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687Y1 - 시스템 창호 - Google Patents

시스템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687Y1
KR200457687Y1 KR2020090010549U KR20090010549U KR200457687Y1 KR 200457687 Y1 KR200457687 Y1 KR 200457687Y1 KR 2020090010549 U KR2020090010549 U KR 2020090010549U KR 20090010549 U KR20090010549 U KR 20090010549U KR 200457687 Y1 KR200457687 Y1 KR 2004576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electromagnet
window
permanent magne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5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1729U (ko
Inventor
황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건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건창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건창호
Priority to KR20200900105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687Y1/ko
Publication of KR201100017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7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6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6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6Magnets
    • E05Y2201/462Electro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0Electronic control of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6Speed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52Safety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wing mot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시스템 창호는 창문틀, 창틀,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창문틀은 가로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영구자석을 포함한다. 상기 창틀은 상기 영구자석과 마주하고, 상기 창문틀이 이동하는 경로를 따라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소정 마디마다 개별적으로 전류를 인가 받도록 구성된 전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창문틀의 이동 경로를 안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석의 상기 소정 마디마다 상기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전자석의 극성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Figure R2020090010549
자석, 자기부상, 창호

Description

시스템 창호 {System Window}
본 고안은 시스템 창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시스템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 사용되는 가장 간단한 시스템 창호는 창문틀과 창틀로 구성된다. 창문틀은 유리 등이 삽입되고, 창틀은 상기 창문틀의 이동 경로를 안내 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창문틀에 부착된 손잡이를 잡고, 창틀에 의해 안내되는 경로를 따라 상기 창문틀을 이동시키면서, 창호를 개폐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시스템 창호는 방음, 방풍, 단열성과 같은 기밀성 및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많은 발전이 이루어졌다. 상기 기밀성 및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리프트 슬라이딩 방식이 사용되는 시스템 창호는 그 대표적인 예이다.
그러나, 상기 시스템 창호의 기술이 발전하면서, 상기 시스템 창호에 부가되는 장치들이 증가하게 되어 시스템 창호의 중량도 자연히 증가하게 되었다. 작은 사이즈의 창호의 경우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아파트나 빌딩에 설치되는 시스템 창호는 그 크기가 매우 크므로, 총 중량은 더욱 무거워 질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유아나 여성 또는 노인의 경우 상기 창호를 쉽게 열고 닫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 기도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자기부상 원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시스템 창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창호는 가로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창문틀, 상기 영구자석과 마주하고, 상기 창문틀이 이동하는 경로를 따라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소정 마디마다 개별적으로 전류를 인가 받도록 구성된 전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창문틀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창틀 및 상기 전자석의 상기 소정 마디마다 상기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전자석의 극성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많은 노력을 들이지 않고서도 누구나 쉽게 창호를 개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부가장치를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창호를 개폐할 수 있으며, 안전한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 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창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서, 상기 시스템 창호는 고정 창문틀(100), 이동 창문틀(200) 및 창틀(30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 창문틀(100)은 상기 창틀(300)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이동 창문틀(200)은 상기 창틀(300)이 안내하는 이동 경로를 따라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창틀(300)은 상기 고정 창문틀(100)이 고정될 수 있는 홈(도시하지 않음.) 및 상기 이동 창문틀(200)을 안내하는 홈(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서, 상기 이동 창문틀(200)의 하부에는 영구자석(PM)이 위치한다. 상기 영구자석(PM)은 상기 이동 창문틀(200)에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창틀(300)에는 상기 영구자석(PM)과 마주하는 부분에 전자석(EM)이 위치한다. 상기 전자석(EM)은 상기 이동 창문틀(200)이 이동하는 경로를 따라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자석(EM)이 배치되는 길이는 상기 영구자석(PM)이 배치되는 길이의 약 2배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자석(EM)은 상기 창틀(300)에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창틀(300)에 위치하는 전자석(EM)은 소정 마디(M1~Mn)마다 개별적으로 전류가 인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소정 마디(M1~Mn)는 임의의 길이가 될 수 있으며, 코일의 방향을 바꾸거나 전류가 흐르는 방향을 다르게 함으로써 상기 소정 마디(M1~Mn)마다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시스템 창호는 상기 영구자석(PM)을 포함하는 이동 창문틀(200)과 상기 전자석(EM)을 구비하는 창틀(300)을 구비함으로써 용이한 개폐가 가능하다. 