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237Y1 - 내용물 배출펌프 - Google Patents

내용물 배출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237Y1
KR200456237Y1 KR2020090000472U KR20090000472U KR200456237Y1 KR 200456237 Y1 KR200456237 Y1 KR 200456237Y1 KR 2020090000472 U KR2020090000472 U KR 2020090000472U KR 20090000472 U KR20090000472 U KR 20090000472U KR 200456237 Y1 KR200456237 Y1 KR 2004562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cylinder tube
cylinder
fixed ring
pump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04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7472U (ko
Inventor
강성일
Original Assignee
강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일 filed Critical 강성일
Priority to KR20200900004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237Y1/ko
Priority to PCT/KR2010/000236 priority patent/WO2010082771A2/ko
Priority to US13/144,533 priority patent/US8622254B2/en
Publication of KR201000074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4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2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2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1076Traction springs, e.g. stretchable slee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05B11/028Pistons separating the content remaining in the container from the atmospheric air to compensate under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05B11/1046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 B05B11/1047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the pump being preassembled as an independent unit before being mounted o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1074Springs located outside pump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23Piston pumps having an outlet valve opened by deformation or displacement of the piston relative to its actuating stem

Abstract

본 고안은 펌핑 작동하여서 용기에 수용된 화장품을 일정량씩 외부로 배출 사용할 수 있도록 용기의 개구부에 장착 되어지는 내용물 배출펌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내용물유입공(22)이 구비된 제1실린더튜브(21)와, 상기 제1실린더튜브(21)의 상부 내측에 결합되는 제2실린더튜브(24)를 갖는 실린더(20)와; 상기 내용물유입공(22)에 개폐가능하게 구비되는 체크밸브(50)와; 상기 제2실린더튜브(24)가 언더컷 장착되는 고정환편(11)이 형성되고, 용기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펌프본체(10)와; 상기 제2실린더튜브(24)의 상부에 형성된 끼움홈(25)에 끼움 고정되는 고정환테(31)와, 연결이송관(28)의 단턱내경(28a)에 끼워지는 연결환테(32)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환테(32)가 단턱내경(28a)에 끼워진 연결이송관(28)을 작동피스톤도드(26)에 끼움 연결되어 내용물이 접촉되지 않도록 한 누름버튼승강부재(30); 를 포함하는 배출펌프에 있어서, 상기 펌프본체(10)의 내측에는 고정환편(11)을 형성하고, 상기 제2실린더튜브(24)의 상부 외주면에는 고정홈(29)을 형성하여, 상기 제2실린더튜브(24)의 고정홈(29)을 상기 펌프본체(10)의 고정환편(11)에 결합하여 상기 제2실린더튜브(24)를 포함하는 실린더(20)를 펌프본체(10)에 결합함을 특징으로 한다.
펌프본체, 고정환편, 실린더, 끼움홈, 단턱내경, 누름버튼승하강부재, 고정환테, 연결환테, 누름버튼

Description

내용물 배출펌프 {Content exhaust pump}
본 고안은 펌핑 작동하여서 용기에 수용된 화장품을 일정량씩 외부로 배출 사용할 수 있도록 용기의 개구부에 장착 되어지는 배출펌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건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실용신안등록 제20-0427103호의 밸브겸용탄성체인 제1밸브의 구조를 개선한 것으로써, 누름버튼의 펌핑작동에 의해 내용물이 배출될 때 엘라스토머재인 탄성누름버튼승강부재가 내용물에 접촉하여 야기되는 탄성누름버튼승강부재의 경화 및 내용물의 변질을 예방하고, 종래 내용물 배출펌프의 문제점인 합성수지재와 금속스프링으로 구성하여 재활용이 불가능하여 폐기를 해야하는 문제를 개선하여 금속스프링을 사용하지않고 엘라스토머로 스프링을 대신케함으로써 배출펌프를 재활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친환경적으로 개선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안에 담겨져 있는 화장품, 샴푸, 세제류 등의 내용물을 적당량씩 배출 사용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 용기에 배출펌프를 장착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용기에 장착되어 내용물을 소량씩 배출 사용하는 기존의 배출펌프는 다양하게 착안되어 있으나, 일반적인 배출펌프의 구조는 내용물유입공(125)을 개폐하는 개폐볼(122)과 작동피스톤(123)이 스프링(121)의 탄성력을 받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작동피스톤(123)으로 내용물저장실(126) 내에 압력을 가해 상기 내용물저장실(126) 내의 내용물을 누름버튼(140)을 통해 배출되도록 이루 어진 실린더(120)가 펌프본체(110)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작동피스톤(123)에는 밀폐피스톤(124)이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120)의 작동피스톤(123)에 체결된 작동관(130)에는 누름버튼(14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내용물 배출펌프는 누름버튼(140)을 누르면 밀폐피스톤(124)과 작동피스톤(123)의 사이에 공극이 먼저 발생한 후, 상기 밀폐피스톤(124)과 작동피스톤(123)이 함께 아래로 내려가면서 내용물저장실(126)에 압력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압력에 의해 작동피스톤(123)의 내용물이송로(123a)를 통해 도1에서와 같이 내용물이 배출되어지게 된다.
