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969Y1 -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969Y1
KR200456969Y1 KR2020110005010U KR20110005010U KR200456969Y1 KR 200456969 Y1 KR200456969 Y1 KR 200456969Y1 KR 2020110005010 U KR2020110005010 U KR 2020110005010U KR 20110005010 U KR20110005010 U KR 20110005010U KR 200456969 Y1 KR200456969 Y1 KR 2004569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ortable terminal
cradle
holder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50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선일
이주희
Original Assignee
이주희
주선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희, 주선일 filed Critical 이주희
Priority to KR20201100050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9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9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969Y1/ko
Priority to PCT/KR2012/004439 priority patent/WO2012169770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 단말기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속이 빈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휴대 단말기의 일면이 밀착되어 거치되는 전방벽과, 상기 전방벽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전방벽과의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하고, 단열재층이 형성되는 후방벽과, 상기 빈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통공이 관통 형성되는 하방벽과, 상기 빈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통공이 각각 관통 형성되는 좌측방벽과 우측방벽, 그리고 상기 좌측방벽과 상기 우측방벽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전방벽의 앞으로 만곡되고, 탄성력에 의해 상기 휴대 단말기를 후방으로 밀어 상기 전방벽에 밀착되도록 지지하는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단말기로 전달되는 복사열을 차단하면서도, 단말기 내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시킴으로써, 단말기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CRADLE FOR PORTABLE TERMINAL}
본 고안은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 네비게이션 장치, 타블릿(Tablet) 컴퓨터,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등 휴대 이동 가능한 각종 전자기기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들은 차량에 거치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특히 여름철에는 차량의 유리창을 통해 전달되는 복사열에 의하여 거치된 단말기가 과열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였다. 특히 차량 내부의 온도가 높지 않더라도 태양광이 단말기로 직접 전달되면 차량 내부 온도보다 단말기나 단말기의 거치대 온도가 현저히 높아지면서 단말기가 과열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의 과열은 단말기 동작에 오류를 발생시킬 뿐 아니라, 단말기 내구성에 손상을 주기 때문에 문제가 되어왔다.
따라서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단말기로 전달되는 복사열을 차단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단말기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면서도, 단말기 내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시킬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속이 빈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휴대 단말기의 일면이 밀착되어 거치되는 전방벽과; 상기 전방벽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전방벽과의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하고, 단열재층이 형성되는 후방벽과; 상기 빈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통공이 관통 형성되는 하방벽과; 상기 빈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통공이 각각 관통 형성되는 좌측방벽과 우측방벽; 그리고 상기 좌측방벽과 상기 우측방벽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전방벽의 앞으로 만곡되고, 탄성력에 의해 상기 휴대 단말기를 후방으로 밀어 상기 전방벽에 밀착되도록 지지하는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열재층은, 세라믹재, 직물재, 펄프지재, 발포 합성수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벽은, 두 개의 합성수지재의 사각판과, 상기 두 개의 사각판 사이에 끼워져 두 개의 사각판 각각에 양면이 밀착되는 단열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방벽에는, 상기 하방벽과 동일 평면상에서 상기 하방벽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그 전단이 상측으로 수직으로 절곡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저면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서포터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는, 길이방향의 중심 부분이 상기 빈 공간 내에 수용되어 고정되고, 상기 좌측방벽과 상기 우측방벽에 각각 형성된 통공을 통해 양단이 각각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후방벽과 