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004Y1 - 숨쉬기 용이한 원통형 머플러 - Google Patents

숨쉬기 용이한 원통형 머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004Y1
KR200457004Y1 KR2020110002188U KR20110002188U KR200457004Y1 KR 200457004 Y1 KR200457004 Y1 KR 200457004Y1 KR 2020110002188 U KR2020110002188 U KR 2020110002188U KR 20110002188 U KR20110002188 U KR 20110002188U KR 200457004 Y1 KR200457004 Y1 KR 2004570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muffler
folded
cover
muffler
huma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21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순
강은경
Original Assignee
강은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은경 filed Critical 강은경
Priority to KR20201100021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0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0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0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Scarves; Head-scarves; Neckerchief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8Means for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0Impermeable to liquids, e.g. waterproof; Liquid-repellent
    • A41D31/102Waterproof and breathabl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6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ela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통형상의 머플러 상측으로 통기부가 형성되어, 원통형 머플러를 인체의 목은 물론 안면부위에 착용시, 상기 통기부가 코와 입부위에 개방되는 상태로 위치토록 되어, 편하게 숨을 내쉴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원통형 머플러를 인체의 목과 얼굴부위 또는 머리의 두건등으로 착용시, 외부의 공기가 상기 통기부를 통하여 원활하게 통풍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원통형 머플러의 통기부 상측으로 착설되는 덮개부의 중앙부위가 볼록하게 형성된 돌출부가 마련되어, 상기 돌출부의 내측 공간부를 통해 가일층 편하게 숨을 내쉴 수 있으면서, 상기 덮개부 하측 개방부를 통하여 숨을 내쉴때 발생되는 습기등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통기부 상측에 착설된 덮개부에 의해 겨울철 스키등과 같은 스포츠를 즐길 경우 발생되는 찬 바람이나, 황사 또는 자외선등으로부터 인체의 목과 얼굴부위 또는 머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한 숨쉬기 용이한 원통형 머플러에 관한 것이다.
그 기술적인 구성은, 직조된 탄성섬유로 이루어진 원통형 머플러(100) 상측으로 인체의 코와 입이 노출 되도록 일정한 크기 및 형상의 통기부(110)가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머플러(100)의 통기부(110)의 상측에는 상단부 및 양측 단부가 재봉(S)에 의해 덮개부(120)가 착설되고, 상기 덮개부(120)는 중앙 내측으로 공간부(P)가 형성토록 중앙부위가 볼록하게 돌출부(130)가 형성되며, 이때 상기 덮개부(120)는 그 상단부 중앙부위가 V자 형상으로 절결되어 접혀져 재봉된 접힘부(140)와, 양측단부에 다수개 포개어 접혀져 재봉된 접힘부(150)(150')(150")가 형성되어 덮개부(120) 중앙부위가 볼록한 돌출부(130)가 형성토록 되는 한편, 상기 원통형 머플러(100)의 덮개부(120) 하측에는, 개방된 개방부(160)가 형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숨쉬기 용이한 원통형 머플러{A Cylindrical Muffler of Easy Breath}