즉,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창호는 자기 부상의 원리를 이용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창문틀(200)이 A에 위치하고 있을 때, 전자석(M1~Mm, m은 1 과 n 사이의 정수)들은 상기 영구자석(PM)과 척력을 발생하도록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 창문틀(200)은 상기 영구자석(PM)과 상기 전자석(EM)의 척력으로 인해 부상될 수 있다. 이 때, 전자석(EM)의 마디(Mm+1, Mm+2)들은 상기 영구자석(PM)과 인력을 발생하도록 전류가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 창문틀(200)은 상기 영구자석(PM)과 상기 전자석(EM)의 마디(M1~Mm) 간의 척력에 의해 부상된 상태에서 상기 영구자석(PM)과 상기 전자석(EM)의 마디(Mm+1, Mm+2) 간의 인력으로 인해 B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창문틀(200)이 상기 인력에 의해 이동되었을 때, 상기 영구자석(PM)과 마주하게 되는 전자석(EM)의 마디(Mm+1, Mm+2)는 상기 영구자석(PM)과 척력을 발생하도록 전류가 인가되고, 상기 이동 창문틀(200)이 이동해야 할 위치에 있는 전자석(Mm+3~Mn)은 상기 영구자석(PM)과 인력을 발생하도록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또한, 이 때 이동 창문틀(200)이 지나가고, 상기 이동 창문틀(200)의 이동 경로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전자석(EM)의 마디(M1, M2)들은 턴오프 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작동 방식은 자기부상 방식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일 뿐이고, 위와 같은 동작에 한정하려고 하는 의도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전자석(EM)의 소정 마디(M1~Mn)마다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각각 다르게 제어하여 상기 이동 창문틀(200)이 외부 힘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창호는 상기 전자석(EM)의 소정 마디(M1~Mn)마다 개별적으로 전류를 인가할 수 있는 제어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자기 부상의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창문틀(200)이 상기 창틀(300)의 이동 경로를 따라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전자석(EM)의 소정 마디(M1~Mn)마다 전류를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시스템 창호가 자기 부상의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상기 전자석(EM)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어떠한 공지의 구성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한대로 상기 제어부(400)는 전자석(EM)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다르게 하도록 변형 구성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에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이동 창문틀(200)의 손잡이 부분 또는 상기 창틀(300)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어부(400)의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창호는 손잡이(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는 창호 개폐 명령 신호를 상기 제어부(410)로 인가하여 상기 제어부(400)를 활성화시킬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시스템 창호를 열거나 닫기 위해 상기 손잡이(410)를 터치하거나 돌리는 경우, 상기 손잡이(410)는 상기 창호 개폐 명령 신호를 상기 제어부(400)로 인가하고,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창호 개폐 명령 신호에 의해 활성화되어 상기 전자석(EM)으로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비록 도 면에서는 손잡이 형태로 표현되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어부(400)를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된 수단은 모두 포함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터치 패드 방식, 원터치 방식의 버튼이 상기 제어부(400)를 활성화시키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원격 제어도 가능하다. 즉, 상기 제어부(400)는 원격 제어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창호는 거리 센서(U1~U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리 센서(U1~U5)는 이동 창문틀(200)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이동 창문틀(200)의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400)와 동작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거리 센서(U1~U4)는 창틀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이동 창문틀(200)의 이동을 감지한다. 상기 거리 센서(U3)가 상기 이동 창문틀(200)을 감지하면 상기 거리 센서(U3)는 상기 제어부(400)와 통신하여 상기 제어부(400)가 상기 전자석(EM)으로 전류 인가를 중지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 창문틀(200)은 상기 거리 센서(U3)까지 이동되어 열릴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거리 센서(U5)는 창틀(300)의 옆면에 배치되어 이동 창문틀(200)이 창틀(300)과 완전히 밀착되어, 상기 이동 창문틀(200)이 완전히 닫혔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다른 시스템 창호는 인체감지 센서(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체감지 센서(S)는 상기 이동 창문틀(200)이 닫힐 때, 인체 또는 기타 물건을 감지하여, 인체 또는 물건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이동 창문틀(200)의 이동을 정지시키도록 상기 제어부(400)와 동작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는 상기 이동 창문틀(200)이 닫힐 때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창호는 사용자에 의해 창호 개폐 명령 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제어부(400)가 상기 전자석(EM)으로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전자석(EM)의 극성을 제어함으로써, 자기 부상의 원리로 누구라도 쉽고 간편하게 상기 창호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자기 부상의 원리를 이용함으로써 시스템 창호가 자동으로 개폐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여러가지 센서를 활용하여 안전한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알 수 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창호의 구성 및 동작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고정 창문틀 200: 이동 창문틀
300: 창틀 400: 제어부
410: 손잡이 U1~U5: 거리 센서
S: 인체 감지 센서