상기 전방벽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후방벽과 상기 전방벽이 서로 이격되는 상기 소정거리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후방 벽과 상기 전방벽 사이에서 상기 후방벽과 상기 전방벽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레그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속이 비고 전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폐쇄된 상측벽 및 후측벽, 관통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통공을 갖는 우측벽과 좌측벽 및 하측벽을 포함하는 후방하우징과; 세라믹재, 직물재, 펄프지재, 발포 합성수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후방하우징의 후측벽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사각 판상의 단열시트와; 상기 단열시트의 전면에 밀착되는 사각 판상의 시트커버와; 상기 시트커버와 평행한 사각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시트커버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시트커버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소정높이를 갖는 하나 이상의 레그가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전방하우징과; 상기 전방하우징의 전면에 접착되는 사각 판상의 마감커버; 그리고 길이방향의 중심부분이 상기 시트커버와 상기 전방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빈 공간 내에 위치하도록 고정되며, 양단이 각각 상기 우측벽과 상기 좌측벽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마감커버의 앞으로 만곡되어, 거치된 휴대 단말기를 후방으로 밀어 지지하는 탄성소재의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우측벽과 좌측벽 및 하측벽에 형성되는 상기 통공이 상기 빈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는, 좌우측면이 각각 상기 후방하우징의 상기 좌측면과 상기 우측면에 고정되고, 상면이 상기 후방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상기 후방하우징의 전후방향 폭보다 길게 연장되는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는 차광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단말기로 전달되는 복사열을 차단함으로써 단말기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 따르면, 단말기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면서도, 단말기 내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시킴으로써, 단말기 내부에서 발생한 열에 의한 단말기 과열도 함께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 포함되는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의 길이방향 단면의 형상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 단말기를 설치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는 대략 사각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의 내부에는 외부 공기와 연통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을 중심으로 후방측의 벽에는 단열재층이 형성되고 전방측의 벽에는 휴대 단말기가 고정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의 내부 공간과 외부가 연통될 수 있도록 상기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의 좌우측방의 벽과 하방측의 벽을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다만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 포함되는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의 길이방향 단면의 형상을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 단말기를 설치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1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100)에 단말기가 안착되는 면을 전면으로 보면, 상기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100)의 후측벽과 상하좌우면을 이루는 후방하우징(10)이 구비된다. 상기 후방하우징(10)은 대략 일면이 개방된 속이 빈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후방하우징(10)은 상측벽(11), 우측벽(12), 좌측벽(13), 하측면(14), 그리고 후측벽(15)을 포함하고 그에 따라 내부에는 직육면체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며, 각각의 면은 일체로서 형성된다. 상기 후방하우징(10)은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우측벽(12)과 상기 좌측벽(13)에는 하나 이상의 통공이 관통 형성되는데, 각각의 통공은 상기 우측벽(12)과 상기 좌측벽(13)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우측벽(12)과 상기 좌측벽(13)에는 각각 제1, 제2, 제3우측통공(12a, 12b, 12c)과 제1, 제2, 제3좌측통공(13a, 13b, 13c)이 관통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우측벽(12)과 상기 좌측벽(13)의 강도를 적절히 하기 위하여 하나의 통공이 길게 형성되기 보다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통공이 길이방향으로 직렬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후방하우징(10)의 하측면(14)에도 하나 이상의 통공(14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우측벽(12)과 상기 좌측벽(13) 그리고 상기 하측면(14)에 형성되는 통공들은 상기 후방하우징(10)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상기 후방하우징(10) 내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측면(14)에는 