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299Y1 -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 - Google Patents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299Y1
KR200458299Y1 KR2020110000725U KR20110000725U KR200458299Y1 KR 200458299 Y1 KR200458299 Y1 KR 200458299Y1 KR 2020110000725 U KR2020110000725 U KR 2020110000725U KR 20110000725 U KR20110000725 U KR 20110000725U KR 200458299 Y1 KR200458299 Y1 KR 2004582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discharge
discharge hole
us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07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수
김희수
Original Assignee
김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수 filed Critical 김현수
Priority to KR20201100007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2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2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2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45D2020/126Stands therefor
    • A45D2020/128Stands therefor involving features of the hand-held hair dr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는 찬 바람과 더운 바람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할 수 있는 본체; 상기 본체를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부재; 사용자의 손에 착용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생성된 바람이 사용자를 향해 토출되도록 하는 바람 토출 부재; 및 상기 본체에서 생성된 바람이 상기 바람 토출 부재로 전달되도록, 상기 바람 토출 부재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바람 연통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람 토출 부재는 상기 바람 연통 부재와 연통되고, 바람이 사용자를 향해 토출되는 제 1 토출 홀과, 상기 제 1 토출 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제 2 토출 홀이 형성되는 바람 토출 부재 몸체와, 상기 바람 토출 부재 몸체를 덮으면서 상기 바람 토출 부재 몸체 상에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제 1 토출 홀과 대응되는 제 3 토출 홀과 상기 제 2 토출 홀과 대응되는 제 4 토출 홀이 형성되는 바람 토출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바람 토출 덮개가 일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바람 토출 덮개가 상기 제 2 토출 홀을 덮어 상기 제 2 토출 홀을 통한 바람 토출을 막고, 상기 제 3 토출 홀과 상기 제 1 토출 홀이 전체적으로 연통되어, 상기 제 1 토출 홀을 통해 집중적으로 바람이 토출되고, 상기 바람 토출 덮개가 타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 3 토출 홀과 상기 제 1 토출 홀이 서로 일부 어긋난 형태로 연통되고, 상기 제 4 토출 홀과 상기 제 2 토출 홀이 전체적으로 연통되어, 상기 제 1 토출 홀과 상기 제 2 토출 홀을 통해 전체적으로 바람이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되는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에 의하면,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가 찬 바람과 더운 바람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할 수 있는 본체; 본체를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부재; 사용자의 손에 착용되어, 본체로부터 생성된 바람이 사용자를 향해 토출되도록 하는 바람 토출 부재; 및 본체에서 생성된 바람이 바람 토출 부재로 전달되도록, 바람 토출 부재와 본체를 연결하는 바람 연통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사용자가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를 팔 등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한 상태로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를 이용할 수 있어서,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를 집거나 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Hands-free hair drier}
본 고안은 헤어드라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헤어드라이어는 그 바람 토출구로부터 찬 바람 또는 더운 바람이 토출되어, 머리카락을 말리거나, 머리 모양을 내는 데 사용되는 장치이다.
그러나, 종래의 헤어드라이어에 의하면, 헤어드라이어의 몸체에 부착된 손잡이를 사용자가 한 손으로 잡고 사용하여야 하므로, 사용자가 나머지 한 손으로만 머리를 말리거나 머리 모양을 내어야 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컸다.
