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108Y1 - 손톱 장신구 - Google Patents

손톱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108Y1
KR200458108Y1 KR2020090000420U KR20090000420U KR200458108Y1 KR 200458108 Y1 KR200458108 Y1 KR 200458108Y1 KR 2020090000420 U KR2020090000420 U KR 2020090000420U KR 20090000420 U KR20090000420 U KR 20090000420U KR 200458108 Y1 KR200458108 Y1 KR 2004581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il
insertion member
ornaments
fitted
orna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04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1264U (ko
Inventor
임동을
Original Assignee
제이씨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씨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씨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004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108Y1/ko
Publication of KR200900012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2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1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1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7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on the hand or nails
    • A44C15/008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on the hand or nails on the nai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1/00Artificial nail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톱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더욱 상세하게는 굴곡부를 갖는 손톱 삽입부재가 손톱 또는 인조손톱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종래의 손톱 장신구를 고정시킬 때 손톱에 구멍을 뚫어 볼트로 고정하므로 발생되는 손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손톱 삽입부재를 다양한 형태를 갖는 굴곡부로 형성함으로써, 한번 삽입된 후 탈착이 잘 되지 않음은 물론 손톱에의 미적 치장효과를 더 부각시킬 수 있으며, 굴곡부가 형성된 손톱 삽입부재의 양쪽 내부에 미끄럼방지부재를 코팅하여 줌으로써, 손톱 표면의 보호는 물론 손톱 삽입부재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손톱 삽입부재가 끼움방식의 고리형태로 되어 있어 손톱의 두께와는 무관하게 끼워서 사용할 수가 있으며, 손톱에의 손톱 장신구의 체결상의 안전성과 탈부착시의 용이성을 갖고, 손톱 삽입부재와 장신구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링이 걸림 방식 또는 끼움방식으로 체결되므로 사용자가 계절별 또는 상황에 따라 장신구의 교체를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손톱, 장신구, 손톱 덮개부, 손톱 삽입부재, 굴곡부, 미끄럼방지부재, 연결 링, 걸림 방식, 끼움방식, 손톱 손상 방지, 미적 치장 효과, 미끄러짐 방지, 탈부착 용이성, 장신구 교체 용이성.

Description

손톱 장신구{Fingernails personal ornaments}
본 고안은 굴곡부를 갖는 손톱 삽입부재가 손톱 또는 인조손톱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종래의 손톱 장신구를 고정시킬 때 손톱에 구멍을 뚫어 볼트로 고정하므로 발생되는 손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손톱 삽입부재를 다양한 형태를 갖는 굴곡부로 형성함으로써, 한번 삽입된 후 탈착이 잘 되지 않음은 물론 손톱에의 미적 치장효과를 더 부각시킬 수 있으며, 굴곡부가 형성된 손톱 삽입부재의 양쪽 내부에 미끄럼방지부재를 코팅하여 줌으로써, 손톱 표면의 보호는 물론 손톱 삽입부재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손톱 삽입부재가 끼움방식의 고리형태로 되어 있어 손톱의 두께와는 무관하게 끼워서 사용할 수가 있으며, 손톱에의 손톱 장신구의 체결상의 안전성과 탈부착의 용이성을 갖고, 손톱 삽입부재와 장신구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링이 걸림 방식 또는 끼움방식으로 체결되므로 사용자가 계절별 또는 상황에 따라 장신구의 교체를 쉽게 할 수 있는 손톱 장신구에 관한 기술이 다.
종래의 손발톱을 장식하기 위하여 흔히 쓰이는 것으로는 손발톱에 갖가지 색을 칠하는 매니큐어가 대표적인 것이고, 근래에 들어서는 갖가지 색깔과 모양으로 만들어진 인조 손발톱을 부착하는 것이 널리 이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손발톱에 직접 매니큐어를 칠하는 방법은 색깔에 싫증을 느껴 색깔을 바꾸고자 할 때, 이미 칠해져 있는 매니큐어를 아세톤 등으로 지우고 다시 색깔을 칠해 일정한 시간동안 건조시켜야 하므로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의 낭비가 매우 심한 문제점이 있었고, 인조 손발톱을 부착하는 방법은 취향에 따라 원하는 색깔을 쉽게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인조손발톱의 모양이 보통 손발톱의 모양과 다름이 없어 사용자가 쉽게 싫증을 내는 경우가 허다하였다.
