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658Y1 - 주방용 대용량 배기장치 - Google Patents

주방용 대용량 배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658Y1
KR200458658Y1 KR2020090016497U KR20090016497U KR200458658Y1 KR 200458658 Y1 KR200458658 Y1 KR 200458658Y1 KR 2020090016497 U KR2020090016497 U KR 2020090016497U KR 20090016497 U KR20090016497 U KR 20090016497U KR 200458658 Y1 KR200458658 Y1 KR 2004586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duct
resistance plate
plate
kitchen
oil m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64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6376U (ko
Inventor
홍성민
이은종
Original Assignee
이은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종 filed Critical 이은종
Priority to KR20200900164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658Y1/ko
Publication of KR201100063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3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6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6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27Ducting arrangements using parts of the building, e.g. air ducts inside the floor, walls or ceiling of a bui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2Cleaning ducts or apparatus
    • F24F2221/225Cleaning ducts or apparatus using a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후드의 흡입덕트의 내측면이 이루는 공간 안에 구비된 굴곡이 있는 캐노피 형상의 제1 저항판, 제1 저항판의 상부면에 돌출된 형상의 제2 저항판 및 분리된 오일미스트를 배출하기 위해 흡입덕트의 내측면에 형성된 배출거터를 포함한다.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는 오염된 공기를 효율적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깔대기 역할을 하는 흡입덕트를 구비한다. 흡입덕트는 일단이 흡입구와 연통되고 반대측단은 하방으로 개방된 형상인데, 이러한 흡입덕트는 일반적으로 하부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이다. 제1 저항판은 흡입덕트가 이루는 내측공간에 구비되는데, 얇은 금속판재로 형성된다. 오염된 공기 중에 포함된 오일미스트가 흡입구 쪽으로 상승하다가 제1 저항판에 부딪혀 오일미스트가 분리되고 나머지 공기는 제1 저항판을 우회하여 후드의 흡입구로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오일미스트, 후드, 흡입구, 저항판, 관성, 테플론, 배플구조, 분사노즐

Description

주방용 대용량 배기장치{APPARATUS FOR MASSIVE EXHAUST OF AIR IN KITCHEN}
본 고안은 주방용 대용량 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방에서 음식물 등을 조리할 때 발생하는 열 및 오일미스트 등을 별도의 필터 없이도 효과적으로 배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의 경우 열기를 비롯하여 각종의 음식물을 조리할 때 발생하는 수증기, 연기, 냄새 또는 오염된 공기가 심하게 발생한다. 특히, 주방에서는 육류 또는 튀김류 등의 기름을 사용하는 조리를 하는 경우 발생하는 오염된 공기에는 미세한 기름분자(오일미스트)가 많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렇게 발생한 오일미스트는 위생상 좋지 않고, 조리작업자의 작업환경 측면에서도 일반적으로 고열의 수증기와 함께 기름방울이 주방을 채우게 되어 작업이 효율적이지 못하게 된다. 또한, 오일미스트를 효율적으로 제거하지 못하면 주방의 벽이나 바닥 등에 얇은 오일층이 형성되어 미끄러짐 사고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안전사고는 조리작업자의 부상방지 차원에서 중요할 뿐 아니라, 가스 등의 화기를 다루는 주방에서는 사용자의 실수로 인한 화재 등의 더 큰 재난사고가 발생할 위험도 크다. 따 라서, 이러한 오일미스트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제거필터에 오일미스트를 포함하는 공기를 통과시켜 배출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즉, 주방천정에 설치된 배기후드나 덕트에 필터를 설치하여 공기 중의 오일미스트를 제거한 후, 나머지 공기를 외부로 배기한다.
앞서 언급한 오일미스트 제거필터에는 대표적으로 메시형 필터나 배플 필터를 들 수 있다. 주방후드에 설치되는 메시형 필터는 충돌식으로서, 오일입자가 충돌하여 표면에 침전되어 필터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걸러내는 방식이다. 즉, 발생한 오일미스트가 모두 필터에 쌓이는 방식이기 때문에, 기름을 많이 사용하여 조리하는 조리의 경우에는 단시간에 필터의 허용량을 초과하게 되어, 더 이상 오일미스트를 걸러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름입자가 필터에 쌓여서 막이 형성되기 때문에 필터 내의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막게 되므로, 공기의 순환이 악화되므로 주방 내의 공기도 전체적으로 악화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새로운 필터로 교체하는 작업이 필요한데, 비용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으며 번거롭고 불편하다.
