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435Y1 - 카메라 거치용 모노 포드 - Google Patents

카메라 거치용 모노 포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435Y1
KR200456435Y1 KR2020110004956U KR20110004956U KR200456435Y1 KR 200456435 Y1 KR200456435 Y1 KR 200456435Y1 KR 2020110004956 U KR2020110004956 U KR 2020110004956U KR 20110004956 U KR20110004956 U KR 20110004956U KR 200456435 Y1 KR200456435 Y1 KR 2004564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monopod
expansion
camera
out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49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현식
이미숙
Original Assignee
이미숙
홍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미숙, 홍현식 filed Critical 이미숙
Priority to KR20201100049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4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4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4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28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one single telescoping pilla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카메라 거치대의 일종인 모노 포드(Mono Pod)에 관한 것으로, 견고하면서 가볍고 간단하게 구성하되 다단으로 길게 돌출시켜 시선보다 훨씬 높은 위치에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카메라 거치용 모노 포드{MONO POD}
본 고안은 카메라 거치대의 일종인 모노 포드(Mono Pod)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견고하면서 가볍고 간단하게 구성하되 다단으로 길게 돌출시켜 시선보다 훨씬 높은 위치에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진기자와 전문가들은 중요 장면이나 작품성 있는 장면을 촬영하기 위하여 수시간의 고된 작업도 마다하지 않고 있다.
이를테면, 스포츠 경기의 중요 장면을 찍기 위해 각종 악세서리가 부착된 무거운 카메라를 수 시간씩 들고 서서 촬영하는 인내심도 발휘하며, 장시간 경직되거나 고정된 자세로 촬영한 사진은 떨림도 심해지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 삼각대 대신 시선 높이에서 카메라가 지지되는 모노 포드(Mono Pod : 외발 거치대)가 안출된 바 있다.
상기 모노 포드는 사진촬영시 카메라가 상단에 설치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되며, 삼각대(트리 포드)와 달리 다리가 한 개 밖에 없어 휴대가 간편하고, 거친 표면이나 경사각, 이동중인 차량 등 열악한 환경에서도 흔들림없이 안정적인 사진촬영이 가능한 정점은 있으나, 시선 높이 이상에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항공촬영과 같은 효과를 얻거나, 또는 중요 사건 사고에서 사진기자가 한꺼번에 몰려 시선이 차단되는 경우 중요한 사진을 찍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항공사진과 같이 위에서 밑을 내려다보는 촬영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시선보다 높은 위치에서 피사체를 촬영해야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높이에 한계가 있는 휴대용 사다리를 놓고 올라서서 촬영하게 되므로 매우 위험할 뿐 아니라, 큰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장소가 협소하거나 사람이 많은 장소나 경사진 곳과 같이 사다리를 거치할 수 없는 장소에서는 촬영이 곤란한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다단으로 길게 돌출시켜 시선보다 훨씬 높은 위치에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 거치용 모노 포드(Mono Pod)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견고하면서 가볍고 간단한 구성의 카메라 거치용 모노 포드를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연결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게 구성하여 접을 때 손가락 등이 끼이거나 다치지 않는 카메라 거치용 모노 포드를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 카메라 거치용 모노 포드는, 외경이 큰 관체형 외통; 상기 외통 내부에 결합되고 다단으로 높이 조절할 수 있게 내/외경이 상이한 제1, 2, 3, 4신축관; 상기 외통과 제2, 3, 4신축관의 상단부에 각각 설치되고 조절된 높이를 유지하는 제1, 2, 3, 4조임구; 상기 제1 신축관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고정부; 상기 외통 하단부에 설치되는 스파이크;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통과 제1, 2, 3, 4신축관의 각각의 내경 및 외경은 하부로 향할수록 점차적으로 커지게 구성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하되, 상기 외통과 제1, 2, 3, 4신축관이 상승에 의해 중첩되는 구간(L)은 각 신축관 길이의 1/7 ~ 1/10로 유지하고, 전체 돌출 길이는 3.5~5m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2, 3, 4조임구 사이에 소정의 돌출높이를 갖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2, 3, 4조임구는, 외통 및 제2, 3, 4신축관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 고정되는 링나사; 상기 링나사에 분리 및 체결되는 링너트; 상기 링나사와 링너트 사이에 결합되어 제1, 2, 3, 4 신축관을 조임하는 조임링; 을 포함한다.
