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289Y1 - Tray for optical cable connecting box - Google Patents

Tray for optical cable connecting box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289Y1
KR200456289Y1 KR2020100000170U KR20100000170U KR200456289Y1 KR 200456289 Y1 KR200456289 Y1 KR 200456289Y1 KR 2020100000170 U KR2020100000170 U KR 2020100000170U KR 20100000170 U KR20100000170 U KR 20100000170U KR 200456289 Y1 KR200456289 Y1 KR 2004562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able
tray
housing
connection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0170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07086U (en
Inventor
장근영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네트웍스서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네트웍스서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네트웍스서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01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289Y1/en
Publication of KR201100070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086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2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28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1Permanent connections, i.e. wherein fibres are kept aligned by mechanical means
    • G02B6/3806Semi-permanent connections, i.e. wherein the mechanical means keeping the fibres aligned allow for removal of the fib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87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케이블 접속함체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상기 트레이는 외관을 형성하고 그 바닥을 형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11a)의 양측면에는 각각 작업공간(11')이 형성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상기 광케이블(C1,C2)의 인입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하우징(10)의 양측 작업공간(11')에 각각 적어도 1개 이상 구비되고 상기 광케이블(C1,C2)의 심선(F1,F2)이 정리되어 고정되는 광케이블여장부(15)와, 상기 하우징(10)의 양측 작업공간(11')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심선(F1,F2)의 접속부가 고정되는 접속자고정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광케이블 접속함체용 트레이의 양면을 모두 사용하게 되므로, 접속함체의 공간활용률이 좋아지고, 중첩되는 트레이의 개수가 줄어들 수 있어, 결과적으로 접속함체의 제조비용 및 유지보수비용이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y for an optical cable connection enclosure, wherein the tray has a housing 10 having a working space 11 ′ formed on both sides of a base plate 11 a that forms an exterior and forms a bottom thereof, and the housing. At least one guide portion is provided at the edge of the (10) to guide the inlet of the optical cables (C1, C2), and at each working space (11 ′) of the housing 10 and the optical cable (C1, C2) the core cable (F1, F2) is arranged in a fixed and fixed to the optical cable 15 and the working space (11 ')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10, respectively,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ore wire (F1, F2) is fixe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nection self-correcting unit (20). Since the present invention uses both sides of the tray for the optical cable junction box, the space utilization rate of the junction box is improved and the number of overlapping trays can be reduced, resulting in a reduction in the manufacturing cost and maintenance cost of the junction box. There is an advantage.

Description

광케이블 접속함체용 트레이{Tray for optical cable connecting box} Tray for optical cable connecting box {Tray for optical cable connecting box}

본 고안은 광배분함이나 광단자함 등과 광접속 자재들 내에서 광섬유 접속 연결시 광섬유의 접속부 보호와 여장 정리를 위한 광케이블 접속함체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y for an optical cable splice enclosure for protecting the splice of an optical fiber and arranging the length of the optical fiber when the optical fiber splice is connected in an optical distribution box or an optical terminal box.

일반적으로 광케이블과 전자장치들로 구성되는 광통신 시스템은 전화국에서 광가입자까지 많은 양의 음성 및 비음성 데이터 신호를 전달해 주는 통신산업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In general, an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composed of optical cables and electronic devices is widely used in the communication industry that delivers a large amount of voice and non-voice data signals from telephone stations to optical subscribers.

특히,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 통신이 발달하고, 동영상이나 음성 등과 같이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광섬유가 이용된다. 광섬유는 코아와 클래드층으로 이루어져 광신호가 전송되도록 하며, 여러개의 광섬유가 케이블화하여 광전송 선로에 제공된다.In particular, network communication such as the Internet is developed, and optical fibers are used to transmit a large amount of data such as video and voice. The optical fiber consists of a core and a cladding layer to transmit an optical signal, and several optical fibers are cabled and provided to the optical transmission line.

광케이블에는 루즈 튜브형이나 리본형과 같은 다양한 유형이 있으며 그 일예로서 루즈 튜브형 광케이블을 살펴보면, 중심인장선과, 중심 인장선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적절히 배치된 루즈튜브와 금속심선 및 외권 테이프와 알루미늄 테이프로 감은 후 PE 피복한 외피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루즈 튜브는 단일 코팅 또는 이중 코팅처리된 광섬유를 수용하는 광섬유 심선을 수용하고 있으며, 상기 광케이블과 루즈 튜브에는 물의 침투를 막기 위해 젤리가 충진된다. There are various types of optical cables, such as loose tube type and ribbon type. For example, loose tube type optical cable, which is wound around the center tension line, the center tube, and the appropriately arranged loose tube, metal core wire, outer tape and aluminum tape And PE coated sheath. Here, the loose tube accommodates an optical fiber core wire accommodating a single coated or double coated optical fiber, and the optical cable and the loose tube are filled with jelly to prevent the penetration of water.

