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069Y1 - 안테나 캐리어, 안테나 방사체, 및 이를 구비한 내장형 안테나 - Google Patents

안테나 캐리어, 안테나 방사체, 및 이를 구비한 내장형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069Y1
KR200458069Y1 KR2020100002680U KR20100002680U KR200458069Y1 KR 200458069 Y1 KR200458069 Y1 KR 200458069Y1 KR 2020100002680 U KR2020100002680 U KR 2020100002680U KR 20100002680 U KR20100002680 U KR 20100002680U KR 200458069 Y1 KR200458069 Y1 KR 2004580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terminal
pair
antenna carrier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26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9008U (ko
Inventor
류병훈
성원모
승세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Priority to KR20201000026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069Y1/ko
Publication of KR201100090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0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0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0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273Adaptation for carrying or wearing by persons or anim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안테나 캐리어, 안테나 방사체, 및 이를 구비한 내장형 안테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는, 안테나 방사체에서 연장되어 안테나 캐리어의 하부로 삽입되고, 말단의 양 측에 한 쌍의 확장 날개가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Z 단자 및 안테나 캐리어 하부면의 한 쌍의 확장 날개와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함몰 방지부를 포함하며, 한 쌍의 확장 날개는 Z 단자의 전기적 접속 시 함몰 방지부에 의해 지지된다.

Description

안테나 캐리어, 안테나 방사체, 및 이를 구비한 내장형 안테나{ANTENNA CARRIER, ANTENNA RADIATOR, AND INTERNAL ANTENNA WITH THE SAME}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내장형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장형 안테나의 Z 단자가 함몰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IT(Information Technology)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무선 데이터 통신을 통해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셀룰러폰, 노트북 컴퓨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모바일폰 등 다양한 무선통신단말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통신단말기에는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안테나가 장착되는데, 안테나는 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장착 위치에 따라 외장형 안테나와 내장형 안테나로 구분된다.
외장형 안테나(예를 들어, 로드 안테나 또는 헬리컬 안테나 등)의 경우, 무선통신단말기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파손의 위험이 크고 디자인적 취약성으로 인해 잘 사용되지 않으며, 그 대신 무선통신단말기의 내부에 실장되는 내장형 안테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내장형 안테나는 소정 높이를 갖고 형성되는 안테나 캐리어 및 상기 안테나 캐리어 상에 형성되는 안테나 방사체를 포함한다. 상기 내장형 안테나가 무선통신단말기의 내부에 실장될 때, 상기 내장형 안테나는 무선통신단말기의 메인 보드에 형성되는 급전 라인 및 접지 라인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내장형 안테나는 상기 안테나 방사체와 연결되어 상기 안테나 캐리어의 하부로 형성되는 급전 단자 및 접지 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급전 단자 및 접지 단자는 상기 안테나 캐리어의 하부에서 상기 메인 보드의 급전 라인 및 접지 라인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급전 단자 및 접지 단자의 신뢰성을 위해 상기 급전 단자 및 접지 단자의 형상을 Z 자 형상으로 형성하는데, 이를 Z 단자라고 한다.