다른 타입의 필터로 배플 필터(baffle filter)가 있는데, 배플 필터는 오일미스트가 함유된 공기가 필터 내에 다층으로 형성된 배플 플레이트를 통과하면서 오일 입자를 제거한다. 즉, 공기가 배플 플레이트 사이를 통과할 때 공기 흐름에 많은 난류가 발생하게 되고, 공기 흐름이 배플 플레이트에 부딪혀 방향 전환을 할 때, 상대적으로 무거운 오일미스트가 필터의 여러 층에 강제적으로 침전되어 분리되는 원리이다. 이와 같은 배플 타입의 필터는 메시형 필터에 비해 상대적으로 오일미스트를 다량으로 처리할 수 있고 필터 교체주기도 길지만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여전히 유지 관리 등이 소홀한 경우 공기가 통과하는 배플 플레이트 간의 간극이 오일미스트로 막히게 되면 메시형 필터와 같이 배기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교체를 요하는 필터 타입은 관리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비용 측면에서도 불리한 점이 있으며, 오일미스트가 적절히 제거되지 못하면 오일미스트가 그대로 후드 또는 덕트를 통과하게 되어 덕트 내벽이 손상되거나 미생물이 번식할 가능성도 있어서 주방의 위생을 해치는 요인이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 대용량 배기장치는 상기한 문제점인, 주방에서 발생하는 각종 오염된 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특히 주방에서 발생하는 오일미스트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주방의 쾌적한 조리환경을 제공하고 적절한 오일 제거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한다. 본 고안은 기존 후드 배기장치에서 사용되는 메시형 필터나 배플 필터 없이 내부 오염공기의 배출경로 상에 저항판을 구비하여 공기의 흐름방향을 급격하게 전환시키게 되는데, 이 때 오일미스트 등의 비중이 높은 입자는 저항판에 부딪히게 되고, 충돌한 오일미스트는 관성에 의해 분리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후드의 흡입덕트의 내측면이 이루는 공간 안에 구비된 굴곡이 있는 캐노피 형상의 제1 저항판, 제1 저항판의 상부면에 돌출된 형상의 제2 저항판 및 분리된 오일미스트를 배출하기 위해 흡입덕트의 내측면에 형성된 배출거터를 포함한다.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는 오염된 공기를 효율적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깔대기 역할을 하는 흡입덕트를 구비한다. 흡입덕트는 일단이 흡입구와 연통되고 반대측단은 하방으로 개방된 형상인데, 이러한 흡입덕트는 일반적으로 하부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이다. 제1 저항판은 흡입덕트가 이루는 내측공간에 구비되는데, 얇은 금속판재로 형성된다. 오염된 공기 중에 포함된 오일미스트가 흡입구 쪽으로 상승하다가 제1 저항판에 부딪혀 오일미스트가 분리되고 나머지 공기는 제1 저항판을 우회하여 후드의 흡입구로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제1 저항판에 분리된 오일미스트가 응집되어 기름방울이 맺히게 되는데, 기름방울을 배출거터로 모이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1 저항판은 경사각을 가지고 기울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저항판에 부딪힌 오일미스트가 모여서 경사진 하부면을 따라서 일측으로 흐르게 되고, 제1 저항판의 말단의 하방에 위치하는 배출거터로 기름방울이 모이게 된다. 배출거터에 모인 기름은 관을 따라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데, 필요에 따라 배출밸브를 구비하여 기름배출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저항판은 제1 저항판의 상부면의 일측에 구비되는데, 제1 저항판을 우회하여 통과한 공기 중의 오일미스트를 추가적으로 제거하게 된다. 즉, 제1 저항판을 통과한 공기가 다시 제2 저항판에 충돌하게 되고 비중이 큰 오일미스트가 추가로 분리되게 된다. 분리된 오일미스트가 쌓여서 기름방울이 형성되면 제1 저항판의 경사진 상부면을 따라 일측으로 흘러서 배출거터로 모인 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1 저항판 및 제2 저항판은 금속재질로 제작되며, 오염물질이 용이하게 표면을 따라 흐를 수 있고 세척이 용이하도록 테프론 코팅처리된 금속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추가로, 배출거터, 제1 저항판 및 제2 저항판에 기름제거세제 및 온수가 혼합된 세척액을 분사하는 광각분사노즐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광각분사노즐도 흡입 덕트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설정시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세척액을 분사하여 배출거터, 제1 저항판 및 제2 저항판 표면에 있는 오일미스트 등의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광각분사노즐은 제어장치에 의해 자동 또는 수동으로 분사시간 및 분사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침전된 오일에 의한 미생물 번식을 억제하고 화재 등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흡입덕트에는 선택에 따라 추가로 온도센서를 