또한 종래의 손톱 천공부와 결속시키는 장신구로서는 댕글(Dangle)이 있는데 이는 단순한 철재의 C 형 고리로써 장식재와 손톱을 연결시켜주기 때문에 결속이 수월치 않을 뿐더러 이후 제거 시에는 니퍼 등으로 절단하여야만 하는 이유로 1회성이고 소모적이며 때로는 위험하기까지 하여 주로 전문적인 네일 숍에서, 그것도 자연손톱 보다는 인조손톱과 함께 사용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댕글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고안된 기존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먼저 볼트 링을 이용한 기술을 보면, 이는 착탈 시의 편이성은 확보하였으나 기존에 목걸이, 팔찌 등의 체결 장치로서, 널리 사용해왔던 볼트 링을 단순히 손톱 장식에 적용함으로써 신체 중 손톱부위가 갖는 특징으로서의 전면적인 개방성에 부합하지 못해 투박하고 어색하며 또한 이에 필수적인 스프링 장치와 같은 복잡한 구조 탓에 그 부피와 무게를 줄이고 형태를 변형하는데 한계를 갖고 있어 그 비대한 부피와 미려하지 못한 외양으로 장신구 사용의 궁극적인 목적인 미적 치장 효과를 심각하게 저해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나사 결합부를 이용한 기술을 보면, 이는 다소 복잡하고 용이하지 못한 체결구조와 방식을 취하고 있어 손톱 장신구가 손톱이라는 특정 신체부위에 착용하는 장신구라는 특성상 귀걸이 등 여타의 장신구들과는 달리 사용자가 한쪽 손이 부동화 된 상태에서 다른 한쪽 손만으로 장신구를 착탈할 수밖에 없기에, 이의 착탈 시 불편하고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것과, 연결을 위한 개체가 둘로 나뉘어져 있어 분실의 위험이 적지 않다는 것, 그리고 손톱과의 직접적인 마찰이 심하여 반복되는 착탈의 와중에 손톱이 상하게 될 우려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다음 금속재의 고리 탄성력을 이용하여 이에 맞물리는 빗면상의 폐쇄 구조를 이용한 기술을 보면, 이의 착탈은 비교적 용이하나, 손톱 연결 링과 고정 링의 이중구조로 역시 장신구 본연의 기능인 미적 치장 효과와 상관없는 장신구의 체결 부위를 축소, 단순화시키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어 장식적 효과를 크게 손실시키고 있으며, 또한 그 체결 구조가 안정적이지 못하여 손톱 연결 링이 고정 링에서 쉽게 이탈할 수 있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러므로 굴곡부를 갖는 손톱 삽입부재가 손톱 또는 인조손톱에 끼워져 고정되므로 손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한번 삽입된 후 탈착이 잘 되지 않음은 물 론 손톱에의 미적 치장효과를 더 부각시킬 수 있으며, 굴곡부가 형성된 손톱 삽입부재의 양쪽 내부에 미끄럼방지부재를 코팅하여 주므로 손톱 표면의 보호는 물론 손톱 삽입부재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손톱 삽입부재가 끼움방식의 고리형태로 되어 있어 손톱의 두께와는 무관하게 끼워서 사용할 수가 있으며, 손톱에의 손톱 장신구의 체결상의 안전성과 탈부착의 용이성을 갖고, 손톱 삽입부재와 장신구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링이 걸림 방식 또는 끼움방식으로 체결되므로 사용자가 계절별 또는 상황에 따라 장신구의 교체를 쉽게 할 수 있는 손톱 장신구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착상된 것으로서, 굴곡부를 갖는 손톱 삽입부재가 손톱 또는 인조손톱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종래의 손톱 장신구를 고정시킬 때 손톱에 구멍을 뚫어 볼트로 고정하므로 발생되는 손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손톱 장신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손톱 삽입부재를 다양한 형태를 갖는 굴곡부로 형성함으로써, 한번 삽입된 후 탈착이 잘 되지 않음은 물론 손톱에의 미적 치장효과를 더 부각시킬 수 있는 손톱 장신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굴곡부가 형성된 손톱 삽입부재의 양쪽 내부에 미끄럼방지부재를 코팅하여 줌으로써, 손톱 표면의 보호는 물론 손톱 삽입부재가 미끄 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손톱 장신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손톱 삽입부재가 끼움방식의 고리형태로 되어 있어 손톱의 두께와는 무관하게 끼워서 사용할 수가 있는 손톱 장신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손톱에의 손톱 장신구의 체결상의 안전성과 탈부착의 용이성을 갖는 손톱 장신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손톱 