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706Y1 - A foot breaker for vehicle - Google Patents

A foot breaker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706Y1
KR200457706Y1 KR2020090008021U KR20090008021U KR200457706Y1 KR 200457706 Y1 KR200457706 Y1 KR 200457706Y1 KR 2020090008021 U KR2020090008021 U KR 2020090008021U KR 20090008021 U KR20090008021 U KR 20090008021U KR 200457706 Y1 KR200457706 Y1 KR 2004577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wheel
main
auxiliary
rel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8021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12962U (en
Inventor
이인노
Original Assignee
미키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키코리아(주) filed Critical 미키코리아(주)
Priority to KR20200900080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706Y1/en
Publication of KR201000129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962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7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706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5Wheelchairs having brakes
    • A61G5/1035Wheelchairs having brakes manipulated by wheelchair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2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33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foot oper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용자와 보호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보조이동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이용자가 앉기에 편리하도록 후방에는 등받이와 손잡이를 가지고, 중앙과 전방에 착석을 위한 좌판과 팔걸이를 가지고 구비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방과 전방 양측에 설치하는 주바퀴와, 움직임이 자유로운 보조바퀴,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방에 이용자의 발을 재치 할 수 있도록 발판을 가지는 레그프레임이 구비하는 보조이동수단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movement means for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and the protector,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backrest and a handle at the rear, and a seat plate and an armrest for seating at the center and front for the user to sit conveniently. In the auxiliary movement means provided with a frame, the main wheels installed on both the rear and front sides of the main frame, the auxiliary wheel is free to move, the leg frame having a footrest to place the user's feet in front of the main frame In;

상기 주바퀴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보조이동수단의 움직임의 제한과 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풋 브레이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풋 브레이크는 주바퀴와 연접 및 이탈을 통하여 주바퀴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주바퀴를 유지하는 바퀴프레임에 연결되는 브레이크와, 상기 브레이크와 연결되어 브레이크가 주바퀴와 연접될 수 있도록 하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잠금레버와, 상기 잠금레버와 연결되어 주바퀴와 연접된 브레이크를 주바퀴로부터 이격시켜 움직일 수 있도록 브레이킹 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레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It further includes a foot brake that can limit the movement of the main wheel to facilitate the restriction and release of the movement of the auxiliary movement means, the foot brake is a main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main wheel through the connection and separation with the main wheel A brake connected to the wheel frame for holding the wheel, a lock lever connected to the brake to lower the brak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main wheel, and a brake connected to the main wheel connected to the lock lev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lease lever for releasing the braking state to move away from the wheel.

보조이동수단, 풋 브레이크 Auxiliary means of movement, foot brake

Description

풋 브레이크를 가지는 보조이동수단{A FOOT BREAKER FOR VEHICLE}Auxiliary transport means with foot brakes {A FOOT BREAKER FOR VEHICLE}

본 고안은 풋 브레이크를 가지는 보조이동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 또는 노약자에게 이동의 용이성을 제공하는 휠체어, 주행의자 등과 같은 보조이동수단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는 풋 브레이크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movement means having a foot brake, and more particularly, to the provision of a foot brake that can be mounted and used in an auxiliary movement means such as a wheelchair, a driving chair, or the like, which provides the patient or the elderly with ease of movement.

보조이동수단은 신체 장애인이나 환자 및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으로서 휠체어가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다른 예로서는 의자에 주행 가능한 바퀴를 장착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대,소변 처리가 가능하게 변기를 장착한 변기의자 또는 목욕이나 세수, 머리감기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세척보조의자 등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Auxiliary means of transportation is to help the physically handicapped, the patient, and the elderly who are inconvenient to move easily. Various types of toilet seats equipped with toilet seats or cleaning assistant chairs for facilitating bathing, washing face, hair washing, etc.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이중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보조이동수단의 한 예의 구성을 도 6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configuration of an example of the auxiliary movement means that is typically used as shown in Figure 6 as follows.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보조이동수단(1)은 이용자가 앉기에 편리하도록 후방에는 등받이(1)와 손잡이(2)를 가지고, 중앙과 전방에는 착석을 위한 좌판(3)과 팔걸이(4)를 가지는 개략 계단형태의 메인프레임(5)을 구비한다.The auxiliary moving means (1) to which the prior art is applied has a backrest (1) and a handle (2) at the rear for convenient sitting, and has a seat plate (3) and an armrest (4) for seating at the center and front. A main frame 5 in the form of a rough step is provided.

