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842Y1 - 이완 방지 에어백이 장착된 인라인 스케이트용 부츠 - Google Patents

이완 방지 에어백이 장착된 인라인 스케이트용 부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842Y1
KR200457842Y1 KR2020090016098U KR20090016098U KR200457842Y1 KR 200457842 Y1 KR200457842 Y1 KR 200457842Y1 KR 2020090016098 U KR2020090016098 U KR 2020090016098U KR 20090016098 U KR20090016098 U KR 20090016098U KR 200457842 Y1 KR200457842 Y1 KR 2004578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oots
boot
charging unit
relax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60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6055U (ko
Inventor
이동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랜드웨이스포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랜드웨이스포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랜드웨이스포츠
Priority to KR20200900160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842Y1/ko
Publication of KR201100060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0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8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8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16Skating boo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7Lining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완 방지 에어백이 부착된 인라인 스케이트용 부츠에 관한 것으로, 인라인 스케이트를 신을 때 조임력을 향상시키거나 또는 스케이팅을 하는 도중에 부츠와 발 부위에 발생된 이완을 보상하도록 부츠의 하부와 측부 및 후부에 고착되는 충전부와, 충전부와 연결되면서 볼록한 부위를 반복적으로 눌러 공기 충전부에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흡기부, 상기 공기 충전부와 연결되면서 볼록한 부위에 설치된 배기콕을 눌러 공기 충전부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 상기 충전부에 대해 연결된 분할 공간을 이루도록 형성된 접합부가 포함된 이완 방지용 에어백이 부츠에 고착되어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흡기부를 눌러 공기 충전부에 공기를 충전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이완이 보상되므로 기존의 조임끈, 버클, 벨크로 테이프 등을 일일이 다시 조여주는 일이 없어져 스케이터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인라인 스케이트, 롤러 블레이드, 부츠, 에어백

Description

이완 방지 에어백이 장착된 인라인 스케이트용 부츠{Inline skate boots with air bag for preventing slack}
본 고안은 인라인 스케이트용 부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츠에 에어백이 고착되고, 이 에어백에 의해 스케이팅을 하는 도중에도 부츠와 발의 조임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거나 불가피하게 발생된 이완을 보상하도록 된 이완 방지 에어백이 장착된 인라인 스케이트용 부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러 스케이트는 크게 쿼드 롤러 스케이트(Quad roller skate)와 인라인 스케이트(Inline skate)로 구분되고, 상기 쿼드 롤러 스케이트는 일반적으로 롤러 스케이트라고도 하며, 통상 가죽으로 만들어지는 스케이트 신발의 바닥에 좌우 한 쌍의 바퀴가 전후로 배열된 4개의 바퀴가 직사각형을 이루는 형태로, 몸의 균형을 잡기 쉬워 초보자나 어린이들에게 적합하다.
그리고, 상기 인라인 스케이트는 제작 회사의 이름을 따서 통상적으로 롤러블레이드(Roller blade)라고도 하고, 다수의 바퀴가 프레임에 전후 일렬로 배열되기 때문에 일자형 날이 부착된 아이스 스케이트와 같이 상기 쿼드 롤러 스케이트에 비하여 몸의 균형을 잡기 어려우나, 빠른 속도를 낼 수 있으며 다양한 묘기를 발휘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근래에는 인라인 스케이트가 더욱 선호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종래의 인라인 스케이트(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츠(20)와, 이 부츠(20)를 감싸면서 보호하는 경질의 베이스(30)와, 이 베이스(30)의 하부에 장착되고 다수의 롤러(41)가 일렬로 장착된 프레임(40)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부츠(20)는 일반적으로 외피와 내피 등이 적층을 이루고, 스케이터의 발과 발목 부위에 착용되도록 일반적으로 목이 긴 신발과 유사한 형상으로 제작되었다.
상기 베이스(30)는 부츠(20)가 수용되도록 별도로 제작되어 부츠(20)의 형상 유지 및 외부 물체로부터 부츠(20)를 보호하였고, 이는 궁극적으로 부츠(20)에 수용된 발이 외부 물체로부터 받은 충격을 완화하면서 스케이팅 도중에 발목이 꺽이는 현상도 방지하였다.