본 고안은 사용자가 핸즈프리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는 찬 바람과 더운 바람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할 수 있는 본체; 상기 본체를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부재; 사용자의 손에 착용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생성된 바람이 사용자를 향해 토출되도록 하는 바람 토출 부재; 및 상기 본체에서 생성된 바람이 상기 바람 토출 부재로 전달되도록, 상기 바람 토출 부재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바람 연통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람 토출 부재는 상기 바람 연통 부재와 연통되고, 바람이 사용자를 향해 토출되는 제 1 토출 홀과, 상기 제 1 토출 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제 2 토출 홀이 형성되는 바람 토출 부재 몸체와, 상기 바람 토출 부재 몸체를 덮으면서 상기 바람 토출 부재 몸체 상에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제 1 토출 홀과 대응되는 제 3 토출 홀과 상기 제 2 토출 홀과 대응되는 제 4 토출 홀이 형성되는 바람 토출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바람 토출 덮개가 일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바람 토출 덮개가 상기 제 2 토출 홀을 덮어 상기 제 2 토출 홀을 통한 바람 토출을 막고, 상기 제 3 토출 홀과 상기 제 1 토출 홀이 전체적으로 연통되어, 상기 제 1 토출 홀을 통해 집중적으로 바람이 토출되고, 상기 바람 토출 덮개가 타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 3 토출 홀과 상기 제 1 토출 홀이 서로 일부 어긋난 형태로 연통되고, 상기 제 4 토출 홀과 상기 제 2 토출 홀이 전체적으로 연통되어, 상기 제 1 토출 홀과 상기 제 2 토출 홀을 통해 전체적으로 바람이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는 찬 바람과 더운 바람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할 수 있는 본체; 상기 본체를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부재; 사용자의 손에 착용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생성된 바람이 사용자를 향해 토출되도록 하는 바람 토출 부재; 및 상기 본체에서 생성된 바람이 상기 바람 토출 부재로 전달되도록, 상기 바람 토출 부재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바람 연통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람 토출 부재는 사용자의 손에 착용될 수 있도록 장갑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에 의하면,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가 찬 바람과 더운 바람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할 수 있는 본체; 본체를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부재; 사용자의 손에 착용되어, 본체로부터 생성된 바람이 사용자를 향해 토출되도록 하는 바람 토출 부재; 및 본체에서 생성된 바람이 바람 토출 부재로 전달되도록, 바람 토출 부재와 본체를 연결하는 바람 연통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사용자가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를 팔 등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한 상태로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를 이용할 수 있어서,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를 집거나 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를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에 적용되는 바람 토출 부재가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에 적용되는 바람 토츨 부재가 전체적으로 개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에 적용되는 바람 토출 부재의 일부만 개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에 적용되는 바람 토출 부재와 바람 연통 부재를 보이는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에 적용되는 바람 토출 부재에서 손가락이 삽입되는 부분에 대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에 적용되는 전원 연결 부재를 보이는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2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100)는 본체(110)와, 고정 부재(114)와, 바람 토출 부재(130)와, 바람 연통 부재(12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10)는 본체 케이스(111)와, 상기 본체 케이스(111) 내부에 배치되어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충전될 수 있는 충전식 배터리 부재(140)와, 바람을 생성하는 팬(115)과, 상기 팬(115)에 의해 생성된 바람을 온풍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발열 부재(119)가 내부에 배치되어, 찬 바람과 더운 바람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팬(115)은 모터 등의 구동 부재(117)와, 상기 구동 부재(117)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블레이드(116)로 구성된다. 상기 발열 부재(119)는 니크롬선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팬(115)과 상기 발열 부재(119)는 상기 충전식 배터리 부재(140)에 연결되어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는다.
도면 번호 112는 상기 충전식 배터리 부재(140)를 외부 전원(미도시)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잭 결합 홀이고, 도면 번호 113은 상기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100)를 조작, 예를 들어 온오프, 송풍 강도 조절, 온풍 또는 냉풍 선택 등의 조작을 수행할 수 있는 조작 부재이고, 도면 번호 118은 상기 팬(115)이 구동될 때 외부로부터 상기 본체 케이스(111)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 유입 망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충전식 배터리 부재(140)가 상기 외부 전원과 분리된 상태 등 상기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기 에너지 공급을 받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발열 부재(119)는 구동되지 아니하여, 상기 팬(115)에 의해 냉풍만 생성된다. 그러면, 상기 외부 전원과 분리된 상태에서 온풍 생성을 위해 상기 충전식 배터리 부재(140)의 전기 에너지가 급속하게 소모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충전식 배터리 부재(140)는 상기 본체(110)로부터 착탈될 수 있고, 상기 본체(110)로부터 분리된 상기 충전식 배터리 부재(140)는 별도의 충전 케이스(미도시)에 삽입되어 충전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 부재(114)는 상기 본체(110)를 사용자의 신체 일부, 예를 들어 팔, 손목, 손등 등에 착탈식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것으로, 플렉서블한 밴드 등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감을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고, 그 말단에 벨크로파스너, 똑딱 단추, 원터치 결합체, 반복 접착 테잎 등 다양한 결합 수단이 적용되어 결합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플렉서블한 밴드와 그 각 말단부에 형성된 벨크로파스너 형태 등으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바람 연통 부재(120)는 상기 본체(110)에서 생성된 바람이 상기 바람 토출 부재(130)로 전달되도록, 상기 바람 토출 부재(130)와 상기 본체(110)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바람 연통 부재(120)는 플렉서블한 배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람 연통 부재(120)는 한 쌍의 연결체(121, 122)로 구성될 수 있는데, 각 연결체(121, 122)가 각각 상기 본체(110)와 상기 바람 토출 부재(130)를 연통시킨다. 그러면, 상기 한 쌍의 연결체(121, 12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사용자의 손이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110)가 사용자의 팔에 설치되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한 쌍의 연결체(121, 122) 사이의 공간을 통해 손을 넣은 후 상기 바람 토출 부재(130)를 잡을 수 있으므로, 손쉽게 상기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100)를 착용할 수 있다.