상기 메인프레임(5)의 후방 양측으로는 주바퀴(6)가 설치되고, 메인프레 임(5)의 전방 양측에는 움직임(회전상태가)이 자유로운 보조바퀴(7)가 설치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The main wheels 6 are installed at both rear sides of the main frame 5, and the auxiliary wheels 7 are freely movable (rotated) on both front sides of the main frame 5 so as to be movable. .

상기 메인프레임(5)의 전방에는 이용자의 발을 재치 할 수 있도록 발판(8)을 가지는 레그프레임(9)이 구비되고, 상기 좌판(3)에는 이용자의 신체적인 특성에 따라 변기 또는 세척의 용이성을 제공하기 위한 부수적인 수단을 더 강구하여 구성하고 있다.The front of the main frame (5) is provided with a leg frame (9) having a footrest (8) so that the user's feet can be placed, the seat plate (3) is easy to toilet or wash according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user Additional measures have been taken to provide an alternative.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이 적용되는 보조이동수단의 경우에는 휠체어와 같은 큰 바퀴를 가지는 경우에는 메인프레임의 측방에 브레이크를 설치하여 이동 과정에서 정지시키거나 세척과정 또는 좌변과정에서 보조이동수단의 움직임을 정지시키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auxiliary movement means to which the prior art is applied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having a large wheel, such as a wheelchair, by installing a brake on the side of the main frame to stop in the movement process or to move the auxiliary movement means in the washing process or the left side process. You will not be able to perform the function to stop it.

보조이동수단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좌변의 경우에는 일부 움직임이 있더라도 큰 지장은 없을 것이나, 세수, 머리감기, 목욕 등과 같은 세척과정에서 보조이동수단이 움직일 경우에는 세척 등의 장소가 평지라 하더라도 바퀴의 움직임이 상당히 예민하기 때문에 작은 힘이 가하여져도 보조이동수단이 쉽게 전,후,좌,우로 움직이기 때문에 보호자(또는 도우미)로서는 목적하고자 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If there is some movement in the left side in the process of using the auxiliary movement means, it will not be a big problem, but if the auxiliary movement means moves in the washing process such as washing face, hair washing, bathing, etc. Because this is very sensitive, even if a small force is applied, the auxiliary means of movement easily move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so that the guardian (or helper) cannot easily perform the intended task.

그리고, 보조이동수단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일시적인 정지를 필요로 하는 경우 보호자가 항상 보조이동수단을 잡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잠시라도 보조이동수단으로부터 손을 놓을 수 없게 되는 편이 따른다.In addition, when a temporary stop is required in the process of moving by using the auxiliary moving means, the guardian must always keep the state of the auxiliary moving means.

특히 보조이동수단을 이용하여 경사로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일시적인 정지가 필요한 경우에는 보조이동수단을 정지시키는 것이 더욱 난감하게 되며, 부득이하게 정지의 필요성이 있을 경우에는 주바퀴의 전,후에 고임목을 대어 보조이동수단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는 경우가 있다.In particular, if a temporary stop is required in the course of moving the ramp using the auxiliary moving means, it is more difficult to stop the auxiliary moving means.If there is an unavoidable need for stopping, the main wheel is placed before and after the main wheel. There are cases where the means of movement are prevented from moving.

이러한 경우에도 주바퀴는 움직이지 않으나 보조바퀴가 회전방향에 대하여 움직임이 자유롭기 때문에 경사로와 평행한 상태에서 정지하지 않은 경우에는 주바퀴도 약간의 움직임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조이동수단이 중심을 잃고 경사로를 미끄러지는 위험부담이 있다.Even in this case, the main wheel does not move, but the auxiliary wheel is free to move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so if the wheel is not stationary in parallel with the ramp, the main wheel can also be slightly moved. There is a risk of slipping.