상기 링나사는, 몸체 길이방향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부; 상기 몸체 하부에 형성되고 외통 및 제2, 3, 4신축관의 상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단턱결합부; 상기 몸체의 상부 외면에 형성되는 제1 나사부; 상기 몸체 외면 하부에 형성되는 걸림테; 를 포함하고,
상기 링너트는, 몸체 길이방향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부; 상기 중공부의 하부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링나사의 제1 나사부가 체결되는 제2 나사부; 상기 중공부의 상부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향할수록 내경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제1 경사부; 상기 몸체 외주면에 형성되는 요철부; 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링은, 몸체 길이방향 내부에 형성되고 제1, 2, 3, 4신축관이 결합되는 중공부; 상기 몸체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향할수록 외경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제2 경사부; 상기 몸체 상부에 형성되는 상향 개방형의 복수 절개홈;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은 카메라에 설치되는 다단 모노 포드(Mono Pod : 외발 거치대)를 이용하여 시선보다 훨씬 높은 위치에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어서 항공사진과 같이 위에서 밑을 내려다보는 촬영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다단 모노 포드를 높이 돌출시켜 시선보다 높은 위치에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위험하고 높이에 한계가 있는 사다리 위에 올라서서 촬영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으며, 장소가 협소하거나 사람이 많은 장소, 또는 경사진 곳과 같이 사다리를 거치할 수 없는 장소에서도 사진촬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중요 사건 사고에서 사진기자가 한꺼번에 몰려 시선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시선 장애 없이 중요 사진이나 특종사진을 쉽게 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진촬영시 카메라 하단에 연결되는 모노 포드에 의해 안정적인 사진촬영이 가능할 뿐 아니라, 기존 삼각대(트리 포드)와는 달리 다리가 한 개 밖에 없어서 휴대가 간편하고 거친 표면이나 경사각, 이동중인 차량 등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흔들림 없이 안정적인 사진촬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무선리모콘을 이용하여 고도 위치의 카메라를 제어 및 동작시킬 수 있으므로 촬영시 흔들림이 방지되며, 조임구의 외주면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어서 회전 및 역회전시킬 때 미끄러짐이 방지되어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조임구 사이에 소정의 돌출높이가 형성되어 있어서 제1, 2, 3, 4신축관을 접을 때 이들이 급속히 하강하더라도 상기 돌출높이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이 다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견고하면서 가벼운 카본 재질로 구성되어 휴대 및 이동이 쉽고 하부로 향할수록 모노 포드의 외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면서 안정감이 있을 뿐 아니라, 하단부에 스파이크가 형성되어 있어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도 1 : 본 고안 일 예로 도시한 사시도.
도 2 : 본 고안 일 예로 도시한 정면도.
도 3 : 본 고안 도 2의 A-A`선 절단면도.
도 4 : 본 고안 일 예로 도시한 스파이크 부분 단면도.
도 5 : 본 고안 일 예로 도시한 조임구의 분해 사시도.
도 6 : 본 고안 일 예로 도시한 조임구 부분 단면도로 조임전 상태.
도 7 : 본 고안 일 예로 도시한 조임구 부분 단면도로 조임된 상태.
도 8 : 본 고안 일 예로 도시한 고정부 부분 단면도.
도 9 : 본 고안 일 예로 도시한 돌출 상태 사시도.
도 10 : 본 고안 일 예로 도시한 사용 상태 정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 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생략한다.
