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343Y1 - 평행하게 배열되는 파이프를 체결하기 위한 클램프 - Google Patents

평행하게 배열되는 파이프를 체결하기 위한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343Y1
KR200456343Y1 KR2020110000646U KR20110000646U KR200456343Y1 KR 200456343 Y1 KR200456343 Y1 KR 200456343Y1 KR 2020110000646 U KR2020110000646 U KR 2020110000646U KR 20110000646 U KR20110000646 U KR 20110000646U KR 200456343 Y1 KR200456343 Y1 KR 2004563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older
pipes
main body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06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이
Original Assignee
중원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원엔지니어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중원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06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3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3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3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04G7/08Clamps for parallelly-arranged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10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pivoting ja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3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parallel relationsh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 파이프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배열되어 고정되도록 하고 파이프와 접촉되는 홀더에 고정지지력을 집중시킬 수 있도록 한 구성을 제안하여 파이프의 고정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평행하게 배열되는 파이프를 체결하기 위한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파이프가 안착되는 본체, 본체에 안착된 파이프를 클램핑하기 위한 홀더, 파이프가 홀더에 의해 클램핑되는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한 체결유닛으로 구성된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2이상의 파이프가 배열되며 안착되기 위해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의 사이에는 2이상의 개수로 배열되는 파이프가 상호 간격을 갖도록 간격유지부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Description