이와 같은 현상을 극히 드물기는 하지만 부주의로 인하여 경사로 또는 험로에서 보조이동수단의 정지를 완전하게 유지하지 못하게 될 경우에는 보조이동수단과 근접한 위치에 있는 보호자는 물론 보조이동수단을 이용하고 있는 이용자의 신체적인 손상을 야기하게 되는 안전사고의 우려가 높은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Although this phenomenon is extremely rare, if the carelessness prevents the maintenance of the auxiliary vehicle completely on a slope or a rough road,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user who is using the auxiliary means as well as the guardian who is in close proximity to the auxiliary means of movement. There are many problems, such as a high risk of safety accidents that cause phosphorus damage.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이용자가 앉기에 편리하도록 후방에는 등받이와 손잡이를 가지고, 중앙과 전방에 착석을 위한 좌판과 팔걸이를 가지고 구비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방과 전방 양측에 설치하는 주바퀴와, 움직임이 자유로운 보조바퀴,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방에 이용자의 발을 재치 할 수 있도록 발판을 가지는 레그프레임이 구비하는 보조이동수단에 있어서;In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main frame is provided with a backrest and a handle at the rear for convenient for the user to sit, and having a seat and armrests for seating in the center and front, and the mainframe In the auxiliary movement means provided with the main wheel to be installed on both the rear and front of the, and the auxiliary wheel is free to move, the leg frame having a footrest to mount the user's feet in front of the main frame;

상기 주바퀴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보조이동수단의 움직임의 제한과 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풋 브레이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풋 브레이크는 주바퀴와 연접 및 이탈을 통하여 주바퀴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주바퀴를 유지하는 바퀴프레임에 연결되는 브레이크와, 상기 브레이크와 연결되어 브레이크가 주바퀴와 연접될 수 있도록 하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잠금레버와, 상기 잠금레버와 연결되어 주 바퀴와 연접된 브레이크를 주바퀴로부터 이격시켜 움직일 수 있도록 브레이킹 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레버를 포함하여 이용자와 보호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It further includes a foot brake that can limit the movement of the main wheel to facilitate the restriction and release of the movement of the auxiliary movement means, the foot brake is a main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main wheel through the connection and separation with the main wheel A brake connected to the wheel frame for holding the wheel, a lock lever connected to the brake to lower the brak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main wheel, and a brake connected to the lock lever and connected to the main wheel. It includes a release lever for releasing the braking state so that it can move away from the wheel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and protector.

본 고안은 보조이동수단의 메인프레임 후방 양측에 구비되는 주바퀴를 정지상태 또는 해제상태로 전환하는 동작을 보호자의 발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풋 브레이크를 더 구비함으로서, 이동경로에 관계없이 언제 어디에서나 보조이동수단의 정지가 가능하고, 보호자가 보조이동수단을 이용하는 이용자를 좌변, 세수, 머리감기, 목욕 등과 같이 보호하고 돌보는 과정에서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보호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고 보조이동수단의 안전성과 품질을 높일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고안이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oot brake that can be conveniently operated by using the guardian's foot to switch the main wheel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rear side of the auxiliary moving means to a stationary state or a released state. It is possible to stop the auxiliary means of transportation at any time and any place, and it can provide the ease of protection because the guardian does not move in the process of protecting and caring for the user who uses the auxiliary means of movement such as the left side, washing face, head washing and bathing. It is designed to have various effects such as to increase the safety and quality of the vehicle.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인 풋 브레이크가 적용된 보조이동수단을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인 보조이동수단에 사용되는 풋 브레이크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보조이동수단에 사용되는 풋 브레이크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보조이동수단에 사용되는 풋 브레이크의 잠금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보조이동수단에 사용되는 풋 브레이크의 해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Figure 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showing the auxiliary moving means to which the foot brake is applie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ract of the foot brake used for the auxiliary mo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oot brake used in the auxiliary moving means to which the applied device is applie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locked state of the foot brake used in the auxiliary moving device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release state of the foot brake used for the applied auxiliary moving means will be described together as a cross-sectional view.