삽입부재와 장신구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링이 걸림 방식 또는 끼움방식으로 체결되므로 사용자가 계절별 또는 상황에 따라 장신구의 교체를 쉽게 할 수 있는 손톱 장신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톱 장신구는 손톱 삽입부재에 의해서 손톱에 끼워져 손톱을 덮는 손톱 형상의 손톱 덮개부와; 상기 손톱 덮개부와 손톱에 끼워지며, 손톱덮개부와 손톱에 닿는 상부와 하부분에 굴곡부가 형성되어 탈부착이 가능하게 하며, 상기 굴곡부의 양쪽 내부에 미끄럼방지부재를 코팅하여 손톱 표면의 보호와, 손톱 삽입부재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끼움방식의 고리형태로 되어 있어 손톱의 두께와는 무관하게 끼워서 사용할 수가 있는 손톱 삽입부재와; 상기 손톱 삽입부재와 장신구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며, 걸림 방식 또는 끼움방식으로 체결되므로 사용자가 계절별 또는 상황에 따라 장신구의 교체를 쉽게 할 수 있는 연결 링과; 상기 연결 링에 끼워지는 장신구;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손톱 덮개부에 끼워지는 손톱 삽입부재의 상부측 굴곡부는 원형, 원통형, 삼각형, 타원형, 마름모형, 사각형, 오각형 중에서 어느 하나로 되어 있어 손톱에 미적 치장효과를 더 부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의 형태는 원형, 원통형, 원뿔형, 사각형, 팔각형, 타원형, 동물형상, 별 형상, 꽃 형상, 하트 형상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되고, 연결 링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손톱 삽입부재는 손톱 덮개부가 필요 없이 직접 손톱에 끼워질 수 있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손톱 장신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첫째, 본 고안은 굴곡부를 갖는 손톱 삽입부재가 손톱 또는 인조손톱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종래의 손톱 장신구를 고정시킬 때 손톱에 구멍을 뚫어 볼트로 고정하므로 발생되는 손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 고안은 손톱 삽입부재를 다양한 형태를 갖는 굴곡부로 형성함으로써, 한번 삽입된 후 탈착이 잘 되지 않음은 물론 손톱에의 미적 치장효과를 더 부각시킬 수 있다.
셋째, 본 고안은 굴곡부가 형성된 손톱 삽입부재의 양쪽 내부에 미끄럼방지부재를 코팅하여 줌으로써, 손톱 표면의 보호는 물론 손톱 삽입부재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본 고안은 손톱 삽입부재가 끼움방식의 고리형태로 되어 있어 손톱의 두께와는 무관하게 끼워서 사용할 수가 있다.
다섯째, 본 고안은 손톱에의 손톱 장신구의 체결상의 안전성과 탈부착의 용이성을 갖는다.
여섯째, 본 고안은 손톱 삽입부재와 장신구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링이 걸림 방식 또는 끼움방식으로 체결되므로 사용자가 계절별 또는 상황에 따라 장신구의 교체를 쉽게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고안인 손톱 장신구를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손톱 장신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톱에 끼워지는 손톱 장신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톱 장신구를 구성하는 손톱 삽입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톱 장신구를 구성하는 손톱 삽입부재의 굴곡부에 실리콘이 코팅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a와 도 4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톱 장신구를 구성하는 걸림 방식과 끼움방식의 연결 링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a 내지 도 5e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톱 장신구를 구성하는 장신구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톱 장신구(50)는 손톱 삽입부재에 의해서 손톱에 끼워져 손톱을 덮는 손톱 형상의 손톱 덮개부(10)와; 상기 손톱 덮개부와 손톱에 끼워지며, 손톱 덮개부와 손톱에 닿는 상부와 하부분에 굴곡부(21)가 형성되어 탈부착이 가능하게 하는 손톱 삽입부재(20)와; 상기 손톱 삽입부재와 장신구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링(30)과; 상기 연결 링에 끼워지는 장신구(40); 로 구성된다.