상기 바람 토출 부재(130)는 상기 바람 연통 부재(120)와 연통되는 바람 토출 부재 몸체(131)와, 상기 바람 토출 부재 몸체(131)의 상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바람 토출 부재(131)가 사용자의 손에 착용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손가락 사이에 끼워지는 끼움부(132)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손에 착용되어, 상기 본체(110)로부터 생성된 바람이 사용자를 향해 토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끼움부(132)는 상기 바람 토출 부재 몸체(131)의 상단부에서 상방으로 "T"자 형태로 돌출됨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 사이에 안정적으로 끼워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끼움부(132)는 사용자의 검지와 중지 사이에 끼워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면 번호 133은 상기 바람 토출 부재 몸체(131)의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돌기로서, 사용자의 신체와의 마찰력 증대, 빗 대용 및 지압 용도 중 적어도 하나의 용도로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도면 번호 134는 상기 바람 토출 부재 몸체(131)의 하단부에 복수 개 형성되는 바람 토출 홀로서, 상기 바람 토출 홀(134)을 통해 사용자의 머리 부분 등을 향해 바람이 토출될 수 있다.
상기 바람 토출 부재(130)는 상기 바람 연통 부재(120)와 착탈식으로 결합된다. 그러면, 상기 바람 토출 부재(130)가 상기 바람 연통 부재(120)와 분리될 수 있고, 이하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바람 토출 부재 등과 교체 적용될 수도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고정 부재(114)에 의해 상기 본체(110)가 사용자의 팔 등 신체 일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바람 연통 부재(12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손을 넣어 상기 끼움부(132)를 손가락 사이에 끼우면서 상기 바람 토출 부재(130)를 잡는다. 그러면, 상기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100)의 착용이 완료된다.
이러한 착용 완료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 부재(113)를 조작하면, 상기 팬(115), 상기 발열 부재(119) 등이 작동되고, 그에 따라 온풍 또는 냉풍의 바람이 생성된다.
상기와 같이 생성된 바람은 상기 바람 연통 부재(120)를 통해 상기 바람 토출 부재(130)로 전달되고, 상기 바람 토출 부재(130)를 잡은 사용자가 손을 움직여 상기 바람 토출 부재(130)가 향하도록 해놓은 사용자의 신체 쪽으로 바람이 토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100)가 찬 바람과 더운 바람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할 수 있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를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부재(114); 사용자의 손에 착용되어, 상기 본체(110)로부터 생성된 바람이 사용자를 향해 토출되도록 하는 바람 토출 부재(130); 및 상기 본체(110)에서 생성된 바람이 상기 바람 토출 부재(130)로 전달되도록, 상기 바람 토출 부재(130)와 상기 본체(110)를 연결하는 바람 연통 부재(120);를 포함함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100)를 팔 등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한 상태로 상기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100)를 이용할 수 있어서, 상기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100)를 집거나 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상기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100)를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에 적용되는 바람 토출 부재가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에 적용되는 바람 토츨 부재가 전체적으로 개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에 적용되는 바람 토출 부재의 일부만 개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바람 토출 부재(230)가 바람 연통 부재와 연통되고, 바람이 사용자를 향해 토출되는 제 1 토출 홀(232)과, 상기 제 1 토출 홀(232)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제 2 토출 홀(233)이 형성되는 바람 토출 부재 몸체(231)와, 상기 바람 토출 부재 몸체(231)를 덮으면서 상기 바람 토출 부재 몸체(231) 상에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제 1 토출 홀(232)과 대응되는 제 3 토출 홀(236)과 상기 제 2 토출 홀(233)과 대응되는 제 4 토출 홀(237)이 형성되는 바람 토출 덮개(235)를 포함한다.