전방을 항하여 상기 하측면(14)과 동일 평면상에서 상기 하측면(14)의 길이방향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서포터(14b)가 형성되는데, 상기 서포터(14b)는 상기 후방하우징(10)의 전방에 휴대 단말기(T)가 거치되면, 거치된 휴대 단말기(T)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나아가 상기 서포터(14b)는 상기 서포터(14b)의 연장방향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길이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고정턱(14b')을 포함하는데, 상기 고정턱(14b')은 상기 서포터(14b)로부터 일체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서포터(14b)는 예시된 바와 같이 2개가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서포터(14b)의 폭과 형성되는 숫자는 실시예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후측벽(15)에는 상기 후방하우징(2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15a)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5a)는 상기 후측벽(15)의 내측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며, 그 형상과 형성되는 갯수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된 2 개의 직사각형 형상이 될 수도 있지만 그 형상과 구비되는 갯수는 실시예에 따라 달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15a)에는 하나 이상의 볼트공(15a')이 형성된다. 상기 볼트공(15a')은 볼트(B)가 끼워지는 부분으로서, 상기 후방하우징(20)과 후술할 단열시트(20), 시트커버(30), 전방하우징(40) 등을 결합하면서 동시에, 후술할 홀더(60)를 상기 후방하우징(20)과 일체로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에 따라 상기 돌출부(15a)는 상기 홀더(60)가 고정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후방하우징(20)의 폭방향과 높이방향에 대하여 대략 가운데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측벽(15)의 외주에는 하나 이상의 돌기(15b)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돌기(15b)에는 후술할 단열시트(20), 시트커버(30), 전방하우징(40) 등을 서로 고정하기 위한 결합공(15b')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후방하우징(10)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상기 후측벽(15)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단열시트(20)가 안착된다. 상기 단열시트(20)는 세라믹재, 직물재, 펄프지재, 발포 합성수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단열재로 형성된 대략 사각 판상의 시트로서, 상기 돌출부(15a)와, 상기 돌기(15b)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각각 관통공(22, 2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하우징(10)의 후측벽(15) 내측면에 상기 단열시트(20)의 후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단열시트(20)의 전면에는 다시 시트커버(30)가 밀착된다. 상기 시트커버(30)는 사각 판상의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되며, 상기 시트커버(30)에는 각각 상기 돌출부(15a)에 형성된 볼트공(15a')과 상기 돌기(15b)에 형성된 결합공(15b')에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홀(31a)과 결합홀(31b)이 상기 시트커버(3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열시트(20)와 상기 시트커버(30)가 상기 우측벽(12)과 상기 좌측벽(13)에 형성된 통공(12a, 12b, 12c, 13a, 13b, 13c)을 가리지 않도록 상기 단열시트(20)와 상기 시트커버(30)는 상기 통공(12a, 12b, 12c, 13a, 13b, 13c)이 형성된 위치보다 상기 후방하우징(10) 내에 더 깊게 안착된다. 즉, 상기 단열시트(20)와 상기 시트커버(30)의 두께의 합은 상기 우측벽(12)과 상기 좌측벽(13)의 전체 높이에서 상기 후측벽(15)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통공(12a, 12b, 12c, 13a, 13b, 13c)이 형성되는 부분의 높이 이하가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후방하우징(10)에 상기 단열시트(20)와 상기 시트커버(30)의 전방에는 전방하우징(40)이 결합된다. 상기 전방하우징(40)은 전체적으로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된 사각 판상의 부재이고, 상기 전방하우징(40)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수직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브릿지(42)와 복수의 레그(43)가 형성된다. 상기 브릿지(42)는 상기 후방하우징(10)의 상기 돌출부(15a)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레그(43)는 상기 후방하우징(10)의 상기 돌기(15b)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브릿지(42)의 높이와 상기 레그(43)의 높이는 동일할 수도 있으나, 상기 브릿지(42)의 높이가 후술할 홀더(60)의 두께만큼 상기 레그(43)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릿지(42)와 상기 레그(43)의 높이는 상기 시트커버(30)로부터 상기 전방하우징(40)이 이루는 사각 판 사이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선택되며, 상기 레그(43)의 높이는 적절하게는 상기 후방하우징(10)에 형성된 상기 통공(12a, 12b, 12c, 13a, 13b, 13c)의 높이 이상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릿지(42)와 상기 레그(43)에는 각각 상기 결합공(15a')과 상기 고정공(15b')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구멍(42a)과 고정구멍(43a)이 형성되는데, 상기 전방하우징(40)의 전면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볼트(B)가 상기 볼트구멍(41a), 볼트홀(31a)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볼트구멍(15a')과 나사결합된다. 