통상적인 보조이동수단(100)은 이용자가 앉기에 편리하도록 후방에는 등받이(101)와 손잡이(102)를 가지고, 중앙과 전방에는 착석을 위한 좌판(103)과 팔걸이(104)를 가지는 개략 계단형태의 메인프레임(105)을 구비한다.The conventional auxiliary movement means 100 has a backrest 101 and a handle 102 at the rear to facilitate the user's sitting, and a stepped shape having a seat plate 103 and an armrest 104 at the center and front for seating. The main frame 105 of the.

상기 메인프레임(105)의 후방과 전방 양측에는 주바퀴(106)와 움직임이 자유로운 보조바퀴(107)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프레임(105)의 전방에는 이용자의 발을 재치 할 수 있도록 발판(108)을 가지는 레그프레임(109)이 구비되는 구성이다.The main wheel 106 and the auxiliary wheel 107 which is free to move are installed at both the rear and front sides of the main frame 105, and the front of the main frame 105 allows the user's foot to be mounted on the footrest 108. Leg frame 109 having) is provided.

본 고안에서는 상기 주바퀴(106)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풋 브레이크(110)를 더 구비하여 보호자가 발을 이용하여 보조이동수단(100)의 움직임의 제한과 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oot brake 110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main wheel 106 to allow the guardian to easily restrict and release the movement of the auxiliary movement means 100 using the foot. It features.

상기 풋 브레이크(110)는 주바퀴(106)와 연접 및 이탈을 통하여 주바퀴(106)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주바퀴(106)를 유지하는 바퀴프레임(111)에 연결되는 브레이크(112)와, 상기 브레이크(112)와 연결되어 브레이크(112)가 주바퀴(106)와 연접될 수 있도록 하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잠금레버(113)와, 상기 잠금레버(113)와 연결되어 주바퀴(106)와 연접된 브레이크(112)를 주바퀴(106)로부터 이격시켜 움직일 수 있도록 브레이킹 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레버(114)로 구성한다.The foot brake 110 is connected to the main wheel 106, the brake 112 is connected to the wheel frame 111 holding the main wheel 106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main wheel 106 through the connection and separation; A lock lever 113 connected to the brake 112 and serving to lower the brake 112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main wheel 106; and a main wheel 106 connected to the lock lever 113. And a release lever 114 for releasing the braking state to move the brake 112 connected to the main wheel 106 away from the main wheel 106.

상기 브레이크(112)는 금속재질의 판상부재로 브레이크바디(115)를 구비하고, 상기 브레이크바디(115)의 전방 양측에 세워지는 전방브라켓(116)과 주바퀴(106)를 유지하는 바퀴프레임(111)을 힌지(H)로 연결한다.The brake 112 is a metal plate-like member having a brake body 115, the wheel frame for holding the front bracket 116 and the main wheel 106, which is built on both front sides of the brake body 115 ( 111) with a hinge (H).

상기 브레이크바디(115)의 후방에는 잠금레버(113)를 연결하기 위한 후방브 라켓(117)을 양측에 돌출시키고, 후방브라켓(117)의 후방에는 하향시켜 실질적으로 주바퀴(106)와 연접되는 패드(118)를 구비한다.The rear of the brake body 115 protrudes on both sides of the rear bracket 117 for connecting the locking lever 113, the rear of the rear bracket 117 is substantially connected to the main wheel 106. Pad 118 is provided.

상기 전방브라켓(116)과 후방브라켓(117) 사이에는 브레이크바디(115)에서 일체로 상향 돌출되어 바퀴프레임(111)의 저면과 연접되어 브레이크(112)가 하강 및 상승할 때 탄성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편(119)을 구비하여 구성한다. Between the front bracket 116 and the rear bracket 117 is integrally projected upward from the brake body 115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wheel frame 111 to give elasticity when the brake 112 is lowered and raised The elastic piece 119 is provided and comprised.

상기 잠금레버(113)는 판상으로 구비되는 잠금레버바디(120)의 선측 하방에 돌출되는 연결돌기(121)와 브레이크바디(115)의 후방에 구비되는 후방브라켓(117)을 힌지(H1)로 연결한다.The locking lever 113 is hinged to the rear bracket 117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onnection protrusion 121 and the brake body 115 protruding below the side of the locking lever body 120 provided in a plate shape. Connect.

