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324Y1 - Packaging paper box - Google Patents

Packaging paper box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324Y1
KR200457324Y1 KR2020080015580U KR20080015580U KR200457324Y1 KR 200457324 Y1 KR200457324 Y1 KR 200457324Y1 KR 2020080015580 U KR2020080015580 U KR 2020080015580U KR 20080015580 U KR20080015580 U KR 20080015580U KR 200457324 Y1 KR200457324 Y1 KR 2004573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box
packaging paper
opening
front surfac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5580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05591U (en
Inventor
이근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롯데삼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롯데삼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롯데삼강
Priority to KR20200800155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324Y1/en
Publication of KR201000055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59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3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324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4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 B65D5/545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cross-like" blank
    • B65D5/5455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cross-like" blank the lines of weakness being provided in a closure hinged to an edge of the contain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sweets or like confectionery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장용 종이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상자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개봉부에 일정한 모양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봉부에는 상기 개봉부의 개봉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해 주는 꺽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장용 종이상자를 쉽게 뜯고 접을 수 있는 누름부와 일정 모양의 절취선을 포함하는 포장용 종이상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per box for packaging, including a protrusion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in the opening to facilitate opening and closing of the box, and includes an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the protrusion is inserted, and the opening includes a bent portion stably maintaining the opening state of the opening. It includes, and relates to a packaging paper box including a pressing portion and a certain shape of the perforated line to easily tear off and fold the packaging paper box.

본 고안에 의하여, 사용자는 포장용 종이상자의 개폐를 편리하게 할 수 있고, 개봉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포장된 내용물을 꺼낼 수 있으며, 포장용 종이상자를 쉽게 뜯고 접어 공간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conveniently open and close the packaging paper box, keep the opened state stably, take out the packaged contents, and minimize the space loss by easily tearing and folding the packaging paper box.

전면, 외측전면, 내측전면, 상면, 하면, 하면, 개봉부, 돌기, 꺽임부, 삽입부, 절취선, 누름부. Front, outer front, inner front, upper surface, lower surface, lower surface, opening part, protrusion, bending part, insertion part, perforated line, and pressing part.

Description

포장용 종이상자{PACKAGING PAPER BOX}Packing paper box {PACKAGING PAPER BOX}

본 고안은 종이상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과자등의 건과류나 초콜릿 등 식품류나 기타 물건을 포장할 수 있는 포장용 종이상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per box,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per box for packaging that can package food and other objects such as dried fruits and chocolates such as sweets.

일반적으로, 포장상자란 과자 등의 건과류나 초콜릿 등 식품류나 화장품, 비누, 샴프, 필기류, 의류등은 물론 기타의 물건을 상자 내부에 포장하여 물건의 이동을 편리하게 하고, 포장 상자의 겉지를 아름답게 디자인 하여 내용물에 대한 소비의욕을 고취시키며, 내용물의 보호등을 위한 포장 박스이다. In general, a packing box is a package of dried foods such as confectionery, chocolate, food, cosmetics, soap, shampoo, writing instruments, clothing, and other items,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goods and to make the outside of the packaging box beautiful. Designed to inspire consumption and to protect the contents of the packaging box.

종래의 포장용 종이상자에서도 포장상자의 덮개(상면) 부분에 개봉부를 형성하여 포장상자를 뜯어내지 않고도 내용물을 꺼낼 수 있는 기능이 있다.Conventional packaging paper box also has a function to take out the contents without opening the packaging box by forming an opening on the cover (top) portion of the packaging box.

그러나, 종래의 포장상자는 상기 개봉부를 개봉한 후 그 개봉부의 개봉상태가 불안정하여 상기 개봉부가 아래로 또는 뒤쪽으로 넘어가는 문제가 자주 발생하게 되므로 사용자들은 많은 불편을 감수해야 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packaging box, since the unsealed state of the unsealed portion is unstable after the unsealed portion is opened, the unsealed portion often passes down or backwards, so users have to take a lot of inconvenience.

또한, 상기 포장용 종이상자를 처리(버리거나 폐품으로 보관하는 경우 등)하는 경우 내부의 부피 때문에 상기 포장용 종이상자의 처리 등에 많은 공간을 낭비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packaging paper box is processed (when discarded or stored as a waste), a large amount of space is wasted due to the internal volume of the packaging paper box.

또한, 상기 포장용 종이상자를 내부 공간이 없도록 접어서 처리하는 경우에도, 상기 포장용 종이상자를 많은 힘을 들여 뜯고 접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packaging paper box is folded and processed so that there is no internal spa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ackaging paper box must be torn and folded with a lot of force.