상기 손톱 장신구(50)를 구성하는 기술적 수단의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손톱 덮개부(10)는 손톱 삽입부재(20)에 의해서 손톱(60)에 끼워져 손 톱을 덮는 것으로 손톱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손톱 삽입부재(20)는 상기 손톱 덮개부(10)와 손톱에 끼워지며, 손톱덮개부(10)와 손톱에 닿는 상부와 하부분에 굴곡부(21)가 형성되어 탈부착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손톱 삽입부재의 굴곡부(21)의 양쪽 내부에 미끄럼방지부재(22)를 코팅하여 손톱 표면의 보호와, 손톱 삽입부재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손톱 삽입부재(20)는 끼움방식의 고리형태로 되어 있어 손톱의 두께와는 무관하게 끼워서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손톱 덮개부(10)에 끼워지는 손톱 삽입부재의 상부측 굴곡부(21)는 원형, 원통형, 삼각형, 타원형, 마름모형, 사각형, 오각형 중에서 어느 하나로 되어 있어 손톱에 미적 치장효과를 더 부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손톱 삽입부재(20)는 손톱 덮개부(10)가 필요 없이 직접 손톱에 끼워질 수 있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미끄럼방지부재(22)는 실리콘, 수지류, 고무류, 양면테이프, 접착제 중에서 선별적으로 코팅되는 것이며, 별도로 돌기(미도시)를 형성하여 빠지지 않게 할 수 도 있을 것이다.
상기 연결 링(30)은 상기 손톱 삽입부재(20)와 장신구(40)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연결 링(30)은 걸림 방식 또는 끼움방식으로 체결되므로 사용자가 계절별 또는 상황에 따라 장신구의 교체를 쉽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장신구(40)는 상기 연결 링에 끼워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장신구(40)의 형태는 원형, 원통형, 원뿔형, 사각형, 팔각형, 타원형, 동물형상, 별 형상, 꽃 형상, 하트 형상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되고, 연결 링(30)에 끼워지는 것이다.
따라서 굴곡부를 갖는 손톱 삽입부재가 손톱 또는 인조손톱에 끼워져 고정되므로 손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한번 삽입된 후 탈착이 잘 되지 않음은 물론 손톱에의 미적 치장효과를 더 부각시킬 수 있으며, 굴곡부가 형성된 손톱 삽입부재의 양쪽 내부에 미끄럼방지부재를 코팅하여 주므로 손톱 표면의 보호는 물론 손톱 삽입부재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손톱 삽입부재가 끼움방식의 고리형태로 되어 있어 손톱의 두께와는 무관하게 끼워서 사용할 수가 있으며, 손톱에의 손톱 장신구의 체결상의 안전성과 탈부착의 용이성을 갖고, 손톱 삽입부재와 장신구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링이 걸림 방식 또는 끼움방식으로 체결되므로 사용자가 계절별 또는 상황에 따라 장신구의 교체를 쉽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으며,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의 한정이나 실용신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며,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톱에 끼워지는 손톱 장신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톱 장신구를 구성하는 손톱 삽입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톱 장신구를 구성하는 손톱 삽입부재의 굴곡부에 실리콘이 코팅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4a와 도 4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톱 장신구를 구성하는 걸림 방식과 끼움방식의 연결 링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5a 내지 도 5e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톱 장신구를 구성하는 장신구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손톱 덮개부 20 : 손톱 삽입부재
21 : 굴곡부 22: 미끄럼방지부재
30 : 연결 링 40 : 장신구
50 : 손톱 장신구 60 : 손톱

Claims (7)

  1. 손톱 장신구에 있어서,
    손톱 삽입부재에 의해서 손톱에 끼워져 손톱을 덮는 손톱 형상의 손톱 덮개부와;
    상기 손톱 덮개부와 손톱에 끼워지며, 손톱덮개부와 손톱에 닿는 상부와 하부분에 굴곡부가 형성되어 탈부착이 가능하게 하며, 상기 굴곡부의 양쪽 내부에 미끄럼방지부재를 코팅하여 손톱 표면의 보호와, 손톱 삽입부재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끼움방식의 고리형태로 되어 있어 손톱의 두께와는 무관하게 끼워서 사용할 수가 있는 손톱 삽입부재와;
    상기 손톱 삽입부재와 장신구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며, 걸림 방식 또는 끼움방식으로 체결되므로 사용자가 계절별 또는 상황에 따라 장신구의 교체를 쉽게 할 수 있는 연결 링과; 상기 연결 링에 끼워지는 장신구;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 장신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톱 덮개부에 끼워지는 손톱 삽입부재의 상부측 굴곡부는 원형, 원통형, 삼각형, 타원형, 마름모형, 사각형, 오각형 중에서 어느 하나로 되어 있어 손톱에 미적 치장효과를 더 부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 장신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의 형태는 원형, 원통형, 원뿔형, 사각형, 팔각형, 타원형, 동물형상, 별 형상, 꽃 형상, 하트 형상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되고, 연결 링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 장신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톱 삽입부재는 손톱 덮개부가 필요 없이 직접 손톱에 끼워질 수 있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 장신구.