또한 상기 전방하우징(40)의 전면으로부터 복수의 볼트(B)가 상기 결합구멍(43a)과 결합홀(31b)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결합공(15b')과 나사 결합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전방하우징(40)과 상기 시트커버(30), 상기 단열시트(20), 그리고 상기 후방하우징(10)이 순차적으로 배열된 상태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전방하우징(40)의 전면에는 마감커버(50)가 접착되는데, 상기 마감커버(50)는 고무 등의 마감재로 형성되고 대략 사각 판상을 갖는 커버본체(51)를 포함하고, 하단에는 상기 서포터(14b)의 연장 방향에 수직 방향의 단면과 같은 형상의 요입부(51a)가 형성됨으로서 상기 서포터(14b)가 전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커버본체(51)의 가로, 세로 폭은 상기 전방하우징(40)의 가로, 세로 폭을 넘어서 상기 후방하우징(10)의 상기 상측벽(11), 상기 우측벽(12), 상기 좌측벽(13), 그리고 상기 하측벽(14)의 전면까지 모두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100)의 전면을 전체적으로 마감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트커버(30)와 상기 전방하우징(40) 사이에는 홀더(60)가 고정되는데, 상기 홀더(60)는 서로 대칭형의 우측홀더(61)와 좌측홀더(6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우측홀더(61)와 상기 좌측홀더(6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분리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우측홀더(61)와 상기 좌측홀더(62)는 각각 대략 직사각형의 얇은 판상을 갖고, 상기 시트커버(30)와 상기 전방하우징(40)에 고정되는 상기 우측홀더(61)와 좌측홀더(62)의 중앙단에는 상기 볼트공(15a')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볼트구(61a, 61b)가 하나 이상 형성되고, 그로부터 상기 우측홀더(61)와 좌측홀더(62)이 각각 우측과 좌측방향으로 평면으로 연장되다가 상기 우측홀더(61)와 좌측홀더(62)의 각각 우측단과 좌측단 부분은 알파벳 S자 형상으로 만곡된다. 상기 우측홀더(61)와 좌측홀더(62) 각각의 우측단과 좌측단은 먼저 전방으로 만곡되다가 다시 중심 방향으로 만곡되는 고정부(61b, 62b)와, 상기 고정부(61b, 62b)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고 각각 다시 우측과 좌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61c, 62c)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61b, 62b)와 상기 가이드부(61c, 62c)는 전체 구간에 걸쳐 서서히 전방으로 전진한다.
이때 상기 홀더(60)는 상기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100)에 거치되는 휴대 단말기(T)를 각각 우측과 좌측에서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가이드부(61c, 62c)는 휴대 단말기(T)가 전방에서 끼워질 때 휴대 단말기(T)의 측면을 후방으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고정부(61b, 62b)는 끼워진 휴대 단말기(T)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휴대 단말기(T)는 그 폭 방향의 좌우측에서 상기 홀더(60)와 상기 마감커버(50)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 즉 상기 홀더(60)의 탄성력에 의하여 휴대단말기(T)가 후방으로 밀어져 거치대에 고정된다.
이때 하나의 볼트(B)에 의해 관통되는 상기 볼트홀(31a)과 상기 볼트구멍(42a) 사이에는 상기 홀더(60)에 형성된 상기 볼트구(61a, 62a)가 위치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홀더(60)는 상기 전방하우징(40)의 상기 브릿지(42)와 상기 시트커버(30)의 전면 사이에 고정되며, 상기 홀더(60)의 우측단과 좌측단은 각각 상기 우측벽(12)과 좌측벽(13)에 관통 형성된 통공(12b, 13b)을 통해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마감커버(60)의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100)에는 차광플레이트(70)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차광플레이트(70)는 상기 후방하우징(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차광 플레이트(70)는 상측플레이트(71)와 우측플레이트(72), 그리고 좌측플레이트(7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측플레이트(71)는 상기 후방하우징(10)의 전후방향 폭보다 그 전후방향 폭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T)의 상방으로부터 조사되는 태양광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우측플레이트(72)와 상기 좌측플레이트(73)는 각각 상기 상측플레이트(71)로부터 수직하게 하방으로 일체로 연장되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각 판상에서 그 전방 하측 모서리가 각각 'ㄱ'자 형상으로 절삭된 형상의 요입부(72a, 73a)를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우측플레이트(72)와 상기 좌측플레이트(73)의 내측면에는 각각 상기 후방하우징(10)과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우측면(12)과 상기 좌측면(13)에 관통 형성된 상기 제1우측통공(12a)과 상기 제1좌측통공(13a)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우측통공(12a)과 상기 제1좌측통공(13a)에 끼워지는 우측리브(72b)와 좌측리브(73b)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우측리브(72b)와 좌측리브(73b)는 각각 상기 우측플레이트(72)와 상기 좌측플레이트(73)의 내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우측통공(12a)과 상기 