장착하여 온도를 감지해서 화재발생시 제어장치에 신호를 송출해 제어장치가 다시 방화댐퍼 액추에이터에 신호를 보내도록 하여, 화재시 댐퍼를 차단하는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한 본 고안의 구조는 아래 실시예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 대용량 배기장치를 주방에서 사용함으로써, 주방에서 발생하는 각종 오염된 공기를 제거하고 특히 주방에서 발생하는 오일미스트를 별도로 분리시키는 방법으로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서, 주방에 오일미스트가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여 바닥이나 벽 등의 미끄러짐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기적인 교체가 필요한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오일미스트를 효율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기 때문에, 관리가 수월하며 비용측면에서도 유리하다. 따라서, 보다 위생적이고 청결한 주방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호텔이나 기업형 레스토랑 같은 곳에서 추구하는 고급화되고 전문화된 주방환경을 이룰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발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특히, 저항판(20)은 제1 저항판(20') 및 제2 저항판(20'')을 통칭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대용량 배기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대용량 배기장치의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천정에 설치되는 후드(10)는 후드의 흡입구(12)로 연기 등이 용이하게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덕트(11)를 포함한다. 흡입구(12)의 단면적에 비해 하방으로 개방된 면적이 넓은 흡입덕트(11)의 하단부로 많은 양의 공기가 유입되어 흡입구(12)로부터 발생하는 흡입력 및 조리열에 의해 가열되어 상승기류에 의해 공기가 흡입덕트(11) 내측공간을 지나 흡입구(12)로 공기가 용이하게 흡입되어 배기될 수 있다. 흡입덕트(11)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며 흡입구(12)를 감싸도록, 일단은 흡입구(12)와 연통되고 반대측단은 하방으로 개방된 형태이면 무방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흡입덕트(11)의 내측면이 이루는 공간에 복수의 저항판(20)이 구비되므로 전체적으로 하면(지면을 향하는 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에 따라서 흡입덕트(11)의 형상은 후드의 흡입구(12)로부터 멀어지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고, 반대로 후드 흡입구(12)에 인접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깔대기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저항판(20)은 이러한 후드의 흡입덕트(11) 내측면이 이루는 공간 내부에 구 비된다. 저항판(20)은 판재형상으로서, 바람직하게 오일미스트가 상승하다가 판재 표면에 부딪친 후, 충돌한 오일미스트는 관성에 의해 공기중으로부터 판재표면으로 분리되게 된다. 오일미스트가 저항판(20) 표면을 따라 일측으로 용이하게 흘러서 배출하기 용이하도록 금속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오염물질이 용이하게 표면을 따라 흐를 수 있고 세척이 용이하도록 테프론 코팅처리된 금속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저항판(20)은 제1 저항판(20') 및 제2 저항판(20'')을 통칭하는 말이며, 필요에 따라 본 고안의 범위 내에서 필요한 개수의 저항판을 더 추가하여 구비할 수 있다. 먼저, 제1 저항판(20')은 흡입덕트(11)의 내측면이 이루는 공간 안에 구비된 굴곡이 있는 캐노피 형상으로서, 흡입덕트(11)로 유입되는 공기를 일차적으로 차단하는 덮개 역할을 수행한다. 제1 저항판(20')의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제1 저항판(20')에 충돌한 오일미스트가 공기중에서 분리되어 제1 저항판(20') 표면에 누적될 때 기름방울(油滴)이 바로 연직하방으로 낙하하여 조리 중인 음식물에 투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저항판(2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심부를 정점으로 하여 일정한 각도로 굴곡이 형성되어 있는 판재형상이다. 또는 선택에 따라 일정한 굴곡률을 가지는 오목한 곡면판재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제1 저항판(20')의 중심부(C)를 기준으로 좌우측 판재의 사이각(A)은 180°미만의 값을 가져야 오일미스트가 응집되어 기름방울이 표면에 형성되면 제1 저항판(20')의 경사면을 따라 흐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사이각(A)은 130°내지 1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사이각(A)이 130°보다 작으면 비중이 큰 기름방울이 제1 저항판(20')의 표면을 따라 일단부로 흐르기 전에 수직낙하할 우려가 있으며, 사이각(A)이 150°보다 크면 평평한 평면에 가까우므로 마찬가지로 제1 저항판(20')의 표면을 따라 일단부로 흐르기 전에 수직낙하할 우려가 있다. 