본 고안은 상기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종이상자의 개봉부의 개봉과 밀폐가 용이하도록 하는 돌기를 갖는 개봉부와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포장용 종이상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provides a paper box for packaging including an opening having a protrusion to facilitate opening and closing of the opening of the paper box and an insert into which the protrusion is inserted. There is a purpose.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종이상자의 개봉부의 개봉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개봉부에 꺽임부를 포함하는 포장용 종이상자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ckaging paper box including a bent portion in the opening to stably maintain the opening state of the opening of the paper box.

게다가,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종이상자를 처리하는 경우, 상기 종이상자를 쉽게 뜯고 접을 수 있도록 하는 누름부와 일정한 모양의 절취선을 포함하는 포장용 종이상자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ckaging paper box including a pressing portion and a perforated line of a certain shape to easily tear and fold the paper box when processing the paper box.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포장용 종이상자는 청구항 제4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전면, 후면(40), 상면(10) 및 하면(50)을 포함한 직육면체 모양의 포장용 종이상자로서, 상기 전면은 내측전면(30)과 상기 내측전면(30) 상으로 접혀 부착되는 외측전면(20)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전면(20)으로부터 상기 상면(10) 상으로 개봉되는 개봉부(11)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전면(20) 상에 형성된 상기 개봉부(11)의 선단에는 절개선(5)에 의해 구획되는 돌기(12)를 형성하고; 상기 돌기(12)와 대응되는 상기 내측전면(30)에는 상기 돌기(12)가 삽입되는 삽입부(14)를 형성하되, 상기 개봉부(11)는, 상기 돌기(12)로부터 상기 상면(10)에 이르기까지 점차로 확대되면서 절개되는 절취선(17a)을 형성하고; 상기 상면(10)과 만나는 상기 절취선(17a)은 상기 후면(40)과 일정 간격(W)을 이루는 지점까지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후면과 일정 간격을 이루는 상기 절취선(17a)의 양 끝은 접힘홈(16)으로 연결되되, 상기 개봉부(11)의 후단에 상기 개봉부(11)의 개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꺽임부(15)를 더 형성하고, 상기 꺽임부(15)는 상기 상면(10)과 상기 후면(40)에 걸쳐 형성된 절개선(5a,5b)에 의해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ackaging paper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packaging paper box including the front, rear 40, top 10 and the bottom 50, as described in claim 4, The front surface is formed of an inner front surface (30) and an outer front surface (20) which are folded and attached onto the inner front surface (30); An opening part (11) opened from the outer front surface (20) onto the upper surface (10); Forming a projection (12) partitioned by an incision line (5) at the tip of the opening (11) formed on the outer front surface (20); The inner surface 30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12 is formed with an insertion portion 14 into which the protrusion 12 is inserted, and the opening portion 11 is formed from the protrusion 12 to the upper surface 10. Gradually forming a cutting line (17a) to be cut off; The perforation line 17a which meets the upper surface 10 is formed in parallel to a point forming a predetermined distance W from the rear surface 40; Both ends of the perforated line 17a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the rear surface are connected to the folding grooves 16, and the folded portion 15 to maintain the opening state of the opening portion 11 at the rear end of the opening portion 11. Further formed, the bent portion 15 is characterized in that divided by the incision line (5a, 5b) formed over the upper surface 10 and the rear surface (4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 꺽임부(15)는 청구항 제5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상면(10)과 상기 후면(40)의 공통 모서리를 중심으로 하여 일정한 너비(L)로 상기 상면(10)과 상기 후면(40)에 걸쳐 형성되되, 상기 상면(10)과 상기 후면(40)의 공통 모서리에 상기 너비(L)의 양끝에서부터 상기 개봉부(11)를 구획하는 접힘홈(16)까지 연결되는 상 기 절개선(5a)이 형성되고; 동시에 상기 상면(10)과 상기 후면(40)의 공통 모서리에 상기 너비(L)의 양끝에서부터 상기 후면(40)상으로 절개되는 상기 절개선(5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described in claim 5, the bent portion 15 has the upper surface 10 and the rear surface 40 with a constant width L around the common edge of the upper surface 10 and the rear surface 40. Is formed over), the incision line connected to the folding grooves 16 for partitioning the opening 11 from both ends of the width (L) to the common edge of the upper surface 10 and the rear surface 40 ( 5a) is formed; At the same ti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ision line (5b) is formed in the common edge of the upper surface 10 and the rear surface 40 is cut on the rear surface 40 from both ends of the width (L).