여기서, 후술하는 광 접속은 광섬유 심선의 코팅이 제거된 상태의 광섬유(코아와 클래드층)간에 이루어진다.Here, the optical connection mentioned later is made between the optical fiber (core and clad layer) in which the coating of the optical fiber core wire was removed.

한편, 광케이블은 유한한 길이로 제공되기 때문에 전화국과 가입자 빌딩이나 일반 광 가입자 사이의 광 전송 선로는 광접속함을 필요로 하며, 상기 광 접속함을 매개로 광케이블 내의 광섬유가 현장에서 상호 접속된다. 그리고, 광 가입자측의 광 전송 선로에서 광케이블 내의 광섬유가 광 가입자의 전송 장치와 상호 연결되기 위해서는, 광케이블로부터 광섬유가 광 가입자에게 분배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 광가입자 빌딩의 건물 내외벽이나 전주나 철주 등에 설치되는 광케이블 접속함체(이하 '광단자함'이라 한다)를 필요로 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optical cable is provided in a finite length, the optical transmission line between the telephone station and the subscriber building or the general optical subscriber requires an optical junction box, and the optical fibers in the optical cable are interconnected in the field through the optical junction box. And, in order for the optical fiber in the optical cable to be interconnected with the transmission device of the optical subscriber in the optical transmission line on the optical subscriber side, the optical fiber must be distributed from the optical cable to the optical subscriber. An optical cable connection box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optical terminal box) is required.

즉, 광단자함은, 외부 광 선로와 가입자 전송 장치간의 연결 및 분배기능을 수행하는 가입자 종단 장치의 하나로서, 인입된 광케이블 내의 광섬유가 단심의 광 섬유 코드(또는 광 점퍼 코드)의 광섬유와 접속되어 근거리의 광 가입자 전송장치로 분배되며, 광 케이블내의 나머지 광섬유들은 광 접속된 후 광케이블 형태로 다시 인출됨으로써 장거리 광 가입자 전송장치로 분배된다.That is, the optical terminal box is one of the subscriber end devices that perform the connection and distribution function between the external optical line and the subscriber transmission device, and the optical fiber in the incoming optical cable is connected with the optical fiber of the single fiber optical fiber cord (or optical jumper cord). It is distributed to a near field optical subscriber transmitter, and the remaining optical fibers in the optical cable are distributed to the long distance optical subscriber transmitter by being drawn out again in the form of the optical cable after the optical connection is made.

상기 광단자함의 내부에는 트레이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트레이는 상기 광케이블 내의 광섬유가 실질적으로 접속되거나, 또는 여장되는 부분으로, 다수개가 적층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 광단자함에 사용되는 트레이에 관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396500호 및 공개특허 2003-0086476 등 다수 종래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A tray may be provided inside the optical terminal box. The tray is a portion in which the optical fiber in the optical cable is substantially connected or dressed, and a plurality of trays may be stacked and used. Regarding the tray used in the optical terminal box, a number of prior arts such a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20-0396500 and Korean Patent No. 2003-0086476 have been disclosed.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technology has the following problems.

상기 광단자함의 내부에 구비된 트레이에는 사용심선과 미사용심선들이 복잡하게 얽혀있게 된다. 이때, 광단자함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문제가 발생된 코아를 추적해야 하는데, 심선의 구분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In the tray provided inside the optical terminal box, the core and the core unused are intricately intertwined. In this case, in the case of a failure in the optical terminal box,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track the core in which the problem occur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of such work is inferior because the separation of the core wire is not easy.

또한, 상기 트레이의 심선 수용능력에 한계가 있으므로, 자칫 트레이가 포화상태가 되어 더 이상의 광케이블 추가인입 등이 불가능하게 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re is a limit in the core wire capacity of the tray, the tray may be saturated, and further additional fiber cable may not be possible.

물론, 다른 트레이를 적층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기존 트레이와의 연계가 용이하지 않고, 모든 여장을 풀어 재작업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stack other trays, but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asy to link with the existing trays, and release all the pieces to rework.