이때 개폐볼(122)은 압축되는 스프링(121)에 의해 내용물유입로(125)에 밀착되어져 상기 내용물유입로(125)를 차단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누름버튼(140)을 눌러 내용물을 배출한 다음 누름버튼(140)에 가해졌던 외력을 해제하면, 스프링(121)에 축적된 반발 탄성력에 의해 작동피스톤(123)과 밀폐피스톤(124)이 함께 도2에서와 같이 상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승하는 작동피스톤(123)과 밀폐피스톤(124)은 상승 초기에 작동피스톤(123)이 먼저 상승하여 작동피스톤(123)과 밀폐피스톤(124) 사이에 발생하였던 공극이 닫히면서 내용물이송로(123a)가 차단되어지게 되고, 상기 스프링(121) 에 축적된 탄성력이 약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내용물이송로(123a)가 차단되어진 상태에서 상기 작동피스톤(123)과 밀폐피스톤(124)이 지속적으로 상승 함에 따라 내용물저장실(126)에 진공압이 발생하게 되고, 내용물저장실(126)에 발생한 진공압에 의해 개폐볼(122)이 상기 내용물유입공(125)으로부터 이격되어 용기내의 내용물이 내용물저장실(126)에 재차 유입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종래 내용물 배출펌프는 상기의 동작을 연속 반복하면서 내용물을 배출하게 된다.
상기의 종래의 내용물 배출펌프의 가장 큰 단점은 반발수단인 스프링이 금속재이고 또한 내용물의 배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개폐수단이 금속볼이어서 금속재인 스프링과 금속볼이 내용물에 의해 부식되어 내용물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에서 기술한 종래 배출펌프의 단점을 개량한 배출펌프가 이건 출원인이 실용신안출원하여 등록한 실용신안등록 제20-0427103호의 "내용물 배출펌프 구조"가 있다.
상기의 선등록고안은 상기에서 기술한 금속재인 반발스프링과 금속볼을 사용하는 대신 엘라스토머로 스프링을 대신하고 합성수지재 밸브를 사용함으로써, 부식에 의한 내용물 변질을 예방할 수 있었으나, 엘라스토머재인 누름버튼승강부재(제1체크밸브)의 내용물배출공 부위가 내용물에 직접 접촉되어지는 구조이어서 내용물이 접촉되는 부위에서의 엘라스토머 경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내용물의 정량 배 출이 불가능해져 제품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었으며 또한,
종래 내용물 배출펌프는 합성수지재와 금속재로 구성되어 있어 제품을 모두 사용하고 분리수거를 할 때 내용물 배출펌프는 재활용할 수 가 없어서 폐기를 해야만 했으므로 환경상 좋지 못했다.
따라서, 이건출원인은 선등록고안을 보완, 개량하기에 이르렀다.