상기 꺽임부(15)는 청구항 제6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개봉부(11)의 후단에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least one bent portion 15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opening portion 11 as described in claim 6.

상기 포장용 종이상자는 청구항 제7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하면(50)의 좌우측에는 절취선(18)으로 구획되는 누름부(51)가 형성되고; 좌우내면(70) 및 4개의 날개부(80)의 접는선(3)에는 상기 누름부(51)에 대한 누름동작에 대응하여 용이하게 절취되도록 하는 소정 형태의 절취선(17b,17c,17d,17e)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ackaging paper box, as described in claim 7, wherei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surface 50, the pressing portion (51) partitioned by the cut line 18 is formed; The fold lines 3 of the left and right inner surfaces 70 and the four wing portions 80 are provided with cut lines 17b, 17c, 17d, and 17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so that they can be easily cut in response to the pressing operation against the pressing portion 51. )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상기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한 포장용 종이상자는, 상자의 개봉부를 쉽게 개봉하고 또 밀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aper box for packag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stitution has an effect of easily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of the box.

또한, 포장용 종이상자의 개봉부를 개봉한 후에 안정적으로 개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stably maintained in the opened state after opening the opening of the packaging paper box.

게다가, 포장용 상자를 쉽게 뜯고 접을 수 있게 하여 공간적인 손실(LOSS)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ackaging box can be easily opened and folded to minimize LOSS.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할 때 동일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its own design in the best possible way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for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s and functions whe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의한 포장용 종이상자의 전개도이다.1 is a development view of a packaging paper box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포장용 종이상자의 제1실시예는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면(10), 외측전면(20), 내측전면(30), 후면(40), 하면(50)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10)의 좌우측에 연설되는 좌우외면(60), 상기 하면의 좌우측에 연설되는 좌우내면(70), 상기 후면(40) 및 내측전면(30)의 좌우측에 연설되는 날개부(8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a first embodiment of the packaging paper box includes an upper surface 10, an outer front surface 20, an inner front surface 30, a rear surface 40, and a lower surface 50. Left and right outer surface 60 to be spoken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10, the left and right inner surface 70 to be spoken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surface, and the wing portion 80 to be spoken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surface 40 and the inner front surface 30. do.

상기 상면(10)의 사이즈는 상기 하면(50)에 대응되고, 상기 후면(40)의 사이즈는 상기 내측전면(30)에 대응되도록 결정된다.The size of the upper surface 10 corresponds to the lower surface 50, and the size of the rear surface 40 corresponds to the inner front surface 30.

상기 포장용 종이상자의 전면은, 상기 내측전면(30)과 상기 내측전면(30) 상 으로 접혀 부착되는 외측전면(20)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측전면(20)은 상기 내측전면(30)을 모두 덮거나 또는 일부분만 덮도록 사이즈 되어 일부 또는 전부가 이중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ront surface of the packaging paper box is formed of the outer front surface 20 which is folded and attached onto the inner front surface 30 and the inner front surface 30, the outer front surface 20 is all the inner front surface (30) It may be sized to cover or to cover only a portion, some or all of which may be formed in a double surface.

또한, 상기 외측전면(20)으로부터 상기 상면(10) 상으로 개봉될 수 있는 개봉부(11)를 형성한다. In addition, the opening part 11 which can be opened from the outer front surface 20 to the upper surface 10 is formed.

상기 개봉부(11)에 의해, 상기 포장용 종이상자를 뜯어내지 않고도 상기 개봉부(11)의 개봉만으로 상기 포장용 종이상자의 내용물을 보다 편리하게 꺼낼 수 있다.By the opening part 11, the contents of the packaging paper box can be taken out more conveniently only by opening the opening part 11 without removing the packaging paper box.

이때, 상기 외측전면(20) 상에 형성된 상기 개봉부(11)의 일단부에는 일정한 형태(예컨대, 반원모양, 사각형 모양 등 다양한 형태의 돌기가 가능함)의 돌기(12)가 형성된다.At this time, one end of the opening 11 formed on the outer front surface 20 is formed with a projection 12 of a predetermined shape (for example, a variety of projections, such as semi-circular, rectangular shape is possible).

상기 개봉부(11)의 구체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opening part 11 is as follows.

상기 개봉부(11)는, 상기 상면(10)과 상기 상면과 연설된 외측전면(20) 상에 형성된 절취선(17a), 절개선(5) 및 접힘 홈(16)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The opening part 11 may be divided by a cut line 17a, an incision line 5, and a folding groove 16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0 and the outer front surface 20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또한, 상기 외측전면(20)의 중앙 부분에는,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개봉부(11)의 일단부를 구성하는, 굴골진 사각형 모양 등의 돌기(12)를 형성한다. Moreover, as shown in FIG. 1, the center part of the said outer front surface 20 is provided with the processus | protrusion 12, such as a curved square shape, which comprises one end of the said opening part 11 ,.

