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393Y1 - 기능성 브래지어 - Google Patents

기능성 브래지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393Y1
KR200457393Y1 KR2020100002869U KR20100002869U KR200457393Y1 KR 200457393 Y1 KR200457393 Y1 KR 200457393Y1 KR 2020100002869 U KR2020100002869 U KR 2020100002869U KR 20100002869 U KR20100002869 U KR 20100002869U KR 200457393 Y1 KR200457393 Y1 KR 2004573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outer material
bra
ring
ch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28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9151U (ko
Inventor
용 규 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영와코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영와코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영와코루
Priority to KR20201000028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393Y1/ko
Publication of KR201100091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1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3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3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기능성 브래지어는, 브래지어의 컵 부분(2) 앞쪽을 한 겹 더 씌우는 방식으로 겉소재(6)를 봉제하고, 컵 부분(2)의 사이 중앙에는 고리(7)를 형성하여서 상기 겉소재(6)의 중앙부가 상기 고리(7)에 삽입되어 겉소재(6)가 컵 부분을 감싸면서 상하,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서,
브래지어 착용자가 움직일 때 컵 부분(2)의 앞쪽에 한 겹 더 씌워진 겉소재(6)가 상기 컵 부분(2)과 함께 고리(7)를 중심점으로 하여 함께 움직이므로 착용자의 가슴이 유동하더라도 컵 부분을 감싸면서 양쪽 가슴을 모아준 상태 그대로 함께 상하, 좌우로 움직여 주어 모아진 가슴 볼륨을 흐트러뜨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기능성 브래지어{Functional brassiere}
본 고안은 기능성 브래지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브래지어의 컵 부분 앞쪽을 한 겹 더 씌우는 방식으로 겉소재를 봉제하고, 컵 부분의 사이에는 고리를 형성하여서 상기 겉소재의 중앙부가 고리에 삽입되어 겉소재가 상하,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서, 브래지어 착용자의 양쪽 가슴을 모아준 상태 그대로 함께 상하, 좌우로 움직여 주어 모아진 가슴 볼륨을 흐트러뜨리지 않도록 한 개선된 형태의 기능성 브래지어에 관한 것이다.
브래지어는 여성의 가슴을 아름답게 받쳐주고 감싸주며, 가슴의 결점을 보완하여 겉옷의 라인을 아름답게 해주는 등 가슴의 모양을 보기 좋게 하는 것으로서 현대 여성에게는 없어서는 안될 필수품일 뿐만 아니라, 올바른 브래지어를 선택해야 가슴의 군살을 없애고 풍만한 가슴을 가질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가슴을 과장하기보다 활동적이고 자연스럽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브래지어의 기본 형태는 돌출된 가슴 부분을 감싸는 정도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나누어지며, 감싸는 부분의 패드 유무, 컵 패드 부분의 재질 제조방법에 의해 구분되기도 한다.
사람의 둥근 몸에 맞춰 입체적으로 디자인된 브래지어는 언더와 컵의 밑부분에서 들어올리는 정도로서 꽉 조일 필요는 없으며, 브래지어의 중앙부가 들뜨지 않고 손을 들어올려도 삐뚤어지지 않고 어깨결림도 없으며, 착용하고 있는 것을 느끼지 못할 정도이면 적당하다. 또 어깨끈과 컵 부분이 단단하게 연결되고, 수직으로 떨어지는 것이 가슴을 가장 효과적으로 고정시켜 준다.
종래 기술에 의한 브래지어(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섬유원단의 패드나 몰드로 구성된 2개의 둥근 컵 부분(11)과;
상기 컵 부분의 아래를 받쳐주고 양끝에 후크가 부착되며 전체적으로 몸통을 감싸는 형태의 날개부분(12)과;
양끝에 고리가 부착되어서 한쪽 고리는 상기 컵 부분의 상단에 연결되고 반대쪽 고리는 상기 날개부분의 뒷면 상단에 연결되는 어깨끈(13)과;
상기 컵 부분의 하부를 따라 봉제하여 형성되고, 내부에 메모리 와이어를 구비하는 바이어스테이프(14)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브래지어는 2개의 둥근 컵 부분(11)이 좌우로 분리되어 있고, 중앙을 기점으로 좌우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브래지어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양쪽 가슴이 따로따로 각각 움직여서 브래지어 착용감이 좋지 못하고, 유동하는 가슴을 중앙으로 모아서 그대로 유지하는 볼륨업 기능을 살릴 수 없는 단점을 지니고 있었다.