본 고안은 이건출원인이 선출원하여 실용신안등록 제20-0427103호의 내용물 배출펌프 구조를 보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배출펌프를 구성하는 펌프본체와 펌프본체에 조립되는 실린더의 구성을 개량함과 동시에 개량된 배출펌프에 엘라스토머재인 누름버튼승강부재를 적용하여 펌핑작동되는 누름버튼이 엘라스토머재인 누름버튼승강부재에 의해 펌핑 작동되도록 함과 더불어 엘라스토머재인 누름버튼승강부재가 내용물과 접촉되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누름버튼승강부재가 내용물과 접촉하여 일어났던 경화(硬化)현상을 근본적으로 예방하여 누름버튼승강부재의 신축력 상실로 야기되는 펌핑작동 불량 및 그로 인한 내용물의 불규칙한 배출을 방지할 수 있고, 엘라스토머재인 누름버튼승강부재에 내용물이 접촉하여 내용물이 변질되는 문제점을 해소하였으며,
종래 내용물 배출펌프 내에 합성수지재 이외의 금속재는 사용을 하지 않고 금속볼대신에 합성수지재 밸브를 사용하고 금속제 스프링 대신에 엘라스토머를 사용함으로서 제품을 모두 사용한 후에는 내용물 배출펌프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함 으로서 친환경적인 내용물 배출펌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용물유입공(22)이 구비된 제1실린더튜브(21)와, 상기 제1실린더튜브(21)의 상부 내측에 결합되는 제2실린더튜브(24)를 갖는 실린더(20)와; 상기 내용물유입공(22)에 개폐가능하게 구비되는 체크밸브(50)와; 상기 제2실린더튜브(24)가 언더컷 장착되는 고정환편(11)이 형성되고, 용기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펌프본체(10)와; 상기 제2실린더튜브(24)의 상부에 형성된 끼움홈(25)에 끼움 고정되는 고정환테(31)와, 연결이송관(28)의 단턱내경(28a)에 끼워지는 연결환테(32)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환테(32)가 단턱내경(28a)에 끼워진 연결이송관(28)을 작동피스톤도드(26)에 끼움 연결되어 내용물이 접촉되지 않도록 한 누름버튼승강부재(30); 를 포함하는 배출펌프에 있어서, 상기 펌프본체(10)의 내측에는 고정환편(11)을 형성하고, 상기 제2실린더튜브(24)의 상부 외주면에는 고정홈(29)을 형성하여, 상기 제2실린더튜브(24)의 고정홈(29)을 상기 펌프본체(10)의 고정환편(11)에 결합하여 상기 제2실린더튜브(24)를 포함하는 실린더(20)를 펌프본체(10)에 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누름버튼승강부재(30)는 상부에 외향으로 절곡 형성된 고정환테(31)를 형성하며 하부에는 내향으로 절곡 형성된 연결환테(32)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환테(31)는 상기 제2실린더튜브(24)의 상면에 형성된 끼움홈(25)에 끼움 고정하고 상기 연결환테(32)는 연결이송관(28)의 단턱내경(28a)에 끼움 고정하여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실린더튜브(21)는 체크밸브(50)에 의해 내용물유입공(22)이 선택적으로 개폐되어지면서 내용물이 내용물저장실(23)로 유입되어 짐과 동시에 밀폐피스톤(27)을 포함하는 작동피스톤로드(26)가 상기 내용물저장실(23) 내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크밸브(50)는 제1실린더튜브(21)의 내용물저장실(23) 내주면과 대응하는 외주면을 갖는 테두리(51)가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51)의 중앙으로 내용물유입공(2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볼(52)이 형성되며, 내용물유입공(22)을 통해 유입되는 내용물이 제1실린더튜브(21)의 내용물저장실(23)로 유입이 가능하도록 내용물통로(54)가 복수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내용물 배출펌프는, 배출펌프를 구성하는 펌프본체(10)와 펌프본체(10)에 조립되는 실린더(20)의 구성을 개량함과 동시에 개량된 배출펌프에 엘라스토머재인 누름버튼승강부재(30)를 적용하여 펌핑작동되는 누름버튼(40)이 엘라스토머재인 누름버튼승강부재(30)에 의해 펌핑 작동되도록 함과 더불어 엘라스토머재인 누름버튼승강부재(30)가 내용물과 접촉되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누름버튼승강부재(30)가 내용물과 접촉하여 일어났던 경화(硬化)현상을 근본적으로 예방하여 누름버튼승강부재(30)의 신축력 상실로 야기되는 펌핑작동 불량 및 그로 인한 내용물의 불규칙한 배출을 방지할 수 있고, 엘라스토머재인 누름버튼승강부재(30)에 내용물이 접촉하여 변질되는 문제점을 해소한 하였으며 금속재를 사용하지 않아 내용물을 모두 사용한 후에는 내용물 배출펌프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친환경제품화시킨 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 내지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내용물 배출펌프는, 용기에 체결되는 펌프본체(10)와, 상기 펌프본체(10)에 체결되는 실린더(20)와, 누름버튼(40)을 승강시킬수 있도록 탄력성이 있는 누름버튼승강부재(30)로 이루어져 있 다.