그리고, 상기 광케이블의 심선은 접속된 후에 트레이에 구비된 슬리브에 고정되는데, 일반적으로 상기 트레이는 세워진 상태로 사용되므로 상기 슬리브로부터 쉽게 이탈되어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core of the optical cable is fixed to the sleeve provided in the tray after being connected, in general, since the tray is used in an upright position, it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sleeve and thus has a problem in that stability is lowered.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슬리브의 간격을 좁히거나 고무줄과 같은 별도의 탄성재질을 추가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심선의 고정작업이 어려워지고 또한 부품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possible to further reduce the gap of the sleeve or to use a separate elastic material such as a rubber band, but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xing of the core wire becomes difficult and the parts increase.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배경기술과 관련하여 안출된 것으로,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트레이에 삽입된 광케이블의 심선 중에서 사용중인 심선과 미사용 심선의 구별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connection with the background art as described above, it is to facilitate the distinction between the core wire in use and the unused core wire among the core wires of the optical cable inserted in the tray of the optical cable connection enclosur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광케이블 수용능력이 향상된 광케이블 접속함체용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y for an optical cable junction box with improved optical cable capacity.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광케이블의 심선이 트레이의 슬리브에 용이하게 삽입됨과 동시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core of an optical cable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sleeve of the tray and to be firmly fixe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광케이블 접속함체 내부에 설치되는 광케이블 접속합체용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외관을 형성하고 그 바닥을 형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의 양측면에는 각각 작업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상기 광케이블의 인입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하우징의 양측 작업공간에 각각 적어도 1개 이상 구비되고 상기 광케이블의 심선이 정리되어 고정되는 광케이블여장부와, 상기 하우징의 양측 작업공간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심선의 접속부가 고정되는 접속자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ay for an optical cable connection assembly that is installed inside the optical cable connection enclosure, the trays on both sides of the base plate to form the appearance and form the bottom Each of the housing is formed with a working space, the guide portion is provided on the edge of the housing for guiding the introduction of the optical cable, and at least one is provided in each of the working space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and the core wire of the optical cable is arranged and fixe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optical cable mounting portion and the connection self-fixing portion is provided in each of the working space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is fixed to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ore wire.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광케이블의 심선이 상기 연통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양측 작업공간 중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 이동가능하다. At least one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in the base plate, and the core wire of the optical cable is movable to at least one side of both working spaces of the hous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상기 연통홀은 상기 광케이블여장부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The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optical cable fitting part.

상기 접속자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에 안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다수개가 나란히 돌출되어 그 사이에 상기 심선의 접속부가 삽입되는 슬리브와,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어 상기 슬리브 및 이에 삽입된 심선의 접속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커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connection fixing part includes a base part seated in the housing, a sleeve in which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projected side by side from the base part, and a connection part of the core wire is inserted therebetween, and a connection part of the core wire connected to the base part and inserted into the base par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ver to selectively shield the.

상기 슬리브는 연성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접속자고정부의 내부공간의 높이보다 큰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가 닫히면 상기 커버부에 눌려 휘어진다. The sleeve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is formed to have a length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inner space of the connection fixing part. When the cover part is closed, the sleeve is pressed and bent.

상기 슬리브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The sleeve is formed extending in an inclined direction from the base portion.

상기 슬리브는 그 설치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서로 인접한 상기 슬리브 사이의 폭은 상기 슬리브의 설치방향을 따라 가변된다.
The sleeves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thicknesses along the installation direction thereof, such that the width between the adjacent sleeves is varied along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sleeve.

본 고안에 의한 광케이블 접속함체용 트레이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ray for an optical cable connection enclo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본 고안에서는 광케이블 접속함체용 트레이의 양면을 모두 사용하게 되므로, 접속함체의 공간활용률이 좋아지고, 중첩되는 트레이의 개수가 줄어들 수 있어, 결과적으로 접속함체의 제조비용 및 유지보수비용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both sides of the tray for the optical cable junction box are used, the space utilization rate of the junction box is improved and the number of overlapping trays can be reduced, resulting in a reduction in the manufacturing cost and maintenance cost of the junction box. have.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트레이에 연통홀이 형성되고, 연통홀을 통해 광케이블의 심선이 양측으로 이동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트레이의 양측을 서로 다른 용도나 기능으로 분리할 수 있어 트레이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되고, 이를 통해 심선의 구분이 용이해지므로 접속함체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지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in the tray, and the core wire of the optical cable can be moved to both sides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so that both sides of the tray can be separated into different uses or functions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This is improved,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asily distinguish the core wire, so that the maintenance of the junction box can be easily expected.

또한, 본 고안에서는 심선의 접속부를 고정하는 접속자고정부의 슬리브가 커버부의 담힘에 의해 자연스럽게 휘어지면서 심선 접속부를 가압·고정하게 되므로, 심선 접속부의 고정이 용이해짐과 동시에 견고한 고정이 가능해지므로 접속함체의 동작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leeve of the fixing portion fixing part for fixing the connection part of the core wire is naturally bent by the cover part, the core wire connection part is pressurized and fixed.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operation reliability of.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광케이블 접속함체용 트레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트레이에 광케이블이 여장된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접속자고정부의 구성을 보인 일부절결평면도.
도 4는 도 3의 Ⅰ-Ⅰ'선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도 3의 Ⅱ-Ⅱ'선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접속자고정부에 광케이블이 고정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1 is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tray for an optical cable connection enclo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tical cable is mounted on the tr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artially cutaway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on fixing par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 of FIG. 3.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 of FIG. 3.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that the optical cable is fixed to the splice fixing portion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광케이블 접속함체용 트레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루즈튜브형 케이블 및 직선형 접속함체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tray for an optical cable connection enclo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a loose tube type cable and a straight connection enclosur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광케이블 접속함체용 트레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트레이에 광케이블이 여장된 모습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접속자고정부의 구성이 일부절결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1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tray for an optical cable connection enclo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optical cable is mounted on the tr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on self-government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a partially cutaway plan view.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광케이블 접속함체용 트레이(이하 '트레이'라 한다)의 외관 및 골격은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은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housing 10 forms the appearance and skeleton of a tray for an optical cable connection enclos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ray"). The housing 10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상기 하우징(10)은 그 바닥을 구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11a)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a)의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되는 가이드펜스(11b)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a)와 상기 가이드펜스(11b)는 협력하여 작업공간(11')을 형성하고, 상기 작업공간(11')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광케이블여장부(15) 및 접속자고정부(20) 등이 구비된다. The housing 10 includes a base plate 11a constituting a bottom thereof, and a guide fence 11b formed around an edge of the base plate 11a. The base plate 11a and the guide fence 11b cooperate to form a work space 11 ', and the work space 11' has an optical cable fitting part 15 and a connection fixing part 20 to be described below. Etc. are provided.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a)에는 연통홀(H1~H4)이 형성된다. 상기 연통홀(H1~H4)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a)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일종의 빈 공간으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a)의 양측면을 모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Communication holes H1 to H4 are formed in the base plate 11a. The communication holes (H1 ~ H4) is a kind of empty space formed through the base plate (11a), so that both sides of the base plate (11a) can be utilized.