본 고안은 겨울철 찬 바람이나, 황사 또는 자외선등으로부터 인체의 목과 얼굴부위를 보호하도록 착용하거나 또는 두건으로 착용하는 원통형 머플러[(일명 "넥 워머(neck warmer)"]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머플러의 상측으로 형성된 통기부에 의해 코 또는 입부위를 통하여 편하게 숨을 내쉴 수 있도록한 원통형 머플러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원통형상의 머플러 상측으로 일정한 형상 및 크기의 통기부가 형성되어, 원통형 머플러를 인체의 목은 물론 안면부위에 착용시 상기 통기부가 코와 입부위에 개방되는 상태로 위치토록 되고, 이에따라 상기 원통형 머플러의 통기부를 통하여 편하게 숨을 내쉴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원통형 머플러를 인체의 목과 얼굴부위 또는 머리의 두건등으로 착용시, 외부의 공기가 상기 통기부를 통하여 원활하게 통풍될 수 있도록 하여, 인체의 목 또는 이마등에 발생되는 땀등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원통형 머플러의 통기부 상측으로 착설되는 덮개부의 상부 및 양측 단부가 포개어 접혀진 접힘부에 의해 내측으로 공간이 형성되며 중앙부위가 볼록하게 형성된 돌출부가 마련되어, 상기 돌출부의 내측 공간부를 통해 가일층 편하게 숨을 내쉴 수 있으면서, 상기 덮개부 하측 개방부를 통하여 숨을 내쉴때 발생되는 습기등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통기부 상측에 착설된 덮개부에 의해 겨울철 스키등과 같은 스포츠를 즐길 경우 발생되는 찬 바람이나, 황사 또는 자외선등으로부터 인체의 목과 얼굴부위 또는 머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면서, 상기 원통형 머플러의 통기부에 착설되는 덮개부를 머플러와 서로 다른 문양, 다른 재질 또는 다른 색상으로 형성하여 외관상 미려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한 숨쉬기 용이한 원통형 머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있는 텐션(tension)작용을 하는 탄성섬유는, 폴리우레탄계 탄성섬유로 구성되어, 탄성과 탄성 회복력이 우수하므로 스타킹, 여성용 내의 및 신축성 직물등에 널리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와같은 탄성섬유를 이용한 원통형 머플러를 이용하여 목과 얼굴을 동시에 감싸줄 경우, 목과 얼굴부위의 보온효과에 의해 겨울철 춥고, 오한 증세가 완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나, 단순히 섬유 자체의 보온력 외에 다른 기능을 줄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원통형머플러를 인체의 목과 얼굴부위 또는 머리의 두건등으로 착용할 경우, 인체의 코와 입부위가 원통형 머플러에 가려지게 되어, 코와 입을 통하여 편하게 숨을 내쉴 수 없게 됨은 물론, 숨을 내쉴 때 발생되는 습기에 의해 안경 착용자의 안경에 김서림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커다란 단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와같은 원통형 머플러의 경우, 이를 착용시 외부의 공기가 상기 원통형 머플러에 차단되어 원활하게 통풍될 수 없게 됨은 물론, 인체의 목 또는 이마등에서 발생되는 땀등을 제대로 제거할 수 없게 되는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원통형상의 머플러 상측으로 일정한 형상 및 크기의 통기부가 형성되어, 원통형 머플러를 인체의 목은 물론 안면부위에 착용시 상기 통기부가 코와 입부위에 개방되는 상태로 위치토록 되고, 이에따라 상기 원통형 머플러의 통기부를 통하여 편하게 숨을 내쉴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원통형 머플러를 인체의 목과 얼굴부위 또는 머리의 두건등으로 착용시, 외부의 공기가 상기 통기부를 통하여 원활하게 통풍될 수 있도록 하여, 인체의 목 또는 이마등에 발생되는 땀등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원통형 머플러의 통기부 상측으로 착설되는 덮개부의 상부 및 양측 단부가 포개어 접혀진 접힘부에 의해 내측으로 공간이 형성되며 중앙부위가 볼록하게 형성된 돌출부가 마련되어, 상기 돌출부의 내측 공간부를 통해 가일층 편하게 숨을 내쉴 수 있으면서, 상기 덮개부 하측 개방부를 통하여 숨을 내쉴때 발생되는 습기등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통기부 상측에 착설된 덮개부에 의해 겨울철 스키등과 같은 스포츠를 즐길 경우 발생되는 찬 바람이나, 황사 또는 자외선등으로부터 인체의 목과 얼굴부위 또는 머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면서, 상기 원통형 머플러의 통기부에 착설되는 덮개부를 머플러와 서로 다른 문양, 다른 재질 또는 다른 색상으로 형성하여 외관상 미려하게 사용할 수 있는 숨쉬기 용이한 원통형 머플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고안은, 직조된 탄성섬유로 이루어진 원통형 머플러와, 상기 원통형 머플러의 상측으로 인체의 코와 입이 노출 되도록 형성되는 일정한 크기 및 형상의 통기부와, 상기 원통형 머플러의 통기부의 상측에 상단부 및 양측 단부가 재봉에 의해 착설된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중앙 내측으로 공간부가 형성토록 중앙부위가 볼록하게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숨쉬기 용이한 원통형 머플러에 있어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덮개부는 그 상단부 중앙부위가 V자 형상으로 절결되어 접혀져 재봉된 접힘부 및 양측단부에 다수개 포개어 접혀져 재봉된 접힘부가 형성되어 덮개부 중앙부위가 볼록한 돌출부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숨쉬기 용이한 원통형 머플러를 마련함에 의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숨쉬기 용이한 원통형 머플러에 의하면, 원통형상의 머플러 상측으로 일정한 형상 및 