그러므로 기존의 브래지어는 브래지어 착용자가 몸을 움직일 때마다 양쪽 가슴의 볼륨이 각각으로 움직여서 브래지어 착용자가 움직일 때마다 각각의 가슴이 따로따로 출렁거리면서 유동성을 갖게 되고, 이러한 가슴의 유동성에 따라 브래지어가 가슴선에서 벗어나 들뜨거나 상하, 좌우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최초 위치를 벗어난 브래지어는 착용자의 가슴을 누르게 되고, 가슴살이 옆구리 쪽으로 퍼지게 되어서 착용자는 가끔씩 손으로 브래지어를 중앙의 제 위치에 바로잡아 주어야만 하는 등 브래지어 착용 후 여러모로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기능성 브래지어는,
브래지어의 2개의 둥근 컵 부분 앞쪽을 한 겹 더 씌우는 방식으로 겉소재를 봉제하고, 컵 부분의 사이에는 고리를 형성하여서 상기 겉소재의 중앙부가 고리에 삽입되어 겉소재가 상하,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서,
2개의 컵 부분 앞쪽을 감싸면서 하나로 연결된 겉소재가 브래지어 컵 부분 전체를 감싸고, 이러한 겉소재가 고정되지 않고 고리 사이로 이동할 수 있어서 컵 부분에 좌,우 가슴을 모아준 상태 그대로 하여 겉소재가 컵 부분을 한 겹 더 감싸면서 함께 움직여 주어 모아진 가슴 볼륨을 흐트러뜨리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능성 브래지어는
섬유원단의 패드나 몰드로 구성된 2개의 둥근 컵 부분과;
상기 컵 부분의 아래를 받쳐주고 양끝에 후크가 부착되며 전체적으로 몸통을 감싸는 둥근 형태의 날개부분과;
양끝에 고리가 부착되어서 한쪽 고리는 상기 컵 부분의 상단에 연결되고 반대쪽 고리는 상기 날개부분의 뒷면 상단에 연결되는 어깨끈과;
상기 컵 부분의 하부를 따라 봉제하여 형성되고, 내부에 메모리 와이어를 구비하는 바이어스테이프로 구성하여서 된 브래지어에 있어서,
상기 브래지어의 컵 부분 앞쪽을 한 겹 더 씌우는 방식으로 겉소재를 봉제하고, 컵 부분의 사이 중앙에는 고리를 형성하여서 상기 겉소재의 중앙부가 상기 고리에 삽입되어 겉소재가 상하,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상기 겉소재의 양단은, 상기 컵 부분의 양측과 바이어스테이프의 양측에 함께 봉제하여 고정하고; 상기 고리는 컵 부분의 사이 중앙에 봉제하여서 상기 겉소재의 중앙부가 상기 고리에 삽입되어 겉소재가 컵 부분을 감싸면서 상하,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기능성 브래지어는,
브래지어의 컵 부분 앞쪽을 한 겹 더 씌우는 방식으로 겉소재를 봉제하고, 컵 부분의 사이에는 고리를 형성하여서 상기 겉소재의 중앙부가 고리에 삽입되어 겉소재가 상하,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서, 브래지어 착용자가 움직일 때 컵 부분(2)의 앞쪽에 한 겹 더 씌워진 겉소재(6)가 상기 컵 부분(2)과 함께 고리(7)를 중심점으로 하여 함께 움직이므로 착용자의 가슴이 유동하더라도 양쪽 가슴을 모아준 상태 그대로 함께 상하, 좌우로 움직여 주어 모아진 가슴 볼륨을 흐트러뜨리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기능성 브래지어는 브래지어의 컵 부분 앞쪽을 한 겹 더 씌우는 방식으로 겉소재를 봉제하고 컵 부분의 사이에는 고리를 형성하므로서, 하나의 연결된 겉소재가 브래지어의 둥근 2개의 컵 부분 전체를 감싸는 형태이고, 이러한 겉소재가 고정되지 않고 고리 사이로 이동할 수 있어 컵 부분에 좌,우 가슴을 모아준 상태 그대로 2개의 둥근 컵 부분을 감싸면서 함께 움직여 주어 모아진 가슴 볼륨을 그대로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브래지어의 개략적인 착용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능성 