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198Y1 - Removable orthodentic device - Google Patents

Removable orthodentic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198Y1
KR200457198Y1 KR2020090016674U KR20090016674U KR200457198Y1 KR 200457198 Y1 KR200457198 Y1 KR 200457198Y1 KR 2020090016674 U KR2020090016674 U KR 2020090016674U KR 20090016674 U KR20090016674 U KR 20090016674U KR 200457198 Y1 KR200457198 Y1 KR 2004571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teeth
orthodontic device
removable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6674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06508U (en
Inventor
정수창
Original Assignee
정수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수창 filed Critical 정수창
Priority to KR20200900166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198Y1/en
Publication of KR201100065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508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1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198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61C7/22Tension adjus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0Devices having means to apply outwardly directed force, e.g. expan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6Implants for use in orthodontic treatment

Abstract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치아를 교정하는 교정용 와이어 및 상기 교정용 와이어의 내측에 형성되어 구강내의 경구대 또는 연구개에 밀착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가로 날개부와 세로 지지부로 구성된 T 형 탄성 부재를 적어도 한 개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wire for orthodontic and orthodontic wire and oral pad in the oral cavity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rthodontic wire for orthodontic teeth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upport is a horizontal wing and It provides a removable dental orthodontic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or more T-shaped elastic member composed of a longitudinal support.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 T형 탄성부재 Removable dental orthodontic device, T-shaped elastic member

Description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REMOVABLE ORTHODENTIC DEVICE}Removable Dental Orthodontic Device {REMOVABLE ORTHODENTIC DEVICE}

본 고안은 치아를 교정하는 교정용 와이어 및 상기 교정용 와이어의 내측에 형성되어 구강내의 경구대 또는 연구개에 밀착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vable orthodontic device comprising a straightening wire for straightening the teeth and a support portion formed inside the straightening wire for close contact with an oral band or soft palate in the oral cavity.

치아교정에 사용되는 장치종류는 고정식 교정장치, 투명교정장치(Clear Aligner) 및 가철식 교정장치 등이 있다. 상기 고정식 교정장치는 브라켓을 치아면에 부착하고 그 조각에 새겨진 홈에 교정용 철사를 끼워 넣어 그 탄력으로 치아를 움직이게 하는 장치이다. 상기 투명교정장치는 투명한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치아의 심미감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교정을 진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상기 가철식 교정장치는 환자가 착용과 제거를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장치이다. Types of devices used for orthodontics include fixed orthodontic devices, clear aligners and removable orthodontic devices. The fixed orthodontic device is a device that attaches the bracket to the tooth surface and inserts the orthodontic wire into the grooves carved into the piece to move the tooth with its elasticity. The transparent calibration device is a device that can proceed with the correction without damaging the aesthetics of the teeth by using a transparent plastic. The removable correction device is a device that the patient can wear and remove at will.

상기 고정식 교정장치를 이용한 치아교정장치 중 외부에서 착용하는 교정장치는 치아의 표면을 약간 부식시켜 강력한 접착제로 부착 고정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중단을 고정하여 당길 수 있도록 사용하는 와이어와, 상기 브라켓 또는 와이어에 힘을 전달할 수 있는 지지부재와, 스프링, 그리고 상기 와이어 및 지지부재 등의 고정부 역할을 하기 위한 치아밴드 또는 치조골용 나사 등으로 이루어진다. 치아의 노출부분에 브라켓과 와이어 등이 설치 착용되므로 교정환자의 대외적인 활동에 많은 제약을 준다. The orthodontic device worn from the outside of the orthodontic device using the fixed orthodontic device is a bracket that is slightly corroded to the surface of the tooth attached with a strong adhesive, and the wire used to fix and pull the suspension to the bracket, and the bracket Or a support member capable of transmitting a force to the wire, a spring, and a tooth band or alveolar bone screw to serve as a fixing part of the wire and the support member. Brackets and wires are installed on the exposed part of the teeth, which places a lot of restrictions on the external activities of orthodontic patients.

이러한 고정식 교정 장치에 대한 대안으로서 가철식 교정장치는 환자가 착용과 제거를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어린이의 경우 모든 치아를 영구치로 교환하기 전에 나타나는 간단한 치열교정, 공간확보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할 때 주로 사용하며, 교정장치를 치아에 붙이는 것이 아니라 상기 투명 교정장치와 마찬가지로 직접 장치를 환자가 탈착 할 수 있다. 또한 성인들의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환자가 자유로이 탈착할 수 있기 때문에 세심한 주의를 요하며, 가능한 지속적으로 착용하고 있어야 효과를 볼 수 있다. As an alternative to this fixed orthodontic device, the removable orthodontic device can be worn and removed by the patient at will. In general, children are mainly used to solve problems such as simple orthodontics and space securing before replacing all teeth with permanent teeth, and do not attach orthodontic devices to the teeth. Can be removable. It can also be used by adults. Since the patient can be freely detached, great care is required, and it must be worn as long as possible to see the effect.

상기 가철식 장치는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누어 볼 수 있다. The removable device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첫번째는 골격적인 변화를 얻기 위해 즉 뼈의 형태를 바꾸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 이 경우 대개 위 아래 한덩어리로 되어 있으며, 입안에 물고 있게 된다. 대개 성장기의 어린이에게 사용하는 장치로 아래턱이 큰 주걱턱 골격이나 아래턱이 작은 무턱 골격의 치료를 위해 사용되게 된다. 추가적으로 교정치료가 끝난 후 치료후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유지장치(보정장치, retainer)도 가철식 장 치에 해당한다. The first is a device used to achieve skeletal changes, ie to change the shape of the bone, which in this case is usually a mass up and down, which is held in the mouth. Usually used for growing children, it is used for the treatment of the large jaw skeleton or the lower jaw skeleton. In addition, removable devices are also used to maintain post-treatment conditions after orthodontic treatment.

두번째는 고정식 교정장치와 마찬가지로 치아의 이동을 위해 사용하는 장치로 이러한 치아 이동을 위한 장치는 대개 위 또는 아래 한쪽씩 끼우게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가철식 장치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가철식 장치는 와이어로 구성되어 치아를 교정하는 교정부(10)와, 상기 교정부(10)의 내측에 형성된 지지부(20)를 갖는 치아교정기가 기재되어 있다. The second is a device used for the movement of teeth like a stationary orthodontic device, and the device for movement of teeth is usually inserted one side up or down. This conventional removable device is shown in FIG. 1. As shown in FIG. 1, a conventional removable device includes a straightener 10 having a wire and a straightener for straightening teeth and a support 20 formed inside the straightened portion 10.