여기서, 상기 인라인 스케이트(10)를 신을 때, 부츠(20)에 있는 조임끈(21), 또는 베이스(30)에 설치된 버클(31), 벨크로 테이프(32) 등이 포함된 조임부를 조작하여 발에 부츠(20)가 단단히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스케이팅 도중에 부츠(20)와 발이 이완되어 스케이팅에 불편함을 느끼거나 또는 발목이 꺽여서 삐거나 골절상을 입는 등의 현상이 방지되었다.
그러나, 인라인 스케이트(10)를 신고 장시간 스케이팅을 하다 보면 부츠(20)와 발은 자연히 이완될 수 밖에 없어 스케이팅에 불편함을 느낌은 물론 발목에 무리가 발생하였고, 심지어는 넘어지면서 발목이 쉽게 삐거나 골절되기도 하였다.
따라서, 스케이터는 부츠(20)와 발의 이완을 보상하기 위해 스케이팅을 잠시 멈추고 조임부를 구성하는 조임끈(21), 버클(31), 벨크로 테이프(32) 등을 일일이 점검하여 다시 조여야만 하였고, 이러한 조임 동작이 스케이팅 도중에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발의 뒤꿈치 부위 및 복사뼈 주위에 밀착될 수 있는 공기 충전부와, 이 공기 충전부와 연결되면서 외부에 노출되도록 장착되어 공기 충전부에 공기를 주입 및 배기하는 흡기부와 배기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에어백이 부츠에 고착된다.
이로 인해, 스케이터의 발에 부츠가 착용되면 기존의 조임부의 조작과 더불어 에어백에 공기가 충전되도록 조작됨으로써 이전보다 더 조임 능력이 향상됨은 물론, 특히 스케이팅 도중에 부츠의 조임 능력이 저하되어 발생된 발과 부츠의 이완된 정도가 에어백에 공기가 좀 더 충전됨으로써 충분히 보상되어 조임 능력이 복원될 수 있도록 된 이완 방지 에어백이 고착된 인라인 스케이트용 부츠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이완 방지 에어백이 고착된 인라인 스케이트용 부츠는, 인라인 스케이트를 신을 때 조임력을 향상시키거나 또는 스케이팅을 하는 도중에 부츠와 발 부위에 발생된 이완을 보상하도록 상기 부츠에는 인라인 스케이트를 신을 때 조임력을 향상시키거나 스케이팅을 하는 도중에 부츠와 발 부위에 발생된 이완을 보상하도록, 공기의 입출이 가능하면서 충전되는 공기 충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완 방지용 에어백이 고착된다.
상기 에어백은 충전부와 연결되면서 볼록한 부위를 반복적으로 눌러 공기 충 전부에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흡기부, 상기 공기 충전부와 연결되면서 볼록한 부위에 설치된 배기콕을 눌러 공기 충전부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 상기 충전부에 대해 연결된 분할 공간을 이루도록 형성된 접합부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흡기부와 배기부는 부츠의 상부에 위치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상기 에어백의 충전부는 부츠의 외피에 고착되어 외부에 노출되도록 고착되거나, 또는 부츠의 외피와 내피의 중간에 고착된다.