도 1은 일 예로 도시한 본 고안 카메라 거치용 모노 포드(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접은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절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 모노 포드(1)는, 외경이 큰 관체형 외통(2)과, 상기 외통(2) 내부에 결합되고 다단으로 높이 조절할 수 있게 내/외경이 상이한 제1, 2, 3, 4신축관(3)(4)(5)(6)과, 제2, 3, 4신축관(4)(5)(6) 및 외통(2)의 상단부에 각각 설치되고 조절된 높이를 유지하는 제1, 2, 3, 4조임구(7)(8)(9)(10)와, 카메라 거치대(볼헤드)를 설치할 수 있게 제1 신축관(3)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고정부(11)와, 외통(2) 하단부에 설치되는 스파이크(12)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모노 포드(1)는 휴대와 사용이 편리하도록 외통(2)의 상부 외주면에 결합되는 소정 높이의 손잡이부재(1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2, 3, 4신축관(3)(4)(5)(6)과 외통(2)은 길이방향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내/외경이 점차적으로 커지게 구성되어 다단으로 접거나 돌출시키는 방법으로 높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재질은 견고하면서 가벼운 카본 등으로 구성하되 각각의 내경 및 외경은 하부로 향할수록 점차적으로 커지게 구성함으로써 내/외경 크기를 고려하여 차례로 결합하면 낚시대 구조처럼 최대로 돌출(조출)시키더라도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외통(2)과 제1, 2, 3, 4신축관(3)(4)(5)(6) 내부에는 중공부(2a)(3a)(4a)(5a)(6a)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2, 3, 4신축관(3)(4)(5)(6)과 외통(2)이 차례로 결합되며, 제일 바깥에 위치하고 내/외경이 가장 큰 외통(2)의 상부 내경은 제4 신축관(6)의 하부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외통(2) 내부에 결합되는 제4 신축관(6)을 상승 돌출시키더라도 외통(2) 상부에 걸려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제4 신축관(6) 내부에 결합되는 제3 신축관(5)의 하부 외경은 제4 신축관(6)의 상부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3 신축관(7)을 위로 돌출시키더라도 제4 신축관(6) 상부에 걸려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제3 신축관(5) 내부에 결합되는 제2 신축관(4)의 하부 외경은 제3 신축관(5)의 상부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2 신축관(4)을 위로 돌출시키더라도 제3 신축관(5) 상부에 걸려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제2 신축관(4) 내부에 결합되는 제1 신축관(3)의 하부 외경은 제2 신축관(4)의 상부 내경 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1 신축관(3)을 위로 돌출시키더라도 제2 신축관(4) 상부에 걸려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제1 신축관(3)의 상단부에는 고정부(11)에 형성된 하향 요입홈(14)이 나사결합되거나 또는 억지결합된 다음 접착제로 견고하게 접착되며, 도 8과 같이 고정부(11)의 중앙에는 상향 돌출되는 나사(15)가 형성되어 카메라 거치대의 일종인 볼헤드(16)가 체결되고, 상기 볼헤드(16) 상부에는 도 10과 같이 카메라(29)가 장착 사용되며, 상기 카메라(29)에는 카메라 제어기(도시안됨)에 접속되는 무선수신부(30)가 구성되며, 상기 무선수신부(30)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무선리모콘(31)에 의해 송출되는 제어신호(동작신호)가 무선수신부(30)로 수신된 다음 카메라 제어기로 입력되어 카메라(29)가 동작하게 된다.
상기 외통(2)과 제1, 2, 3, 4신축관(3)(4)(5)(6)을 접었을 때에는 도 3, 도 4와 같이 이들 사이에 중공부(2a)(4a)(5a)(6a)가 발생되며, 상기 외통(2)과 제1, 2, 3, 4신축관(3)(4)(5)(6)을 펼쳐 돌출시키면 이들 외통(2)과 제1, 2, 3, 4신축관(3)(4)(5)(6)이 서로 밀착되면서 상기 중공부(2a)(4a)(5a)(6a)가 없어지게 된다.
상기에서, 제1, 2, 3, 4신축관(3)(4)(5)(6)이 각각 또는 따로 상승 돌출되더라도 내/외경 차이에 의해 더 이상 상승되지 않는 중첩되는 구간(L)은 각 신축관(3)(4)(5)(6) 높이(길이)의 1/7 ~ 1/10로 유지되게 함으로써 돌출된 상태의 제1, 2, 3, 4신축관(3)(4)(5)(6)이 유동되지 않는다.