브래지어의 착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능성 브래지어에 있어, 겉소재로 2개의 둥근 컵 부분의 전체를 덮은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도 3의 기능성 브래지어에 있어, 겉소재를 2개의 둥근 컵 부분 아래로 내린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능성 브래지어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부호 1은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를 보인 기능성 브래지어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한 기능성 브래지어(1)는,
섬유원단의 패드나 몰드로 구성된 2개의 둥근 컵 부분(2)과;
상기 컵 부분의 아래를 받쳐주고 양끝에 후크가 부착되며 전체적으로 몸통을 감싸는 둥근 형태의 날개부분(3)과;
양끝에 고리가 부착되어서 한쪽 고리는 상기 컵 부분의 상단에 연결되고 반대쪽 고리는 상기 날개부분의 뒷면 상단에 연결되는 어깨끈(4)과;
상기 컵 부분의 하부를 따라 봉제하여 형성되고, 내부에 메모리 와이어를 구비하는 바이어스테이프(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브래지어(1)는 2개의 둥근 컵 부분(2)이 좌우로 분리되어 있고, 이들 컵 부분은 중앙을 기점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날개부분(3)이 컵 부분(2)의 아래를 받쳐주고, 컵 부분(2)의 하부를 따라 봉제된 바이어스테이프(5)와, 이의 내부에 삽입된 와이어에 의해 착용자의 가슴을 보호하고 받쳐주는 기능을 한다.
위와 같은 브래지어의 기술 구성은 당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일반적인 기술 구성으로서,
본 고안의 기능성 브래지어의 특징적인 기술구성은,
상기 브래지어(1)의 컵 부분(2) 앞쪽을 한 겹 더 씌우는 방식으로 겉소재(6)를 봉제하고, 컵 부분(2)의 사이 중앙에는 고리(7)를 형성하여서 상기 겉소재(6)의 중앙부가 상기 고리(7)에 삽입되어 겉소재가 상하,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서, 브래지어 착용자가 움직일 때 컵 부분(2)의 앞쪽에 한 겹 더 씌워진 겉소재(6)가 상기 컵 부분(2)과 함께 고리(7)를 중심점으로 하여 함께 움직이므로 착용자의 가슴이 유동하더라도 양쪽 가슴을 모아준 상태 그대로 함께 상하, 좌우로 움직여 주어 모아진 가슴 볼륨을 흐트러뜨리지 않도록 한 것이다.
상기 겉소재(6)는 컵 부분(2)의 앞쪽을 한 겹 더 씌우는 방식으로 얇은 망사 또는 레이스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러한 겉소재(6)는 착용자의 선택에 따라 도 3과 같이 양쪽 컵 부분(2)의 전체를 덮을 수도 있으며, 도 4와 같이 겉소재(6)를 양쪽 컵 부분(2)의 아래로 내릴 수도 있다.
그러므로, 상기 겉소재(6)가 컵 부분(2)의 앞쪽에 더 씌우는 방식으로 봉제되어 있고, 중앙부는 고리(7)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겉소재(6)의 상,하 움직임도 자유로워서 하나의 브래지어로 두 가지 디자인적 감각을 연출할 수 있다.
도 4는 컵 부분(2)의 외부 표면에 다양한 문양 예컨대, 장미꽃 모양을 인쇄하거나 장미꽃 모양의 레이스를 형성하고, 망사 형태의 겉소재(6)를 컵 부분(2)의 앞쪽에 더 씌우는 방식으로 봉제하여 브래지어를 제조한 것으로서, 착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겉소재(6)를 2개의 둥근 컵 부분(2) 아래로 내리면 마치 양쪽 가슴에서 장미꽃이 피어나는 것과 같은 디자인적 감각을 연출할 수 있다.