여기서, 상기 충전부는 아킬레스건을 횡단하는 제1가로부, 이 제1가로부와 연결되면서 아킬레스건과 종아리 사이에 위치된 제2가로부, 상기 제1,2가로부와 연결되면서 복사뼈의 아랫부분이면서 발뒤축의 측면에 위치된 제3가로부, 제1,2,3가로부와 연결되고 복사뼈를 제외한 주변부위이면서 다리의 측면에 위치되어 흡기부에 근접되게 연장되게 위치된 세로부로 이루어지는 형상으로 제작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스케이팅 도중에 발과 부츠가 이완되면 흡기부를 반복적으로 눌러 에어백의 공기 충전부에 공기가 좀 더 충전되도록 함으로써, 발과 부츠에 발생된 이완 정도가 에어백의 공기 충전으로 보상되어 발과 부츠가 다시 단단히 밀착되고, 이완에 따른 스케이팅의 불편함이나 발목의 무리 및 발목의 골절 등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흡기부를 눌러 공기 충전부에 공기를 충전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이완이 보상되므로 기존의 조임끈, 버클, 벨크로 테이프 등의 조임부를 일일이 다시 조여주는 일이 없어져 스케이터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한편, 인라인 스케이트에 외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지는 즉, 외부의 물체와 부딪쳤을 때, 상기 에어백의 공기 충전부가 경질의 베이스와 더불어 스케이터의 발 및 발목 부위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완 방지 에어백이 고착된 인라인 스케이트용 부츠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이완 방지 에어백이 고착된 인라인 스케이트용 부츠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측면도 및 후방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부츠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2의 부츠가 인라인 스케이트에 장착된 상태가 도시된 완성품 사시도 및 분리 사시도이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이완 방지 에어백이 고착된 인라인 스케이트용 부츠(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이터의 발과 발목을 포함한 발 부위가 수용되는 몸체(110)와, 몸체(110)와 발이 조여지도록 벨크로 테이프(120)와, 상기 몸체(110)의 외면이면서 측부와 후부를 감싸도록 고착된 에어백(130)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10)는 기존의 일반적인 형태로, 외피와 내피를 포함하여 제작되고, 이들 외피와 내피 사이에 보강재 또는 보온재 등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벨크로 테이프(120) 역시 기존의 일반적인 형태로, 상기 부츠(100)를 발에 더욱 밀칙시키기 위한 것으로 공지된 기술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 다.
한편, 상기 에어백(130)은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기가 유출입되어 선택적으로 충전되는 공기 충전부(131)와, 이 공기 충전부(131)에 연결되면서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 충전부(131)에 외부 공기를 주입하는 흡기부(132)와, 상기 공기 충전부(131)에 연결되어 공기 충전부(131)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133)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공기 충전부(131)는 몸체(110)의 외면에 고주파 접합 방식 또는 재봉 등을 포함한 다양한 방법으로 고착되고, 공기 충전부(131)의 형태를 보면, 아킬레스건을 횡단하게 형성된 제1가로부(131a), 이 제1가로부(131a)와 연결되면서 아킬레스건과 종아리 사이에 위치되게 형성된 제2가로부(131b), 상기 제1,2가로부(131a,131b)와 연결되면서 복사뼈의 아랫부분이면서 발뒤축의 측면에 위치되게 형성된 제3가로부(131c), 제1,2,3가로부(131a,131b,131c)와 연결되고 복사뼈를 제외한 주변부위이면서 다리의 측면에 위치되어 흡기부(132)에 근접되게 연장되게 형성된 세로부(131d)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공기 충전부(131)는 발목 부위의 제1,2,3가로부(131a,131b,131c)의 발목 부위와, 다리 측면의 세로부(131d)가 구분되지 않고 복사뼈를 포함한 가로부(131a,131b,131c) 및 세로부(131d)가 발 뒤꿈치쪽 발목 부위 전체가 한 덩어리로 제작될 수도 있고, 이 경우 공기 충전부(131)를 통해 외압으로부터 발 및 발목을 보호할 수 있다.
다만, 이런 경우 공기 충전부(131)에 주입되는 공기의 양이 많아져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하는데 긴 시간이 요구되고, 주입된 공기의 양이 많을수록 부풀어 오르는 정도가 심해 외압에 의해 파열될 수도 있으므로, 따라서 가로부(131a,131b,131c)와 세로부(131d)로 분할하여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로부(131a,131b,131c)와 세로부(131d) 역시 도 4에서와 같이, 더욱 작은 공간으로 분할되어 공기 주입량을 감소시키면서 파열에 완벽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함이 좋다.
이때, 공간 분할은 고주파 접합 방식으로 형성된 접합부(131e)에 의해 이루어지고, 이 접합부(131e)는 가로부(131a,131b,131c)와 세로부(131d)에서 다소 넓은 부위에 대해 그 공간을 협소화시키기 위해 형성되도록 그 형상이나 위치가 정해진다. 또한, 상기 접합부(131e)는 고주파 접합 방식 이외에 기존의 공지된 기술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흡기부(132)는 몸체(110)의 상부에 위치되면서 외부로 돌출 및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스케이터가 쉽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이 좋다.