도 1은 종래의 내장형 안테나에서 Z 단자가 접속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내장형 안테나에서 Z 단자가 함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Z 단자(30)는 안테나 캐리어(10) 상에 형성되는 안테나 방사체(20)에서 연장되어 상기 안테나 캐리어(10)의 하부로 형성된다. 상기 Z 단자(30)는 상기 안테나 캐리어(10)의 하부에서 무선통신단말기의 메인 보드(4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때, 상기 Z 단자(30)는 상기 메인 보드(40) 상에 형성된 금속 패턴(45)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금속 패턴(45)은 상기 Z 단자(30)의 종류에 따라 급전 라인 또는 접지 라인일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내장형 안테나에는 상기 Z 단자(30)의 함몰을 방지하는 구조가 없었기 때문에, 상기 Z 단자(30)가 오랜 시간 동안 상기 금속 패턴(45)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 있거나 외부 압력으로 눌려지게 되면, 상기 Z 단자(30)가 함몰되게 된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Z 단자(30)가 상기 금속 패턴(45)에 접속되지 않아 접촉 불량이 발생할 염려가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Z 단자(30)의 함몰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내장형 안테나의 Z 단자가 무선통신단말기의 메인 보드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때, Z 단자를 지지할 수 있는 함몰 방지부를 구비함으로써, Z 단자가 함몰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한 다른 기술적 해결 과제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 이해될 수 있으며, 이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는, 안테나 캐리어 및 상기 안테나 캐리어와 결합하는 안테나 방사체를 포함하는 내장형 안테나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방사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안테나 캐리어의 하부로 삽입되고, 말단의 양 측에 한 쌍의 확장 날개가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Z 단자; 및 상기 한 쌍의 확장 날개와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안테나 캐리어의 하부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함몰 방지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캐리어는, 말단의 양 측에 한 쌍의 확장 날개가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Z 단자를 포함하는 안테나 방사체와 결합하는 안테나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확장 날개와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안테나 캐리어의 하부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함몰 방지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방사체는, 함몰 방지부가 하부면의 소정 위치에 돌출되어 형성된 안테나 캐리어와 결합하는 안테나 방사체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방사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안테나 캐리어의 하부로 삽입되고, 말단의 양 측에 한 쌍의 확장 날개가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Z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확장 날개는 상기 함몰 방지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내장형 안테나의 Z 단자의 접속 시 Z 단자를 지지할 수 있는 함몰 방지부를 구비함으로써, Z 단자가 함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Z 단자의 접촉 불량을 방지하여 안테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내장형 안테나에서 Z 단자가 접속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내장형 안테나에서 Z 단자가 함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캐리어의 저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의 저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Z 단자의 접속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안테나 캐리어, 안테나 방사체 및 이를 구비한 내장형 안테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내장형 안테나는 안테나 캐리어(100) 및 안테나 방사체(200)를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 캐리어(100)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메인 보드(미도시)와 상기 안테나 방사체(200) 사이를 일정 간격 이격시켜 내장형 안테나가 원하는 방사 특성을 나타내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안테나 캐리어(100)는 전자파 흡수율(Spacific Absorption Rate : SAR)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테나 방사체(100)는 접지면인 무선통신 단말기의 메인 보드(미도시)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야 우수한 방사 특성을 나타내고 전자파 흡수율이 감소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일정 높이를 갖고 형성되는 안테나 캐리어(100) 상에 안테나 방사체(200)를 형성하고, 상기 안테나 캐리어(100)를 무선통신 단말기의 메인 보드(미도시)에 고정 장착함으로써, 상기 안테나 방사체(200)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메인 보드(미도시)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한다.
상기 안테나 캐리어(100)에는 상기 안테나 방사체(20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 돌기(110)들이 복수 개가 상호 이격하여 형성된다.
상기 안테나 캐리어(100)의 전면에는 상기 안테나 방사체(200)가 상기 안테나 캐리어(100)에 결합할 때, 상기 안테나 방사체(200)와 연결되어 형성된 제1 Z 단자(210) 및 제2 Z 단자(220)가 삽입되어 결합하도록 제1 삽입홈(121) 및 제2 삽입홈(124)이 상호 이격하여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Z 단자(210) 및 제2 Z 단자(220)는 상기 안테나 방사체(200)가 상기 안테나 캐리어(100)에 결합할 때, 각각 상기 제1 삽입홈(121) 및 제2 삽입홈(124)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안테나 캐리어(10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1 Z 단자(210)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메인 보드에 형성된 급전 라인과 접속되는 급전 단자일 수 있고, 상기 제2 Z 단자(220)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메인 보드에 형성된 접지 라인(또는 접지면)과 접속되는 접지 단자일 수 있다.
상기 안테나 방사체(2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안테나 방사체(200)는 사용하고자 하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상기 안테나 캐리어(100)의 여러 표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방사체(200)에는 상기 안테나 캐리어(100)에 형성된 결합 돌기(110)들과 결합하기 위한 복수 개의 결합홈(205)들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테나 방사체(200)는 상기 결합홈(205)들이 상기 결합 돌기(110)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열 융착하여 상기 안테나 캐리어(100)와 결합된다.