평행하게 배열되는 파이프를 체결하기 위한 클램프{CLAMP FOR COMBINATIVE PARALLEL PIPES}
본 고안은 평행하게 배열되는 파이프를 체결하기 위한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본 고안은, 각 파이프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배열되어 고정되도록 하고 파이프와 접촉되는 홀더에 고정지지력을 집중시킬 수 있도록 한 구성을 제안하여 파이프의 고정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평행하게 배열되는 파이프를 체결하기 위한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당한 높이를 갖는 선박이나 건축물 등을 제작 또는 축조하기 위해서는 그 외측으로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설구조물을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가설구조물은 비계(飛階)라 통칭되며 수직방향의 서포트 파이프와 수평방향의 연결재 파이프를 교차시키고 그 상부에 작업자가 보행 및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발판을 결합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서포트 파이프 또는 연결재 파이프는 비계의 규격 및 작업장비가 거치 및 이동되기 위한 중량, 이동면적 등을 고려하여 단일의 파이프 또는 2이상의 파이프를 일체화하여 사용되어진다. 이때, 상기 2이상의 파이프가 평행하게 배열되어 일체화하기 위해 클램프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클램프는 평행하게 배열되는 파이프가 안착되는 본체와, 본체의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안착된 파이프를 홀딩하는 홀더와, 상기 양측 홀더의 상호 대향되는 끝단에 결합되어 홀딩된 파이프를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력을 부여하는 체결유닛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클램프에 의해 고정지지된 파이프는 상호 틈새없이 접촉된 상태로 배열되는데, 이와 같이 파이프가 상호 접촉되며 배열되면 본체, 홀더와 접촉되는 파이프의 접촉구간이 적어 결합력이 취약한 단점이 노출된다.
또한, 상기 클램프의 홀더는 주로 판체를 파이프의 외주 곡률과 대응되도록 라운드 형성하여 본체와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판체 형태로 형성된 홀더는 파이프 외주면과 접촉될 때 면접촉이 되는데, 이와 같은 면접촉된 결합형태는 홀더의 표면과 파이프의 외주면 사이에서 슬립이 발생되어 고정지지력이 낮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각 파이프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배열되어 고정되도록 하고 파이프와 접촉되는 홀더에 고정지지력을 집중시킬 수 있도록 한 구성을 제안하여 파이프의 고정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클램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아래의 구성을 갖는다.
본 고안은, 파이프가 안착되는 본체, 본체에 안착된 파이프를 클램핑하기 위한 홀더, 파이프가 홀더에 의해 클램핑되는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한 체결유닛으로 구성된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2이상의 파이프가 배열되며 안착되기 위해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의 사이에는 2이상의 개수로 배열되는 파이프가 상호 간격을 갖도록 간격유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간격유지부는, 안착홈이 상기 각 파이프와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되어 안착홈의 사이에 돌출된 간격유지돌기로 형성되며, 상기 간격유지돌기는 파이프 간의 설정된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간격설정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본체는 단일의 판재를 절곡하여 2이상 파이프의 개수와 대응하는 개수의 안착홈과, 안착홈 사이에서 2이상 개수로 배열되는 파이프가 상호 간격을 갖도록 하는 간격유지부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홀더는 본체의 양단부에 안착된 파이프의 외면과 접촉되도록 각각의 일측이 본체의 양단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체결유닛은 양측의 홀더 중 어느 일측에 힌지결합되고 타측이 다른 홀더에 지지되도록 결합되어 단일의 체결유닛으로 각 파이프를 고정지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삭제
특히, 상기 홀더는 파이프와 접촉되는 지점에 하중을 집중시키기 위한 접촉돌기부가 돌출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다수 파이프가 고정될 때 상호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배열되도록 하여 그 간격사이로 파이프를 홀딩하기 위한 접촉지점을 증설할 수 있게 되므로써 각 파이프에 부여되는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파이프와 접촉되는 홀더에 고정지지력을 집중시킬 수 있도록 한 응력집중단부가 형성되어 파이프의 고정지지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클램프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클램프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클램프의 주요부분 발췌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클램프의 사용상태도.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클램프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클램프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클램프의 주요부분 발췌 예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클램프는 본체(10), 홀더(20), 체결유닛(3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본체(10), 홀더(20)는 일정한 두께의 판재를 프레싱 재단하고 절곡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0)는 전술한 것과 같이 판재를 "ㄷ" 형태로 절곡하여 형성되며, 파이프(1)가 안착되는 변에 2이상 파이프(1)의 개수와 대응하는 개수의 안착홈(11)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안착홈(11)은 파이프(1)의 외주곡률과 대응하는 곡률로 라운드 형태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11)의 사이에는 다수의 파이프(1)가 상호간의 간격을 유지하며 배열되기 위해 간격유지부(4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간격유지부(40)는 각 안착홈(11)의 사이에 돌출된 간격유지돌기(41)로 형성된다. 상기 간격유지돌기(41)는 안착홈(11)을 각각 구분하기 위해 돌출된 형태이다. 특히, 상기 간격유지돌기(41)는 파이프(1)가 안착홈(11)에 안착된 상태에서 그 끝단이 파이프(1) 직경의 절반이상 길이를 초과하지 않도록 형성되며, 그 상부끝단부가 파이프(1) 간의 설정된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해 간격설정폭(42)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간격설정폭(42)은 파이프(1)가 유지되어야 할 간격을 미리 설정한 길이구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체(10)는 상기 판재를 "ㄷ" 형태로 절곡하여 형성됨으로 인해 안착홈(11)과 간격유지부(40)가 일체로 형성되어지게 되는 필연적 구성을 갖게 된다.
상기 홀더(20)는 본체(10)의 양단에 힌지결합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홀더(20)는 각각의 힌지결합지점을 중심으로 본체(10)의 안착홈(11)에 안착된 파이프(1) 측으로 회전되어 파이프(1)의 외주면을 가압함에 의해 파이프(1)의 클램핑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홀더(20)는 파이프(1)의 외주면에 접촉됨에 의해 클램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파이프(1)가 보다 높은 결합력으로 클램핑되기 위해 파이프(1)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홀더(20)의 지점에는 접촉돌기부(21)가 형성된다.
상기 접촉돌기부(21)는 홀더(20)에 의해 파이프(1)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집중시켜 보다 높은 결합력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홀더(20)를 "ㄷ" 형태로 형성하여 양단부가 파이프(1)의 외주면에 집중된 하중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체결유닛(30)은 양측 홀더(20)의 상호 대향되는 끝단에 결합되어 양측의 홀더(20)가 파이프(1)에 접촉된 후 체결고정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체결유닛(30)은 볼트축(31), 너트(32)로 구성된다.
상기 볼트축(31)은 일측 홀더(20)에 힌지결합되고 끝단부가 타측 홀더(20)에 결합된 후 볼트축(31)에 나사결합된 너트(32)를 조여 양측의 홀더(20)가 체결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클램프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클램프는 양측의 홀더(20)를 외측으로 회전시켜 본체(10)의 안착홈(11)이 개방된 상태에서 2이상의 파이프(1)를 안착홈(11)에 안착시킨다.
이후, 상기 각 홀더(20)를 회전시켜 홀더(20)의 접촉돌기부(21)가 파이프(1)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일측의 홀더(20)에 결합된 체결유닛(30)의 볼트축(31)을 회전시켜 그 끝단이 타측의 홀더(20)에 결합시킨 후 너트(32)를 죄어주게 되면 파이프(1)의 클램핑이 수행된다.
이와 같이 클램핑된 파이프(1)는 본체(10)의 안착홈(11) 사이에 형성된 간격유지돌기(41)에 의해 상호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되며, 상기 간격유지돌기(41) 자체가 파이프(1)에 접촉된 구간을 확장시키게 되어 파이프의 클램핑 후 보다 견고한 결합력을 얻게 된다.
또한, 상기 파이프(1) 클램핑시 홀더(20)의 접촉돌기부(21)는 체결유닛(30) 및 홀더(20)를 통해 인가되는 하중을 집중시켜 더욱 높은 결합력을 부여하는 클램핑이 수행되도록 한다.
10: 본체 11: 안착홈
20: 홀더 21: 접촉돌기부
30: 체결유닛 40: 간격유지부
41: 간격유지돌기 42: 간격설정폭