즉, 상기 연통홀(H1~H4)을 통해 광케이블(C1,C2)의 심선(F1,F2)이 통과함으로써, 상기 광케이블(C1,C2)의 심선(F1,F2)이 베이스플레이트(11a)의 양측면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the core wires F1 and F2 of the optical cables C1 and C2 pass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s H1 to H4 so that the core wires F1 and F2 of the optical cables C1 and C2 pass through the base plate 11a. It can be selectively positioned on both sides.

상기 연통홀(H1~H4)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a)에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총 4개의 연통홀(H1~H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통홀(H1~H4)은 아래에서 설명될 광케이블여장부(15)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광케이블(C1,C2)의 심선(F1,F2)을 여장하는 과정에서 심선(F1,F2)을 연통홀(H1~H4)을 통해 통과시키는 등의 사용 편의성을 위한 것이다.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H1 ~ H4) may be provided in the base plate (11a), in this embodiment a total of four communication holes (H1 ~ H4) are formed.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hole (H1 ~ H4) is preferably formed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optical cable fitting portion 15 to be described below. This is for ease of use, such as passing the core wires (F1, F2)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s (H1 ~ H4) in the process of fitting the core wires (F1, F2) of the optical cables (C1, C2).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a)에는 광케이블인입부(13)가 구비된다. 상기 광케이블인입부(13)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a)의 가장자리 부분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 1에서 보듯이, 다수개의 리브로 구성되고, 상기 리브 사이에 광케이블(C1,C2)의 튜브가 압입되어 고정된다. The base plate 11a is provided with an optical cable entry portion 13. The optical cable inlet 13 is provided at the edge of the base plate 11a, and as shown in FIG. 1,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ribs, and the tubes of the optical cables C1 and C2 are press-fitted and fixed between the ribs. do.

상기 광케이블인입부(13)는 직선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트레이 유지보수 작업과정에서 상기 트레이를 회전시켜 반대면을 사용하고자 할 때, 광케이블(C1,C2)의 간섭 등을 방지하면서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optical cable inlet portion 13 is formed in a straight shape, which is easily rotated while preventing the interference of the optical cables C1 and C2 when the tray is rotated in the tray maintenance operation to use the opposite surface. To make it possible.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a)에는 광케이블여장부(15)가 구비된다. 상기 광케이블여장부(15)는 상기 광케이블(C1,C2)의 심선(F1,F2)이 여장되는 부분으로, 대략 원형상의 빈 공간으로 형성된다. The base plate 11a is provided with an optical cable fitting unit 15. The optical cable fitting part 15 is a portion in which the core wires F1 and F2 of the optical cables C1 and C2 are inserted, and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ircular empty space.

상기 광케이블여장부(15)는 상기 광케이블여장부(15) 주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가이드편(16)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편(16)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a)로부터 이격되어 베이스플레이트(11a)와의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면서 연장되는 것으로, 여장되는 광케이블(C1,C2)의 심선(F1,F2)이 이탈되지 않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The optical cable holder 15 may be partitioned by a plurality of guide pieces 16 installed around the optical cable holder 15. The guide piece 16 is spaced apart from the base plate 11a and extends while forming a gap between the base plate 11a, and the core wires F1 and F2 of the optical cables C1 and C2 are not separated. It serves to guide you.

이때, 상기 가이드편(16)에는 결합홈(16')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16')은 상기 트레이에 결합되는 커버(미도시)와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 상기 가이드편(16)을 관통하거나 또는 요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guide piece 16 is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16 '). The coupling groove 16 ′ is for coupling with a cover (not shown) coupled to the tray and may be formed through or guided through the guide piece 16.

상기 광케이블여장부(15)에는 고정홀(17)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홀(17)은 광케이블(C1,C2)의 심선(F1,F2)이 완전히 여장된 뒤에 별도의 고정블록(미도시)이 결합되는 부분으로, 상기 가이드편(16)과 함께 여장된 심선(F1,F2)의 고정을 위한 역할을 한다. A fixing hole 17 is formed in the optical cable fitting part 15. The fixing hole 17 is a portion in which a separate fixing block (not shown) is coupled after the core wires F1 and F2 of the optical cables C1 and C2 are completely inserted, and the core wire fitted together with the guide piece 16. It plays a role for fixing (F1, F2).