상기 흡기부(132)는 몸체(110)의 측면이면서 가로부(131a,131b,131c)와 근접되게 위치됨이 좋고, 이 흡기부(132)에서 주입된 외부 공기가 가로부(131a,131b,131c)로 주입되어 전체 공기 충전부(131)에 충전되며, 이러한 충전을 위해 상기 흡기부(132)와 가로부(131a,131b,131c)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기 유동로(미도시)로 연결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흡기부(132)는 도 3에서와 같이, 볼록한 탄성 재질의 외피(132a)로 이루어지면서 이 외피(132a)에 외부 공기 유입구(132b)가 형성되도록 제작된다.
여기서, 공기를 공기 충전부(131)에 주입하는 방식은 손가락으로 공기 유입구(132b)를 막고 외피(132a)를 누르면 외피(132a) 내부에 있는 공기가 유동되어 공기 충전부(131)에 주입되고, 이후 손가락을 떼면 외피(132a)는 복원되면서 외피(132a)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된다. 이와 같은 동작이 반복되면서 공기 충전부(131)에 공기가 충전되고, 상기 흡기부(132)를 통해 공기 충전부(131)에 주입된 공기는 역류하지 않도록 판막이 공기 유동로에 설치된다.
이러한 흡기부(132)는 공지된 일반 기술의 일 예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반면 이러한 기능을 하는 다양한 공지 기술 중 다른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기부(133)는 몸체(110)의 상부이면서 흡기부(132)의 근처에 위치되고, 외부로 돌출 및 노출되도록 형성됨이 좋다.
또한, 상기 배기부(133)는 흡기부(132)와 가로부(131a,131b,131c) 사이에 형성된 공기 유동로와 연결되는, 즉 상기 공기 유동로가 흡기부(132)와 배기부(133)에 연결되는 대략 "Y"자 형상이고, 다른 예로는 배기부(133)와 흡기부(132)가 전혀 별도의 공기 유동로를 갖는 즉, 2개의 유동로를 통해 각각 가로부(131a,131b,131c)와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배기부(133)는 볼록한 탄성 재질의 외피(133a)로 이루어지고, 이 외피(133a)를 누르면서 배기콕(미도시)을 누르게 되면 공기 충전부(131)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것으로, 상기 외피(133a)에 별도의 배기구(미도시)가 성형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배기부(133) 역시 공지된 일반 기술의 일 예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반면 이러한 기능을 하는 다양한 공지 기술 중 다른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흡기부(132)와 배기부(133)가 몸체(110)의 외피와 내피 사이에 위치되고, 외피에 흡기부(132)와 배기부(133)의 표식이 그려져 조작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충전부(131)가 몸체(110)의 외면에 고착되는 일 예가 제시되었지만, 이 공기 충전부(131)는 몸체(110)의 외피와 내피 사이, 또는 발과 접촉되는 내피의 내면에도 고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기 공기 충전부(131)의 제1,2,3가로부(131a,131b,131c)와 세로부(131d)가 각각 별도의 공간으로 고착되면서 각각 흡기부(132)와 배기부(133)에 연결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흡기부(132)와 배기부(133)가 몸체(110)의 상부 측면에 장착되는 일 예가 제시되었지만, 이 흡기부(132)와 배기부(133)는 몸체(110)의 어느 위치에 장착되어도 좋고, 다만 흡기부(132)와 배기부(133)는 외부에 노출되도록 부츠(100)에 장착되고 베이스(200)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로 선정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에어백(130)이 고착된 부츠(100)는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부츠(100)를 보호하는 경질의 베이스(200)에 수용되어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200)의 하부에는 다수의 바퀴(310)가 일렬로 배치된 프레임(300)이 장착되며, 상기 베이스(200)에 부츠(100)를 가로질러 단단히 조이는 별도의 버클(210)이 장착됨으로써 완성된 인라인 스케이트(400)가 제작된다. 이 경우 상기 베이스(200)를 포함하는 상기 부츠(100)를 감싸는 다른 부위들 즉, 부츠를 감싸며 지지할 수 있는 것들에 의해 상기 부츠의 에어백(130)이 지지되면 이완 방지 역할을 더욱 바람직하게 수행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베이스 외에 인라인 스케이트용 밴드나 기타 다른 부위나 장착물에 의해 상기 에어백이 지지되면 공기가 에어벡으로 주입시에 사람의 발이 있는 측으로 주로 팽창하게 되어 상대적으로 적은 팽창만으로도 이완 방지 역할을 더욱 잘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이완 방지 에어백이 고착된 인라인 스케이트용 부츠에 대해 조작 방식을 통해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스케이터가 부츠(100)를 신은 다음, 조임끈, 벨크로 테이프(120) 및 버클(210) 등을 통해 1차적으로 단단히 조이고, 이 조임 상태를 좀 더 긴장시키도록 에어백(130)에 공기를 충전시키게 된다.