상기 제1, 2, 3, 4신축관(3)(4)(5)(6)을 접은 경우 도 4와 같이 제1, 2, 3, 4신축관(3)(4)(5)(6)의 하단부가 스파이크(12)의 평면부(24) 위에 위치하도록 하되, 도 2와 같이 제1, 2, 3, 4신축관(3)(4)(5)(6)의 상부가 제1, 2, 3, 4조임구(7)(8)(9)(10)의 상부로 소정의 돌출높이(h1)(h3)(h5)(h7)를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본 고안 모노 포드(1)를 접을 때 수직 상태의 제1, 2, 3, 4신축관(3)(4)(5)(6)이 급속히 하강하더라도 제1, 2, 3, 4조임구(7)(8)(9)(10) 사이에 위치하거나 위치할 수 있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돌출높이(h1)(h3)(h5)(h7)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에 의해 다치지 않게 된다.
상기 돌출높이(h1)(h3)(h5)(h7)는 사용자의 손가락 하나의 평균 지름(높이)과 같거나 5㎜ 가량 더 높은 정도이다.
상기 소정 높이(h1)(h3)(h5)(h7)에 의해 외통(2)과 제1, 2, 3, 4신축관(3)(4)(5)(6)의 높이(길이)가 각각 달라진다.
예컨대, 제4 신축관(6)의 높이(조임구에 결합되는 높이는 제외한다)는 외통(2)의 높이(h10)와 제4 조임구(10)의 높이(h8)와 돌출높이(h7)를 합산한 길이가 되며, 상기 외통(2)의 높이(h10)는 제4 조임구(10)에 결합되는 높이는 제외된다.
또한 제3 신축관(5)의 높이는 상기 제4 신축관(6)의 높이와 제3 조임구(9)의 높이(h6)와 돌출높이(h5)를 합산한 길이가 되며, 제2 신축관(4)의 높이는 상기 제3 신축관(5)의 높이와 제2 조임구(8)의 높이(h4)와 돌출높이(h3)를 합산한 길이가 되며, 제1 신축관(3)의 높이는 상기 제2 신축관(4)의 높이와 제1 조임구(7)의 높이(h2)와 돌출높이(h1)를 합산한 길이가 된다.
상기 고정부(11)는 볼헤드(16)의 결합면(저부면)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평면적이 큰 평면부(17)가 형성되며, 상기 평면부(17)는 호환 사용될 수 있는 볼헤드(16)의 평면형상과 같은 형상, 이를테면 원형이거나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이다.
상기 평면부(17) 하부에는 연결부(25)가 암수결합구조로 결합된 다음 나사(15)로 체결 및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25)의 내부 중앙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너트(26)에는 상기 나사(15)의 하부가 체결되고, 연결부(25) 저부에 형성되는 요입홈(27)에는 제1 신축관(3)의 상단부가 결합된 다음 접착제 등으로 접착되며, 나사(15)의 중간 높이에는 평면부(17)에 형성된 사각홈 또는 육각홈(17a)에 결합되는 사각너트 또는 육각너트(15a)가 형성되어 나사(15)를 체결할 때 불필요한 회전이 방지된다.
즉, 나사(15)의 육각너트(15a) 부분을 사각홈 또는 육각홈(17a)에 결합시킨 다음 연결부(25)의 너트(26)에 체결하면 평면부(17)와 연결부(25)가 견고하게 결합되며, 평면부(17)로 상승된 나사(15) 부분에 볼헤드(16)를 체결시켜 설치한 다음 카메라(29)를 장착 사용하면 된다.
상기 고정부(11)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나사(15)에 체결되는 볼헤드(16)의 돌출핀이 결합되는 구멍(18)이 형성되어 있어서 볼헤드(16)의 회전이나 유동을 방지하거나, 또는 볼트나 피스를 이용하여 볼헤드(16)를 견고하게 체결시켜 회전이나 유동을 방지하는 나사구멍(19)이 형성된다.
상기 스파이크(12)는 외통(2)의 하부에 나사 결합되거나 억지결합되어 접착제로 접착되는 결합부(20)와, 외통(2)의 하단부에 걸림될 수 있게 외경이 큰 걸림테(21)와, 걸림테(21) 하부에 원추형으로 하향 돌출되는 원추부(22)로 구성되어 지면이나 바닥(23)에 안정적으로 세워놓을 수 있다.