Claims (3)

  1. 파이프(1)가 안착되는 본체(10), 본체(10)에 안착된 파이프(1)를 클램핑하기 위한 홀더(20), 파이프(1)가 홀더(20)에 의해 클램핑되는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한 체결유닛(30)으로 구성된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2이상의 파이프(1)가 배열되며 안착되기 위해 안착홈(11)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11)의 사이에는 2이상의 개수로 배열되는 파이프(1)가 상호 간격을 갖도록 간격유지부(40)가 형성되고,
    상기 간격유지부(40)는, 안착홈(11)이 상기 각 파이프(1)와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되어 안착홈(11)의 사이에 돌출된 간격유지돌기(41)로 형성되며, 상기 간격유지돌기(41)는 파이프(1) 간의 설정된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간격설정폭(42)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본체(10)는 단일의 판재를 절곡하여 2이상 파이프(1)의 개수와 대응하는 개수의 안착홈(11)과, 안착홈(11) 사이에서 2이상 개수로 배열되는 파이프(1)가 상호 간격을 갖도록 하는 간격유지부(40)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홀더(20)는 본체(10)의 양단부에 안착된 파이프(1)의 외면과 접촉되도록 각각의 일측이 본체(10)의 양단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체결유닛(30)은 양측의 홀더(20) 중 어느 일측에 힌지결합되고 타측이 다른 홀더(20)에 지지되도록 결합되어 단일의 체결유닛(30)으로 각 파이프(1)를 고정지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행하게 배열되는 파이프를 체결하기 위한 클램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20)는
    파이프(1)와 접촉되는 지점에 하중을 집중시키기 위한 접촉돌기부(21)가 돌출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행하게 배열되는 파이프를 체결하기 위한 클램프.
KR2020110000646U 2011-01-23 2011-01-23 평행하게 배열되는 파이프를 체결하기 위한 클램프 KR2004563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646U KR200456343Y1 (ko) 2011-01-23 2011-01-23 평행하게 배열되는 파이프를 체결하기 위한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646U KR200456343Y1 (ko) 2011-01-23 2011-01-23 평행하게 배열되는 파이프를 체결하기 위한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6343Y1 true KR200456343Y1 (ko) 2011-10-26

Family

ID=53676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0646U KR200456343Y1 (ko) 2011-01-23 2011-01-23 평행하게 배열되는 파이프를 체결하기 위한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34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509U (ko) 2019-08-23 2021-03-04 (주)국일화학 축산용 급이 및 급수관 고정용 클램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98578A1 (en) * 2006-10-27 2008-05-01 Collie William David Stafford Scaffold clamp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98578A1 (en) * 2006-10-27 2008-05-01 Collie William David Stafford Scaffold clam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509U (ko) 2019-08-23 2021-03-04 (주)국일화학 축산용 급이 및 급수관 고정용 클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5478B1 (ko) 빔클램프
EP2595246A3 (en) Cable clamp having winged flanges
US2470992A (en) Beam clamp for conduit supports
KR100887611B1 (ko) 거푸집 체결장치
US3522921A (en) Clamp for pipe support
JP2015145565A5 (ko)
KR20140115596A (ko) 파이프용 클램프
JP2012162873A (ja) 天井構造およびブレース材と天井仕上板の固定金具
JP2013194762A (ja) パイプジョイント
KR200456343Y1 (ko) 평행하게 배열되는 파이프를 체결하기 위한 클램프
KR100883391B1 (ko) 파이프 체결장치
EP4148198B1 (en) Connector for construction profiles
DE50113118D1 (de) Verbindungsmittel für Profilstäbe
KR101964622B1 (ko) 건축물에 매설되는 전기배관의 고정장치
KR101289665B1 (ko) 더브테일형 케이블홀더
KR101359247B1 (ko) 파이프 지지장치
KR20160119953A (ko) 가설 사다리용 더블 클램프
CA2978961C (en) Rail clip
JP5130407B1 (ja) 屋根上搭載機器の取付け金具
CN107127511A (zh) 适用于不规则形状工件对焊的焊接夹具
KR101429688B1 (ko) 난간지주 설치용 지지장치
KR102063981B1 (ko) 배관용 행거장치
KR200451996Y1 (ko) 파이프 고정용 클램프
TWM380192U (en) Clamping structure for vise
CN109184083B (zh) 一种钢筋连接定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