상기 잠금레버바디(120)의 후방에는 보호자가 발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브레이킹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맞은편 잠금레버바디(120)와 브레이킹바(122)를 고정하여 연동할 수 있도록 한다.At the rear of the lock lever body 120, the guard can interlock by fixing the opposite lock lever body 120 and the breaking bar 122 so that the protector can easily perform the braking using the foot.

상기 잠금레버바디(120)의 전방 양측에는 해제레버(114)를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편(123)을 돌출시키고, 상기 연결편(123) 사이에는 해제레버(114)가 해제 작동하는 데 지장 없도록 작동공간(124)을 형성하여 구성한다.On both front sides of the lock lever body 120 protrudes the connecting piece 123 to connect the release lever 114, between the connecting piece 123, the operating lever so that the release lever 114 does not interfere with the release operation ( 124 is formed and configured.

상기 해제레버(114)는 개략 ㄱ형상으로 구비되는 해제레버바디(125)를 구비하고, 해제레버바디(125)의 상면에는 브레이킹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발을 사용하기 위한 발판(126)을 형성한다.The release lever 114 is provided with a release lever body 125 is provided in a roughly a-shape, and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lease lever body 125 to form a footrest 126 for using the foot to release the braking state. do.

상기 해제레버바디(125)의 후방 상단부에는 바퀴프레임(111)과 힌지(H2)로 연결하고, 해제러베바디(125)의 하방은 잠금레버(113)의 연결편(123)과 힌지(H3)로 연결하고, 상기 해제레버바디(125)의 전방 하단에는 브레이크(112)에 구비되는 탄 성편(119)을 밀어 브레이킹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해제돌기(127)를 돌출시켜 구성한다.The rear upper portion of the release lever body 125 is connected to the wheel frame 111 and the hinge (H2), the lower portion of the release rubber body 125 to the connecting piece 123 and the hinge (H3) of the locking lever 113. It is connected to, and configured to protrude the release projection 127 to the front lower end of the release lever body 125 to push the elastic piece 119 provided in the brake 112 to release the braking state.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보조이동수단(100)에 적용되는 풋 브레이크(110)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foot brake 110 is applied to the auxiliary moving means 100 to which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보조이동수단(100)을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풋 브레이크(110)를 잠금상태에 두지 않고 해제상태에 있도록 하여 보호자가 손잡이(102)를 잡고 밀어주게 되면 주바퀴(106)와 보조바퀴(107)의 구름에 의하여 이동 가능하게 된다.When the auxiliary movement means 100 is to be moved, the foot brake 110 is not in a locked state and is in a released state so that the guardian holds the handle 102 and pushes the main wheel 106 and the auxiliary wheel 107. It becomes movable by cloud of).

이러한 상태에서 보조이동수단(100)을 정지시켜 움직임이 없도록 상태로 유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보호자가 주바퀴(106)의 후방으로 돌출된 브레이킹바(122)를 발로 눌러줌으로서 브레이크(112)를 구성하는 패드(118)가 하강하여 주바퀴(106)와 연접(눌러주는 상태)하게 되므로 브레이킹 상태가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auxiliary movement means 100 is to be stopped and kept in a state where there is no movement, the protector configures the brake 112 by pressing the braking bar 122 protruding to the rear of the main wheel 106 by foot. Since the pad 118 is lowered to be in contact with the main wheel 106 (pressing state), the pad 118 is in a breaking state.

이와 같이 브레이킹 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살펴보면,Looking at the process of breaking in detail like this,

보호자가 브레이킹바(122)를 밟으면 브레이크(112)를 구성하는 잠금레버바디(120)는 브레이크바디(115)의 후방브라켓(117)과 연결된 힌지(H1)를 중심으로 하향회동하고, 회동이 완료됨과 동시에 브레이크바디(115)를 눌러서 후방의 패드(118)를 주바퀴(106)와 연접되도록 한다.When the guardian presses the braking bar 122, the locking lever body 120 constituting the brake 112 pivots down about the hinge H1 connected to the rear bracket 117 of the brake body 115, and the rotation is completed. At the same time, the brake body 115 is pressed to connect the rear pad 118 with the main wheel 106.