상기 펌프본체(10)는, 용기의 개구부에 대하여 장착되어지고, 관통 형성된 내측 상부에 실린더(20)를 구성하는 제2실린더튜브(24)가 언더컷 장착되어지는 고정환편(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펌프본체(10)에 체결되는 실린더(20)는 제1실린더튜브(21)와 제2실린더튜브(24)를 결합하여 형성한다.
상기 제1실린더튜브(21)는 체크밸브(50)에 의해 내용물유입공(22)이 선택적으로 개폐되어지면서 내용물이 내용물저장실(23)로 유입되어 짐과 동시에 밀폐피스톤(27)을 포함하는 작동피스톤로드(26)가 상기 내용물 저장실(23)내에 설치되어 구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제2실린더튜브(24)는 상기 제1실린더튜브(21)의 상부 내측에 결합되며 펌프본체(10)의 고정환편(11)에 장착되도록 고정홈(29)이 외주면으로 형성된다.
누름버튼(40)을 승하강시키는 누름버튼승강부재(30)는, 상기 실린더(20)를 구성하는 제2실린더튜브(24)의 내측으로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의 제2실린더튜브(24)의 상면에 형성된 끼움홈(25)에 끼움 고정되는 고정환테(31)가 상부에 외향을 향해 절곡 형성되어 있다.
하부에는 작동피스톤로드(26)와 연결됨과 동시에 누름버튼(40)과 연결되어진 연결이송관(28)의 단턱내경(28a)으로 위치되는 연결환테(32)가 내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체크밸브(50)는 제1실린더튜브(21)의 내용물저장실(23) 내주면과 대응 하는 외주면을 가지는 테두리(51)를 가지고 있고, 상기 테두리(51)의 중앙으로 내용물유입공(2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볼(52)이 유동판(53)을 매개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용물유입공(22)을 통해 유입되는 내용물이 제1실린더튜브(21)의 내용물저장실(23)로 유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내용물통로(54)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
상기 누름버튼승강부재(30)는 탄성력이 우수한 엘라스토머재가 바람직하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내용물 배출펌프는, 펌프본체(10)의 고정환편(11)에 실린더(20)를 조립한다.
상기 실린더(20)를 상기 펌프본체(10)에 조립하기 앞서 상기의 제1실린더튜브(21)의 내용물저장실(23)에 체크밸브(50)을 삽입 고정 조립하여 내용물유입공(22)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후, 이송로(26a)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외측으로 밀폐피스톤(27)이 조립되어진 작동피스톤로드(26)를 상기의 내용물저장실(23)내에 위치하도록 조립한다.
이후 상기의 제1실린더튜브(21)의 상부에 제2실린더튜브(24)를 언더컷 조립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조립 형성되어진 작동실린더로드(26)에 연결이송관(28)을 연결하게 되는데, 상기 연결이송관(28)을 연결하기에 앞서 누름버튼승강부재(30)를 제2실린더튜브(24)의 내측으로 위치하도록 조립한다.
상기 누름버튼승강부재(30)를 조립할 때에는 상부에서 외향을 향해 절곡형성된 고정환테(31)를 상기의 제2실린더튜브(24)의 상부로 형성되어 있는 끼움홈(25)에 끼워 고정시키며, 상기 누름버튼승강부재(30)의 하부로 형성되어 연결환테(32) 는 연결이송관(28)의 하부 단턱내경(28a)에 끼운상태로 상기 연결이송관(28)을 작동피스톤로드(26)에 끼워 연결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작동피스톤로드(26)가 누름버튼승하부재(30)에 의해 승강되어지도록 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이송관(28)에 누름버튼(40)을 연결 장착함으로써, 내용물 배출 사용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펌프본체(10)와 실린더(20) 및 누름버튼승강부재(30), 그리고 누름버튼(30)의 조립으로 이루어진 본원 고안의 내용물 배출펌프를 용기의 개구부에 장착하여 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을 적당량씩 배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내용물을 배출하는 과정을 도면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5는 누름버튼(40)을 작동시키기 이전의 상태로써, 누름버튼(40)를 누르면, 누름버튼승강부재(30)의 인장력을 받으면서 작동피스톤로드(26)가 아래로 이동을 시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향 이동하는 작동피스톤로드(26)는 초기에 도5에서와 같이 밀폐피스톤(27)에 의해 차단되어 있던 이송로(26a)가 도6에서와 같이 개방되어지게 된다.