상기 가이드펜스(11b)에는 적층편(18)이 구비된다. 상기 적층편(18)은 상기 트레이가 다수개 중첩되어 사용되는 경우 인접한 트레이와의 고정을 위한 것이다. The guide fence 11b is provided with a laminated piece 18. The laminated piece 18 is for fixing with adjacent trays when a plurality of the trays are used in overlap.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a)에는 접속자고정부(20)가 구비된다. 상기 접속자고정부(20)는 광케이블(C1,C2)의 심선(F1,F2)이 서로 연결된 접속부(이하 '심선접속부'라 한다)가 안착되는 부분으로, 심선접속부(A)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The base plate 11a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fixing part 20. The connection fixing part 20 is a part where the connection par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re wire connection parts”) in which the core wires F1 and F2 of the optical cables C1 and C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re seated, and serve to fix the core wire connection part A. do.

상기 접속자고정부(20)는 다수개의 슬리브(22)로 구성되는데, 상기 슬리브(22) 사이에는 각각 상기 심선접속부(A)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슬리브(22)가 다수개의 열을 이루면서 구비되고, 하나의 열의 슬리브(22)는 총 4개가 서로 일정 간격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는데, 그 개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connection fixing part 2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leeves 22, the core wire connecting portion (A) is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sleeves 22, respective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leeve 22 is provided while forming a plurality of rows, one row of sleeves 22 are formed with a total of fou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number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이때, 상기 다수개 열로 구성되는 슬리브(22)를 여려개의 군으로 나누어, 각각 다른 색으로 구성함으로써 심선접속부(A)의 구별이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sleeve 22 having a plurality of rows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groups, and may be configured in different colors to facilitate differentiation of the core wire connecting portion A. FIG.

도 3에는 상기 슬리브(22)의 일부를 절결한 모습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보듯이, 상기 슬리브(22)는 양단(25)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슬리브(22)의 폭이 가변적으로 구성되도록 하여, 슬리브(22)의 폭이 좁은 부분에서 심선접속부(A)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3 shows a cutaway view of a portion of the sleeve 22, as shown in the figure, the sleeve 22 is formed so as to become thicker toward both ends (25). This is to allow the width of the sleeve 22 to be variably configured, so that the core wire connecting portion A can be more firmly fixed at the narrow portion of the sleeve 22.

도 4 및 도 5에는 상기 접속자고정부(20)의 모습이 각각 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보듯이, 상기 접속자고정부(20)는 베이스부(21)와 슬리브(22) 및 측면부(26) 그리고 커버부(28)를 포함한다. 4 and 5, the state of the connection fixing portion 20 is shown in a side cross-sectional view, respectively, as shown, the connection fixing portion 20 is the base portion 21, the sleeve 22 and the side portion 26 And a cover portion 28.

상기 베이스부(21)는 상기 하우징(10)의 베이스플레이트(11a)에 안착되는 부분으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a)와 일체로 볼 수도 있다. The base portion 21 is a part seated on the base plate 11a of the housing 10, and may be viewed integrally with the base plate 11a.

상기 베이스부(21)에는 다수개의 슬리브(2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도 4 및 도 5로부터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즉,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꺼운 슬리브(22)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도 5가 슬리브(22)의 두꺼운 부분을 절단한 단면도이기 때문이다.(도 3의 Ⅰ-Ⅰ'선 및 Ⅱ-Ⅱ'선 참조)The base portion 2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leeves 22. In addition, the sleeve 22 is formed to have different thickness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which can be clearly seen from FIGS. 4 and 5. That is, FIG. 5 shows a relatively thick sleeve 22 as compared to that shown in FIG. 4, since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hick portion of the sleeve 22. FIG. See 'Lines and II-II')

따라서, 상대적으로 두꺼운 부분 사이에 위치한 심선접속부(A)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herefore, the core wire connecting portion A located between the relatively thick portions can be more firmly fixed.

상기 베이스부(21)의 양단에는 측면부(26)가 구비되는데, 상기 측면부(26)는 상기 베이스부(21)로부터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측면부(26)는 상기 베이스부(21)와 함께 상기 접속자고정부(20)의 내부공간(S)을 형성하게 된다. 물론, 상기 측면부(26)는 상기 베이스부(21)와 일체로 볼 수도 있다. Side portions 26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base portion 21, and the side portions 26 extend in a direction orthogonal from the base portion 21. The side portion 26 together with the base portion 21 forms an inner space S of the connection fixing portion 20. Of course, the side portion 26 may be viewed integrally with the base portion 21.

