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266Y1 - 퓨즈 장치 - Google Patents

퓨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266Y1
KR200456266Y1 KR2020100000475U KR20100000475U KR200456266Y1 KR 200456266 Y1 KR200456266 Y1 KR 200456266Y1 KR 2020100000475 U KR2020100000475 U KR 2020100000475U KR 20100000475 U KR20100000475 U KR 20100000475U KR 200456266 Y1 KR200456266 Y1 KR 2004562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led
present
glass tube
cylindrical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04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7316U (ko
Inventor
신상진
오선진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20201000004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266Y1/ko
Publication of KR201100073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3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2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2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013Means for preventing damage, e.g. by ambient influences to the fuse
    • H01H85/0021Means for preventing damage, e.g. by ambient influences to the fuse water or dustproof devices
    • H01H85/003Means for preventing damage, e.g. by ambient influences to the fuse water or dustproof devices casings for the fusible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6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 H01H9/161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comprising light emit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2085/209Modular assembly of fuses or holders, e.g. side by side;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identical fuse un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36Light emitting elements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퓨즈 장치는 원통형 유리관 퓨즈와 퓨즈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원통형 유리관 퓨즈 내에는 LED와 직렬 연결되는 저항과; LED 및 저항과 병렬 연결되는 퓨즈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퓨즈 홀더는 투광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퓨즈가 단선된 경우에, 본 고안에 따르는 퓨즈 장치의 LED가 발광하도록 함으로써, LED 발광에 의해 퓨즈의 단선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퓨즈 장치 {FUSE DEVICE}
본 고안은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원통형 유리관 퓨즈를 개조함으로써, 퓨즈의 단선 여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 퓨즈 장치에 관한 것이다.
퓨즈는 전기, 전자기기나 배선 등을 보호하는 차단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선에 규정 값 이상의 과도한 전류가 흐를 경우,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열로 퓨즈가 녹아서 끊어짐으로써 전류가 계속 흐르지 못하게 자동적으로 차단하는 장치이다.
전기 및 전자기기에는 복수의 퓨즈 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그런데,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대부분의 퓨즈 장치는, 퓨즈의 단선을 알려주는 회로나 장치를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은 많지 않다. 이에 따라, 퓨즈가 단선된 경우에 단선된 퓨즈를 가려내어 교체하기 위해서는, 퓨즈들을 일일이 전기 및 전자기기로부터 이탈시켜 검사하여야 하므로,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다. 특히, 퓨즈의 단선을 시각적으로 감지하기 어려운 야간에는 그러한 검사조차도 매우 어렵게 된다.
퓨즈 단선을 알려 주는 방식을 도입한 퓨즈 장치가 일부 있기는 하지만, 그 형태가 종전에 사용하는 퓨즈 형태와 달리 부피가 매우 커서 기존 퓨즈를 대체하기는 곤란하다는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이에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퓨즈 장치가 안고 있는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것으로서, 퓨즈의 단선 여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퓨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구성이 간단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퓨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본 고안에 의한 퓨즈 장치의 크기 및 형태가 기존에 사용하던 퓨즈 장치의 크기 및 형태와 동일하여 기존에 사용 중인 전기기기에 아무런 변형을 가하지 않고서도 사용할 수 있는 퓨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퓨즈 장치는 크게 2가지 구성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구성요소는, 현재 널리 사용되는 원통형 유리관 퓨즈 속에 LED와 직렬 연결되는 저항과; LED 및 저항과 병렬로 연결되는 퓨즈이다. 두 번째 구성요소는, LED가 발광했을 때에 그 LED 빛을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는 투광성 소재로 제조되며, 그 내부에 상기 LED, 저항 및 퓨즈를 고정하는 퓨즈홀더이다.