상기 이송로(26a)가 개방되어진 상태에서 상기의 밀폐피스톤(27)은 누름버튼승강부재(30)의 하부에 받쳐져 상기의 작동피스톤로드(26)와 함께 이동을 시작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송로(26a)가 개방되어진 상태에서 작동피스톤로드(26)가 좀더 하향 이동함으로써, 제1실린더튜브(21)의 내용물저장실(23)에 유입된 내용물에 압축이 발생하게 되고, 압축되어지는 내용물이 이송로(26a)를 거쳐 연결이송관(28)으로 유입되어지게 되고, 상기의 연결이송관(28)의 내용물이 배출노즐(41)을 통해 배출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내용물이 배출되어질 때의 체크밸브(50)의 개폐볼(52)은 도5에서와 같이 내용물유입공(22)에 밀착되어진 상태를 이루게 된다.
도6은 누름버튼(40)에 가해졌던 외력을 제거한 상태로써, 상기의 누름버튼(40)은 누름버튼승강부재(30)의 인장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어지게 된다.
상기 누름버튼승강부재(30)에 의해 상승하는 누름버튼(40)과 함께 작동피스톤로드(26)가 연동 상승되어지게 되고, 상기와 같이 작동피스톤로드(26)가 상승할때 이송로(26a)는 밀폐피스톤(27)에 의해 차단되어져 제1실린더튜브(21)의 내용물저장실(23)내부에 진공압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와 같이 내용물저장실(23)에 진공압이 발생함으로써, 내용물유입공(22)을 차단하고 있던 체크밸브(50)의 개폐볼(52)이 이격되어져 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이 내용물저장실(23)로 채워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누름버튼승강부재(30)의 탄성 인장력에 의해 연속 반복 펌핑 작동되어지는 누름버튼(40)의 작동에 의해 내용물을 지속적으로 배출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내용물 배출펌프를 작동시켜 내용물을 배출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내용물 배출펌프에서 힘을 제거하여 원상태로 복원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내용물 배출펌프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내용물 배출펌프의 분리 단면도.
도 5는 고안에 의한 내용물 배출펌프의 단면도로써, 누름버튼을 작동시키기 직전의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내용물 배출펌프의 단면도로써, 누름버튼에서 힘을 제거하여 원상태로 복원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펌프본체 11 : 고정환편
20 : 실린더 21 : 제1실린더튜브
24 : 제2실린더튜브 25 : 끼움홈
26 : 작동피스톤로드 27 : 밀폐피스톤
28a : 단턱내경 29 : 고정홈
30 : 누름버튼승강부재 31 : 고정환테
32 : 연결환테 40 : 누름버튼

Claims (7)

  1. 내용물유입공(22)이 구비된 제1실린더튜브(21)와, 상기 제1실린더튜브(21)의 상부 내측에 결합되는 제2실린더튜브(24)를 갖는 실린더(20)와; 상기 내용물유입공(22)에 개폐가능하게 구비되는 체크밸브(50)와; 상기 제2실린더튜브(24)가 언더컷 장착되는 고정환편(11)이 형성되고, 용기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펌프본체(10)와; 상기 제2실린더튜브(24)의 상부에 형성된 끼움홈(25)에 끼움 고정되는 고정환테(31)와, 연결이송관(28)의 단턱내경(28a)에 끼워지는 연결환테(32)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환테(32)가 단턱내경(28a)에 끼워진 연결이송관(28)을 작동피스톤도드(26)에 끼움 연결되어 내용물이 접촉되지 않도록 한 누름버튼승강부재(30); 를 포함하는 배출펌프에 있어서,
    상기 펌프본체(10)의 내측에는 고정환편(11)을 형성하고, 상기 제2실린더튜브(24)의 상부 외주면에는 고정홈(29)을 형성하여, 상기 제2실린더튜브(24)의 고정홈(29)을 상기 펌프본체(10)의 고정환편(11)에 결합하여 상기 제2실린더튜브(24)를 포함하는 실린더(20)를 펌프본체(10)에 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승강부재(30)는 상부에 외향으로 절곡 형성된 고정환테(31)를 형성하며 하부에는 내향으로 절곡 형성된 연결환테(32)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환테(31)는 상기 제2실린더튜브(24)의 상면에 형성된 끼움홈(25)에 끼움 고정하고 상기 연결환테(32)는 연결이송관(28)의 단턱내경(28a)에 끼움 고정하여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린더튜브(21)는 체크밸브(50)에 의해 내용물유입공(22)이 선택적으로 개폐되어지면서 내용물이 내용물저장실(23)로 유입되어 짐과 동시에 밀폐피스톤(27)을 포함하는 작동피스톤로드(26)가 상기 내용물저장실(23) 내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50)는 제1실린더튜브(21)의 내용물저장실(23) 내주면과 대응하는 외주면을 갖는 테두리(51)가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51) 의 중앙으로 내용물유입공(2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볼(52)이 형성되며, 내용물유입공(22)을 통해 유입되는 내용물이 제1실린더튜브(21)의 내용물저장실(23)로 유입이 가능하도록 내용물통로(54)가 복수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KR2020090000472U 2009-01-14 2009-01-14 내용물 배출펌프 KR2004562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472U KR200456237Y1 (ko) 2009-01-14 2009-01-14 내용물 배출펌프