상기 안테나 방사체(200)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메인 보드에 형성된 급전 라인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Z 단자(210) 및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메인 보드에 형성된 접지 라인(또는 접지면)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Z 단자(220)가 상기 안테나 방사체(200)에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 Z 단자(210) 및 상기 제2 Z 단자(220)는 Z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Z 단자(210)는 상기 안테나 방사체(200)와 연결되어 상기 안테나 캐리어(100)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제1 연결부(211), 상기 제1 연결부(211)의 말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며 상기 안테나 캐리어(100)의 하부면에 안착되는 제1 안착부(214), 상기 제1 안착부(214)의 말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되며 상기 급전 라인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접속부(217)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접속부(217)의 말단에는 상기 제1 접속부(217)의 양 측으로 한 쌍의 제1 확장 날개(219)가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Z 단자(220)는 상기 안테나 방사체(200)와 연결되어 상기 안테나 캐리어(100)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제2 연결부(221), 상기 제2 연결부(221)의 말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며 상기 안테나 캐리어(100)의 하부면에 안착되는 제2 안착부(224), 상기 제2 안착부(224)의 말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되며 상기 급전 라인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접속부(227)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접속부(227)의 말단에는 상기 제2 접속부(227)의 양 측으로 한 쌍의 제2 확장 날개(229)가 형성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캐리어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안테나 캐리어(100)의 하부면에는 상기 안테나 캐리어(100)가 무선통신단말기의 내부에 실장될 때, 상기 안테나 캐리어(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지지틀들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안테나 캐리어(100)의 하부면에서 상기 안테나 캐리어(100)의 제1 삽입홈(121)의 양 측에는 각각 소정 높이의 제1 지지틀(131) 및 제2 지지틀(132)이 형성되고, 상기 안테나 캐리어(100)의 제2 삽입홈(124)의 양 측에는 각각 소정 높이의 제3 지지틀(133) 및 제4 지지틀(13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지지틀(131) 내지 제4 지지틀(134)은 평행하게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지지틀(131)의 외측으로는 제1 함몰 방지부(141)가 상기 제1 지지틀(131)과 수직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함몰 방지부(141)의 일단은 상기 제1 지지틀(131) 상에 안착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함몰 방지부(141)의 일단은 상기 제1 지지틀(131) 상에 소정 높이를 가지고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지지틀(132) 및 상기 제3 지지틀(133) 사이에는 제2 함몰 방지부(144)가 형성된다. 상기 제2 함몰 방지부(144)는 상기 제1 함몰 방지부(141)와 동일 선상에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함몰 방지부(144)의 일단은 상기 제2 지지틀(132) 상에 안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함몰 방지부(144)의 타단은 상기 제3 지지틀(133) 상에 안착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함몰 방지부(144)의 일단은 상기 제2 지지틀(132) 상에 소정 높이를 가지고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함몰 방지부(144)의 타단은 상기 제3 지지틀(133) 상에 소정 높이를 가지고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4 지지틀(134)의 외측으로는 제3 함몰 방지부(147)가 상기 제4 지지틀(134)과 수직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3 함몰 방지부(147)의 일단은 상기 제4 지지틀(134) 상에 안착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제3 함몰 방지부(147)는 상기 제4 지지틀(134) 상에 소정 높이를 가지고 돌출되어 형성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안테나 캐리어(100)의 제1 삽입홈(121)에 제1 Z 단자(210)가 삽입되어 장착되고, 상기 안테나 캐리어(100)의 제2 삽입홈(124)에 제2 Z 단자(220)가 삽입되어 장착된다.