이때, 상기 돌기(12)의 가운데 부분에는 안쪽으로 굴곡진 반원 모양 등의 절개부(13)를 형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손가락을 상기 절개부(13)에 삽입하여 쉽게 상기 개봉부(11) 개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돌기(12)의 좌우 부분에 두 개 의 돌기(12)가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center portion of the protrusion 12 may be formed in the incision portion 13, such as semi-circular curved inwardly, the user can easily open the opening portion 11 by inserting the finger into the incision portion (13). can do. In this case, two protrusions 12 are formed at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protrusion 12.

또한, 상기 돌기(12)로부터 상기 상면(10)에 이르기까지 점차로 확대되면서 절개되는 절취선(17a)을 형성하되, 상기 상면(10)과 만나는 상기 좌우 절취선(17a)의 폭은 상기 상면(10)의 폭보다 좁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while forming a cutting line (17a) to be cut while gradually extending from the protrusion 12 to the upper surface 10, the width of the left and right cutting line (17a) that meets the upper surface 10 is the upper surface (10) It is formed to be narrower than the width of.

이때, 상기 절취선(17a)는 직선 모양, 물결 모양, 삼각형 모양등 다양하게 모양될 수 있고, 상기 절취선(17a) 사이에는 접합부(19)를 형성한다. 상기 개봉부(11)는 상기 절취선(17a) 사이의 접합부(19)가 뜯어지면서 개봉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perforation line 17a may be variously shaped such as a straight line, a wave shape, a triangular shape, and the junction part 19 is formed between the perforation lines 17a. The opening 11 is opened while the junction 19 between the cut lines 17a is torn off.

또한, 상기 상면(10)과 만난 상기 좌우 절취선(17a)은, 상기 상면(10)의 좌우 접는선(3)과 평행하게 상기 후면(40)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절취선(17a)의 좌우 끝은 상기 후면(40)과 소정의 간격(W)을 유지한 곳에 위치 되도록 하며, 상기 좌우 절취선(17a)의 양 끝은 접힘 홈(16)으로 연결되어, 상기 개봉부(11)의 타단부를 형성한다.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cut lines 17a that meet the upper surface 10 are formed in the rear surface 40 in parallel with the left and right folding lines 3 of the upper surface 10, and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cut lines 17a are formed. Is positioned to maintain a predetermined distance (W) with the rear surface 40,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cut line (17a) is connected to the folding groove 16, forming the other end of the opening portion (11) do.

이때, 상기 상면(10) 및 상기 외측전면(20) 상에 형성된 상기 절취선(17)은, 상기 개봉부(11)의 개봉 용이성을 위해, 접합부(19)를 제외하고는 모두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utting line 17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0 and the outer front surface 20 may be formed by cutting all except the junction portion 19 for ease of opening of the opening portion 11. .

상기 외측전면(20)은 상기 내측전면(30)의 외측으로 접혀 부착되어 함께 상기 포장용 종이상자의 전면을 형성하게 된다.The outer front surface 20 is folded and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inner front surface 30 to form the front of the packaging paper box together.

이때, 상기 개봉부(11)와 상기 개봉부(11)에 대응하는 상기 내측전면(30)의 부분은 서로 접착되지 않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opening part 11 and portions of the inner front surface 30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part 11 are not bonded to each other.

상기 내측전면(30) 상에는, 상기 외측전면(20)이 상기 내측전면(30) 상으로 접혀 부착된 경우, 상기 개봉부(11)의 일단부를 형성하는 상기 돌기(12)와 대응되는 부분에 절개선(5)에 의해 구획되는 삽입부(14)가 형성된다.When the outer front surface 20 is folded onto the inner front surface 30 and attached to the inner front surface 30, an incision line is form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12 that forms one end of the opening part 11. An insertion portion 14 partitioned by (5) is formed.

따라서, 상기 포장용 종이상자의 상기 개봉부(11)를 개봉한 후 상기 돌기(12)를 상기 삽입부(14)에 삽입함으로써 밀폐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fter opening the opening part 11 of the packaging paper box, the protrusion 12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14 to maintain a closed state.