상기 스파이크(12)의 상부면에는 도 3과 같이 바닥(23)이 형성되어 앞서 기술한 것처럼 접어지는 제1, 2, 3, 4신축관(3)(4)(5)(6)의 하단부가 접촉하면서 정지하게 된다.
상기 제2, 3, 4신축관(4)(5)(6) 및 외통(2)의 상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1, 2, 3, 4조임구(7)(8)(9)(10)는 크기만 다를 뿐 같은 구조이다.
상기 제1, 2, 3, 4조임구(7)(8)(9)(10)는 외통(2) 및 제2, 3, 4신축관(4)(5)(6)의 상단부에 결합된 다음 접착되는 링나사(32)와, 상기 링나사(32)에 분리 및 체결되는 링너트(33)와, 상기 링나사(32)와 링너트(33) 사이에 결합되는 조임링(34)으로 구성된다.
상기 링나사(32)는 몸체의 길이방향 내부에 중공부(35)가 형성되며, 몸체 하부에 외통(2) 및 제2, 3, 4신축관(4)(5)(6)의 상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단턱결합부(36)가 형성되고, 상부 외면에는 제1 나사부(37)가 형성되고, 몸체 외면 하부에는 걸림테(38)가 형성되어 체결되는 링너트(33)의 과도한 하강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링너트(33)는 몸체의 길이방향 내부에 제1, 2, 3, 4신축관(3)(4)(5)(6)이 결합되는 조임링(34)이 결합될 수 있게 중공부(40)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40)의 하부 내주면에는 상기 링나사(32)의 제1 나사부(37)가 체결될 수 있게 제2 나사부(41)가 형성되고, 상기 조임링(34)이 결합되는 중공부(40)의 상부 내주면에는 상향할수록 내경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제1 경사부(42)가 형성되고, 몸체 외주면에는 체결 및 분리할 때 회전 및 역회전이 용이하도록 요철(43)이 형성된다.
상기 조임링(34)은 몸체의 길이방향 내부에 제1, 2, 3, 4신축관(3)(4)(5)(6)이 결합되는 중공부(45)가 형성되고, 몸체 외주면에는 상향할수록 외경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제2 경사부(46)가 형성되고, 몸체 상부에는 상향 개방형의 절개홈(47)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중공부(45)에 결합되는 제1, 2, 3, 4신축관(3)(4)(5)(6)을 협지시켜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된다.
도 6은 제1, 2, 3, 4조임구(7)(8)(9)(10)로 제1, 2, 3, 4신축관(3)(4)(5)(6)을 조임하기 전의 단면도이고, 도 7은 조임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즉, 제1, 2, 3, 4신축관(3)(4)(5)(6)을 적당한 높이로 돌출시킨 다음 링너트(33)의 제2 나사부(41)가 링나사(32)의 제1 나사부(37)에 체결시켜 조임시키면 링너트(33)가 하강하게되고, 링너트(33)의 중공부(40)에 결합되어 있던 조임링(34)은 링나사(32)의 상부 평면부(39)에 밀착되어 더 이상의 하강이 방지되며, 따라서 도 7과 같이 하강하는 링너트(33)의 제1 경사부(42)에 의해 조임링(34)의 제2 경사부(46)가 가압되므로 도 7과 같이 복수의 절개홈(47)이 오무려지면서 조임링(34)의 중공부(45)에 결합되어 있던 제1, 2, 3, 4신축관(3)(4)(5)(6)이 협지되므로 제1, 2, 3, 4신축관(3)(4)(5)(6)이 돌출된 상태로 고정된다.
반대로, 도 7과 같이 제1, 2, 3, 4조임구(7)(8)(9)(10)에 의해 조임되어 있는 제1, 2, 3, 4신축관(3)(4)(5)(6)을 접어 축소시키고자 하는 경우, 링너트(33)를 조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링너트(33)가 상승하면서 링너트(33)의 중공부(40)에 결합되어 있던 조임링(34)의 가압력이 해제되므로 오무려져 있던 조임링(34)의 절개홈(47)가 벌어지면서 복귀하게 되고 제1, 2, 3, 4신축관(3)(4)(5)(6)의 협지 상태가 해제되므로 제1, 2, 3, 4신축관(3)(4)(5)(6)을 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하강된 제1, 2, 3, 4신축관(3)(4)(5)(6)은 제1, 2, 3, 4조임구(7)(8)(9)(10)로 조임시키면 도 1, 도 2와 같이 높이가 축소된 상태로 이동 및 보관과 휴대가 쉬워진다.