상기 측면부(26)에는 커버부(28)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부(28)는 상기 측면부(26)에 연결되어 상기 슬리브(22) 및 이에 삽입된 심선접속부(A)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부(28)는 상기 측면부(26)에 힌지연결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커버부(28)는 상기 측면부(26)와 별개물로 구성되어 조립될 수도 있다. The side part 26 is provided with a cover part 28. The cover portion 28 is connected to the side portion 26 to selectively shield the sleeve 22 and the core wire connecting portion A inserted therei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ver portion 28 is hinged to the side portion 26,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the cover portion 28 may be assembled and configured as a separate from the side portion 26. .

상기 커버부(28)와 상기 측면부(26)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결합돌기(27)와 결합편(29)이 각각 구비되어 조립된 상태가 유지된다. Coupling protrusions 27 and coupling pieces 29 are provid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of the cover part 28 and the side part 26 to maintain an assembled state.

이때, 상기 접속자고정부(20)의 내부공간(S)의 높이(H)는 상기 슬리브(22)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슬리브(22)는 상기 내부공간(S)으로부터 어느 정도 돌출된 상태가 되고, 상기 커버부(28)가 결합되면 커버부(28)의 외면에 눌려 휘어지게 된다. At this time, the height (H) of the internal space (S) of the connection fixing portion 20 is formed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sleeve (22). Accordingly, the sleeve 22 is protruded to some extent from the inner space S, and when the cover portion 28 is coupled, the sleeve 22 is pressed by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28 to be bent.

이에 따라, 서로 인접한 상기 슬리브(22) 사이 간격은 서로 좁혀지게 되고, 상기 슬리브(22) 사이에 위치된 심선접속부(A)는 슬리브(22)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Accordingly, the distance between the sleeves 22 adjacent to each other is narrowed, and the core wire connecting portion A positioned between the sleeves 22 may be firmly fixed between the sleeves 22. This is shown in FIG. 6.

이를 위해, 상기 슬리브(22)는 휘어질 수 있는 연성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슬리브(22)는 실리콘이나 연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To this end, the sleeve 22 is preferably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at can be bent. That is, the sleeve 22 may be made of silicon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excellent ductility.

상기 슬리브(22)는 상기 베이스부(21)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슬리브(22)는 상기 베이스부(21)로부터 직교한 방향이 아닌, 어느 정도 경사각을 가지면서 연장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 커버부(28)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슬리브(22)의 상단을 자연스럽게 눌러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sleeve 22 is preferably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21. That is, as shown in FIG. 4, the sleeve 22 extends with a certain inclination angle rather tha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ase portion 21. This is to allow the top of the sleeve 22 to be naturally pressed while the cover portion 28 is rotated.

한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a)의 양측면에는 상기 광케이블여장부(15) 및 접속자고정부(20)가 각각 구비된다. 즉, 상기 트레이는 양면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양면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both sides of the base plate (11a) is provided with the optical cable mounting portion 15 and the connection fixing part 20, respectively. In other words, the tray has a double-sided structure, both sides can be used.

그리고, 상기 연통홀(H1~H4)로 인해, 상기 광케이블(C1,C2)의 심선(F1,F2)이 통과할 수 있으므로, 트레이의 양면 중 선택적 사용이 가능하다. In addition, since the core wires F1 and F2 of the optical cables C1 and C2 may pass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s H1 to H4, selective use of both sides of the tray is possible.

도 2의 ⓐ 및 ⓑ는 각각 상기 트레이의 양측면을 도시한 것으로, 이에 보듯이, 상기 트레이의 양측면은 대칭되는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사용자는 양측면을 서로 다른 용도나 기능으로 구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하는 심선(F1,F2)(사용코아)는 전면에 설치하고, 사용하지 않는 심선(F1',F2')(휴코아)는 후면에 설치함으로써 이를 구별할 수 있는 것이다.
Ⓐ and ⓑ of FIG. 2 respectively show both sides of the tray. As shown in FIG. 2, the two sides of the tray are configured to be symmetrical, so that the user can distinguish the two sides by different uses or functions. For example, the core wires F1 and F2 (use core) to be used are installed on the front side, and the core wires F1 'and F2' (Hucoa) not to be used can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광케이블 접속함체용 트레이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of the tray for the optical cable connection enclo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사용자는 먼저 트레이의 튜브를 광케이블인입부(13)에 삽입하여 고정한 후에, 상기 튜브로부터 돌출되는 심선(F1,F2)을 상기 광케이블여장부(15)에 권취한다. 즉, 상기 심선(F1,F2)을 광케이블여장부(15)의 가이드편(16) 사이를 두르면서 여러번 회전시키고, 마지막으로 고정블록을 상기 고정홀(17)에 삽입하여 고정하게 된다. The user first inserts and fixes the tube of the tray into the optical cable inlet part 13, and then winds the core wires F1 and F2 protruding from the tube in the optical cable holder 15. That is, the core wires (F1, F2) are rotated several times while circulating between the guide pieces 16 of the optical cable fitting portion 15, and finally the fixing block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17 to be fixed.