그러나, 이러한 종래 가철식 교정 장치는 치아를 하나하나 움직이는 고정식 교정장치와 똑같은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며 모든 부정교합의 치료에서 상기 고정식 장치 대신 상기 가철식 장치만으로 만족할 만한 효과를 보기는 힘들다. 이는 상기 교정식 장치와 그 작용원리도 다르며 치아를 단순히 밀어서 이동시키는 것으로 정교한 교정치료의 활용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주로 부분적으로 치아를 밀어서 이동시키면 되는 경우에 국한되거나, 고정식 교정장치로 치아 교정이 끝난 후 교정된 치아가 단지 유지되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However, these conventional removable orthodontic devices do not have the same effect as fixed orthodontic devices that move teeth one by one, and it is difficult to achieve a satisfactory effect with the removable device alone instead of the fixed device in the treatment of all malocclusions. This is different from the orthodontic device and its working principle, it is difficult to use the sophisticated orthodontic treatment simply by moving the tooth. Therefore, it was generally limited to only partially moving the teeth by moving them, or it was generally used to only maintain the corrected teeth after the teeth were corrected by the fixed orthodontic device.

본 고안에서는 종래 가철식 교정장치에 종래 고정식 교정장치의 장점을 부가하여 보완함으로써 부정교합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가철식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new concept removable correction apparatus that can effectively treat malocclusion by adding and supplementing the advantages of the conventional fixed correction apparatus to the conventional removable correction device.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치아를 교정하는 교정용 와이어 및 상기 교정용 와이어의 내측에 형성되어 구강내의 경구대 또는 연구개에 밀착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가로 날개부와 세로 지지부로 구성된 T 형 탄성 부재를 적어도 한 개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wire for orthodontic and orthodontic wire and oral pad in the oral cavity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rthodontic wire for orthodontic teeth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upport is a horizontal wing and It provides a removable dental orthodontic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or more T-shaped elastic member composed of a longitudinal support.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T형 탄성부재는 중절치, 측절치 및 견치들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거나, 소구치 및 대구치들을 협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shaped elastic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moving the incisor, side incisor and dog teeth forward, or premolar and molar teeth to the buccal side.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T형 탄성부재는 2개 이상의 가로 날개부를 포함한다. 상기 T형 탄성부재의 2개 이상의 가로 날개부는 길이가 서로 같거나, 또는 상기 2개 이상의 가로 날개부 중 치아에 접촉하는 가로 지지부의 길이가 치아와 접촉하지 않는 가로 지지부의 길이보다 길거나, 상기 2개 이상의 가로 날개부 중 치아에 접촉하는 가로 날개부의 길이가 치아와 접촉하지 않는 가로 날개부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shaped elastic member includes two or more horizontal wings. The two or more horizontal wing portions of the T-shaped elastic member have the same length, or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teeth of the two or more horizontal wing portions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not in contact with the teeth, or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wing which contacts a tooth among the more than one horizontal wing part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wing which does not contact a tooth.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T형 탄성 부재의 상기 세로 지지부는 상기 가로 날개부의 중앙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세로 지지부가 상기 가로 날개부의 어느 한쪽 끝에 위치하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of the T-shaped elastic member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wing portion, or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in a shape located at either end of the horizontal wing portion.

본 고안의 가철식 치아교정장치는 착용자의 상악을 위한 것으로서, 상기 지지부는 착용자의 상악을 확장하기 위한 스크류에 의해서 상호 결합되는 2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치아 교정 장치를 제공한다. The removable dental orthodont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movable dental orthodont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portion is composed of two or more mutually coupled by a screw for extending the wearer's maxilla. .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는 익스팬션 스크류(Expansion screw), 2방향 스크류(Two dimensional screw), 트랙션 스크류(Traction screw), 맨더블 바우 스크류(Mandibular bow screw), 팬 타입 익스팬션 스크류(Fan type expansion screw), 피스톤 스프링 스크류(Piston spring screw), 노르웨이식 플레이트 스크류(Norwegian plate screw), 하이랙스 익스팬션 스크류(Hyrax expansion screw)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w is an expansion screw (Expansion screw), two-dimensional screw (Two dimensional screw), traction screw (Traction screw), mandular bow screw (Mandibular bow screw), fan type expansion screw (Fan type expansion) screw, Piston spring screw, Norwegian plate screw, Hylax expansion screw.

본 고안의 상기 가철식 치아교정장치는 착용자의 하악을 위한 것으로서, 상기 지지부는 착용자의 하악을 확장하기 위한 코핀 탄성 부재에 의해서 상호 결합되는 2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치아 교정 장치를 제공한다. The removable dental orthodont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the wearer's mandible, the support portion is removable dental orthodont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two or more mutually coupled by a coffin elastic member for extending the mandible of the wearer To provide.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가철식 치아교정장치의 상기 교정용 와이어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U-고리;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클래스프; 및 적어도 한 개 이상의 L-레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rthodontic wire of the removable orthodontic device is at least one U-ring; At least one elastic member; At least one clasp; And at least one L-rest.

이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고안에서 상기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는 치아를 교정하는 교정용 와이어 및 상기 교정용 와이어의 내측에 형성되어 구강내의 경구대 또는 연구개에 밀착되는 지지부로 크게 두 부분으로 분류할 수 있다. The removable dental orthodontic device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lassified into two parts as a straightening wire for straightening the teeth and a support portion formed inside the straightening wire for close contact with a mouth pad or soft palate in the oral cavity.

상기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의 상기 지지부는 가로 날개부와 세로 지지부로 구성된 T 형 탄성 부재를 적어도 한 개 이상 포함한다. The support portion of the removable dental orthodontic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T-shaped elastic member consisting of a horizontal wing portion and a vertical support portion.

상기 T형 탄성 부재는 중절치, 측절치 및 견치들의 전방 이동을 돕거나, 소구치 및 대구치들의 협측 이동을 돕기 위한 것으로서, 치아를 이동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T형 탄성부재를 지지부로부터 잡아당겨 수축시켜서 치아에 압력을 가하도록 액티베이션하며, 치아가 어느 정도 이동하면 상기 T형 탄성부재를 다시 연장시킨다. The T-shaped elastic member is intended to assist the forward movement of the middle incisor, lateral incisor and dog teeth, or to assist the buccal movement of the premolar and molar teeth, and when it is necessary to move the teeth, the T-shaped elastic member is pulled out of the support to shrink the teeth. It is activated to apply pressure to the tooth, and the tooth moves to some extent to extend the T-shaped elastic member again.

상기 T형 탄성부재는 직경이 0.5mm 와이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체로 연결된 2개 이상의 가로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체로 연결된 2개 이 상의 가로 날개부는 치아들의 이동 목적이나 크기나 모양 및 부정교합의 양상에 따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2개 이상의 가로 날개부의 길이가 서로 같거나, 상기 2개 이상의 가로 날개부 중 치아에 접촉하는 가로 날개부의 길이가 치아와 접촉하지 않는 가로 날개부의 길이보다 길 거나, 상기 2개 이상의 가로 날개부 중 치아에 접촉하는 가로 날개부의 길이가 치아와 접촉하지 않는 가로 날개부의 길이보다 짧도록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T-shaped elastic member preferably has a diameter of 0.5mm wire and may include two or more horizontal wings connected integrally. The two or more horizontal wing parts connected integrally may be appropriately modified according to the purpose or size or shape of teeth and the aspect of malocclusion. That is, two or more horizontal wing portions have the same length, or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wing portion contacting the teeth of the two or more horizontal wing portions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wing portion does not contact the teeth, or the two or more horizontal wing portions Among the parts,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wing which contacts the tooth may be modified to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wing which does not contact the tooth.