도면 번호 238은 상기 바람 토출 덮개(235)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바람 토출 덮개(235)를 잡고 당기거나 밀 수 있는 손잡이이다.
상기 바람 토출 부재 몸체(231) 상에서 상기 바람 토출 덮개(235)는 밀착되어 이동된다.
상기 제 1 토출 홀(232)과 상기 제 3 토출 홀(236)은 각각 상기 바람 토출 부재 몸체(231)와 상기 바람 토출 덮개(235)의 중앙부를 따라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 2 토출 홀(233)과 상기 제 4 토출 홀(237)은 각각 상기 바람 토출 부재 몸체(231)와 상기 바람 토출 덮개(235)에서 상기 제 1 토출 홀(232)과 상기 제 3 토출 홀(236) 주변에 각각 복수 개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토출 홀(232)과 상기 제 3 토출 홀(236)은 상기 제 1 토출 홀(232)과 상기 제 3 토출 홀(236)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상기 바람 연통 부재를 통해 유입되는 바람은 상기 바람 토출 덮개(235) 상측에서 상기 바람 토출 덮개(235) 쪽으로 공급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공급된 바람은 상기 바람 토출 덮개(235)와 상기 바람 토출 부재 몸체(231)를 순차적으로 경유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바람 토출 덮개(235)와 상기 바람 토출 부재 몸체(231)의 하기되는 겹쳐진 상태에 따라 바람의 토출되는 형태가 달라지게 된다.
사용자에 의해 상기 바람 토출 덮개(235)가 일방으로 이동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되면, 상기 바람 토출 덮개(235)가 상기 제 2 토출 홀(233)을 덮어 상기 제 2 토출 홀(233)을 통한 바람 토출을 막고, 상기 제 3 토출 홀(236)과 상기 제 1 토출 홀(232)이 전체적으로 연통되어, 상기 제 1 토출 홀(232)을 통해 집중적으로 바람이 토출된다. 이러한 상태는 사용자가 고데 기능으로 사용하는 경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상기 바람 토출 덮개(235)가 타방으로 이동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되면, 상기 제 3 토출 홀(236)과 상기 제 1 토출 홀(232)이 서로 일부 어긋난 형태로 연통되고, 상기 제 4 토출 홀(237)과 상기 제 2 토출 홀(233)이 전체적으로 연통되어, 상기 제 1 토출 홀(232)과 상기 제 2 토출 홀(233)을 통해 전체적으로 넓은 면적을 통해 바람이 토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바람 토출 형태를 조절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에 적용되는 바람 토출 부재와 바람 연통 부재를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에 적용되는 바람 토출 부재에서 손가락이 삽입되는 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바람 토출 부재(330)가 사용자의 손에 착용될 수 있도록 장갑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람 토출 부재(330)는 고무 재질 등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착용이 용이할 수 있다.
상기 바람 토출 부재(330)는 바람 연통 부재와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바람 토출 부재(3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 토출 부재 몸체(331) 내부가 격판(334)에 의해 구획되어, 그 구획된 상부가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는 손 삽입부가 되고, 그 구획된 하부가 상기 손 삽입부와 격리되고, 바람이 유동되는 바람 유동부가 된다. 상기 바람 유동부에 바람 토출 홀(332)이 형성되어 바람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바람 토출 부재(330)를 착용한 사용자의 손과 상기 바람 토출 부재(330) 내의 바람 유로가 분리되어, 온풍 등 바람이 사용자의 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아니할 수 있다.