제1좌측통공(13a)에 각각 끼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100)에 의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100)의 전면에 휴대 단말기(T)가 거치되는데, 휴대 단말기(T)는 상기 홀더(60)에 의해 양측이 고정되고, 그 저면은 상기 서포터(14b)에 의하여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T)와 접하는 상기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100)의 전면을 기준으로 그 후방에는 외부 공기가 연통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100)의 우측벽(12)과 좌측벽(13), 그리고 하측벽(14)에 형성된 복수의 통공을 통해 외부 공기와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100) 내부 공기의 순환(W)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100)의 후방으로부터의 복사열(L)은 상기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100)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을 기준으로 후방에 형성되는 단열시트(20)에 의하여 차단되므로, 복사열이 내부 공간의 전방에 거치되는 휴대 단말기(T)로 직접 전달되지 않는다. 그에 따라 휴대 단말기(T)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은 상기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방열되는 반면, 상기 거치대(100) 후방으로 조사되는 복사열은 휴대 단말기(T)로 전달되지 않아 휴대 단말기(T)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후방하우징 20: 단열시트
30: 시트커버 40: 전방하우징
50: 마감커버 60: 홀더
70: 차광플레이트 100: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Claims (10)

  1. 휴대 단말기의 일면이 밀착되어 거치되는 전방벽과;
    상기 전방벽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전방벽과의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하고, 단열재층이 형성되는 후방벽과;
    상기 빈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통공이 관통 형성되는 하방벽과;
    상기 빈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통공이 각각 관통 형성되는 좌측방벽과 우측방벽; 그리고
    상기 좌측방벽과 상기 우측방벽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전방벽의 앞으로 만곡되고, 탄성력에 의해 상기 휴대 단말기를 후방으로 밀어 상기 전방벽에 밀착되도록 지지하는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층은,
    세라믹재, 직물재, 펄프지재, 발포 합성수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벽은,
    두 개의 합성수지재의 사각판과,
    상기 두 개의 사각판 사이에 끼워져 두 개의 사각판 각각에 양면이 밀착되는 단열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방벽에는,
    상기 하방벽과 동일 평면상에서 상기 하방벽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그 전단이 상측으로 수직으로 절곡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저면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서포터가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길이방향의 중심 부분이 상기 빈 공간 내에 수용되어 고정되고, 상기 좌측방벽과 상기 우측방벽에 각각 형성된 통공을 통해 양단이 각각 외부로 연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벽과 상기 전방벽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후방벽과 상기 전방벽이 서로 이격되는 상기 소정거리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후방벽과 상기 전방벽 사이에서 상기 후방벽과 상기 전방벽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레그가 형성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7. 속이 비고 전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폐쇄된 상측벽 및 후측벽, 관통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통공을 갖는 우측벽과 좌측벽 및 하측벽을 포함하는 후방하우징과;
    세라믹재, 직물재, 펄프지재, 발포 합성수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후방하우징의 후측벽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사각 판상의 단열시트와;
    상기 단열시트의 전면에 밀착되는 사각 판상의 시트커버와;
    상기 시트커버와 평행한 사각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시트커버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시트커버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소정높이를 갖는 하나 이상의 레그가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전방하우징과;
    상기 전방하우징의 전면에 접착되는 사각 판상의 마감커버; 그리고
    길이방향의 중심부분이 상기 시트커버와 상기 전방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빈 공간 내에 위치하도록 고정되며, 양단이 각각 상기 우측벽과 상기 좌측벽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마감커버의 앞으로 만곡되어, 거치된 휴대 단말기를 후방으로 밀어 지지하는 탄성소재의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우측벽과 좌측벽 및 하측벽에 형성되는 상기 통공이 상기 빈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는,