PCT/KR2010/000236 WO2010082771A2 (ko) 2009-01-14 2010-01-14 내용물 배출펌프
US13/144,533 US8622254B2 (en) 2009-01-14 2010-01-14 Dispensing pump with resilient biasing mem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472U KR200456237Y1 (ko) 2009-01-14 2009-01-14 내용물 배출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472U KR20100007472U (ko) 2010-07-22
KR200456237Y1 true KR200456237Y1 (ko) 2011-10-21

Family

ID=44452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0472U KR200456237Y1 (ko) 2009-01-14 2009-01-14 내용물 배출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23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49819A (zh) * 2019-01-15 2019-04-19 兴必盛塑业(南通)有限公司 一种泵组件及具有内容物排出功能的容器
CN110547583B (zh) * 2019-09-19 2023-10-31 中山市美捷时包装制品有限公司 一种香水泵
CN114108265A (zh) * 2020-09-01 2022-03-01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洗衣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903Y1 (ko) 2002-11-29 2003-05-14 주식회사 두코 화장품용기의 펌프구조
KR200384793Y1 (ko) 2005-02-03 2005-05-19 주식회사 태성산업 액체용기용 압출펌프
KR200401892Y1 (ko) 2005-09-01 2005-11-22 주식회사 태성산업 액체용기용 압출펌프
KR200427103Y1 (ko) 2006-07-07 2006-09-22 강성일 내용물 배출펌프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903Y1 (ko) 2002-11-29 2003-05-14 주식회사 두코 화장품용기의 펌프구조
KR200384793Y1 (ko) 2005-02-03 2005-05-19 주식회사 태성산업 액체용기용 압출펌프
KR200401892Y1 (ko) 2005-09-01 2005-11-22 주식회사 태성산업 액체용기용 압출펌프
KR200427103Y1 (ko) 2006-07-07 2006-09-22 강성일 내용물 배출펌프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472U (ko) 201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8320B1 (ko) 화장품 용기의 배출펌프
KR200459637Y1 (ko) 내용물 배출펌프
KR200459655Y1 (ko) 화장품용기의 펌프
US9718073B2 (en) Pump for discharging contents
CN113562324B (zh) 弹性部件及包括其的泵组件
KR101448829B1 (ko) 내용물 배출펌프
KR102123187B1 (ko) 펌프 용기
KR20140002333U (ko) 에어리스 펌프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200416530Y1 (ko) 에어리스 배출펌프를 가진 화장품용기
US10035158B2 (en) Contents dispensing pump
KR200456237Y1 (ko) 내용물 배출펌프
KR102298189B1 (ko)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
US10753485B2 (en) Content exhaust pump
KR200427103Y1 (ko) 내용물 배출펌프 구조
KR200428096Y1 (ko) 내용물 배출펌프
KR200451819Y1 (ko) 막힘 소통용 압축기
KR200481587Y1 (ko) 양변기용 압축기
CN105555677B (zh) 内容物排出泵
KR102332102B1 (ko)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
KR20120058381A (ko) 내용물 배출펌프 구조
US20230241633A1 (en) Liquid pump
KR200281525Y1 (ko) 화장품용기의 펌핑장치
KR101453851B1 (ko) 내용물 배출펌프
KR102404868B1 (ko) 친환경 공기압축 펌핑 화장품용기
KR200427106Y1 (ko) 내용물 배출펌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