상기 T형 탄성부재는 상기 교정용 와이어상에 한 개 이상 설치될 수 있으며, 교정되어야 할 중절치, 측절치, 및 견치나 구치들의 수에 따라 여러 개로 확장될 수 있다. One or more T-shaped elastic members may be installed on the orthodontic wire, and may be expanded in number depending on the number of heavy incisors, side incisors, and the number of teeth or molar teeth to be corrected.

상기 T형 탄성부재들은 지지부에 삽입시키는 방식에 의해 상기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에 결합되게 된다. The T-shaped elastic members are coupled to the removable dental orthodontic apparatus by inserting the support portion.

본 고안의 가철식 치아교정장치는 착용자의 상악 또는 하악을 위해 만들어질 수 있다. The removable orthodont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for the maxillary or mandibular of the wearer.

착용자의 상악을 위한 경우 위한 경우의 본 고안의 가철식 치아 교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착용자의 상악을 확장하기 위한 스크류에 의해서 상호 결합되는 2개 이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스크류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착용자의 상악이 확장되게 된다. In the removable dental orthodont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case for the wearer's maxilla, the support portion is composed of two or more mutually coupled by a screw for extending the wearer's maxilla, and by operating the screw The maxilla of the wearer is expanded.

상기 스크류는 하악 또는 상악의 확장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중에서 상기 익스팬션 스크류는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다양한 크기가 있으며. 크기가 큰 것은 상악 측방 확대에 사용된다. The screw can be used for the expansion of the mandible or maxillary, of which the expansion screw is the most widely used and of various sizes. The larger one is used for lateral enlargement of the maxilla.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는 익스팬션 스크류(Expansion screw), 2방향 스크류(Two dimensional screw), 트랙션 스크류(Traction screw), 맨더블 바우 스크류(Mandibular bow screw), 팬 타입 익스팬션 스크류(Fan type expansion screw), 피스톤 스프링 스크류(Piston spring screw), 노르웨이식 플레이트 스크류(Norwegian plate screw), 하이랙스 익스팬션 스크류(Hyrax expansion screw)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상기 2방향 스크류는 악궁의 측방 확대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하며 스크류는 교합평면과 평행하도록 위치시킨다. 상기 트랙션 스크류는 공간폐쇄가 필요한 경우 사용된다. 상기 맨더블 바우 스크류는 하악의 전방부 확대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된다. 상기 팬 타입 익스팬션 스크류는 상악궁의 모양이 브이(V)자인 경우 부채모양의 확대 즉 전방부의 측방확대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되며, 또한, 개개 치아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도 사용되며, 내장된 코일에 의하여 지속적인 교정력을 발휘한다. 상기 노르웨이식 플레이트 스크류는 하악전돌증 환자의 치료를 위한 액티베이터(activator)에 내장되는 스크류로 상악절치의 순측이동에 이용된다. 상기 하이랙스 익스팬션 스크류는 정중구개 봉합의 이개를 위한 빠른 구개확장에 사용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w is an expansion screw (Expansion screw), two dimensional screw (Two dimensional screw), traction screw (Traction screw), mandular bow screw (Mandibular bow screw), fan type expansion screw (Fan type expansion screw) , Piston spring screw, Norwegian plate screw, Hylax expansion screw. The two-way screw is used when lateral expansion of the arch is necessary and the screw is positioned parallel to the occlusal plane. The traction screw is used when space closure is required. The mandible bow screw is used when anterior extension of the mandible is required. The fan-type expansion screw is used when the shape of the maxillary arch is V-shaped, which is required when the fan shape is enlarged, that is, when the lateral enlargement of the front part is required, and when the movement of individual teeth is required, Demonstrate lasting correction. The Norwegian plate screw is a screw embedded in an activator for treating mandibular prophylaxis, and is used for lateral movement of the maxillary incisor. The Hyllax expansion screw is used for rapid palatal expansion for palatal palatal sutures.

상기 스크류들을 포함한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의 제작시 고려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구치의 이동시 악궁의 형태에 따라 달리 위치해야 한다. 만약 정중선과 일치시켜 배열하면 구치부 반대교합이 야기될 수도 있다. 구치부의 협측 이동시 스크류는 교합면과 평행하게 배열해야 장치의 탈락을 피할 수 있다. 상기 스크류는 90도 회전(1/4회 회전)시 0.2mm가 확장되며 총 40회의 회전이 가능하여 총 8mm의 치아 이동이 가능하다. 치근막의 평균 두께는 0.25mm로 1번의 90도 회전은 치근막을 0.15mm로 압축할 수 있다. 아동의 경우 1주일에 2회, 성인은 1회로 90도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성인의 치근막이 아동에 비해 더 얇으며 세포활성도 및 순환계 등의 활성도가 저하되어 있고 치조골이 더 석회화 되어 있기 때문이다. Matters to be considered in the manufacture of the removable orthodontic device including the screw are as follows. When moving the posterior molar must be loca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arch. If arranged in line with the midline, posterior posterior occlusion may result. During buccal movement of the posterior part, the screws should be arranged parallel to the occlusal surface to avoid dropping of the device. The screw is expanded 0.2mm when rotated 90 degrees (1/4 rotation) and can be rotated 40 times a total of 8mm teeth movement.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root canal is 0.25 mm, and one rotation of 90 degrees can compress the root to 0.15 mm. For children, it is preferable to rotate 90 degrees once a week and for adults, because the adult's fascia is thinner than the child, and the activity of the cellular and circulatory systems is lowered, and the alveolar bone is more calcified. to be.

착용자의 하악을 위한 경우 위한 경우의 본 고안의 가철식 치아 교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혀의 이동 및 위치를 고려하여 착용자의 하악을 확장하기 위한 코핀 탄성 부재에 의해서 상호 결합되는 2개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코핀(coffin) 탄성부재는 중앙 수처 라인(median suture line)을 기준으로 좌우가 대칭을 이루며, 견치 근심과 제1대구치 원심사이에 형성된다. 전방부가 후방부에 비해 구개에서 떨어지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액티베이션시(activation)시 조직내로 침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액티베이션 방법으로 전방부 곡선이 완만하면 구치부가 확장되고, 후방부 곡선이 완만하면 소구치부가 확장된다. 전후방부 곡선이 모두 완만하면, 협측 치궁전체가 확장된다. In the removable dental orthodont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case for the wearer's mandible, the support portion is at least two mutually coupled by a coffin elastic member for expanding the wearer's mandible in consideration of the movement and position of the tongue It is composed. The coffin elastic member is symmetrical to th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median suture line, and is formed between the canine myocardium and the first molar centrifuge. 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part is made to be separated from the palate compared to the rear part. This is to prevent infiltration into the tissue during activation. The activation method extends the posterior part when the front curve is gentle and the premolar is extended when the posterior curve is gentle. If both anterior and posterior curves are gentle, the entire buccal arch will expand.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가철식 치아교정장치의 상기 교정용 와이어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U-고리;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클래스프; 및 적어도 한 개 이상의 L-레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rthodontic wire of the removable orthodontic device is at least one U-ring; At least one elastic member; At least one clasp; And at least one L-rest.