본 고안은 도 9와 같이 제1, 2, 3, 4신축관(3)(4)(5)(6)을 전부 돌출시켜 조임시킨 경우 전체 높이는 3.5 ~ 5m가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최상단의 고정부(11)에 카메라 거치대의 일종인 볼헤드(16)를 체결 고정시키고, 상기 볼헤드(16) 상부에 도 10과 같이 카메라(29)를 장착시킨 다음 제1, 2, 3, 4신축관(3)(4)(5)(6)을 전부 또는 희망하는 높이로 돌출시키면서 해당 위치의 제1, 2, 3, 4조임구(7)(8)(9)(10)로 조임시키면 원하는 위치에 카메라(29) 또는 광각카메라가 장착된 카메라가 위치하게 되므로 시선보다 훨씬 높은 위치에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어서 항공사진과 같이 위에서 밑을 내려다보는 촬영효과를 얻을 수 있게된다.
또한 본 고안은 다단 모노 포드를 높이 돌출시켜 시선보다 높은 위치에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위험하고 높이에 한계가 있는 사다리 위에 올라서서 촬영하지 않아도 되며, 장소가 협소하거나 사람이 많은 장소, 또는 경사진 곳과 같이 사다리를 거치할 수 없는 장소에서도 사진촬영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은 중요 사건 사고에서 사진기자가 한꺼번에 몰려 시선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시선 장애 없이 중요 사진이나 특종사진을 쉽게 촬영할 수 있으며, 견고하면서 가벼운 카본 재질로 구성되어 휴대 및 이동이 쉽고 하부로 향할수록 모노 포드의 외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면서 안정감이 있을 뿐 아니라, 하단부에 스파이크(12)가 형성되어 있어서 바닥(23) 등에 안정적으로 세워 사용할 수 있게된다.
또한 무선리모콘(31)을 이용하여 고도 위치의 카메라(29)를 제어 및 동작시킬 수 있으므로 촬영시 흔들림이 방지된다.
상기 링너트(33)의 외주면에는 요철(43)이 형성되어 있어서 회전 및 역회전시킬 때 미끄러짐이 방지된다.
본 고안에서 유선리모콘(유선릴리즈)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사용에 거추장스러움이 따를뿐 아니라, 모노 포드(1) 전체 길이 정도의 제어선을 휴대 및 보관하면서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므로, 본 고안에서 무선리모콘(무선릴리즈)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카메라가 모노 포드(1)에 의해 지지되므로 가볍게 다룰 수 있으며 움직이는 피사체를 촬영할 때 대응하기 편리할 뿐 아니라, 무엇보다 카메라(29) 사용자가 한꺼번에 많이 몰리는 중요 사건 사고의 장소에서 특종사진을 방해없이 촬영할 수 있으며, 무선으로 촬영할 수 있어서 사진 촬영시 떨림 현상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가볍다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 모노 포드(1)는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로 커지는 안정감있는 구조이며, 하단부에는 스파이크(12)가 구비되어 지면이나 바닥(23)에 안정적으로 세워 지지할 수 있으며, 광각렌즈 등을 장착해 무거워진 카메라(29)의 무게하중에서도 수직축과 수평축 방향으로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고안은 본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1)--모노 포드 (2)--외통
(2a)(4a)(5a)(6a)--중공부 (3)--제1 신축관
(4)--제2 신축관 (5)--제3 신축관
(6)--제4 신축관 (7)--제1 조임구
(8)--제2 조임구 (9)--제3 조임구
(10)--제4 조임구 (11)--고정부
(12)--스파이크 (13)--손잡이부재
(14)--요입홈 (15)--나사
(15a)--육각너트 (16)--볼헤드
(17)--평면부 (17a)--육각홈
(18)--구멍 (19)--나사구멍
(20)--결합부 (21)--걸림테
(22)--원추부 (23)--바닥
(24)--평면부 (29)--카메라
(30)--무선수신부 (31)--무선리모콘
(32)--링나사 (33)--링너트
(34)--조임링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외경이 큰 외통, 상기 외통 내부에 결합되고 다단으로 높이 조절할 수 있게 내/외경이 상이한 제1, 2, 3, 4신축관, 상기 외통과 제2, 3, 4신축관의 상단부에 각각 설치되고 조절된 높이를 유지하는 제1, 2, 3, 4조임구, 상기 제1 신축관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고정부, 상기 외통 하단부에 설치되는 스파이크를 포함하되, 상기 외통과 제1, 2, 3, 4신축관은 관체형이고, 상기 외통과 제1, 2, 3, 4신축관은 각각의 내경 및 외경은 하부로 향할수록 점차적으로 커지게 구성하여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한 카메라 거치용 모노 포드에 있어서;