여기서, 공기 충전은 흡기부(132)의 외피(132a)를 반복적으로 눌러 외부 공기를 공기 충전부(131)에 주입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후, 스케이팅을 하는 도중에 발과 부츠(100)가 자연스레 이완되는 즉, 조임끈, 벨크로 테이프(120), 버클(210) 등이 느슨해지게 되고, 이 이완 정도를 스케이터가 스케이팅을 하는 동작에 불편함을 느낄 정도가 되면 스케이터는 이완 정도를 충분히 보상하여 조임력이 상승할 수 있도록 상기 흡기부(132)를 이용하여 공기 충전부(131)에 공기를 좀 더 충전시키면 된다.
차후, 스케이팅을 끝마쳐 부츠(100)를 벗을 땐, 배기부(133)의 외피(133a)를 눌러 공기 충전부(131)의 공기를 배기시키면서 조임끈, 벨크로 테이프(120) 및 버클(210)의 조임을 해제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인라인 스케이트(400)를 신을 때 에어백(130)에 공기를 충전하여 조임력을 향상시키면서 발에 편안함을 주기도 하고, 특히 인라인 스케이트(400)를 신고 스케이팅을 하는 도중 발과 부츠(100)가 이완된 때에 흡기부(132)의 외피(132a)를 누르는 매우 간단한 동작으로 이완된 정도를 충분히 보상하여 발과 부츠(100)의 조임력이 복원되므로, 기존과 같이 조임끈, 벨크로 테이프(120) 버클(210) 등을 다시 조여주는 번거로운 동작이 불필요해져 스케이터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종래의 인라인 스케이트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이완 방지 에어백이 고착된 인라인 스케이트용 부츠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측면도 및 후방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부츠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된 측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도 2의 부츠가 인라인 스케이트에 장착된 상태가 도시된 완성품 사시도 및 분리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참조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부츠 110...몸체,
130...에어백 131...공기 충전부,
132...흡기부 133...배기부,
200...베이스 300...프레임,
400...인라인 스케이트.

Claims (5)

  1. 삭제
  2. 인라인 스케이트용 부츠에 있어서,
    상기 부츠(100)의 뒤꿈치 및 복사뼈 주위에는 인라인 스케이트를 신을 때 조임력을 향상시키거나 스케이팅을 하는 도중에 부츠(100)와 발 부위에 발생된 이완을 보상하도록, 공기의 입출이 가능하면서 충전되는 공기 충전부(1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완 방지용 에어백(130)이 고착되고,
    상기 에어백(130)은 충전부(131)와 연결되면서 볼록한 부위를 반복적으로 눌러 충전부(131)에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흡기부(132), 상기 충전부(131)와 연결되면서 볼록한 부위에 설치된 배기콕을 눌러 충전부(131)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133), 상기 충전부에 대해 연결된 분할 공간을 이루도록 형성된 접합부(131e)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흡기부(132)와 배기부(133)는 부츠(100)의 상부에 위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완 방지 에어백이 장착된 인라인 스케이트용 부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130)의 충전부(131)는 부츠(100)의 외피에 고착되어 외부에 노 출되도록 고착되거나, 또는 부츠(100)의 외피와 내피의 중간에 고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완 방지 에어백이 장착된 인라인 스케이트용 부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131)는 아킬레스건을 횡단하는 제1가로부(131a), 이 제1가로부(131a)와 연결되면서 아킬레스건과 종아리 사이에 위치된 제2가로부(131b), 상기 제1,2가로부(131a,131b,131c)와 연결되면서 복사뼈의 아랫부분이면서 발뒤축의 측면에 위치된 제3가로부(131c), 제1,2,3가로부(131a,131b,131c)와 연결되고 복사뼈를 제외한 주변부위이면서 다리의 측면에 위치되어 흡기부(132)에 근접되게 연장되게 위치된 세로부(131d)로 이루어지는 형상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완 방지 에어백이 장착된 인라인 스케이트용 부츠.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츠(100)가 이 부츠(100)를 감싸는 경질의 베이스(200), 이 베이스(200)의 하부에 장착되고 다수의 바퀴(310)가 일렬로 장착된 프레임(300)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인라인 스케이트에 사용되어, 상기 베이스(200)를 포함하는 상기 부츠(100)를 감싸는 부분들에 의해 상기 부츠의 에어백(130)이 지지되어 이완 방지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완 방지 에어백이 장착된 인라인 스케이트용 부츠.