상기 교정용 와이어에 구성된 상기 U-고리는 상기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를 유지하고 치아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U-고리에 사용되는 와이어의 직경은 일반적으로 0.7-0.9mm 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교정용 와이어는 4개의 U-고리들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교정의 속성과 환자들의 치아구조, 부정교합 정도에 따라 2개만을 형성할 수도 있고 또는 6개의 고리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적절한 유연성을 상기 교정용 와이어에 제공할 수 있다.The U-ring configured in the orthodontic wire serves to hold the removable tooth orthodontic device and to move the tooth. The diameter of the wire used for the U-rings is generally preferably 0.7-0.9 mm, and the calibration wire generally includes four U-rings. However,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orthodontics, the patient's tooth structure, degree of malocclusion, only two or six rings may be formed. This can provide appropriate flexibility to the calibration wire.

상기 교정용 와이어상에 상기 와이어가 환자의 차아들에게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L-레스트들을 납땜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장치의 형태와 구조에 따라 결합되는 상기 L-레스트의 수도 달라지게 된다.L-rests may be soldered and joined on the orthodontic wire to prevent the wire from falling off the patient's teeth. At this time, the number of the L-rest to be coupled varies depending on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device.

상기 클래스프는 치아들의 교정을 효과적으로 돕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C-클래스프는 치아들의 치열 보정(retention)을 보조해주기 위하여 교정용 와이어의 각 측면 상에 납땜이 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상기 디징 클래스프는 와이어의 지경이 0.7mm인 것이 바람직하며 치아의 최대 풍유부를 따라 진행한 후 유턴(u-turn) 하여 말단부가 근원심 언더컷 부위(undercut area)에 위치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볼 클래스프는 와이어의 직경이 0.7~0.9mm인 것이 바람직하며, 끝부분 형태가 볼 모양을 나타낸다. 상기 크라젯 클래스프는 와이어의 직경이 0.7mm인 것이 바람직하여 평평한 크립(crib)형태의 와이어를 구부린 후 또 다른 와이어를 중앙에서 납땜하여 근원심 언더컷(undercut)에서 유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잭슨 클래스프는 와이어의 직경이 0.7-0.9mm인 것이 바람직하며, 치은 가장자리(gum margine)를 타고 근원심 인접면으로 연장된 후설측으로 넘어가는 원리로 되어 있다. 상기 삼각 클래스프는 와이어의 직경이 0.7-0.9mm인 것이 바람직하 고, 와이어 끝을 피라미드 형태로 만든 후 인접치간 언더컷에서 유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세이지 클래스프는 유지 효과가 매우 높으며, 3번의 유턴(U-turn)을 포함하는 와이어 형성 후 중앙의 유턴 정상에서 치은연과 일치되어 지나가는 와이어를 납땜하여 완성하며, 상기 중앙의 유턴 위치는 치은연 선상에 위치한다. 상기 아이릿 클래스프는 하나의 아이릿이나 여러 개의 연속된 아이릿 구조를 형성하여 사용한다. 상기 애로우헤드 클래스프는 와이어의 직경이 0.7mm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부분 맹출 치아에서 최상의 파지효과를 가지며, 교합장애가 거의 없는 장점이 있으나, 와이어 사용량이 많으며, 연조직 손상 가능성 및 인접치가 없으면 만들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상기 아담 클래스프는 0.7mm의 직경을 가진 와이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애로우헤드 클래스프(Arrowhead clasp)를 단일 치아에 사용할 수 있도록 변형시킨 것으로 체적이 적어 이물감이 적고, 유치, 영구치뿐만 아니라 맹출 중인 치아에도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탄력성이 있으며, 최소한의 공간(space)을 점령하여 유지 효과가 높다. The clasp is used to effectively help correct the teeth, and the C- clasp is generally soldered on each side of the orthodontic wire to assist in the retention of the teeth, and the dicing class It is preferable that the diameter of the wire is 0.7 mm, and the u-turn is made after the u-turn proceeds along the maximum lubrication portion of the tooth so that the distal end portion is located at the myopic undercut area. The ball clasp is preferably 0.7 ~ 0.9mm in diameter of the wire, the end form shows a ball shape. The diameter of the Krajet clasp is preferably 0.7 mm, so that the wire is bent in the form of a flat creep, and then another wire is soldered in the center to maintain the core at the undercut. The Jackson clasp preferably has a diameter of 0.7-0.9mm, and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passing over the gum margine to the posterior tongue extending to the proximal end surface. Preferably, the triangular clasp has a diameter of 0.7-0.9 mm, and the wire end is formed in a pyramid shape and is maintained in an undercut between adjacent teeth. The sage clasp has a very high retention effect, and is formed by soldering a wire passing in line with the gingival lead at the top of the central U-turn after forming a wire including three U-turns, and the central U-turn position is gingival. It is located along the strand. The eyelet clasp is used by forming one eyelet or several consecutive eyelet structures. The arrowhead clasp is preferably used as the diameter of the wire 0.7mm, has the best gripping effect in partially erupted teeth, has the advantage of almost no occlusion disorder, but the wire usage is high, there is no possibility of soft tissue damage and adjacen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can not be. The Adam clasp is preferably a wire having a diameter of 0.7mm, which is a modified deformation of the arrowhead clasp to be used for a single tooth is small in volume, less foreign matter, attracting, permanent teeth as well It has enough elasticity to be used for erupting teeth and has a high retention effect by occupying a minimum space.

종래 가철식 교정장치의 경우 다양한 치아의 이동과 악골 확장이 하나의 장치내에서 효과를 거둘 수 없어서 활용도가 낮았다. 그러나, 본 고안의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는 치아의 이동뿐만 아니라 상악 또는 하악의 확장이나 골격변화를 하나의 장치내에서 자유롭게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장치는 필수적으로 발치가 필요하였으나, 본 고안에서는 발치 없이 악골을 확장하여 치아를 설측 또는 협측으 로 이동할 수 있고, 또한 여러 가지 유형의 부정교합을 해결할 수 있어서 그 활용도가 증가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removable orthodontic device, the movement of various teeth and the expansion of the jaw can not be effective in one device, the utilization was low. However, the removable dental orthodont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reely control not only movement of teeth but also expansion or skeletal changes of the maxillary or mandible within a single device. In addition, although the conventional device is necessary to extract a tooth,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extend the jaw to lingual or buccal without tooth extraction, and also can solve the various types of malocclusion, can increase the utilization have.