제1 저항판(20')이 곡면인 경우에는 이러한 사이각(A)와 유사한 굴곡률을 가지는 곡면금속판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저항판(20')이 후드의 흡입덕트(11) 내측에 위치하며, 제1 저항판(20')의 중심부(C)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굴곡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오일미스트가 제1 저항판(20') 표면에서 충돌하여 기름방울로 맺히게 되면, 바로 연직하방으로 낙하하지 않고 경사면을 따라 일측으로 흐르게 된다. 이 때, 제1 저항판(20')의 단부(굴곡으로 인해 중심부(C)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지면과의 높이가 낮은 단부를 의미하며 이하 '말단부(L)'라고 함)의 아래에 분리된 오일미스트가 채워질 수 있는 배출거터(21)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거터(21)는 흡입덕트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형태에는 제한이 없다. 일반적으로 긴 배수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다만 제1 저항판(20')의 말단부(L)로부터 낙하하는 기름방울을 모아서 배출시키는 기능을 가지기 때문에, 제1 저항판(20')의 말단부(L)의 너비 및 형상에 따라 배출거터(21)의 길이 및 형상도 바뀔 수 있다. 배출거터(21)에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출구와 연결된 배출관(22)을 통해서 외부와 연결되어 누적된 기름을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 때, 배출관(22)에는 배출밸브(23)가 구비되어, 배출밸브(23)를 개폐함으로써 기름이 외부로 배출되는 시간 및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제2 저항판(2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저항판(20')의 상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제2 저항판(20'')은 제1 저항판(20')과 동일한 소재의 금속판재로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저항판(20')과 동일하게 표면이 테플론 처리된 금속판재일 수 있다. 오염된 공기 중에 포함된 오일미스트가 흡입구(12)쪽으로 상승하다가 제1 저항판(20')에 부딪혀 오일미스트가 1차적으로 분리되고 나머지 공기는 제1 저항판(20')을 우회하여 후드의 흡입구(12) 방향으로 계속 향하게 된다. 이 때, 제1 저항판(20')의 상부면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2 저항판(20'')에 의해, 제1 저항판(20')을 우회하여 통과한 공기 중의 오일미스트가 추가적으로 제거되게 된다. 즉, 제1 저항판(20')을 통과한 공기가 진행방향 상에 대체로 수직하게 구비된 제2 저항판(20'')에 또다시 충돌하게 되고 비중이 큰 오일미스트가 추가로 분리되게 된다. 분리된 오일미스트가 쌓여서 기름방울이 형성되면 제1 저항판(20')의 경사진 상부면을 따라 일측으로 (중심부(C)에서 말단부(L) 방향으로) 흘러서 배출거터(21)로 모인 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2 저항판(20'')에서 2차적으로 걸러지는 오일미스트의 양은 제1 저항판(20')에서 1차적으로 걸러지는 오일미스트의 양보다 적지만, 제2 저항판(20'')을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높은 비율로 공기 중의 오일미스트를 제거할 수 있다. 주방의 조리량 및 기름발생량에 따라서 저항판을 추가로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저항판을 상하로 적층되게 구비하거나 배플(baffle)구조가 되도록 서로 엇갈리게 구비하여 공기가 상승하면서 저항판에 다수 충돌하도록 하여 보다 확실히 공기 중의 오일미스트를 제거할 수 있다.
도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대용량 배기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대용량 배기장치에는 추가로, 배출거터(21)와 저항판(20', 20'')에 기름제거세제 및 온수가 혼합된 세척액을 분사하는 광각분사노즐(3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광각분사노즐(30)은 도면에서와 같이, 흡입덕트(11)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설정시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세척액을 분사하여 배출거터(21), 저항판(20', 20'')의 상하부면에 있는 오일미스트 등의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광각분사노즐(30)은 제어장치(50)의 제어에 따라 자동 또는 수동으로 분사시간 및 분사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침전된 오일에 의한 미생물 번식을 억제하고 화재 등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자동세척이 가능하므로 주기적으로 작업자가 저항판을 분리하여 수작업으로 세척하는 수고가 불필요하다.