도 2a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대한 완성된 상기 포장용 종이상자의 개봉 전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대한 완성된 상기 포장용 종이상자의 개봉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before the opening of the completed packaging paper box for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completed packaging paper box for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의한 포장용 종이상자의 전개도이다.3 is a development view of a packaging paper box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포장용 종이상자의 제2실시예는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포장용 종이상자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상기 개봉부(11)에 꺽임부(1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ackaging paper box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bent portion 15 in the opening 11 in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ackaging paper box.

상기 꺽임부(15)는,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상면(10)과 상기 후면(40)의 공통 모서리에 일정한 너비(L)로 형성되며, 상기 상면(10)과 상기 후면(40)에 걸쳐서 좌우 대칭적으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bent portion 15 is formed to have a constant width L at a common edge of the upper surface 10 and the rear surface 40, and the upper surface 10 and the rear surface 40. It is formed symmetrically over).

상기 꺽임부(15)의 구체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bent portion 15 is as follows.

상기 상면(10)과 상기 후면(40)의 공통 모서리에 상기 너비(L)의 양끝에서부터 상기 개봉부(11)를 구획하는 상기 접힘홈(16)까지 연결되는 절개선(5a)이 형성되고, 동시에 상기 상면(10)과 상기 후면(40)의 공통 모서리에 상기 너비(L)의 양 끝에서부터 상기 후면(40)상으로 절개되는 절개선(5b)이 형성된다.Cut lines 5a are formed at common edges of the upper surface 10 and the rear surface 40 from both ends of the width L to the folding grooves 16 partitioning the opening 11. An incision 5b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40 from both ends of the width L at common edges of the upper surface 10 and the rear surface 40.

이때, 상기 접힘홈(16)으로 연결되는 두 개의 상기 절개선(5a)은 서로 평행하거나 또는 확대되면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접힘홈(16)과 상기 절개선(5a)이 만나는 두 지점 사이에는 상기 접힘홈(16)이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In this case, the two cutting lines 5a connected to the folding grooves 16 may be formed to be parallel or enlarged with each other, and between the two points where the folding grooves 16 and the cutting lines 5a meet. The folding groove 16 is not formed.

또한, 상기 꺽임부(15)의 상기 상면(10) 상의 절개선(15a)과 상기 후면(40) 상의 절개선(15b)의 사이에는 상기 접힘 홈(16)이 형성되어 상기 개봉부(11)의 개봉시 상기 꺽임부(15)가 상기 포장용 종이상자의 안 쪽으로 꺽이는 동작을 수월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lding groove 16 is formed between the cut line 15a on the upper surface 10 of the bent portion 15 and the cut line 15b on the rear surface 40 to form the opening 11. When opening, the bending part 15 can facilitate the operation of bending the inside of the wrapping paper box.

또한, 상기 후면(40) 상에 형성되는 두 개의 절개선(5b)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상면(10)과 상기 후면(40)의 공통 모서리로부터 상기 간격(W)의 1/2 내지 2배 정도의 간격까지 형성되도록 한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wo incisions 5b formed on the rear surface 40 are form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the distance W is 1 from the common edge of the upper surface 10 and the rear surface 40. It should be formed up to an interval of 1/2 to 2 times.

도 4a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완성된 포장용 종이상자의 사시도이다.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pleted packaging paper box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b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완성된 포장용 종이상자의 개봉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c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완성된 포장용 종이상자의 개봉된 모습을 뒤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ure 4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ned appearance of the completed packaging paper box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c shows the opened state of the completed packaging paper box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behind Perspective view.

도 4a 및 도 4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개봉부(11)를 개봉한 경우, 상기 꺽임부(15)는 상기 포장용 종이상자의 내부 방향으로 꺽이게 되어, 개봉된 상기 개봉부(11)가 아래쪽 또는 뒷쪽으로 꺽이지 않고 현 개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S. 4A and 4B, when the opening part 11 is opened, the bent part 15 is bent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packaging paper box so that the opened part 11 is opened or lowered. It will be able to maintain its current state without bending backwards.

도 4d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완성된 포장용 종이상자가 개봉 후 다 시 밀폐상태를 유지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4d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mpleted packaging paper box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a closed state again after opening.

도 4d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포장용 종이상자의 개봉부(11)를 개봉 후 다시 상기 개봉부(11)를 닫고 상기 돌기(12)를 상기 삽입부(14)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포장용 종이상자의 밀폐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4D, after the opening part 11 of the packaging paper box is opened, the opening part 11 is closed again, and the protrusion 12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14 to close the packaging paper box. Will be able to maintain.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도 5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의한 포장용 종이상자의 전개도이다.5 is a developed view of a packaging paper box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하면(50)과 상기 하면(50)의 좌우측에 연설된 좌우내면(70)의 공통 모서리의 중간 부분에는 절취선(18)에 의해 구획되는 반원 모양의 누름부(51)가 대칭적으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 5, a semicircular pressing portion partitioned by a perforation line 18 is formed at a middle portion of a common edge of the lower surface 50 and the left and right inner surface 70 protru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surface 50 ( 51 is formed symmetrically.