이하 본 고안의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고안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removable dental orthodont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도 2(a)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 착용자의 상악을 위한 본 고안의 가철식 교정 장치로서 T형 탄성부재를 상악용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의 측절치에 적용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b)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착용자의 하악을 위한 본 고안의 가철식 교정 장치로서 T형 탄성부재를 하악용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의 제2 소구치에 적용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2 (a)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movable orthodont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wearer's maxillary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shaped elastic member applied to the side incidence of the removable dental orthodontic device for maxillary, Figure 2 ( b) is a view showing the application of the T-type elastic member to the second premolar of the removable dental orthodontic device for mandibular as the removable orthodont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mandible of the wearer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서 상악용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치아를 교정하는 교정용 와이어(10) 및 상기 교정용 와이어(10)의 내측에 형성되어 구강내의 경구대 또는 연구개에 밀착되는 지지부(20)로 이루어진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10)를 절곡하거나 굴곡시켜 얻어진 형상의 상기 교정용 와이어(10)를 치아에 밀착시키고, 또한 상기 교정용 와이어(10)의 내측부에 위치되어 형성된 상기 지지부(20)는 구강내의 경구개 또는 연구개에 밀착시키면 된다. 상기 지지부(20)는 구강내의 경구대(硬口蓋) 또는 연구개(軟口蓋)에 직접적으 로 밀착되어 치아교정기를 고정하여 준다.Orthodontic removable dental orthodontic devic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oral cavity in the oral cavity is formed inside the orthodontic wire 10 and the orthodontic wire 10 to greatly correct the teeth as shown in Figure 2 (a) It consists of a support 20 in close contact with the soft palate. As shown in FIG. 2 (a), the orthodontic wire 10 having a shape obtained by bending or bending the wire 1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a tooth, and is located at an inner side of the orthodontic wire 10. The support 2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ral or soft palate in the oral cavity. The support 20 is directly adhered to the oral band (硬 口 蓋) or soft palate (軟 口 蓋) in the oral cavity to fix the braces.

상기 교정용 와이어(10)와 지지부(20)는 상기 교정용 와이어(10)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교정용 와이어(10)의 끝단측이 상기 지지부(20)의 내부로 매립되도록 상기 교정용 와이어(10)와 지지부(20)가 연결된다.The orthodontic wire 10 and the support part 20 may include end portions of the orthodontic wire 10 extending inwardly of the orthodontic wire 10 so as to be embedded in the support part 20. 10) and the support 20 is connected.

착용자의 상악을 위한 본 고안의 가철식 교정 장치의 실시예에서 상기 교정용 와이어(10)는 4개의 U-고리(11), 전방 탄성부재(15), 두 개의 C-클래스프(12), 두 개의 L-레스트(13)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U-고리(11)는 중절치와 측절치 사이 및 견치와 제1소구치 사이에 각각 한 개씩 고리를 형성하고, 이는 좌우 대칭을 이루고 있어서 총 4개의 고리를 이루고 있다. 또한, 좌, 우측면에 각각 C-클래스프(12)가 상기 교정용 와이어(10)에 결합되어 있으며 교정용 와이어(10)의 제1대구치가 위치하는 협측면에 납땜이 되어 있다. 또한 교정용 와이어(10)의 각 측면은 상기 교정용 와이어(10)가 떨어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L-레스트(13)가 좌, 우측면에서 제1소구치와 제2소구치 사이에 납땜되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전방 치아들이 적절한 교합에 이르고 또한 이들을 앞으로 몰아주기 위해 상기 교정용 와이어(10)상의 전방 치열의 협측면에 전방 탄성부재(15)를 결합하였다.In the embodiment of the removable corr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wearer's maxilla, the orthodontic wire 10 has four U-rings 11, front elastic members 15, two C-classes 12, It further comprises two L-rests 13. The U-ring (11) forms a ring one by one between the middle incisal and lateral incisors, and between the canine and the first premolar, which are symmetrical to form a total of four rings. In addition, the C- clasp 12 is coupled to the calibration wire 10 on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and is soldered to the narrow side where the first molar of the calibration wire 10 is located. In addition, each side of the calibration wire 10 is mounted to the L-rest 13 is soldered between the first premolar and the second premolar on the left and right sides in order to prevent the fall of the calibration wire 10. In addition, the front elastic member 15 is coupled to the buccal surface of the front dentition on the orthodontic wire 10 to bring the front teeth to the proper occlusal and to drive them forward.

상기 교정용 와이어(10)는 지지부(20)의 좌측 후방에서 시작하여 치아의 좌측의 제1대구치의 뒤에서 협측으로 향하며, 치아의 좌측 협측을 따라 앞으로 향하며, 다시 앞쪽 협측을 따라 우측으로 굽어지며, 치아의 우측의 협측면을 따라 뒤로 향한다. 그 후 치아의 제1대구치까지 상기 와이어(10)는 연결되며 상기 제1대구치의 협측 가장 뒤에서 안쪽으로 향하고 이는 우측 후방까지 연장되어 하나의 연결된 교정용 와이어(10)가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 1에서 상기 지지부(20)의 형상은 착용자의 치료하고자 하는 부정교합의 유형에 따라 다른 형상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The orthodontic wire 10 starts from the left rear of the support 20 to the buccal side from behind the first molar on the left side of the tooth, forwards along the left buccal side of the tooth, and is bent to the right along the anterior buccal buccal again. Backward along the buccal plane on the right side of the tooth. The wire 10 is then connected to the first molar of the tooth and is directed inward from the buccal end of the first molar, which extends to the right rear to form one connected orthodontic wire 10. In addition, in the first embodiment, the shape of the support 20 may be manufactured to have a different shape according to the type of malocclusion to be treated by the wearer.

착용자의 상악을 위한 본 고안의 가철식 교정장치의 상기 상악용 지지부(20)는 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적용될 수 있는 스크류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도 2(a)에는 악골의 좌측 및 우측면의 확대를 위하여 2방향 스크류(21)를 적용하였다. 도 4에는 우측(22) 및 좌측 스크류(23)로 구성된 상기 2 방향 스크류(21)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2방향 스크류(21)는 좌ㆍ우 측방 확대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되며 교합평면과 평행하도록 위치되어 있다. The maxillary support 20 of the removable corr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wearer's maxilla may include a screw. There are a number of screws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Figure 2 (a) was applied to the two-way screw 21 for the expansion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jaw bone. 4 shows the two-way screw 21 composed of a right side 22 and a left side screw 23. The two-way screw 21 is used when left and right side enlargement is required and is positioned parallel to the occlusal plane.

도 2(b)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착용자의 하악을 위한 본 고안의 하악용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하악용 장치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치아를 교정하는 교정용 와이어(30) 및 상기 교정용 와이어(30)의 내측에 형성되어 구강내의 경구대 또는 연구개에 밀착되는 지지부(40)로 이루어진다. Figure 2 (b)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showing the lower jaw removable dental orthodont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mandible of the wearer. The mandibular device is formed in the orthodontic wire 30 and the orthodontic wire 30 for straightening teeth as shown in FIG. It consists of 40.