도면 번호 333은 돌기로서, 사용자의 신체와의 마찰력 증대, 빗 대용 및 지압 용도 중 적어도 하나의 용도로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된 제 1 실시예에서 적용된 끼움부(132)를 구비하는 바람 토출 부재(130), 상기된 제 2 실시예에서 적용된 바람 토출 부재(230) 및 본 실시예에서 적용된 장갑 형태의 바람 토출 부재(330) 중 어느 하나의 형태가 사용자의 한 손 또는 사용자의 왼손과 오른손 모두에 착용될 수도 있고, 서로 혼합된 형태, 예를 들어 제 1 실시예의 바람 토출 부재(130)가 오른손, 본 실시예에서의 바람 토출 부재(330)가 왼손에 적용되는 형태, 그 반대되는 형태 등으로 다양하게 착용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에 적용되는 전원 연결 부재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는 전원 연결 부재(450)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 연결 부재(450)는 본체와 연결되는 본체 연결 잭(451)과, 상기 본체 연결 잭(451)으로부터 연장되는 본체 연결 전선과, 상기 본체 연결 전선이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연결 콘셋(452)과, 상기 연결 콘셋(452)으로부터 연장되는 전원 연결 전선과, 상기 전원 연결 전선 말단에 연결되어 차량 시거 잭에 결합될 수 있는 차량 시거 잭 연결 잭(455)과, 상기 전원 연결 전선 말단에 연결되어 가정용 콘센트에 결합될 수 있는 가정용 콘센트 연결 잭(453)을 포함한다.
도면 번호 454는 상기 가정용 콘센트 연결 잭(453)을 덮는 가정용 콘센트 연결 잭 덮개이고, 도면 번호 456은 상기 차량 시거 잭 연결 잭(455)을 덮는 차량 시거잭 연결 잭 덮개이다.
상기 본체 연결 잭(451)과 상기 본체 연결 전선은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연결 콘셋(452)에 결합되고, 한 쌍의 상기 본체 연결 잭(451)이 각각 사용자의 양 손에 착용된 각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의 각 연결 잭 결합 홀을 통해 각 충전식 배터리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차량 시거 잭 연결 잭(455)이 상기 차량 시거 잭에 연결되거나, 상기 가정용 콘센트 연결 잭(453)이 상기 가정용 콘센트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충전식 배터리 부재에 전기 에너지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에 의하면, 사용자가 핸즈프리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Claims (9)

  1. 찬 바람과 더운 바람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할 수 있는 본체;
    상기 본체를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부재;
    사용자의 손에 착용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생성된 바람이 사용자를 향해 토출되도록 하는 바람 토출 부재; 및
    상기 본체에서 생성된 바람이 상기 바람 토출 부재로 전달되도록, 상기 바람 토출 부재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바람 연통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람 토출 부재는
    상기 바람 연통 부재와 연통되고, 바람이 사용자를 향해 토출되는 제 1 토출 홀과, 상기 제 1 토출 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제 2 토출 홀이 형성되는 바람 토출 부재 몸체와,
    상기 바람 토출 부재 몸체를 덮으면서 상기 바람 토출 부재 몸체 상에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제 1 토출 홀과 대응되는 제 3 토출 홀과 상기 제 2 토출 홀과 대응되는 제 4 토출 홀이 형성되는 바람 토출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바람 토출 덮개가 일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바람 토출 덮개가 상기 제 2 토출 홀을 덮어 상기 제 2 토출 홀을 통한 바람 토출을 막고, 상기 제 3 토출 홀과 상기 제 1 토출 홀이 전체적으로 연통되어, 상기 제 1 토출 홀을 통해 집중적으로 바람이 토출되고,
    상기 바람 토출 덮개가 타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 3 토출 홀과 상기 제 1 토출 홀이 서로 일부 어긋난 형태로 연통되고, 상기 제 4 토출 홀과 상기 제 2 토출 홀이 전체적으로 연통되어, 상기 제 1 토출 홀과 상기 제 2 토출 홀을 통해 전체적으로 바람이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 토출 부재는
    상기 바람 토출 부재 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바람 토출 부재가 사용자의 손에 착용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손가락 사이에 끼워지는 끼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
  3. 삭제
  4. 찬 바람과 더운 바람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할 수 있는 본체;
    상기 본체를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부재;
    사용자의 손에 착용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생성된 바람이 사용자를 향해 토출되도록 하는 바람 토출 부재; 및
    상기 본체에서 생성된 바람이 상기 바람 토출 부재로 전달되도록, 상기 바람 토출 부재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바람 연통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람 토출 부재는 사용자의 손에 착용될 수 있도록 장갑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 토출 부재는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는 손 삽입부와,