Claims (4)

  1. 가로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창문틀;
    상기 영구자석과 마주하고, 상기 창문틀이 이동하는 경로를 따라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소정 마디마다 개별적으로 전류를 인가받도록 구성된 전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창문틀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창틀; 및
    상기 전자석의 상기 소정 마디마다 상기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전자석의 극성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
    를 포함하는 시스템 창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를 활성화시키는 창호 개폐 명령 신호를 인가하도록 구성된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창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틀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와 동작적으로 연결되는 거리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창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틀이 닫힐 때, 인체 또는 물체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 부와 동작적으로 연결되는 인체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창호.
KR2020090010549U 2009-08-13 2009-08-13 시스템 창호 KR2004576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549U KR200457687Y1 (ko) 2009-08-13 2009-08-13 시스템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549U KR200457687Y1 (ko) 2009-08-13 2009-08-13 시스템 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729U KR20110001729U (ko) 2011-02-21
KR200457687Y1 true KR200457687Y1 (ko) 2011-12-29

Family

ID=44207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549U KR200457687Y1 (ko) 2009-08-13 2009-08-13 시스템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68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288B1 (ko) * 2009-11-18 2012-03-21 이지원 시스템 창호
KR101395535B1 (ko) * 2013-01-09 2014-05-14 이동혁 자기를 이용한 창호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2073A (ja) * 2004-03-29 2005-10-13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施錠忘れ防止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2073A (ja) * 2004-03-29 2005-10-13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施錠忘れ防止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729U (ko) 2011-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61872B (zh) 儿童防夹门
RU2015112339A (ru) Система двери для автомобиль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9038697B2 (en) Electric curtain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curtain opening and clos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0457687Y1 (ko) 시스템 창호
CN108369054A (zh) 冷藏和/或冷冻设备
CN101302904A (zh) 一种电磁门锁的节能方法和装置
KR101395535B1 (ko) 자기를 이용한 창호 시스템
CN108825062A (zh) 一种感应防挤安全门
WO2019014617A1 (en) AUTOMATIC WINDOW BUILDING OPERATION USING MAGNETIC FIELDS
KR101856420B1 (ko) 반발 부상 및 진공상태를 이용한 고속열차 운행 시스템
EP3161236B1 (en) A sliding door system
CN109826533A (zh) 一种磁浮式静音外窗导轨结构
CN202767730U (zh) 一种人体感应电动系统门
CN108798372A (zh) 感应防挤安全门
CN108035669B (zh) 一种具有吸附式门闸的智能门体系统
JP4966424B2 (ja) 電動式カーテン開閉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カーテン開閉方法
CN205875950U (zh) 一种电磁门锁的节能控制装置
JP2006125116A (ja) 引き戸駆動装置
JP3556994B2 (ja) ドア開閉制御装置
JP2008285864A (ja) 扉保持装置
KR101114552B1 (ko) 열림 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건축물의 창 구조물
CN210220369U (zh) 一种冰箱门
CN205100784U (zh) 一种带警示机构的悬浮门
CN204984133U (zh) 一种带安全机构的悬浮门
CN108825061A (zh) 一种感应防挤安全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3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