상기 교정용 와이어(30)와 지지부(40)는 상기 교정용 와이어(30)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교정용 와이어(10)의 끝단측이 상기 제1, 제2 지지부(41,42)의 내부로 매립되도록 상기 교정용 와이어(30)와 지지부(40)가 연결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를 교정하면 되는 것으로, 상기 와이어(30)를 절곡하거나 굴곡시켜 얻어진 형상의 상기 교정용 와이어(30)를 치아에 밀착시키고, 또한 상기 교정용 와이어(30)의 내측부에 위치되어 좌우측면에 형성된 상기 지지부(40)는 구강내의 경구개 또는 연구개에 밀착시키면 된다. 상기 지지부(40)는 구강내의 경구대(硬口蓋) 또는 연구개(軟口蓋)에 직접적으로 밀착되어 치아교정기를 고정하여 준다.The end side of the calibration wire 10 extending into the calibration wire 30 and the support wire 40 to the in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arts 41 and 42 is extend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arts 41 and 42. The calibration wire 30 and the support part 40 are connected to be embedded. As shown in FIG. 2 (b), the teeth may be straightened, and the straightening wire 30 having a shape obtained by bending or bending the wire 3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teeth, and the straightening wire 30 The support portion 40 is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and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ral or soft palate in the oral cavity. The support 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ral band (硬 口 蓋) or soft palate (軟 口 蓋) in the oral cavity to fix the braces.

착용자의 하악을 위한 본 고안의 하악용 가철식 치아 교정의 실시예 에서 상기 교정용 와이어(30)는 4개의 C-클래스프(31) 및 전방 탄성부재(34)를 더 포함한다. 지지부(40)에 연결된 코핀(coffin) 탄성부재(33)는 하악골을 확대하기 위한 것인데 이는 많은 유지력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4개의 C-클래스프(31)를 상기 와이어(30)에 납땜하여 장착하고 있으며, 좌, 우 협측면에서 제1대구치, 제1소구치상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전방 탄성부재(34)는 중절치, 측절치 및 견치 등의 전방 치아들이 교합에 이르고 전방 치아들을 앞으로 몰아 주기 위하여 결합되었다.In the embodiment of the mandibular removable dental orthodon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wearer's mandible, the orthodontic wire 30 further includes four C- clasps 31 and front elastic members 34. The coffin elastic member 33 connected to the support 40 is for expanding the mandible, which requires a lot of holding force. Therefore, four C- clasps 31 are attached to the wire 30 by soldering, and are positioned on the first molar and the first premolar respectively on the left and right narrow sides. In addition, the front elastic member 34 is coupled to drive the front teeth such as mid incidence, lateral incisor and canine tooth to reach the occlusal and forward.

상기 지지부(40)는 제1, 제2 지지부(41,42)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코핀(coffin) 탄성부재(33)는 하악골을 확장시키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40)에 분리되어 부착되었다. 상기 교정용 와이어(30)의 좌측은 제1 지지부(41)의 후방에서 시작 하여, 시계방향으로 치아를 감싸게 되는데 먼저 제1대구치의 뒤에서부터 협측으로 향하고 그 후 앞으로 전진하고 제1소구치의 전방에서 설측으로 향하여 제1 지지부(41)의 후방까지 연장된다. 상기 교정용 와이어(30)의 우측은 제2 지지부(42)의 후방에서 시작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치아를 감싸게 되는데 제1대구치의 뒤에서 협측으로 향하고 그 후 앞으로 전진하며 제1소구치의 전방에서 안으로 향하여 제2 지지부(42) 후방까지 연장된다.The support part 40 is composed of first and second support parts 41 and 42, and the coffin elastic member 33 is separately attached to the support part 40 to expand the mandible. The left side of the orthodontic wire 30 starts from the rear of the first support part 41 and wraps the teeth in a clockwise direction, first from the back of the first molar to the buccal side and then forward and then forward of the first premolar. It extends to the rear of the first support part 41 toward the lingual side. The right side of the orthodontic wire 30 wraps the teeth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starting from the rear of the second support 42, toward the buccal side from the back of the first molar and then forward and then inward from the front of the first premolar. It extends to the back of the second support part 42.

도 3은 도 2에 적용된 T형 탄성부재의 모식도를 나타낸 도면으로 다양한 T형 탄성부재(14)들의 예시를 보여주고 있다. 3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diagram of the T-shaped elastic member applied to Figure 2 shows an example of the various T-shaped elastic member (14).

상기 T형 탄성부재(14)는 2개의 가로 날개부가 일체로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도 3(a)는 치아와 접촉하는 첫번째 가로 날개부의 가로 길이가 두번째 가로 날개부의 가로 길이보다 짧은 구조로 되어 있고, 도 3(b)는 상기 2개의 가로 날개부의 길이가 서로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도 3(c)는 치아와 접촉하는 첫번째 가로 날개부의 가로 길이가 두번째 가로 날개부의 가로 길이보다 긴 구조로 되어 있다. 이는 치아들의 이동 목적이나 모양 및 부정교합의 양상에 따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T-shaped elastic member 14 has a structure in which two horizontal wings are integrally connected, and FIG. 3 (a)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first horizontal wing which contacts the tooth is shorter than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second horizontal wing. 3 (b)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lengths of the two horizontal wings are the same. Figure 3 (c)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transverse length of the first transverse wing portion in contact with the teeth is longer than the transverse length of the second transverse wing portion. It can be appropriately modifi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movement or shape of teeth and the pattern of malocclusion.

상기 T형 탄성부재(14)는 직경이 0.5mm 와이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치아들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 상기 T형 탄성부재(14)를 지지부(20)로부터 잡아당겨 수축시켜서 치아에 압력을 가하며, 치아가 어느 정도 이동하면 상기 T형 탄성부 재(14)를 다시 상기 지지부(20)쪽으로 연장시킴으로써 치아의 이동을 조절할 수 있다.The T-shaped elastic member 14 is preferably made of 0.5mm in diameter wire, when the movement of the teeth is required to pull the T-shaped elastic member 14 from the support 20 to shrink and apply pressure to the teeth. If the tooth is moved to some extent, the movement of the tooth may be controlled by extending the T-shaped elastic member 14 toward the support part 20 again.