이때 상기 누름부(51)의 모양은 반원 모양뿐 아니라 사각형 모양 등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hape of the pressing part 51 may be determined in various ways such as a semi-circular shape as well as a rectangular shape.

그리고, 상기 하면(40)과 상기 하면(40)의 좌측에 연설된 날개부(80)의 공통 모서리, 상기 하면(50)과 상기 하면의 좌측에 연셜된 날개부(80)의 공통 모서리에는 '

Figure 112008080878137-utm00001
' 형상의 절취선(17b)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common edge of the wing portion 80 protruded to the left of the lower surface 40 and the lower surface 40, a common edge of the wing portion 80 sequential to the left side of the lower surface 50 and the lower surface '
Figure 112008080878137-utm00001
A cut line 17b having a shape is formed.

또한, 상기 하면(40)과 상기 하면(40)의 우측에 연설된 날개부(80)의 공통 모서리, 상기 하면(50)과 상기 하면의 우측에 연셜된 날개부(80)의 공통 모서리에는 '

Figure 112008080878137-utm00002
' 형상의 절취선(17c)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common edges of the lower surface 40 and the wing portion 80 spoken to the right side of the lower surface 40, the common edges of the lower surface 50 and the wing portion 80 sequential to the right side of the lower surface '
Figure 112008080878137-utm00002
A cut line 17c of a shape is formed.

또한, 상기 내측전면(30)과 상기 내측전면(30)의 좌측에 연설된 날개부(80) 의 공통 모서리에는 '

Figure 112008080878137-utm00003
' 형상의 절취선(17d)이, 상기 내측전면(30)과 상기 내측전면(30)의 우측에 연설된 날개부(80)의 공통 모서리에는 '
Figure 112008080878137-utm00004
' 형상의 절취선(17e)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common edges of the wing portion 80 protruded to the left of the inner front surface 30 and the inner front surface 30 are '
Figure 112008080878137-utm00003
A cut line 17d having a shape is formed at a common edge of the wing portion 80 extending to the right side of the inner front surface 30 and the inner front surface 30.
Figure 112008080878137-utm00004
A cutout line 17e of a shape is formed.

상기의 절취선(17b,17c,17d,17e)들은 완성된 상기 포장용 종이상자의 상기 하면(50)에 형성된 누름부(51)를 눌러 개봉한 후 계속하여 양 옆으로 벌리는 경우, 상기 포장용 종이상자의 상기 하면(50), 상기 전면 및 상기 후면(40)의 좌우측면들이 쉽게 뜯어지도록 하며, 상기의 동작에 의해 상기 포장용 종이상자를 상기 상면(20) 상으로 접어 부피공간을 최소화한 상태로 처리(보관 또는 버리는 경우를 포함함.)할 수 있다.When the perforations 17b, 17c, 17d, and 17e are opened by pressing the pressing portion 51 formed on the lower surface 50 of the completed packaging paper box and then opened sideways, the packaging paper box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surface 50, the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40 are easily torn off, and the packaging paper box is folded onto the upper surface 20 by the operation to minimize the volume space. Including storage or discarding).

도 6a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의한 포장용 종이상자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상기 포장용 종이상자의 하면(50)이 상 방향으로 배치된 모습의 사시도이다.6A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ckaging paper box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ttom surface 50 of the packaging paper box disposed in an upward direction.

도 6b 내지 도 6d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의한 포장용 종이상자를 처리하기 위해, 상기 누름부(51)를 누르고 상기 절취선(17b,17c,17d,17e) 부분을 절취하여 상기 포장용 종이상자에 공간이 없도록 접는 과정을 차례로 나타낸다.6B to 6D illustrate the packing paper box by pressing the pressing part 51 and cutting off the cut lines 17b, 17c, 17d, and 17e in order to process the packing paper box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ding process is shown in sequence so that there is no space in it.

도 6b, 도 6c와 도 6d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동작으로 상기 포장용 종이상자를 납작하게 접어, 불필요한 부피 공간을 차지함이 없이 처리할 수 있다.In the operation as shown in Figs. 6B, 6C and 6D, the packaging paper box can be folded flat to be processed without occupying unnecessary volume space.