    좌우측면이 각각 상기 후방하우징의 상기 좌측면과 상기 우측면에 고정되고, 상면이 상기 후방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상기 후방하우징의 전후방향 폭보다 길게 연장되는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는 차광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9. 휴대 단말기가 거치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면이 향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정할 때, 전방, 후방, 좌측방, 우측방, 상방, 그리고 하방 모두에 대해 전체적으로 밀폐되어 그 내부에 외부와 구분되는 빈 공간이 형성되며, 좌측방, 우측방, 하방 중 적어도 한 방향에서 내부의 빈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통공이 관통형성되는 몸체; 그리고
    상기 몸체와 연결되고, 상기 몸체의 후방으로부터 좌측방과 우측방을 거쳐 전방으로 연장되며, 탄성력에 의해 휴대 단말기를 각각 휴대 단말기의 우측과 좌측에서 고정하는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내부 일측에 상기 전방에 수직한 판 형상의 단열층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KR2020110005010U 2011-06-07 2011-06-07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KR2004569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010U KR200456969Y1 (ko) 2011-06-07 2011-06-07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PCT/KR2012/004439 WO2012169770A2 (ko) 2011-06-07 2012-06-05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010U KR200456969Y1 (ko) 2011-06-07 2011-06-07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6969Y1 true KR200456969Y1 (ko) 2011-11-30

Family

ID=45569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5010U KR200456969Y1 (ko) 2011-06-07 2011-06-07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56969Y1 (ko)
WO (1) WO2012169770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634Y1 (ko) 2012-05-25 2012-09-20 고성곤 가압고정구조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101374742B1 (ko) 2012-07-13 2014-03-17 주식회사 탱그램디자인연구소 태블릿 컴퓨터 벽걸이 거치장치
KR20230114503A (ko) * 2022-01-25 2023-08-01 주식회사 엘케이에스글로벌 원격 의료를 위한 생체 모니터링 및 케어 시스템에서의 생체 신호 측정 장치용 거치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15953B (zh) * 2021-01-18 2022-12-27 深圳雷杰斯科技有限公司 一种防辐射手机支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767Y1 (ko) 2000-03-07 2000-08-01 최은석 충전용 잭 내장형 핸드폰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9634B2 (ja) * 1995-03-15 2005-04-20 ヤック株式会社 携帯電話用ホルダ
KR20060104563A (ko) * 2005-03-31 2006-10-09 (주)월드텍 차량용 핸드폰 홀더 및 제어장치
KR100796468B1 (ko) * 2006-11-13 2008-01-21 (주)대우루컴즈 네비게이션용 거치대
KR20100031256A (ko) * 2008-09-12 2010-03-22 최행순 자동차용 거치식 네비게이션 케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767Y1 (ko) 2000-03-07 2000-08-01 최은석 충전용 잭 내장형 핸드폰 거치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634Y1 (ko) 2012-05-25 2012-09-20 고성곤 가압고정구조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101374742B1 (ko) 2012-07-13 2014-03-17 주식회사 탱그램디자인연구소 태블릿 컴퓨터 벽걸이 거치장치
KR20230114503A (ko) * 2022-01-25 2023-08-01 주식회사 엘케이에스글로벌 원격 의료를 위한 생체 모니터링 및 케어 시스템에서의 생체 신호 측정 장치용 거치대
KR102654009B1 (ko) 2022-01-25 2024-04-03 주식회사 엘케이에스글로벌 원격 의료를 위한 생체 모니터링 및 케어 시스템에서의 생체 신호 측정 장치용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69770A9 (ko) 2013-02-21
WO2012169770A2 (ko) 2012-12-13
WO2012169770A3 (ko) 2013-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6969Y1 (ko)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CN105526766A (zh) 用于冷藏冷冻装置的门体及冷藏冷冻装置
WO2019114175A1 (zh) 无线充电器
WO2012128459A3 (ko) 솔라웨이퍼 카세트
US9436239B1 (en) Cooling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JP2017059436A (ja) バスバープロテクタ
KR20170001850U (ko) 방화문용 단열유닛 및 이를 갖는 방화문
WO2018099411A1 (zh) 一种真空泵安装盒
CN106230179A (zh) 出线夹、电机以及出线夹的安装方法
KR200478484Y1 (ko) 차음 및 단열성이 향상된 차음판넬을 포함하는 차음 도어
KR102052253B1 (ko) 휴대형 전자 기기
KR101666377B1 (ko) 도어용 방화유닛
KR200483755Y1 (ko) 휴대폰 보호 케이스
JP6469710B2 (ja) 光源装置及び表示装置
CN209167743U (zh) 一种散热后壳以及显示设备
CN211810689U (zh) 一种用于厨房电器的包装组件
BR102014006882A2 (pt) seladora automática
CN103729044A (zh) 一种散热风扇套
CN210870993U (zh) 风扇支架以及烹饪器具
CN216291255U (zh) 一种防震散热交换机
KR101383348B1 (ko) 방열성능이 향상된 차량용 히트프로텍터
TW201418810A (zh) 光纖固定裝置
CN220466146U (zh) 一种包装结构及家用电器
CN210465773U (zh) 一种sfp光模块壳体结构件
US10123618B2 (en) Household ap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