도 5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T형 탄성부재(14)를 상악용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에 적용한 도면을 나타낸다. 5 to 9 show a diagram in which the T-shaped elastic member 14 is applied to a removable dental orthodontic device for maxilla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T형 탄성부재를 상기 상악용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의 제1 소구치에 적용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T형 탄성부재를 상기 장치의 측절치 및 제1 소구치에 적용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동일한 구조의 T형 탄성부재를 상기 장치의 중절치 및 측절치에 적용한 실시예 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서로 다른 길이의 가로 날개부를 갖는 T형 탄성부재를 상기 장치의 중절치 및 측절치에 각각 적용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세로 지지부로부터 가로 날개부가 한 방향으로만 연장되는 또 다른 구조의 T형 탄성부재를 상기 장치의 중절치 및 측절치에 적용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T-shaped elastic member is applied to a first premolars of the maxillary removable dental orthodontic device, and FIG. 6 is an embodiment in which a T-shaped elastic member is applied to a side incisor and a first premolar of the device. It is a figure which shows. FIG. 7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T-shaped elastic member having the same structure is applied to the mid and lateral incisors of the apparatus, and FIG. 8 is a T-shaped elastic member having horizontal wings of different lengths to the mid and lateral incisors of the apparatus, respectively.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applied example. 9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T-shaped elastic member of another structure in which the transverse wing portion extends in one direction from the longitudinal support portion is applied to the mid and lateral incisors of the apparatus.

교정되어야 할 치아들의 특성 및 구조에 따라 상기 T형 탄성부재(14)를 상기 도 5 내지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나타나 있지는 않으나, 환자의 치아 구조 및 교정이 필요한 치아의 수와 부정교합의 양상에 따라 상기 T형 탄성부재(14)는 다른 조합으로 상기 장치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을 것이고, 또한 각각의 실시예들을 복수개로 조합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the teeth to be corrected, the T-shaped elastic member 14 may be applied differently as shown in FIGS. 5 to 9.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s, the T-shaped elastic member 14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device in different combinations according to the patient's tooth structure and the number of teeth that need to be corrected and the aspect of malocclusion. It may also be possible to combine each of the embodiments in plurality.

한편, 상기 도 5 내지 9는 T형 탄성부재(14) 뿐만 아니라, 2방향 스크류(21)를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에 적용하였다. 상기 2방향 스크류(21)는 악골의 좌ㆍ우 측방 확대를 위하여 장착되었고, T형 탄성부재(14)를 이용하여 견치, 중절치 또는 측절치들의 이동뿐만 아니라, 구치의 이동도 도모할 수도 있어서, 동시에 다양한 치아들의 교정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Figure 5 to 9 as well as the T-shaped elastic member 14, the two-way screw 21 is applied to the removable tooth orthodontic device. The two-way screw 21 is mounted to enlarge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jaw bone, using the T-shaped elastic member 14 to facilitate not only movement of the canine, mid incisor or side incisors, but also movement of the posterior teeth. Various teeth can be corrected.

또한 악골이 좁아서 치아가 비뚤비뚤하게 나거나 상악과 하악의 교합이 바르지 못한 경우 상기 스크류(21)를 사용하여 악골을 확장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가철식 구강장치를 보완하며 고정식 장치의 장점을 부가하였다. 또한 종래 필수적으로 발치를 하였던 가철식 장치에 스크류를 장착하여 악골을 확장할 수 있어서, 발치를 하던 문제점을 해소하였다. 종래 가철식 장치는 교정의 효과가 좋지 못하여 활용이 낮았으며, 단지 고정식 교정기구로 교정의 목적을 달성한 후 이를 유지하는 기능을 주로 하였으나,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종래 고정식 장치가 이루었던 교정 기능을 충분히 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when the jaw is narrow and the teeth are crooked or the occlusion of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is not correct, the jaw can be expanded by using the screw 21, thereby supplementing the conventional removable oral device and adding the advantages of the fixed device. .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jaw by attaching a screw to the removable device that was conventionally extracted, thereby eliminating the problem of extraction. Conventional removable devices have low utilization due to the poor effect of the calibration, and only a fixed calibration mechanism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calibration after maintaining the function, bu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libration function achieved by the conventional fixed device Will be able to do enough.

도 1은 종래 가철식 치아교정기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removable dental braces.

도 2(a)는 T형 탄성부재를 상악용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의 측절치에 적용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b)는 이를 하악용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의 제2소구치에 적용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2 (a)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T-type elastic member is applied to the side incisor of the removable dental orthodontic device for maxilla, Figure 2 (b) is applied to the second premolar of the removable dental orthodontic device for mandibular It is a figure which shows an example.

도 3은 T형 탄성부재의 모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diagram of a T-shaped elastic member.

도 4는 2방향 스크류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two-way screw.

도 5는 T형 탄성부재를 상악용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의 제1소구치에 적용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T-shaped elastic member is applied to a first premolar of a removable dental orthodontic device for maxilla. FIG.

도 6은 T형 탄성부재를 상악용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의 측절치 및 제1소구치에 적용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6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T-shaped elastic member is applied to the side incisors and the first premolar of a removable dental orthodontic device for maxilla.

도 7은 서로 다른 길이의 2개의 가로 날개부를 갖는 동일한 구조의 T형 탄성부재를 상악용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의 중절치 및 측절치에 적용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7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T-shaped elastic member having the same structure having two transverse wings of different lengths is applied to the mid and lateral incisors of the maxillary removable dental orthodontic device.

도 8은 2개의 가로 날개부가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구조의 T형 탄성부재를 상악용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의 중절치 및 측절치에 각각 적용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8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T-shaped elastic member having a structure having two different lengths of horizontal wings are applied to the mid and lateral incisors of the maxillary removable dental orthodontic device, respectively.

도 9는 또 다른 구조의 T형 탄성부재를 상악용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의 중절치 및 측절치에 적용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T-shaped elastic member of another structure is applied to the middle incisor and lateral incisor of the uppermost removable orthodontic devic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0: 상악용 교정용 와이어 11: U 고리 10: Max orthodontic wire 11: U ring

12: C-클래스프 13: L-레스트 12: C-Classf 13: L-rest

14: T형 탄성부재 15: 전방 탄성부재14: T-shaped elastic member 15: front elastic member

20: 상악용 지지부 21: 2방향 스크류 20: maxillary support 21: two-way screw

22: 우측 스크류 23: 좌측 스크류 22: right screw 23: left screw

30: 하악용 교정용 와이어 31: C-클래스프 30: mandible correction wire 31: C-class

32: T형 탄성부재 33: 코핀(coffin) 탄성부재 32: T-shaped elastic member 33: Coffin elastic member