상기에서 기재한 상기 접힘홈(16), 상기 절취선(17a,18)은 다양하게 모양이 결정될 수 있으며, 동일한 모양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The folding grooves 16 and the cutting lines 17a and 18 described above may be determined in various shapes, or may be determined in the same shape.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disclosed to solve the technical problem,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dditions, etc.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modifications, changes, and the like should be considered as falling within the following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대한 포장용 종이상자의 전개도,1 is a development view of a wrapping paper box for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도 2b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대한 완성된 포장용 종이상자를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2a, Figure 2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pleted packaging paper box for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대한 포장용 종이상자의 전개도,3 is an exploded view of a packaging paper box for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내지 도 4d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대한 포장용 종이상자를 나타내는 사시도,4a to 4d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per box for packag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대한 포장용 종이상자의 전개도,5 is an exploded view of a packaging paper box for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대한 포장용 종이상자를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6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ckaging paper box for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b 내지 도 6d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대한 포장용 종이상자가 뜯어지고 접혀지는 동작을 나타내는 단계도.6b to 6d is a step showing the operation of tearing and folding the packaging paper box for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상면 11 : 개봉부10: upper surface 11: opening part

12 : 돌기 13 : 절개부12: protrusion 13: incision

14 : 삽입부 15 : 꺽임부14: insertion part 15: bending part

16 : 접힘홈 17a,17b,17c,17d,17e,18 : 절취선16: folding grooves 17a, 17b, 17c, 17d, 17e, 18: cutting line

19 : 접합부 20 : 외측전면19: junction 20: outer front

30 : 내측전면 40 : 후면30: inside front 40: rear

50 : 하면 51 : 누름부50: bottom 51: pressing part

60 : 좌우외면 70 : 좌우내면60: left and right outer 70: left and right inner

80 : 날개부80 wings

Claims (7)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전면, 후면(40), 상면(10) 및 하면(50)을 포함한 직육면체 모양의 포장용 종이상자로서, 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packaging paper box including a front, rear 40, top 10 and bottom 50, 상기 전면은 내측전면(30)과 상기 내측전면(30) 상으로 접혀 부착되는 외측전면(20)으로 형성되고;The front surface is formed of an inner front surface (30) and an outer front surface (20) which are folded and attached onto the inner front surface (30); 상기 외측전면(20)으로부터 상기 상면(10) 상으로 개봉되는 개봉부(11)를 포함하고;An opening part (11) opened from the outer front surface (20) onto the upper surface (10); 상기 외측전면(20) 상에 형성된 상기 개봉부(11)의 선단에는 절개선(5)에 의해 구획되는 돌기(12)를 형성하고;Forming a projection (12) partitioned by an incision line (5) at the tip of the opening (11) formed on the outer front surface (20); 상기 돌기(12)와 대응되는 상기 내측전면(30)에는 상기 돌기(12)가 삽입되는 삽입부(14)를 형성하되,On the inner front surface 30 corresponding to the projection 12 is formed an insertion portion 14 into which the projection 12 is inserted, 상기 개봉부(11)는,The opening part 11, 상기 돌기(12)로부터 상기 상면(10)에 이르기까지 점차로 확대되면서 절개되는 절취선(17a)을 형성하고; Forming a cutting line (17a) which is cut while gradually expanding from the protrusion (12) to the upper surface (10); 상기 상면(10)과 만나는 상기 절취선(17a)은 상기 후면(40)과 일정 간격(W)을 이루는 지점까지 평행하게 형성되며; The perforation line 17a which meets the upper surface 10 is formed in parallel to a point forming a predetermined distance W from the rear surface 40; 상기 후면과 일정 간격을 이루는 상기 절취선(17a)의 양 끝은 접힘홈(16)으로 연결되되,Both ends of the perforation line 17a forming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the rear surface are connected to the folding groove 16, 상기 개봉부(11)의 후단에 상기 개봉부(11)의 개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꺽임부(15)를 더 형성하고, 상기 꺽임부(15)는 상기 상면(10)과 상기 후면(40)에 걸쳐 형성된 절개선(5a,5b)에 의해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종이상자.A bent portion 15 is further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unsealed portion 11 to maintain the unsealed state of the unsealed portion 11, and the bent portion 15 spans the upper surface 10 and the rear surface 40. Packaging paper box, characterized in that partitioned by the cut line (5a, 5b) form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꺽임부(15)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bent portion 15, 상기 상면(10)과 상기 후면(40)의 공통 모서리를 중심으로 하여 일정한 너비(L)로 상기 상면(10)과 상기 후면(40)에 걸쳐 형성되되,Is formed over the upper surface 10 and the rear surface 40 with a constant width (L) around the common edge of the upper surface 10 and the rear surface 40, 상기 상면(10)과 상기 후면(40)의 공통 모서리에 상기 너비(L)의 양끝에서부터 상기 개봉부(11)를 구획하는 접힘홈(16)까지 연결되는 상기 절개선(5a)이 형성되고; 동시에 상기 상면(10)과 상기 후면(40)의 공통 모서리에 상기 너비(L)의 양끝에서부터 상기 후면(40)상으로 절개되는 상기 절개선(5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포장용 종이상자.The incision line 5a is formed at a common edge of the upper surface 10 and the rear surface 40 from both ends of the width L to a folding groove 16 for partitioning the opening 11; At the same time the packaging paper box,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ision line (5b) which is cut on both sides of the back (40) from both ends of the width (L) on the common edge of the upper surface (10) and the rear surface (4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꺽임부(15)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bent portion 15, 상기 개봉부(11)의 후단에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종이상자.Packaging paper box,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at least one or more at the rear end of the opening (11).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 종이상자는,The packaging paper box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6, wherein 하면(50)의 좌우측에는 절취선(18)으로 구획되는 누름부(51)가 형성되고;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surface 50 are provided with pressing portions 51 which are divided by the cutting lines 18; 좌우내면(70) 및 4개의 날개부(80)의 접는선(3)에는 상기 누름부(51)에 대한 누름동작에 대응하여 용이하게 절취되도록 하는 소정 형태의 절취선(17b,17c,17d,17e)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종이상자.The fold lines 3 of the left and right inner surfaces 70 and the four wing portions 80 are provided with cut lines 17b, 17c, 17d, and 17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so that they can be easily cut in response to the pressing operation against the pressing portion 51. ) Is a packaging paper box,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at regular intervals.
KR2020080015580U 2008-11-24 2008-11-24 Packaging paper box KR20045732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580U KR200457324Y1 (en) 2008-11-24 2008-11-24 Packaging paper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580U KR200457324Y1 (en) 2008-11-24 2008-11-24 Packaging paper box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591U KR20100005591U (en) 2010-06-03
KR200457324Y1 true KR200457324Y1 (en) 2011-12-13

