉 단자 및 마이너스 접촉 단자는 각각 상기 ID 단자와 마이너스 단자를 쇼트 시키는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보조 장치.
  5. 삭제
KR2020080008930U 2008-06-19 2008-07-04 배터리 충전 보조 장치 KR2004589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930U KR200458910Y1 (ko) 2008-06-19 2008-07-04 배터리 충전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239 2008-06-19
KR2020080008930U KR200458910Y1 (ko) 2008-06-19 2008-07-04 배터리 충전 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213U KR20090013213U (ko) 2009-12-30
KR200458910Y1 true KR200458910Y1 (ko) 2012-03-21

Family

ID=47625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8930U KR200458910Y1 (ko) 2008-06-19 2008-07-04 배터리 충전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910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6250A (ko) * 2003-12-26 2005-06-3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충전용 거치대
KR20060082547A (ko) * 2005-01-12 2006-07-19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휴대폰 충전기를 이용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 내 2차전지 충전 장치 및 그를 채용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6250A (ko) * 2003-12-26 2005-06-3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충전용 거치대
KR20060082547A (ko) * 2005-01-12 2006-07-19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휴대폰 충전기를 이용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 내 2차전지 충전 장치 및 그를 채용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213U (ko) 200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1805B2 (en) Rechargeable battery pack with connecting ports for internal and external charging/output operations
US8116814B2 (e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using multi-functional socket and method thereof
US20070152630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battery hot swapping
CN102055223A (zh) Usb专用充电器识别电路
US9069538B2 (en) Preventing dark current flow in a mobile terminal
KR20040014442A (ko) 휴대폰용 백업 밧데리
US8851907B2 (en) Contact node of portable terminal
CN105991801A (zh) 一种可扩展功能的智能终端配件系统
JP7064052B2 (ja) モバイル端末
KR200458910Y1 (ko) 배터리 충전 보조 장치
CN201509212U (zh) 一种手机应急电源装置
KR100553003B1 (ko)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
US20160261138A1 (en) Wireless charging receiver
CN202695670U (zh) 电池及移动终端
KR20120009890A (ko) 휴대단말기용 젠더
KR101906006B1 (ko) 무정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US20130300200A1 (en) Auxiliary Battery
KR200446303Y1 (ko) 태양광 충전기를 내장한 휴대용 전자기기 인터페이스 장치
CN210317652U (zh) 一种充气泵
KR200446304Y1 (ko) 유에스비 포트로의 충방전이 가능한 태양광 충전기
CN114006095B (zh) 一种电子设备
KR10067245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645736B1 (ko) 메모리 카드 이탈/부착 시점 인지 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
JP3081987U (ja) 携帯式電池充電装置
CN203014438U (zh) 名片盒式移动电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