이때, 브레이크바디(115)는 바퀴프레임(111)과 연결되는 힌지(H)를 중심으로 눌려지는 힘에 의하여 아래 방향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패드(118)가 주바퀴(106)와 연접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At this time, the brake body 115 is rota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by the force that is pressed around the hinge (H) connected to the wheel frame 111, the pad 118 can be in contact with the main wheel 106 state Becomes

물론, 이 과정에서는 브레이크바디(115)에 일체로 형성되는 탄성편(119)은 바퀴프레임(111)의 저면 중심 위치에서 전방으로 이동하고, 탄성편(119)의 끝단이 바퀴프레임(111)의 저면과 연접되어 하강한 상태가 복귀되지 않도록 받치고 있는 형태가 됨으로서 브레이킹 상태를 지속할 수 있게 된다.Of course, in this process, the elastic piece 119 integrally formed on the brake body 115 is moved forward at the bottom center position of the wheel frame 111, and the end of the elastic piece 119 of the wheel frame 111 The braking state can be maintained by being in contact with the bottom so that the lowered state is not restored.

상기와 같이 브레이킹 상태로 전환할 때 해제레버(114)는 해제레버바디(125)의 하방이 잠금레버(113)의 연결편(123)과 힌지(H3)로 연결되어 있고, 후방 상단부는 바퀴프레임(111)과 힌지(H2)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힌지(H2)를 중심으로 하강 회동하는 잠금레버(113)에 의하여 전방 상측 방향으로 들려지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When switching to the braking state as described above, the release lever 114, the lower side of the release lever body 125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iece 123 and the hinge (H3) of the lock lever 113, the rear upper portion of the wheel frame ( Since it is connected to the hinge (111) and the hinge (H2), it is maintained by the locking lever 113 that rotates down about the hinge (H2) in the front upward direction.

그리고, 잠금상태에서 해제상태로 전환하고자 할 경우에는,And, if you want to switch from the locked state to the released state,

해제레버(114)를 구성하는 발판(126)을 보호자가 눌러줌으로서 해제레버(114)와 연결된 잠금레버(113)를 상승시키고, 탄성편(119)을 밀어서 눌러 하강한 브레이크바디(115)를 힌지(H)를 중심으로 상승 회동시켜 원래의 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패드(118)가 주바퀴(106)로부터 이탈되므로 가능하게 된다.The protector presses the footrest 126 constituting the release lever 114 to raise the lock lever 113 connected to the release lever 114, and pushes the elastic piece 119 to push down the brake body 115 that is lowered. Since the pad 118 is separated from the main wheel 106 by allowing the hinge H to be rotated upward to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the pad 118 is possible.

즉, 해제레버(114)의 발판(126)을 누르면 해제레버바디(125) 후방 상단부와 바퀴프레임(111)을 연결하는 힌지(H2)를 중심으로 회동할 때, 해제레버바디(125) 하방과 잠금레버(113)의 연결편(123)을 연결하고 있는 힌지(H3)가 하향하는 해제레버(114)에 의하여 원래의 상태로 당겨지는 형태가 된다.That is, when the footrest 126 of the release lever 114 is rotated about the hinge H2 connecting the rear upper part of the release lever body 125 and the wheel frame 111, the release lever body 125 and The hinge H3 connecting the connecting piece 123 of the lock lever 113 is pulled back to its original state by the release lever 114 downward.

동시에 해제레버바디(125)의 하단에 구비되는 해제돌기(127)가 탄성편(119)을 눌러 바퀴프레임(111)의 저면과 연접된 상태를 해제하여 줌으로서 브레이크바디(115)도 원래의 상태로 돌아오게 되므로 브레이킹 상태가 해제되는 것이다.At the same time, the release protrusion 127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release lever body 125 releases a state in which the release protrusion 127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heel frame 111 by pressing the elastic piece 119 and the brake body 115 is also in an original state. You will be returned to and the breaking state will be released.