이때, 상기 제1 Z 단자(210)에 형성된 제1-1 확장 날개(219-1)는 제1 지지틀(131) 상에 형성된 제1 함몰 방지부(141)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Z 단자(210)에 형성된 제1-2 확장 날개(219-2)는 제2 지지틀(132) 상에 형성된 제2 함몰 방지부(144)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Z 단자(210)가 눌려진다 하더라도 상기 제1-1 확장 날개(219-1) 및 상기 제1-2 확장 날개(219-2)가 각각 상기 제1 함몰 방지부(141) 및 상기 제2 함몰 방지부(144)에 안착되기 때문에, 상기 제1 Z 단자(210)가 함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Z 단자(220)에 형성된 제2-1 확장 날개(229-1)는 제3 지지틀(133) 상에 형성된 제2 함몰 방지부(144)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Z 단자(220)에 형성된 제2-2 확장 날개(229-2)는 제4 지지틀(134) 상에 형성된 제3 함몰 방지부(147)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 Z 단자(220)가 눌려진다 하더라도 상기 제2-1 확장 날개(219-2) 및 상기 제2-2 확장 날개(229-2)가 각각 상기 제2 함몰 방지부(144) 및 상기 제3 함몰 방지부(147)에 안착되기 때문에, 상기 제2 Z 단자(220)가 함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여기서는 제1 삽입홈(121)의 양 측에 제1 지지틀(131) 및 제2 지지틀(132)을 형성하고, 제2 삽입홈(124)의 양 측에 제3 지지틀(133) 및 제4 지지틀(134)을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굳이 제1 지지틀(131) 내지 제4 지지틀(134)을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함몰 방지부(141) 내지 제3 함몰 방지부(147)의 높이를 상기 제1 지지틀(131) 내지 제4 지지틀(134)의 높이 만큼 더 높이 형성하여 상기 제1 Z 단자(210) 및 제2 Z 단자(220)가 함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상기 제1 함몰 방지부(141) 내지 제3 함몰 방지부(147)를 소정 길이를 갖는 립(Rib)의 형상으로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함몰 방지부는 상기 제1 Z 단자(210)의 제1 확장 날개(219) 및 상기 제2 Z 단자(220)의 제2 확장 날개(229)의 하부에 소정 높이를 갖고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즉, 상기 제1 확장 날개(219) 및 상기 제2 확장 날개(229)의 하부에 소정 높이를 갖고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1 Z 단자(210) 및 상기 제2 Z 단자(220)가 함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 및 형상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Z 단자의 접속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서는 도 6의 B-B'의 단면을 통해 제1 Z 단자의 접속되는 상태만을 나타내었으나, 제2 Z 단자의 접속되는 상태도 이와 마찬가지로 설명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안테나 캐리어(100)에 안테나 방사체(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안테나 캐리어(100)가 메인 보드(240) 상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안테나 방사체(200)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Z 단자(210)는 상기 안테나 캐리어(100)의 하부에서 상기 메인 보드(240) 상에 형성되는 급전 라인(245)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게 된다.
상기 제1 Z 단자(210)가 상기 급전 라인(245)과 접속되어 눌려질 때, 상기 제1 Z 단자(210)의 제1 확장 날개(219)가 제1 함몰 방지부(141) 및 제2 함몰 방지부(144)에 안착되기 때문에, 상기 제1 Z 단자(210)가 함몰되어 접촉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안테나 캐리어 110 : 결합 돌기
121 : 제1 삽입홈 124 : 제2 삽입홈
131 : 제1 지지틀 132 : 제2 지지틀
133 : 제3 지지틀 134 : 제4 지지틀
141 : 제1 함몰 방지부 144 : 제2 함몰 방지부
147 : 제3 함몰 방지부
200 : 안테나 방사체 205 : 결합홈
210 : 제1 Z 단자 211 : 제1 연결부
214 : 제1 안착부 217 : 제1 접속부
219 : 한 쌍의 제1 확장 날개 220 : 제2 Z 단자
221 : 제2 연결부 224 : 제2 안착부
227 : 제2 접속부 229 : 한 쌍의 제2 확장 날개
240 : 메인 보드 245 : 급전 라인

Claims (9)

  1. 안테나 캐리어 및 상기 안테나 캐리어와 결합하는 안테나 방사체를 포함하는 내장형 안테나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방사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안테나 캐리어의 하부로 삽입되고, 말단의 양 측에 한 쌍의 확장 날개가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Z 단자; 및
    상기 한 쌍의 확장 날개와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안테나 캐리어의 하부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함몰 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확장 날개는, 상기 Z 단자의 전기적 접속 시 상기 함몰 방지부에 안착되는, 내장형 안테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형 안테나는,
    상기 안테나 방사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안테나 캐리어의 하부로 삽입되고, 말단의 양 측에 한 쌍의 제1 확장 날개가 형성되는 제1 Z 단자; 및
    상기 안테나 방사체에서 상기 제1 Z 단자와 상호 이격하여 연장되어 상기 안테나 캐리어의 하부로 삽입되며, 말단의 양 측에 한 쌍의 제2 확장 날개가 형성되는 제2 Z 단자를 포함하는, 내장형 안테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캐리어는,
    상기 제1 Z 단자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제1 삽입홈;
    상기 제2 Z 단자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제2 삽입홈;
    상기 제1 삽입홈의 양 측에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확장 날개의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지지틀 및 제2 지지틀; 및
    상기 제2 삽입홈의 양 측에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확장 날개의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3 지지틀 및 제4 지지틀을 더 포함하는, 내장형 안테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 방지부는,
    상기 제1 지지틀 상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함몰 방지부;
    상기 제2 지지틀 및 상기 제3 지지틀 사이를 연결하며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제2 지지틀 상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타단이 상기 제3 지지틀 상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함몰 방지부; 및
    상기 제4 지지틀 상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3 함몰 방지부를 포함하는, 내장형 안테나.