본 고안에 따른 퓨즈 장치는 퓨즈가 단선된 경우에 LED가 발광하도록 함으로써, LED 발광에 의해 퓨즈의 단선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에 의한 퓨즈 장치에 의하면, 퓨즈가 부하의 과전류로 인해 끊어졌을 때, 퓨즈의 단선을 투명한 퓨즈 홀더를 통해 LED의 불빛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특히 야간에 퓨즈의 단선 여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퓨즈 장치는 구성이 간단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손쉽게 제작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퓨즈 장치의 크기 및 형태는 기존에 사용하던 퓨즈 장치의 크기 및 형태와 동일하여 기존에 사용 중인 전기기기에 아무런 변형을 가하지 않고서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의한 퓨즈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퓨즈 장치의 퓨즈가 단선되지 않은 상태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퓨즈 장치의 퓨즈가 단선된 상태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4는 원통형 유리관 퓨즈에 퓨즈가 조립되어 있는 상태를 표현하는 사시도로, 도 4a는 위쪽에서 바라본 것이고, 도 4b는 아래쪽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의한, 퓨즈가 내장되어 있는 투명한 퓨즈 홀더의 일 예이다.
본 고안은,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예시적인 목적만을 가지고서 나타내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기재된 이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퓨즈 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로, 원통형 유리관 퓨즈의 내부에 배치되는, LED와 저항, 그리고 퓨즈의 연결을 회로도 형태로 나타낸 것이다. LED와 저항은 직렬로 되어 있고, 이들은 다시 퓨즈와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LED는 프린트 기판(이하, 'PCB 기판'이라고도 함)에 표면 실장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형태에 사용되는 LED는 그 크기가 작아서, 현재 당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원통형 유리관 퓨즈 내부에 충분하게 삽입될 수 있다. LED는 특정의 유형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는 한은, 기존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어떠한 유형의 LED도 본 고안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사용되는 LED는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제작하는 데에 어려움이 없다.
LED와 직렬 연결되는 저항도 PCB 기판에 표면 실장될 수 있으며, 기존의 원통형 유리관 퓨즈에 충분히 삽입될 수 있는 크기라면, 현재 시판 중인 어떠한 유형의 저항을 사용할 수도 있다.
퓨즈 장치에서, 부하와 퓨즈에 달린 저항값에 의해서 LED에 수십 ㎃ 정도의 전류가 흐르도록 저항값이 조정될 수 있다. 이 저항값은 사용되는 퓨즈의 사용 전압과 전류 등의 정격에 따라 적당한 값으로 최적으로 선택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인 경우에 있어서, 부하의 저항값은 수 k 오옴을 넘지 못한다. 그러므로 LED에 흐르는 전류량은 LED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저항값에 의존하며, 이 저항값을 약 10k 오옴 내외에서 튜닝을 하면 LED가 과전류에 타지 않고 계속 발광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교류 전원을 사용하므로 LED는 단방향으로만 전류가 흐르면서 발광을 하고 역방향으로는 발광을 하지 않는다. 단방향으로만 발광을 하더라도 상용 전원이 60 ㎐인 경우, 초당 60번 정도 켜짐과 꺼짐을 반복하므로, 사람 눈에는 계속 켜져 있는 것으로 인식되게 된다.
도 2는 교류 전원과 교류 전원을 사용하는 부하, 그리고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의한 퓨즈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도면으로, 퓨즈가 단선되지 않은 상태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2에서, 퓨즈가 단선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교류 전원으로부터 나온 전류는 저항이 있는 LED 쪽으로 흐르지 않고, 퓨즈를 통해서 흐르게 된다. 이에 따라, 부하는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LED는 발광하지 않게 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것과 유사한 것으로, 퓨즈가 단선된 상태의 동작 상태도이다. 이 경우, 퓨즈가 단선되어서 전류가 LED 쪽으로 흐르기 때문에, LED가 발광하여 퓨즈의 단선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의한 퓨즈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 도 4a는 위쪽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내고, 도 4b는 아래쪽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PCB 기판 위에 LED와 저항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PCB 기판 아래에는 퓨즈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형 유리관 퓨즈와 투광성 퓨즈 홀더이다. 투광성 퓨즈 커버의 형상은 원통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5는 퓨즈 단선으로 LED가 발광할 때 발광된 빛을 퓨즈 홀더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퓨즈 홀더를 투명하게 제작한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개시하고 이에 대해 도시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또 다른 실시 형태를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10: LED 11: 저항
12: 퓨즈 13: 부하
14: 교류 전원 15: PCB 기판
16: 도전성 캡(전기적 단자) 17: 퓨즈가 내장된 투광성 퓨즈 홀더