크기의 통기부가 형성되어, 원통형 머플러를 인체의 목은 물론 안면부위에 착용시 상기 통기부가 코와 입부위에 개방되는 상태로 위치토록 되고, 이에따라 상기 원통형 머플러의 통기부를 통하여 편하게 숨을 내쉴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원통형 머플러를 인체의 목과 얼굴부위 또는 머리의 두건등으로 착용시, 외부의 공기가 상기 통기부를 통하여 원활하게 통풍될 수 있도록 하여, 인체의 목 또는 이마등에 발생되는 땀등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원통형 머플러의 통기부 상측으로 착설되는 덮개부의 상부 및 양측 단부가 포개어 접혀진 접힘부에 의해 내측으로 공간이 형성되며 중앙부위가 볼록하게 형성된 돌출부가 마련되어, 상기 돌출부의 내측 공간부를 통해 가일층 편하게 숨을 내쉴 수 있으면서, 상기 덮개부 하측 개방부를 통하여 숨을 내쉴때 발생되는 습기등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통기부 상측에 착설된 덮개부에 의해 겨울철 스키등과 같은 스포츠를 즐길 경우 발생되는 찬 바람이나, 황사 또는 자외선등으로부터 인체의 목과 얼굴부위 또는 머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면서, 상기 원통형 머플러의 통기부에 착설되는 덮개부를 머플러와 서로 다른 문양, 다른 재질 또는 다른 색상으로 형성하여 외관상 미려하게 사용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원통형 머플러의 통기부 상측으로 덮개부가 착설된 상태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숨쉬기 용이한 원통형 머플러의 배면 구조도.
도 3은 본 고안인 원통형 머플러의 통기부 상측으로 착설되는 덮개부의 내부를 도시한 일부 절결 구조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인 원통형 머플러의 통기부 상측으로 착설되는 덮개부의 요부 사시도 및 덮개부의 상부와 양측단부가 포개어 접혀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인 숨쉬기 용이한 원통형 머플러의 착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0...원통형 스카프 110...통기부
120...덮개부 130...돌출부
140...접힘부 150,150',150"...접힘부
160...개방부
P...공간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원통형 머플러의 통기부 상측으로 덮개부가 착설된 상태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숨쉬기 용이한 원통형 머플러의 배면 구조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인 원통형 머플러의 통기부 상측으로 착설되는 덮개부의 내부를 도시한 일부 절결 구조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인 원통형 머플러의 통기부 상측으로 착설되는 덮개부의 요부 사시도 및 덮개부의 상부와 양측단부가 포개어 접혀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인 숨쉬기 용이한 원통형 머플러의 착용 상태도로서, 직조된 탄성섬유로 이루어진 원통형 머플러(100) 상측으로 인체의 코와 입이 노출 되도록 일정한 크기 및 형상의 통기부(110)가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머플러(100)의 통기부(110)의 상측에는 상단부 및 양측 단부가 재봉(S)에 의해 덮개부(120)가 착설된다.
또한, 상기 덮개부(120)는 중앙 내측으로 공간부(P)가 형성토록 중앙부위가 볼록하게 돌출부(130)가 형성되며, 이때 상기 덮개부(120)는 그 상단부 중앙부위가 V자 형상으로 절결되어 접혀져 재봉된 접힘부(140)와, 양측단부에 다수개 포개어 접혀져 재봉된 접힘부(150)(150')(150")가 형성되어 덮개부(120) 중앙부위가 볼록한 돌출부(130)가 형성토록 되고, 상기 원통형 머플러(100)의 덮개부(120) 하측에는, 개방된 개방부(160)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삭제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원통형 머플러는, 직조된 탄성섬유로 이루어진 원통형 머플러(100)의 상측으로 인체의 코와 입이 노출되는 일정한 크기 및 형상의 통기부(11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원통형 머플러(100)를 착용시 통기부(110)를 통하여 편하게 숨을 내쉴 수 있도록 하며, 외부의 공기가 상기 통기부(110)를 통하여 원활하게 통풍될 수 있도록 하여, 인체의 목 또는 두건으로 착용시 이마등에 발생되는 땀등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통기부(110) 상측에 착설되는 덮개부(120)는, 사각형, 원형, 타원형, 삼각형, 마름모꼴, 부채꼴 형상등과 같이 각각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원통형 머플러(100)를 인체의 목과 안면부위에 일체로 착용시 외관이 미려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원통형 머플러(100)의 통기부(110) 상측에는 상단부 및 양측 단부가 재봉(S)에 의해 덮개부(120)가 착설되어, 겨울철 찬 바람이나, 황사 또는 자외선등으로부터 인체의 목과 얼굴부위 또는 머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덮개부(120)는 