다음으로, 융착접속이나 기계식접속을 이용하여, 상기 심선(F1)을 다른 심선(F2)과 접속한 후에, 심선접속부(A)를 상기 접속자고정부(20)에 고정시킨다. Next, after the said core wire F1 is connected with another core wire F2 using a fusion splicing or a mechanical connection, the core wire connection part A is fixed to the said connection fixing part 20. As shown in FIG.

보다 정확하게는, 작업자는 상기 심선접속부(A)를 상기 슬리브(22) 사이에 위치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슬리브(22)는 기능에 따라 다른 색으로 구별되므로,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슬리브(22) 사이의 간격이 충분히 확보되므로 큰 삽입력 없이 설치할 수 있다. More precisely, the operator places the core connection portion A between the sleeves 22, where the sleeves 22 are distinguished by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their function, so that they can be installed accurately and the sleeves 22 It is possible to install without large insertion force because the gap between) is secured enough.

이 상태에서 상기 접속자고정부(20)의 커버부(28)를 회전시키면, 상기 커버부(28)는 상기 측면부(26)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슬리브(22)의 일단은 상기 커버부(28)에 의해 눌리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슬리브(22)는 휘어지면서 그 사이이 간격이 좁아지게 되고 상기 심선접속부(A)는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When the cover part 28 of the connection fixing part 20 is rotated in this state, the cover part 28 is coupled to the side part 26, and one end of the sleeve 22 is the cover part 28. Pressed by). Accordingly, the sleeve 22 is bent while the gap therebetween becomes narrow, and the core wire connecting portion A is firmly fixed.

이때, 상기 트레이의 일면에 구비된 접속자고정부(20)를 이용하여 중접을 위한 심선접속부(A)를 고정한 경우에, 트레이의 다른면은 분기(分岐)를 위한 심선접속부(A)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분기를 위한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At this time, when fixing the core wire connecting portion (A) for the fold by using the connection fixing part 20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tray, the other side of the tray to fix the core wire connecting portion (A) for branching Can be used for Hereinafter, the process for branching will be described.

상기 접속함체를 분기용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사용자는 추가 광케이블(C1',C2')을 접속함체 내부로 인입하여 상기 트레이의 타면에 구비된 광케이블인입부(13)에 고정시킨다. 참고로, 도 2에 도시된 도면부호 C1' 및 C2'는 분기용 추가 광케이블을 나타낸다. When the connection enclosure is to be used for branching, the user first introduces additional optical cables C1 'and C2' into the connection enclosure and fixes them to the optical cable inlet 13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tray. For reference, reference numerals C1 'and C2' shown in FIG. 2 denote additional optical cables for branching.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트레이의 타면에 구비된 광케이블여장부(15)에 심선(F1',F2')을 권취한 후에, 기설된 심선(F1,F2)을 상기 연통홀(H1~H4)을 통해 상기 트레이의 타면 방향으로 돌출시켜 서로 접속하게 된다.In this state, the operator winds the core wires F1 'and F2' on the optical cable fitting portion 15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tray, and then connects the existing core wires F1 and F2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s H1 to H4. They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surface of the tray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그리고, 마지막으로 상기 트레이의 타면에 구비된 접속자고정부(20)에 상기 심선접속부(A)를 고정시키게 되는데, 이 과정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Finally, the core wire connecting portion A is fixed to the connection fixing part 20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tray. This process may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한편, 작업자는 상기 트레이의 어느 일면을 작업한 후에는 이를 회전시켜 반대면을 작업할 수 있다. 즉, 상기 트레이는 양면을 모두 사용하게 되므로, 작업시에 회전을 통해 반대면을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광케이블인입부(13)의 직선형상으로 인해, 상기 광케이블이 휘어지거나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fter the worker works on one side of the tray can rotate the work to work on the opposite side. In other words, since the tray uses both sides, the tray uses the opposite side through rotation. At this time, due to the linear shape of the optical cable inlet 13, the optical cable can be prevented from bending or interference.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is defined by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직선형 접속함체를 예로 들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광케이블(C1,C2)을 여장하기 위한 다양한 접속함체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linear connection enclosure is taken as an exampl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to various connection enclosures for fitting the optical cables C1 and C2.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우징 11a: 베이스플레이트
11b: 가이드펜스 11': 작업공간
13: 광케이블인입부 15: 광케이블여장부
16: 가이드편 20: 접속자고정부
21: 베이스부 22: 슬리브
26: 측면부 28: 커버부
C1,C2: 광케이블 F1,F2: 심선
H1~H4: 연통홀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housing 11a: base plate
11b: Guide fence 11 ': Workspace
13: optical cable entry 15: optical cable
16: Guide Part 20: Access Self-government
21: base portion 22: sleeve
26: side portion 28: cover portion
C1, C2: Optical cable F1, F2: Core wire
H1 ~ H4: Communication hole

Claims (8)