흡입덕트(11)에는 선택에 따라 추가로 온도센서(T)를 장착하여 공기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온도센서(T)로부터 측정된 온도값은 제어장치(50)로 송출된다. 주방에 예기치못한 화재등이 발생한 경우 조리시의 일반적인 공기의 온도보다 높은 고온이 측정되고, 제어장치(50)에서 수신받은 온도값을 허용범위 내의 값인지 비교하여, 허용범위를 초과하는 고온으로 판단되면, 제어장치(50)는 댐퍼 액추에이터(40)에 신호를 보내도록 하여, 화재가 확산되지 않도록 후드 흡입구(12) 내측에 구비되어 흡입구(12)를 개폐할 수 있는 댐퍼(41)를 작동시켜 흡입구(12)를 차단하는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제어장치(50)는 스프링쿨러 작동장치(42) 와 연결되어 화재진압을 위한 살수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주 내에서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인바,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된 형태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대용량 배기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대용량 배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대용량 배기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Claims (6)

  1. 공기를 포집하기 위해, 일단이 주방용 후드 흡입구와 연통되고, 반대측단은 하방으로 개방된 형태인 흡입덕트와,
    금속으로 제작된 판재로서, 상기 흡입덕트의 내측면으로 둘러싸인 공간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흡입덕트로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하는 덮개역할을 수행하도록, 중심부를 정점으로 하여 일정한 사이각을 가지도록 굴곡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저항판과,
    금속으로 제작된 판재로서, 상기 제1 저항판의 상부면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된 제2 저항판과,
    상기 흡입덕트의 내측면으로 둘러싸인 공간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저항판의 단부의 아래쪽에 길이방향으로 긴 배수로 형상으로 구비된 배출거터와,
    상기 배출거터에 고인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배출거터와 연결된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관을 개폐함으로써 유체의 배출을 조절할 수 있는 배출밸브와,
    상기 흡입덕트의 내측면에 부착되고, 주기적으로 세척액을 분사하여 상기 흡입덕트의 내부공간에 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광각분사노즐과,
    전기적 신호에 의해서 상기 광각분사노즐에 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광각분사노즐의 분사시간 및 분사량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설정값을 입력 하는 입력수단을 가진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대용량 배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덕트는 상기 후드 흡입구에 가까울수록 폭이 좁아지는 깔대기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대용량 배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각은 130°내지 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대용량 배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판은 표면에 테플론 코팅처리된 금속판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대용량 배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덕트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측정값을 전송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대용량 배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구를 개방 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댐퍼와,
    상기 댐퍼가 개폐되도록 하는 댐퍼 액추에이터와,
    상기 흡입덕트의 외측면에 구비되고, 물을 분사할 수 있는 스프링쿨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수신된 측정값이 허용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댐퍼 액추에이터에 전기적 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댐퍼를 차단하도록 하고, 상기 스프링쿨러에는 전기적 신호를 송출하여 살수기능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대용량 배기장치.
KR2020090016497U 2009-12-17 2009-12-17 주방용 대용량 배기장치 KR2004586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497U KR200458658Y1 (ko) 2009-12-17 2009-12-17 주방용 대용량 배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497U KR200458658Y1 (ko) 2009-12-17 2009-12-17 주방용 대용량 배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376U KR20110006376U (ko) 2011-06-23
KR200458658Y1 true KR200458658Y1 (ko) 2012-03-07

Family

ID=49295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6497U KR200458658Y1 (ko) 2009-12-17 2009-12-17 주방용 대용량 배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65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12935B2 (ja) * 2019-08-28 2023-07-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油煙捕集装置
KR102658646B1 (ko) * 2022-02-08 2024-04-17 승철진 공기흡입구의 Filter가 필요없는 셔터형 렌지후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376U (ko) 201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67432B2 (ja) 自己洗浄型排気システム及び方法
CA2665484C (en) Impact filter with grease trap
US3770061A (en) Air scrubber apparatus with improved fire extinguishing means
TWI274830B (en) Self cleaning filter assembly and circulation system
US8323389B2 (en) Kitchen hood vent and scrubber
KR101921428B1 (ko) 주방용 후드 환기 장치
US4071019A (en) Grease extractor
US8771408B2 (en) Range hood with liquid filter
WO2010014513A2 (en) Range hood with liquid filter
JP2004505229A (ja) 通気システム用装置
WO2015054527A1 (en) Cooking exhaust filter system
KR200458658Y1 (ko) 주방용 대용량 배기장치
WO2020027719A1 (en) Exhaust air cleaning apparatus
CN206424729U (zh) 一种除尘装置
JP4336890B2 (ja) 空気浄化装置
CN201666605U (zh) 抽油烟机风扇和油脂过滤器的清洗系统
CN210814484U (zh) 一种可自动清洗的火花捕集器
KR20110006375U (ko) 수증기 응축배출장치
KR200237003Y1 (ko) 도장 부스의 분진 및 가스 제거장치
CN109432932A (zh) 一种高效除油除味设备
KR20210043176A (ko) 공기정화장치
JP2002000749A (ja) 厨房の熱排気等の環境防災設備システム
CN220404678U (zh) 一种橡胶硫化废气多功能阻火器
JPH1133328A (ja) 空気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