    상기 제1, 2, 3, 4신축관의 상부가 제1, 2, 3, 4조임구의 상부로 5㎜ 더 높게 돌출되도록 구성하여 모노 포드를 접을 때 상기 제1, 2, 3, 4신축관이 급속히 하강하더라도 사용자의 손가락이 다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거치용 모노 포드.
  4. 삭제
  5. 삭제
KR2020110004956U 2011-06-04 2011-06-04 카메라 거치용 모노 포드 KR2004564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956U KR200456435Y1 (ko) 2011-06-04 2011-06-04 카메라 거치용 모노 포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956U KR200456435Y1 (ko) 2011-06-04 2011-06-04 카메라 거치용 모노 포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6435Y1 true KR200456435Y1 (ko) 2011-10-31

Family

ID=53676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4956U KR200456435Y1 (ko) 2011-06-04 2011-06-04 카메라 거치용 모노 포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435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0919A (ja) 2007-01-15 2008-07-24 Katsuro Hotta 伸縮脚の先に可変動の雲台を取り付けた手持ち撮影のためのカメラ用一脚
US20110079686A1 (en) * 2008-09-16 2011-04-07 James Charles Palik All-in-One Tripod/Monop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0919A (ja) 2007-01-15 2008-07-24 Katsuro Hotta 伸縮脚の先に可変動の雲台を取り付けた手持ち撮影のためのカメラ用一脚
US20110079686A1 (en) * 2008-09-16 2011-04-07 James Charles Palik All-in-One Tripod/Monop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8037B2 (en) Equipment support
US11221544B1 (en) Portable camera support device for elevated photography and/or videography
US4712756A (en) Shock corded tripod stand
US8157225B2 (en) Monopod for camera
US8757901B2 (en) Camera steadying device
US9386196B1 (en) Holding assembly for a picture taking device
WO2010130169A1 (zh) 一种便携式拍摄脚架
US7621491B2 (en) Portable supporting apparatus
US9228695B2 (en) Tripod to support photographic equipment with tripod legs that quickly convert from a folded condition to an assembled condition
JP2006317945A (ja) カメラを支持するための装置と当該装置を使用する方法
US20160169443A1 (en) Telescoping Tripod for Smartphones and Portable Media Players
WO2019056555A1 (zh) 连接夹具
US20120285909A1 (en) Bracket for camera and accessories
US8157226B2 (en) Mounting system for attaching multiple light sources for photographic use
US20150000717A1 (en) Combination Hiking Pole and Camera Steadying Device
US20150056002A1 (en) Apparatus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elongate members to form a support structure
WO2015041597A1 (en) Arrangement at a camera tripod
KR200456435Y1 (ko) 카메라 거치용 모노 포드
CN207555169U (zh) 一种手持稳定器多功能脚架
KR20150075342A (ko) 카메라 고정 장치
CN201429762Y (zh) 带显示屏的相机独脚架
KR102510124B1 (ko) 클로즈-팩, 고종횡비 카메라 삼각대
US4717103A (en) Clamp device for post members
US20130181024A1 (en) Optical Support Device
US11953806B2 (en) Adjustable backdrop support system k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