도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중앙 내측으로 공간부(P)가 형성토록 중앙부위가 볼록하게 돌출부(130)가 형성되며, 이때 상기 덮개부(120)는 그 상단부 중앙부위가 V자 형상으로 절결되어 접혀져 재봉된 접힘부(140)와, 양측단부에 다수개 포개어 접혀져 재봉된 접힘부(150)(150')(150")가 형성되어 덮개부(120) 중앙부위가 볼록한 돌출부(130)가 형성토록 됨으로써, 상기 돌출부(130)의 내측 공간부(P)를 통해 가일층 편하게 숨을 내쉴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원통형 머플러(100)의 덮개부(120) 하측에는, 개방된 개방부(160)가 형성되어, 숨을 내쉴때 발생되는 습기등이 상기 개방부(160)를 통하여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6)

  1. 직조된 탄성섬유로 이루어진 원통형 머플러와, 상기 원통형 머플러의 상측으로 인체의 코와 입이 노출 되도록 형성되는 일정한 크기 및 형상의 통기부와, 상기 원통형 머플러의 통기부의 상측에 상단부 및 양측 단부가 재봉에 의해 착설된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중앙 내측으로 공간부가 형성토록 중앙부위가 볼록하게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숨쉬기 용이한 원통형 머플러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그 상단부 중앙부위가 V자 형상으로 절결되어 접혀져 재봉된 접힘부 및 양측단부에 다수개 포개어 접혀져 재봉된 접힘부가 형성되어 덮개부 중앙부위가 볼록한 돌출부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숨쉬기 용이한 원통형 머플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110002188U 2011-03-16 2011-03-16 숨쉬기 용이한 원통형 머플러 KR2004570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188U KR200457004Y1 (ko) 2011-03-16 2011-03-16 숨쉬기 용이한 원통형 머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188U KR200457004Y1 (ko) 2011-03-16 2011-03-16 숨쉬기 용이한 원통형 머플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7004Y1 true KR200457004Y1 (ko) 2011-12-01

Family

ID=45569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2188U KR200457004Y1 (ko) 2011-03-16 2011-03-16 숨쉬기 용이한 원통형 머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0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022B1 (ko) * 2018-06-21 2019-05-22 방병주 밀폐성을 구비한 미세먼지 차단용 넥워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1065Y1 (ko) * 2005-12-30 2006-03-15 손세화 형성공간 고정지지체를 갖는 마스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1065Y1 (ko) * 2005-12-30 2006-03-15 손세화 형성공간 고정지지체를 갖는 마스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022B1 (ko) * 2018-06-21 2019-05-22 방병주 밀폐성을 구비한 미세먼지 차단용 넥워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07233U (ja) 密着調節型多機能性ヘアーウェア
CN200973388Y (zh) 围巾兼口罩
KR200460804Y1 (ko) 원통형 방한 마스크
KR200448087Y1 (ko) 다기능성 밴드
US20110179540A1 (en) Tailored and vented facial garment
KR101525794B1 (ko) 보호 마스크를 가진 넥워머
KR101418787B1 (ko) 착용이 용이하고 흘러내림이 방지되는 마스크
KR200386524Y1 (ko) 마스크가 결합된 후드를 구비한 상의
KR200457004Y1 (ko) 숨쉬기 용이한 원통형 머플러
KR20090012049U (ko) 이중 마스크
KR200457145Y1 (ko) 야외용 자외선차단 마스크
KR101314798B1 (ko) 원통형 스카프
KR200457005Y1 (ko) 숨쉬기 용이한 삼각 스카프
KR20100008129A (ko) 통기성이 좋은 차광 마스크
KR101078594B1 (ko) 통기구가 형성된 마스크 및 머플러
KR200470709Y1 (ko) 숨쉬기 용이한 방한 마스크
KR101348257B1 (ko) 다기능 손수건
KR101066758B1 (ko) 다기능 헤어밴드
KR200389797Y1 (ko) 얼굴 전면 방한대
KR20120007661U (ko) 착용이 용이한 원통형 스카프
KR200484165Y1 (ko) 통기부의 고정력을 향상시킨 의류
JP6562270B2 (ja) 密着調節型多機能頭巾
KR101626963B1 (ko) 모자 결합형 타월
JP5559578B2 (ja) 目出し帽子
KR20120122291A (ko) 흘러내림 방지용 삼각 스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