Claims (1)

  1. 상면과 하면을 구비하는 원통형 유리관;
    상기 원통형 유리관 내에 배치되고, 상기 상면에서 상기 하면까지 연장되는 PCB;
    과전류시 단락되도록 상기 PCB의 일면에 형성되는 퓨즈;
    상기 PCB의 타면에 상기 퓨즈와 병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부; 및
    상기 원통형 유리관의 어느 일면을 덮도록 결합되어, 상기 발광부로부터 빛이 투과되도록 형성되는 투광성 퓨즈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LED와 저항을 구비하여, 상기 퓨즈가 단락시 LED가 발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장치.
KR2020100000475U 2010-01-15 2010-01-15 퓨즈 장치 KR2004562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475U KR200456266Y1 (ko) 2010-01-15 2010-01-15 퓨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475U KR200456266Y1 (ko) 2010-01-15 2010-01-15 퓨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316U KR20110007316U (ko) 2011-07-21
KR200456266Y1 true KR200456266Y1 (ko) 2011-10-20

Family

ID=45597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0475U KR200456266Y1 (ko) 2010-01-15 2010-01-15 퓨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266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7854B1 (ko) 2003-01-20 2005-11-09 주식회사 알파이 퓨즈 장치
KR100933744B1 (ko) 2005-05-17 2009-12-24 삼창기업 주식회사 이중 휴즈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7854B1 (ko) 2003-01-20 2005-11-09 주식회사 알파이 퓨즈 장치
KR100933744B1 (ko) 2005-05-17 2009-12-24 삼창기업 주식회사 이중 휴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316U (ko) 201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12236B2 (ja) プラグイン式過渡電圧サプレッサ―・モジュ―ル
US20060017540A1 (en) Fuse blow-out dual LED indicator
JP5272123B2 (ja) 劣化警報機能付きspd
JP4876452B2 (ja) 照明装置
US20170317333A1 (en) Multiple Voltage Output Battery Case with Protection and Alarm System
US7460004B1 (en) Circuit protection device with cutout warning effect
US7460351B2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WO2009125838A1 (ja) プラグ及びタップ
US7973324B2 (en) Lamp type light emitting device for safety fuse
KR200456266Y1 (ko) 퓨즈 장치
US20050035842A1 (en) Light emitting fuse having quick indication function
JP2022521219A (ja) 報知装置、電気ヒューズ機器および電気ヒューズ機器を有する装置
KR101728534B1 (ko) 차량의 스마트 정션블록 내 퓨즈 단선 감지 장치
JP5014742B2 (ja) Spdおよび住宅用分電盤
US20110050439A1 (en) Protector having a dual-warning outer casing
CN216698957U (zh) 一种带有发光指示的插接器
US9462656B2 (en) Lamp base having integral semiconductor transient protection device
US20100060408A1 (en) Fuse module with indicating capability
CN215934448U (zh) 告警式自恢复保险丝装置
KR101515331B1 (ko) 직관적인 관리 기능과 안전 점등 기능을 제공하는 엘이디 조명 장치
CN212277142U (zh) 一种具有保险丝熔断保护装置的led指示灯
RU2419939C1 (ru) 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меющее наружную оболочку с двойной сигнализацией
CN114498543A (zh) 一种反接过载的保护显示电路及电路板
JP2010103019A (ja) 照明装置
KR20230120573A (ko) 온도 감시 장치 및 전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