34: 전방 탄성부재34: front elastic member

40: 하악용 지지부 41: 제1 지지부 40: mandible support 41: first support

42: 제2 지지부42: second support

Claims (11)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에 있어서, In the removable dental orthodontic device, 상기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는 치아를 교정하는 교정용 와이어 및 상기 교정용 와이어의 내측에 형성되어 구강내의 경구대 또는 연구개에 밀착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The removable dental orthodontic device includes a straightening wire for straightening the teeth and a support formed in the inner side of the straightening wir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ral band or soft palate in the oral cavity, 상기 지지부는 가로 날개부와 세로 지지부로 구성되고, 중절치, 측절치 및 견치들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거나, 소구치 및 대구치들을 협측으로 이동시키는 T 형 탄성 부재를 적어도 한 개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The support portion is composed of a horizontal wing and a vertical support portion, removable 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r more T-shaped elastic member for moving the incisor, side incisor and dog teeth forward, or move the premolars and molars to the buccal side Orthodontic Devi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T형 탄성부재는 2개 이상의 가로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The T-shaped elastic member is removable teeth orthodont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wo or more horizontal wings. 제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2개 이상의 가로 날개부의 길이가 서로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Removable dental orthodont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or more horizontal wings are the same length. 제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2개 이상의 가로 날개부 중 치아에 접촉하는 가로 날개부의 길이가 치아와 접촉하지 않는 가로 날개부의 길이보다 길거나 또는 상기 2개 이상의 가로 날개부 중 치아에 접촉하는 가로 날개부의 길이가 치아와 접촉하지 않는 가로 날개부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wing which contacts the teeth of the two or more horizontal wings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wing which does not contact the teeth, or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wing which contacts the teeth of the two or more horizontal wings does not contact the teeth. Removable dental orthodont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wing.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세로 지지부는 상기 가로 날개부의 중앙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세로 지지부가 상기 가로 날개부의 어느 한쪽 끝에 위치하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wing portion, or the removable support orthodont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in a shape that is located at either end of the horizontal w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T형 탄성부재는 2개 이상의 가로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The T-shaped elastic member is removable teeth orthodont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wo or more horizontal wings.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철식 치아교정장치는 착용자의 상악을 위한 것으로서, 상기 지지부는 착용자의 상악을 확장하기 위한 스크류에 의해서 상호 결합되는 2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치아 교정 장치.The removable dental orthodontic device is for the wearer's upper jaw, the support portion is removable dental orthodont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two or more mutually coupled by a screw for extending the wearer's maxilla. 제8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스크류는 익스팬션 스크류(Expansion screw), 2방향 스크류(Two dimensional screw), 트랙션 스크류(Traction screw), 맨더블 바우 스크류(Mandibular bow screw), 팬 타입 익스팬션 스크류(Fan type expansion screw), 피스톤 스프링 스크류(Piston spring screw), 노르웨이식 플레이트 스크류(Norwegian plate screw), 하이랙스 익스팬션 스크류(Hyrax expansion screw)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The screw includes expansion screw, two dimensional screw, traction screw, mandular bow screw, fan type expansion screw, piston spring screw (Piston spring screw), Norwegian plate screw (Norwegian plate screw), Hyrax expansion screw (Hyrax expansion screw) characterized in tha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철식 치아교정장치는 착용자의 하악을 위한 것으로서, 상기 지지부는 착용자의 하악을 확장하기 위한 코핀 탄성 부재에 의해서 상호 결합되는 2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치아 교정 장치.The removable dental orthodontic device is for the lower jaw of the wearer, the support portion is removable dental orthodont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two or more mutually coupled by a coffin elastic member for extending the lower jaw of the wearer.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철식 치아교정장치의 상기 교정용 와이어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U-고리;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클래스프; 및 적어도 한 개 이상의 L-레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치아교정장치. The orthodontic wire of the removable dental orthodontic device is at least one U-ring; At least one elastic member; At least one clasp; And at least one or more L-rests.
KR2020090016674U 2009-12-22 2009-12-22 Removable orthodentic device KR20045719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674U KR200457198Y1 (en) 2009-12-22 2009-12-22 Removable orthodent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674U KR200457198Y1 (en) 2009-12-22 2009-12-22 Removable orthodentic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508U KR20110006508U (en) 2011-06-29
KR200457198Y1 true KR200457198Y1 (en) 2011-12-09

Family

ID=49295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6674U KR200457198Y1 (en) 2009-12-22 2009-12-22 Removable orthodentic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198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5168A (en) 2016-11-16 2018-05-25 김병국 Class iii malocclusion orthodontic appliance
KR20210056757A (en) * 2019-11-11 2021-05-20 주식회사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Exchangable Maxillary Skeletal Expander
KR102656766B1 (en) 2021-03-11 2024-04-12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manufacturing jig for PRA and the using the thereof ji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108630A1 (en) * 2016-05-10 2017-11-16 Yong-min Jo Device for correcting misaligned teeth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EP3586791B1 (en) * 2018-06-21 2021-04-07 Cheng-Hsiang Hung Removable orthodontic device
KR102102473B1 (en) * 2019-05-03 2020-04-20 류제건 Chromium cobalt alloy tooth hold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KR102257890B1 (en) * 2019-08-20 2021-05-28 정수창 Teeth occlusal force transfer device
KR102281789B1 (en) * 2020-03-18 2021-07-26 주식회사 그래피 Patient-specific orthodontic device using 3D printing and orthodontic method using the sam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5168A (en) 2016-11-16 2018-05-25 김병국 Class iii malocclusion orthodontic appliance
KR20210056757A (en) * 2019-11-11 2021-05-20 주식회사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Exchangable Maxillary Skeletal Expander
KR102276447B1 (en) * 2019-11-11 2021-07-13 주식회사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Exchangable Maxillary Skeletal Expander
US11648092B2 (en) 2019-11-11 2023-05-16 Biomaterials Korea Inc. Exchangeable or replaceable maxillary skeletal expander
KR102656766B1 (en) 2021-03-11 2024-04-12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manufacturing jig for PRA and the using the thereof ji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508U (en)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82727B2 (en) Protruding mouth straightening wire and projecting mouth straightening system having the same
KR200457198Y1 (en) Removable orthodentic device
US20090098499A1 (en) Maxillofacial orthodontic appliance
US9987104B2 (en) Orthodontic lingual device
EP1928343A2 (en) Orthodontic devices and methods
CN106821517B (en) Maxillary occlusal pad type molar distantly moving device in tooth replacing period
Jahanimoghadam et al. Correction of severe tooth rotation by using two different orthodontic‎ appliances: Report of two cases
CN101019780B (en) Upper jaw embedded impacted tooth guide rod type correcting appliance
CN108371561B (en) Bow-expanding type bite pad
CN113116566A (en) Traction device for embedded tooth
CN208017605U (en) A kind of Improvement type for correcting three classes plate bite leads device before expanding bow joint
CN112075999B (en) Device for assisting in stealth correction of mesial moving molar and correction method
KR101094139B1 (en) Instrument For Orthodontic Treatment
RU152244U1 (en) DEEP BIT TREATMENT DEVICE
CN211381875U (en) Customized LR type appliance for treating early-stage reverse occlusions
Lewis Space closure in extraction cases
CN209984332U (en) Three-force-in-one movable appliance
Lewis Canine retraction
CN217066631U (en) Removable appliance for distantly erecting and moving first molar
CN217566378U (en) Traction arch expansion device for occlusion of upper anterior teeth and stenosis of dental arches of children
CN216167957U (en) Impacted tooth three-dimensional control traction device
CN215192424U (en) Safe tail-end molar positive locking correction device
CN215019360U (en) Traction device for embedded tooth
CN215960388U (en) Moving track for maxillary labial overlapping impacted canine teeth
CN213851150U (en) Traction piece and device for assisting invisible correction of mesial moving mol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