광케이블 접속함체 내부에 설치되는 광케이블 접속합체용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외관을 형성하고 그 바닥을 형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의 양측면에는 각각 작업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상기 광케이블의 인입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하우징의 양측 작업공간에 각각 적어도 1개 이상 구비되고 상기 광케이블의 심선이 정리되어 고정되는 광케이블여장부와,
상기 하우징의 양측 작업공간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심선의 접속부가 고정되는 접속자고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자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에 안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다수개가 나란히 돌출되어 그 사이에 상기 심선의 접속부가 삽입되는 슬리브와,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어 상기 슬리브 및 이에 삽입된 상기 심선의 접속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는 연성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접속자고정부의 내부공간의 높이보다 큰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가 닫히면 상기 커버부에 눌려 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함체용 트레이.
A tray for an optical cable connection assembly installed inside an optical cable connection enclosure, wherein the tray is
Both sides of the base plate forming the appearance and the bottom of the housing is formed with a working space, respectively,
A guide part provided at an edge of the housing to guide the introduction of the optical cable;
At least one and each provided in the working space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and the optical cable mounting portion that the core wires of the optical cable is arranged and fixed;
Connection self-fixing part which is provided in both working spaces of the housing is fixed to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ore wire
Including, the connection self-government,
A base portion seated on the housing, a sleeve in which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e side by side from the base portion, and a connection portion of the core wire inserted therebetween; It includes a cover to shield,
And the sleeve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nd is formed to have a length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inner space of the splicing fixing part, and is pressed by the cover part when the cover part is clos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광케이블의 심선이 상기 연통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양측 작업공간 중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 이동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함체용 트레이.
The optical cable connection enclos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in the base plate, and the core wire of the optical cable is movable to at least one side of both working spaces of the hous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tra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홀은 상기 광케이블여장부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함체용 트레이.
The tray of claim 2, wherein the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optical cable hold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함체용 트레이.
The tray of claim 1, wherein the sleeve extends in an inclined direction from the base por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그 설치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서로 인접한 상기 슬리브 사이의 폭은 상기 슬리브의 설치방향을 따라 가변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함체용 트레이.
7. The tray of claim 6, wherein the sleeves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thicknesses along their installation directions, and the widths between the adjacent sleeves vary along the installation directions of the sleeves.
삭제delete
KR2020100000170U 2010-01-08 2010-01-08 Tray for optical cable connecting box KR20045628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170U KR200456289Y1 (en) 2010-01-08 2010-01-08 Tray for optical cable connecting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170U KR200456289Y1 (en) 2010-01-08 2010-01-08 Tray for optical cable connecting box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086U KR20110007086U (en) 2011-07-14
KR200456289Y1 true KR200456289Y1 (en) 2011-10-26

Family

ID=45568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0170U KR200456289Y1 (en) 2010-01-08 2010-01-08 Tray for optical cable connecting box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289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2912B1 (en) * 2015-03-03 2015-10-26 네트워크케이블 주식회사 Fiber to the home terminal box for strength wire fixation parts having the same and apparatus for optical signal transmission including the same
KR102078155B1 (en) * 2017-09-12 2020-02-17 윤병건 Remainder board for optical cable connecting box
KR102365245B1 (en) * 2017-10-19 2022-02-1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ber optic splice closure
KR102525785B1 (en) * 2018-04-05 2023-04-2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Optical Distribution Box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998Y1 (en) * 2005-01-25 2005-04-08 주식회사 선일 structure fixing optical cable adapter in trays of optical cable termin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998Y1 (en) * 2005-01-25 2005-04-08 주식회사 선일 structure fixing optical cable adapter in trays of optical cab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086U (en) 2011-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7183A (en) Low profile communications outlet box
US6496638B1 (en) Optical fiber cassette
CN106932870B (en) Optical fiber ribbon core wire and optical fiber cable containing the same
KR200399079Y1 (en) Optical cable Outlet
WO2011155563A1 (en) Connector-equipped assembled optical cable
KR200456289Y1 (en) Tray for optical cable connecting box
JP6191343B2 (en) Optical cable
JP4523771B2 (en) Twisted pair cable
KR101093439B1 (en) Module for connecting and splicing optical fiber
JP2015018053A (en) Optical cable
US20200166722A1 (en) Wall cabinets and fiber management trays
JP4395389B2 (en) Optical fiber tape core protecting member and optical fiber connector ferrule connection method
KR102078484B1 (en) Field assembling type connector
JP7281295B2 (en) optical termination box
JP2017207594A (en) Optical cable, and insertion/removal method
JP2007041380A (en) Optical fiber holder
KR101237516B1 (en) Ribbon unite
KR20120034296A (en) Optical cable
CN218446115U (en) Distributed fixed terminal box of multichannel optic fibre
KR100295460B1 (en) Stacked Ribbon Fiber Optic Split Cord
KR200396500Y1 (en) Optical fiber splice storage tray having the extra space in which excess lenghs of spare optical fibers are retained sepatately
CN210222316U (en) Optical fiber access box
JP7110866B2 (en) Optical fiber cable and optical fiber cable connection structure.
CN217443613U (en) Optical fiber distribution frame and optical fiber distribution cabinet
JP2018173649A (en) Round and small diameter optical cable with ribbon type optical fiber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