이러한 본 발명은 보조이동수단(100)을 보호자가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정지의 필요성이 있을 때 즉각 정지시켜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고, 보호자가 이용자의 머리를 감기거나 세수, 목욕 등을 시키고자 할 때에도 움직이지 않는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이용에 편리한 장점을 가지는 고안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limit the movement by stopping immediately when there is a need for a stop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auxiliary movement means 100, even when the guardian to wash the user's head or wash, bath, etc. It is a device having the advantage of being convenient because it can maintain a stable state that does not move.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인 풋 브레이크가 적용된 보조이동수단을 도시한 전체 구성도.Figure 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showing the auxiliary movement means applied foot brak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인 보조이동수단에 사용되는 풋 브레이크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ract of the foot brake used in the auxiliary mo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보조이동수단에 사용되는 풋 브레이크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oot brake used in the auxiliary movement means applie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보조이동수단에 사용되는 풋 브레이크의 잠금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ocked state of the foot brake used in the secondary moving means to which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보조이동수단에 사용되는 풋 브레이크의 해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lease state of the foot brake used in the auxiliary movement means applied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종래 기술의 브레이크가 적용된 보조이동수단을 도시한 구성도.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uxiliary movement means to which a brake of the prior art is applied.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used i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보조이동수단100; Auxiliary means of transport

110; 풋 브레이크110; Foot brake

112; 브레이크112; brake

113; 잠금레버113; Lock lever

114; 해제레버114; Release lever

Claims (4)

이용자가 앉기에 편리하도록 후방에는 등받이(101)와 손잡이(102)를 가지고, 중앙과 전방에 착석을 위한 좌판(103)과 팔걸이(104)를 가지고 구비되는 메인프레임(105)과;A main frame 105 having a backrest 101 and a handle 102 at the rear, and having a seat plate 103 and an armrest 104 for seating in the center and front to facilitate a user's sitting; 상기 메인프레임(105)의 후방과 전방 양측에 설치하는 주바퀴(106)와, 움직임이 자유로운 보조바퀴(107);A main wheel 106 installed at both rear and front sides of the main frame 105, and an auxiliary wheel 107 which is free to move; 상기 메인프레임(105)의 전방에 이용자의 발을 재치 할 수 있도록 발판(108)을 가지고 구비되는 레그프레임(109)과;A leg frame (109) having a footrest (108) so as to mount the user's foot in front of the mainframe (105); 상기 주바퀴(106)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보조이동수단(100)의 움직임의 제한과 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풋 브레이크(110)를 구비하고;A foot brake (110) capable of limiting and releasing the movement of the auxiliary movement means (100) by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main wheel (106); 상기 풋 브레이크(110)는 주바퀴(106)와 연접 및 이탈을 통하여 주바퀴(106)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주바퀴(106)를 유지하는 바퀴프레임(111)에 연결되는 브레이크(112)와;The foot brake 110 is connected to the main wheel 106, the brake 112 is connected to the wheel frame 111 for holding the main wheel 106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main wheel 106 through the separation and separation; 상기 브레이크(112)와 연결되어 브레이크(112)가 주바퀴(106)와 연접될 수 있도록 하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잠금레버(113)와;A locking lever 113 connected to the brake 112 and lowering the brake 112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main wheel 106; 상기 잠금레버(113)와 연결되어 주바퀴(106)와 연접된 브레이크(112)를 주바퀴(106)로부터 이격시켜 움직일 수 있도록 브레이킹 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레버(1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풋 브레이크를 가지는 보조이동수단에 있어서;Foot brake is connected to the locking lever 113, the foot brake is configured to include a release lever 114 for releasing the braking state to move the brake 112 connected to the main wheel 106 from the main wheel 106 to move In the auxiliary movement means having; 상기 잠금레버(113)는 선측 하방에 돌출되는 연결돌기(121)와 브레이크바디(115)의 후방에 구비되는 후방브라켓(117)을 힌지(H1)로 연결하는 잠금레버바디(120)와;The locking lever 113 includes a locking lever body 120 connecting the rear projection 117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onnecting body 121 and the brake body 115 to the lower side by a hinge (H1); 상기 잠금레버바디(120)의 후방에 보호자가 발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브레이킹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맞은편 잠금레버바디(120)와 고정하여 연동할 수 있도록 하는 브레이킹바(122)와;A braking bar 122 which allows the protector to interlock with the opposite locking lever body 120 so that the protector can easily brake using the foot at the rear of the locking lever body 120; 상기 잠금레버바디(120)의 전방 양측에 해제레버(114)를 연결할 수 있도록 돌출시키는 연결편(123)과;A connection piece 123 protruding to connect the release lever 114 to both front sides of the lock lever body 120; 상기 연결편(123) 사이에 해제레버(114)가 해제 작동하는 데 지장 없도록 형성하는 작동공간(1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 브레이크를 가지는 보조이동수단.An auxiliary movement means having a foot brak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perating space (124) formed between the connecting piece (123) release lever 114 does not interfere with the release oper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해제레버(114)는 상면에 브레이킹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발판(126)을 형성하여 후방 상단부가 바퀴프레임(111)과 힌지(H2)로 연결되게 구비하는 해제레버바디(125)와;The release lever 114 is a release lever body 125 having a rear upper end connected to the wheel frame 111 and the hinge (H2) to form a footrest 126 to release the braking state on the upper surface; 상기 해제레버바디(125)의 하방은 잠금레버(113)의 연결편(123)과 힌지(H3)로 연결하고;The lower side of the release lever body 125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iece 123 and the hinge (H3) of the locking lever 113; 상기 해제레버바디(125)의 전방 하단에 탄성편(119)을 밀어 브레이킹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해제돌기(127)를 돌출시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 브레이크를 가지는 보조이동수단.An auxiliary movement means having a foot brake, characterized in that for protruding the release projection (127) to release the breaking state by pushing the elastic piece (119) to the front lower end of the release lever body (125).
KR2020090008021U 2009-06-22 2009-06-22 A foot breaker for vehicle KR20045770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021U KR200457706Y1 (en) 2009-06-22 2009-06-22 A foot breaker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021U KR200457706Y1 (en) 2009-06-22 2009-06-22 A foot breaker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962U KR20100012962U (en) 2010-12-30
KR200457706Y1 true KR200457706Y1 (en) 2011-12-29