상기 겉소재(6)의 양단은, 상기 컵 부분(2)의 양측과, 바이어스테이프(5)의 양측에 함께 봉제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고리(7)는 컵 부분(2)의 사이 중앙에 봉제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기로는 장식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리본 모양의 고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상기 겉소재(6)의 중앙부가 상기 고리(7)에 삽입되어 겉소재가 2개의 둥근 컵 부분(2)을 감싸면서 컵 부분과 함께 상하, 좌우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기능성 브래지어(1)는 컵 부분(2)의 앞쪽에 한 겹 더 씌워진 겉소재(6)가 상기 컵 부분(2)과 함께 고리(7)를 중심점으로 하여 함께 움직이므로 착용자의 가슴이 유동하더라도 양쪽 가슴을 모아준 상태 그대로 함께 상하, 좌우로 움직여 주어 모아진 가슴 볼륨을 흐트러뜨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겉소재(6)는 도 3과 같이 양쪽 컵 부분(2)의 전체를 덮을 수도 있고, 도 4와 같이 겉소재(6)를 양쪽 컵 부분(2)의 아래로 내리면 마치 양쪽 가슴에서 장미꽃이 피어나는 디자인 감각을 연출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컵 부분(2)은 2개의 둥근 컵 모양의 섬유원단이나 패드, 몰드 등으로 구성되며, 컵 부분의 상단에는 어깨끈(4)의 고리와 결속되는 결속구가 부착되어 있고, 모양이 잘 변형되지 않도록 컵 부분의 안쪽에 안감이나 별도의 패드를 삽입하고 컵의 각도가 위를 향하도록 형성하며, 착용자의 가슴을 단단히 붙들어 주기 위해 컵 부분의 표면에 봉제선이 일자로 들어가도록 한다. 상기 컵 부분은 브래지어를 착용한 상태에서 몸을 뒤로 젖혀도 컵 부분이 찌그러지지 않도록 형성하여서 가슴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날개부분(3)은 겉감 및 안감 등 두 겹의 합포된 직물로 형성하거나 한 겹의 직물로 형성하며, 내측의 안감은 가슴이나 피부에 접촉 시 부드러움을 줄 수 있도록 소프트하고 부드러운 재질의 레이스 또는 망사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컵 부분(2)은 신축성이 뛰어난 섬유원단으로 구성하며, 착용자의 가슴을 아래에서 확실하게 받쳐주는 것으로, 착용자의 가슴살이 항상 중앙으로 몰려 모양이 흩어지지 않게 잘 고정할 수 있어야 하고 착용자가 브래지어를 착용한 후, 날개부분(3)의 양끝에 부착된 후크를 끼워서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되게 고정시키는 것이다.