KR2020090016098U 2009-12-10 2009-12-10 이완 방지 에어백이 장착된 인라인 스케이트용 부츠 KR2004578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098U KR200457842Y1 (ko) 2009-12-10 2009-12-10 이완 방지 에어백이 장착된 인라인 스케이트용 부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098U KR200457842Y1 (ko) 2009-12-10 2009-12-10 이완 방지 에어백이 장착된 인라인 스케이트용 부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055U KR20110006055U (ko) 2011-06-16
KR200457842Y1 true KR200457842Y1 (ko) 2012-01-05

Family

ID=45842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6098U KR200457842Y1 (ko) 2009-12-10 2009-12-10 이완 방지 에어백이 장착된 인라인 스케이트용 부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84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Z2021555A3 (cs) * 2021-12-08 2023-05-03 Lm Micromobility S.R.O. Kolečková brus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2531A (ko) * 2000-07-14 2003-10-22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기록 매체, 기록 장치, 재생 장치 및 광 디스크 기록 매체
KR200382531Y1 (ko) 2005-02-05 2005-04-20 주식회사 태용 인라인스케이트
US20090239670A1 (en) * 2008-01-31 2009-09-24 Ream Gary P Sport landing cushion and contai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2531A (ko) * 2000-07-14 2003-10-22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기록 매체, 기록 장치, 재생 장치 및 광 디스크 기록 매체
KR200382531Y1 (ko) 2005-02-05 2005-04-20 주식회사 태용 인라인스케이트
US20090239670A1 (en) * 2008-01-31 2009-09-24 Ream Gary P Sport landing cushion and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055U (ko) 201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98433C (en) Skate boot construction with 3-d heel pocket
CN100525731C (zh) 具有整体的旋后肌装置的运动鞋和类似物品
US5109613A (en) Shoe with integral ankle support
US7805860B2 (en) Footwear having independently articuable toe portions
US20020144435A1 (en) Padded shoe
CA2351358A1 (en) Improved footwear
JPH10215902A (ja) 運動靴
US20150189942A1 (en) Footwear With Two Tongues
CN106659579A (zh) 具有改善的运动性和舒适性的功能性足踝支撑件
US20070113427A1 (en) Multipurpose Athletic Shoe
KR200457842Y1 (ko) 이완 방지 에어백이 장착된 인라인 스케이트용 부츠
CN213128287U (zh) 一种护踝鞋
US20140230278A1 (en) Ankle Flexi System for Soccer shoes, Football shoes, Baseball Shoes, Speed skates skateboard, Ice skates and Hockey shoes.
KR200454409Y1 (ko) 발목보호대
US8291613B2 (en) Ready cleat
JP2004254803A (ja) インソール構造体
KR200265404Y1 (ko) 에어백이 구비된 운동화
KR20200057931A (ko) 족부환자의 보행 특성에 적합한 족부환자용 신발
CN216983819U (zh) 一种具有束脚功能的运动鞋
CN218245956U (zh) 一种护脚运动鞋
CN210008588U (zh) 一种军用跑步靴
CN221012152U (zh) 一种跑鞋
CN113347900B (zh) 改善脚部通风和压力分布的滑雪靴的衬垫和舌片
KR200395910Y1 (ko) 샌들형 인라인 스케이트
KR200185118Y1 (ko) 스포츠부츠용 라이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