    상기 손 삽입부와 격리되고, 바람이 유동되는 바람 유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 토출 부재는 사용자의 신체와의 마찰력 증대, 빗 대용 및 지압 용도 중 적어도 하나의 용도로 이용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 토출 부재는 상기 바람 연통 부재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충전될 수 있는 충전식 배터리 부재와,
    바람을 생성하는 팬과,
    상기 팬에 의해 생성된 바람을 온풍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발열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충전식 배터리 부재가 상기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기 에너지 공급을 받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발열 부재는 구동되지 아니하여, 상기 팬에 의해 냉풍만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연결되는 본체 연결 잭과,
    상기 본체 연결 잭으로부터 연장되는 본체 연결 전선과,
    상기 본체 연결 전선이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연결 콘셋과,
    상기 연결 콘셋으로부터 연장되는 전원 연결 전선과,
    상기 전원 연결 전선 말단에 연결되어 차량 시거 잭에 결합될 수 있는 차량 시거 잭 연결 잭과,
    상기 전원 연결 전선 말단에 연결되어 가정용 콘센트에 결합될 수 있는 가정용 콘센트 연결 잭을 포함하는 전원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
KR2020110000725U 2011-01-25 2011-01-25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 KR2004582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725U KR200458299Y1 (ko) 2011-01-25 2011-01-25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725U KR200458299Y1 (ko) 2011-01-25 2011-01-25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8299Y1 true KR200458299Y1 (ko) 2012-02-15

Family

ID=45842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0725U KR200458299Y1 (ko) 2011-01-25 2011-01-25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29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122B1 (ko) * 2017-12-28 2018-06-25 한우선 브러쉬가 구비된 헤어드라이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0374A (en) * 1985-09-17 1986-11-04 Patterson Dennis E Hairstylist glove
EP1342427A1 (en) * 2002-03-04 2003-09-10 Beatriz Monica Feldman A hair styler / dryer
KR20060060527A (ko) * 2004-11-30 2006-06-05 (주) 케이.아이.씨.에이 마우스형 헤어드라이어
KR20100000633A (ko) * 2008-06-25 2010-01-06 김규영 자석집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0374A (en) * 1985-09-17 1986-11-04 Patterson Dennis E Hairstylist glove
EP1342427A1 (en) * 2002-03-04 2003-09-10 Beatriz Monica Feldman A hair styler / dryer
KR20060060527A (ko) * 2004-11-30 2006-06-05 (주) 케이.아이.씨.에이 마우스형 헤어드라이어
KR20100000633A (ko) * 2008-06-25 2010-01-06 김규영 자석집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122B1 (ko) * 2017-12-28 2018-06-25 한우선 브러쉬가 구비된 헤어드라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5899B1 (ko) 클립 타입 선풍기
JP3191803U (ja) 送風器付き衣服用電力ケーブル
US9474347B2 (en) Cordless hairstyling tools with rechargeable and interchangeable batteries
US9756922B1 (en) Cordless electric blow-dryer systems
CN105485033A (zh) 背包吹风机
KR200487688Y1 (ko) 목걸이형 선풍기
MY157461A (en) Hand-held hair dryer
KR102072754B1 (ko) 공기 정화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선풍기
US20180078016A1 (en) Hair styling device
WO2016188410A1 (zh) 风机系统
CN210901818U (zh) 手持吹风机
US20180295964A1 (en) Battery Powered Hair Dryer
GB2561717A (en) Hair dryer wand
KR200458299Y1 (ko) 핸즈프리 헤어드라이어
CN109579200A (zh) 运动挂载装置
KR101418363B1 (ko) 헬멧형 헤어드라이기
US20150052773A1 (en) Portable Hair Dryer Device
US4658511A (en) Electric hair dryer with air dispersing hood
KR102343725B1 (ko) 목 선풍기
US20130056017A1 (en) Portable Hair Styling Kit
CN210901815U (zh) 手持吹风机
KR101771206B1 (ko) 헤어드라이기용 노즐
CN211130021U (zh) 开关组件及手持吹风机
KR101713997B1 (ko) 헤어드라이기용 노즐
CN212117386U (zh) 风嘴组件及手持吹风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