상기 어깨끈(4)은 양끝에 고리가 부착되어서 고리의 일측은 상기 컵 부분(2)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날개부분(3)의 뒷면 상단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어깨끈과 컵 부분을 수직으로 단단히 연결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바이어스테이프(5)는 통상(筒狀)의 직포를 이용하여 형성되며, 상기 바이어스테이프는 상기 컵 부분의 하단을 따라 ∪자형으로 봉제하여 형성되고, 그 내부에 메모리 와이어를 삽입하여 감싸고 있는 형태로서, 이로 인해 착용자의 가슴을 확실하게 리프트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브래지어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브래지어 2 : 컵 부분
3 : 날개부분 4 : 어깨끈
5 : 바이어스테이프 6 : 겉소재
7 : 고리

Claims (2)

  1. 섬유원단의 패드나 몰드로 구성된 2개의 둥근 컵 부분(2)과;
    상기 컵 부분의 아래를 받쳐주고 양끝에 후크가 부착되며 전체적으로 몸통을 감싸는 둥근 형태의 날개부분(3)과;
    양끝에 고리가 부착되어서 한쪽 고리는 상기 컵 부분의 상단에 연결되고 반대쪽 고리는 상기 날개부분의 뒷면 상단에 연결되는 어깨끈(4)과;
    상기 컵 부분의 하부를 따라 봉제하여 형성되고, 내부에 메모리 와이어를 구비하는 바이어스테이프(5)로 구성하여서 된 브래지어에 있어서,
    상기 브래지어의 컵 부분(2) 앞쪽을 한 겹 더 씌우는 방식으로 겉소재(6)를 봉제하고, 컵 부분(2)의 사이 중앙에는 고리(7)를 형성하여서 상기 겉소재(6)의 중앙부가 상기 고리(7)에 삽입되어서 겉소재(6)가 컵 부분을 감싸면서 상하,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이 특징인 기능성 브래지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겉소재(6)의 양단은, 상기 컵 부분(2)의 양측과 바이어스테이프(5)의 양측에 함께 봉제하여 고정하고;
    상기 고리(7)는 컵 부분(2)의 사이 중앙에 봉제하여서 상기 겉소재(6)의 중앙부가 상기 고리(7)에 삽입되어 겉소재가 컵 부분을 감싸면서 상하,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인 기능성 브래지어.
KR2020100002869U 2010-03-19 2010-03-19 기능성 브래지어 KR2004573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869U KR200457393Y1 (ko) 2010-03-19 2010-03-19 기능성 브래지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869U KR200457393Y1 (ko) 2010-03-19 2010-03-19 기능성 브래지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151U KR20110009151U (ko) 2011-09-27
KR200457393Y1 true KR200457393Y1 (ko) 2011-12-19

Family

ID=45090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2869U KR200457393Y1 (ko) 2010-03-19 2010-03-19 기능성 브래지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393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30558A1 (en) 2003-12-10 2005-06-16 Andrea Wooten Support bra
JP2007321249A (ja) 2006-05-30 2007-12-13 Gunze Ltd カップ寄せ部材を有するブラジャー
JP2008025056A (ja) 2006-07-21 2008-02-07 Lecien Corp 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JP2009052174A (ja) 2007-08-28 2009-03-12 Peach John Co Ltd 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30558A1 (en) 2003-12-10 2005-06-16 Andrea Wooten Support bra
JP2007321249A (ja) 2006-05-30 2007-12-13 Gunze Ltd カップ寄せ部材を有するブラジャー
JP2008025056A (ja) 2006-07-21 2008-02-07 Lecien Corp 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JP2009052174A (ja) 2007-08-28 2009-03-12 Peach John Co Ltd 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151U (ko) 201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37953B2 (ja) カップ部付き衣類
KR200462424Y1 (ko) 기능성 브래지어
JP4806620B2 (ja) カップ付き女性用衣類
JP4674178B2 (ja) カップ付き女性用衣類
KR200442122Y1 (ko) 기능성 브래지어
KR200457393Y1 (ko) 기능성 브래지어
KR101195420B1 (ko) 노와이어 브라용 컵 및 이를 포함하는 노와이어 브라
JP4117409B2 (ja) ブラジャ
JP3213340U (ja) カップ部付き衣類
KR200474812Y1 (ko) 브래지어
KR200472600Y1 (ko) 기능성 브래지어
KR200416249Y1 (ko) 기능성 브래지어
KR20060057556A (ko) 기능성 브래지어
KR200477388Y1 (ko) 기능성 브래지어
KR200474349Y1 (ko) 브래지어용 몰드컵
KR200283981Y1 (ko) 기능성 브래지어
KR200283999Y1 (ko) 기능성 브래지어
KR200474348Y1 (ko) 브래지어용 몰드컵
KR200492459Y1 (ko) 착탈부의 비노출용 브래지어
KR200470294Y1 (ko) 활동성이 향상된 브래지어
JP6254744B1 (ja) パッド挿入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JP3167801U (ja) ハーフトップ
KR200334373Y1 (ko) 기능성 브래지어
KR200297722Y1 (ko) 기능성 브래지어
KR20100052723A (ko) 스포츠용 브래지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