Family

ID=44485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8021U KR200457706Y1 (en) 2009-06-22 2009-06-22 A foot breaker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706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483B1 (en) * 2020-02-18 2020-12-21 하재종 Electric carriage for electrode
KR102486668B1 (en) * 2022-01-10 2023-01-09 이준원 Electric wheel stretcher cart that can facilitate change of direc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1208A (en) * 1998-05-08 1999-11-24 Masachika Suzuki Caster with braking device
KR200406017Y1 (en) * 2005-11-01 2006-01-11 미키코리아(주) Folding and unfold device of footrest for wheelchai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1208A (en) * 1998-05-08 1999-11-24 Masachika Suzuki Caster with braking device
KR200406017Y1 (en) * 2005-11-01 2006-01-11 미키코리아(주) Folding and unfold device of footrest for wheelcha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962U (en) 201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7706Y1 (en) A foot breaker for vehicle
KR101741373B1 (en) Wheelchair
JP3159622U (en) wheelchair
JP5523037B2 (en) wheelchair
JP2008132255A (en) Wheelchair traveller
KR200406017Y1 (en) Folding and unfold device of footrest for wheelchair
KR200161937Y1 (en) A brake system for wheelchair
KR101244451B1 (en) Brake system for wheelchair
JP5744572B2 (en) wheelchair
JP2018198945A (en) Wheelchair fixing device
JP3141048U (en) Automatic brake device for wheelchair
KR200433524Y1 (en) Wheelchair Seat Cover Assembly
JP3053144U (en) Casters for standing support chairs
JP2009279120A (en) Wheelchair and brake mechanism
KR101244450B1 (en) Brake system for wheelchair
CN117378894A (en) High chair for baby
JP5558089B2 (en) Braking control device and wheelchair using the same
JP6157090B2 (en) Auxiliary brake and wheelchair with this auxiliary brake
KR20180092482A (en) Chair for Escalators
JP4996374B2 (en) Wheelchair footrest fixture
KR200220184Y1 (en) Chair for the phisically handicapped students
JP5179959B2 (en) wheelchair
JP2007037749A (en) Method/mechanism for footrest of wheelchair
JPH0866430A (en) Wheelchair
JP6746460B2 (en) Bathing wheel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