  6. 말단의 양 측에 한 쌍의 확장 날개가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Z 단자를 포함하는 안테나 방사체와 결합하는 안테나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확장 날개와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안테나 캐리어의 하부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함몰 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함몰 방지부는, 상기 Z 단자의 전기적 접속 시 상기 한 쌍의 확장 날개를 지지하는, 안테나 캐리어.
  7. 삭제
  8. 함몰 방지부가 하부면의 소정 위치에 돌출되어 형성된 안테나 캐리어와 결합하는 안테나 방사체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방사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안테나 캐리어의 하부로 삽입되고, 말단의 양 측에 한 쌍의 확장 날개가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Z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확장 날개는 상기 함몰 방지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Z 단자의 전기적 접속 시 상기 함몰 방지부에 안착되는, 안테나 방사체.
  9. 삭제
KR2020100002680U 2010-03-16 2010-03-16 안테나 캐리어, 안테나 방사체, 및 이를 구비한 내장형 안테나 KR2004580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680U KR200458069Y1 (ko) 2010-03-16 2010-03-16 안테나 캐리어, 안테나 방사체, 및 이를 구비한 내장형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680U KR200458069Y1 (ko) 2010-03-16 2010-03-16 안테나 캐리어, 안테나 방사체, 및 이를 구비한 내장형 안테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008U KR20110009008U (ko) 2011-09-22
KR200458069Y1 true KR200458069Y1 (ko) 2012-01-18

Family

ID=45090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2680U KR200458069Y1 (ko) 2010-03-16 2010-03-16 안테나 캐리어, 안테나 방사체, 및 이를 구비한 내장형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06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5651A (ko) 2022-01-27 2023-08-03 주식회사 아모텍 전기부재 접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모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324B1 (ko) * 2005-12-01 2007-01-09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통신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조립체
KR20080002338A (ko) * 2006-06-30 2008-01-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324B1 (ko) * 2005-12-01 2007-01-09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통신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조립체
KR20080002338A (ko) * 2006-06-30 2008-01-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5651A (ko) 2022-01-27 2023-08-03 주식회사 아모텍 전기부재 접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008U (ko) 2011-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17074B1 (en) Mobile terminal having metal case and antenna structure
US8711043B2 (en) Wideband antenna
JP6118889B2 (ja) 移動端末装置
CN108110417B (zh) 一种全金属外壳的lte-a mimo天线装置
US8988286B2 (en) Multi-band antenna for portable terminal with radiators on opposite surfaces of substrate
US8884824B2 (en) Planar inverted-F antenna
KR101347936B1 (ko) 차량용 외장형 안테나
CN103034291A (zh) 终端设备
US20200106165A1 (en) Electronic device
US20130099984A1 (en) Antenna combined with terminal housing
CN106357854B (zh) 移动终端的导电盖体、移动终端的壳体及移动终端
CN103794866A (zh) 移动通信装置
KR200458069Y1 (ko) 안테나 캐리어, 안테나 방사체, 및 이를 구비한 내장형 안테나
CN102780075B (zh) 微基站天线
KR101106579B1 (ko) 내장형 안테나의 접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내장형 안테나
CN102544706A (zh) 连接终端壳体的内部天线
KR20100131656A (ko) 내장형 안테나 모듈, 그 제조방법 및 그를 구비한 무선통신단말기
KR20110009007U (ko) 안테나 캐리어, 안테나 방사체, 및 이를 구비한 내장형 안테나
KR101025970B1 (ko) 휴대 단말용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
KR101123792B1 (ko) 내장형 안테나의 접점 구조 및 이를 포함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1276651B1 (ko) 안테나 장치
KR101321195B1 (ko) 다중-대역 안테나 구조체
KR101003911B1 (ko) 휴대 단말용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
CN217823251U (zh) 天线组件和电子设备
KR200458911Y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안테나 접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