KR2020090000420U 2009-01-14 2009-01-14 손톱 장신구 KR2004581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420U KR200458108Y1 (ko) 2009-01-14 2009-01-14 손톱 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420U KR200458108Y1 (ko) 2009-01-14 2009-01-14 손톱 장신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264U KR20090001264U (ko) 2009-02-04
KR200458108Y1 true KR200458108Y1 (ko) 2012-01-20

Family

ID=41503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0420U KR200458108Y1 (ko) 2009-01-14 2009-01-14 손톱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10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4920A1 (ja) * 2019-10-02 2021-04-08 合同会社M&Mカンパニー 爪用装飾品の係止具、係止具を備えた爪装飾構造、及び爪の装飾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009A (ja) * 1994-07-11 1996-01-30 Taisuke Kawasaki 付け替え装身具用止着具
KR19990033457U (ko) * 1999-04-23 1999-08-05 강태수 장신구 연결부재
KR20000011015A (ko) * 1996-05-15 2000-02-25 에일리스 크리스토퍼 토마스 감마-부티로락톤, 부탄-1,4-디올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의 제조방법u
KR200251878Y1 (ko) 2001-07-10 2001-11-17 한태복 손톱 장신구
KR20020051878A (ko) * 2000-12-22 2002-06-29 로버트 디. 크루그 폴리설폰 나노복합체 광학 플라스틱 제품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009A (ja) * 1994-07-11 1996-01-30 Taisuke Kawasaki 付け替え装身具用止着具
KR20000011015A (ko) * 1996-05-15 2000-02-25 에일리스 크리스토퍼 토마스 감마-부티로락톤, 부탄-1,4-디올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의 제조방법u
KR19990033457U (ko) * 1999-04-23 1999-08-05 강태수 장신구 연결부재
KR20020051878A (ko) * 2000-12-22 2002-06-29 로버트 디. 크루그 폴리설폰 나노복합체 광학 플라스틱 제품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251878Y1 (ko) 2001-07-10 2001-11-17 한태복 손톱 장신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264U (ko) 2009-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6304B2 (en) Versatile jewelry
US9474342B2 (en) Versatile jewelry
US9289035B2 (en) Self-adjustable jewelry clasp
JP2015157061A (ja) 襟固定器具
KR200458108Y1 (ko) 손톱 장신구
US10258133B2 (en) Decorative device with interchangeable decorations
US20150090289A1 (en) Hair ornamentation system and methods of use
US605318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jewelry to hair
US20090241599A1 (en) Earring having s-member earring post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US20040103911A1 (en) Barrette/hair clip with integrally attachable artificial flower
US9955759B2 (en) Jewelry cover and method of protecting jewelry
JP3215039U (ja) 取り外し式チャーム
US20050108855A1 (en) Ornamental eyeglass retainer and necklace
KR200417928Y1 (ko) 목걸이식 액세서리
JP3083084U (ja) ネックレス型帽子留め
WO2009060488A2 (en) Embellishment object for nails
WO2021064920A1 (ja) 爪用装飾品の係止具、係止具を備えた爪装飾構造、及び爪の装飾方法
KR200413046Y1 (ko) 보조잠금장치를 가진 장식부재
KR200346499Y1 (ko) 클립형 머리카락장신구용 연결구
KR200412395Y1 (ko) 물품휴대용 줄 세트
US20160015144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holding hair back without applying significant pressure
CN212117330U (zh) 一种金属戒指托及智能金属戒指
KR20080006463U (ko) 머리핀을 이용한 부분가발
JP3016485U (ja) 指先装飾具
JP3026930U (ja) ピアスのように見えて、耳たぶが痛くないイヤリ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