Family

ID=44451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5580U KR200457324Y1 (en) 2008-11-24 2008-11-24 Packaging paper box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324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671U (en) 2017-06-20 2018-12-28 주식회사 크라운제과 Packing boxes for sweets of combined Cup
KR20200080977A (en) 2018-12-27 2020-07-07 김익성 Paper box manufacturing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1071A (en) 2011-11-09 2013-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Packing box
KR102533561B1 (en) * 2021-06-18 2023-05-17 (주)한성실업 The box for pack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7795A (en) * 2006-09-29 2008-04-17 Dainippon Printing Co Ltd Paper-made box for individually packaged artic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7795A (en) * 2006-09-29 2008-04-17 Dainippon Printing Co Ltd Paper-made box for individually packaged arti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671U (en) 2017-06-20 2018-12-28 주식회사 크라운제과 Packing boxes for sweets of combined Cup
KR20200080977A (en) 2018-12-27 2020-07-07 김익성 Paper box manufactur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591U (en) 201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7324Y1 (en) Packaging paper box
JP5105494B2 (en) Cigarette package
CZ20004486A3 (en) Container for holding articles of food and method of making an insert for such container
JP4811152B2 (en) Individual boxes
KR200452620Y1 (en) Paper box for confectionery packaging
JP4150179B2 (en) Contents storage container
JP6047878B2 (en) Reclose carton
EP2487116B1 (en) Packaging container
JP4128908B2 (en) Packaging container
JP2002211541A (en) Height changeable box
JP7078936B2 (en) Locking structure for the outer and inner lids of the packaging box
CN212922326U (en) Novel packaging box
JP4303982B2 (en) Packaging box with opening
KR200373486Y1 (en) Paper box for packing product
JP2022162845A (en) packaging box
KR200400815Y1 (en) Cake box
JP2018177260A (en) Cosmetic storage package
JP4807525B2 (en) Foldable packaging container
JP4303981B2 (en) Packaging box with simple opening
JP2018008707A (en) Packaging container
JP2002362542A (en) Packaging container
JP4167748B2 (en) Buffer fixed storage box
JP3077197U (en) Small square paper box with lid with lock function
JP5076933B2 (en) carton
KR200228486Y1 (en) cosmetic packing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