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8189B1 -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8189B1
KR102298189B1 KR1020210053694A KR20210053694A KR102298189B1 KR 102298189 B1 KR102298189 B1 KR 102298189B1 KR 1020210053694 A KR1020210053694 A KR 1020210053694A KR 20210053694 A KR20210053694 A KR 20210053694A KR 102298189 B1 KR102298189 B1 KR 102298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restoration
wrinkled
cosmetic container
pump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신복
백승호
홍성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우
Priority to KR1020210053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81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1077Spring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r material
    • B05B11/3045
    • B05B11/3077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23Piston pumps having an outlet valve opened by deformation or displacement of the piston relative to its actuating 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1074Springs located outside pump chamber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재질의 스프링 없이 화장품 용기 내의 화장품 용액을 용이하게 토출시킬 수 있는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탄성주름부에 복원유도부가 형성되므로, 탄성주름부가 압착 후 탄성을 받은 후 원 상태로 복원될 경우, 복원유도부가 탄성주름부의 탄성 복원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Pumping Apparatus of Cosmetic Container}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 재질의 스프링 없이 화장품 용기 내의 화장품 용액을 용이하게 토출시킬 수 있는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그 사용 용도에 따라 크게, 다양한 입자 밀도와 점성의 분말 및 액상 형태로 만들어지게 된다. 이러한 화장품을 수용하는 용기 또한 담기는 화장품 내용물의 물성을 고려하여 여러 형태와 구조로 제작된다. 최근의 액상 화장품을 담는 대부분의 용기 상부에는 가압 방식의 펌프가 적용되어 있다. 가압방식 펌프가 적용된 화장품 용기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액상의 화장품을 일정량 흡입 후 외부로 배출시키는 동작을 하게 된다.
종래 가압식 펌핑 장치는 통상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노즐캡, 실린더, 밸브, 튜브, 액츄에이터 등과 함께, 버튼 가압에 따른 펌핑 후 상방으로의 복귀용 금속제 스프링을 채택하고 있다.
이처럼, 종래 기술에 따른 화장품 용기 내에는 화장품 용액을 펌핑하도록 하는 스프링을 금속재질로 형성함에 따라 녹이 발생하는 경우, 화장품의 품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도 1은 종래의 펌핑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용기의 상단부에 나사체결되는 노즐캡(140)이 갖추어 구성되고, 이 노즐캡(140)의 상부에는 버튼(110)이 장착됨과 동시에 하부에는 실린더(170)가 장착된다. 상기 노즐캡(140)은 용기의 주입구에 나사식으로 체결 및 분리되는 것으로, 이의 중심에는 상하 관통되는 작동공(142)이 형성되어 버튼(110)이 결합체결된다.
상기 버튼(11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면서 하부의 중심에는 유체통로관(112)이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이는 노즐캡(140)의 작동공(142) 내에 삽입되어 이에 지지된 상태로 승강작동되며, 그 끝단에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턱에 의해 외부로 빠지지 않고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버튼(110)과 노즐캡(140)의 사이인 유체통로관(112)의 외부에는 리턴을 위한 스프링(120)이 장착된다. 이 스프링(120)은 코일스프링으로서 자체가 가지는 탄성력에 의해 버튼(30)을 항상 상향으로 작동시키게 되는데, 그 재질은 금속이다.
상기 노즐캡(140)의 하부에는 용기와 연통되는 실린더(170)가 설치된다. 실린더(17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면서 하단부에는 그 경이 좁은 흡입구(172)가 형성되고, 이 흡입구(172)의 내측 상부에는 축밸브(160)가 승강작동되는 작동실(174)이 형성되며, 작동실(174)의 내경 상부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축밸브(70)의 작동거리를 제한하게 된다. 상기 작동실(174) 내에는 실린더(170) 내에서 승강작동되는 피스톤(130)과 결합되어 승강작동되는 축밸브(160)가 설치되어 승강작동에 따라 흡입구(172)를 개폐하게 된다. 상기 축밸브(160)는 하향 개구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면서 흡입구(172)의 상부를 개폐토록 구성되고, 이의 상단에는 상향으로 일정길이를 가지면서 피스톤(130)과 결합되는 슬라이드봉(162)이 일체로 구성되며, 외주연 상에는 다수개의 걸림턱이 형성되어 작동실(174)내에서 승강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130)은 원통관체형으로 형성되어 그 상단은 버튼(110)의 유체통로관(112) 내에 억지끼움식으로 체결되고 하부의 플랜지(190)에는 피스톤밸브(150)가 장착된다. 상기 피스톤밸브(80)는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성형되고 피스톤(130)에 장착되면서도 외주면이 실린더(170)의 내경에 밀착 체결되어 이를 따라 슬라이드 작동됨으로써 실린더(170) 내를 압축시키게 된다. 기 버튼(110)의 일측 유체통로에는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노즐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펌핑장치의 상호 동작을 위해서, 스프링(120)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스프링(120)은 금속제인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사용수명이 다한 배출펌프 또는 화장품용기를 폐기할 때 금속재와 합성수지를 분리해야 하는 작업이 선결되어야만 재활용이 가능하게 되는데, 내부에 배치된 소형의 스프링을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법이 없기에, 결국 재활용에 따른 경제성이 떨어져 분리수거 보다는 폐기처분되고 있는 실정이어서 자원낭비는 물론 폐기에 따른 환경오염을 가중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2746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 재질의 스프링 없이 화장품 용기 내의 화장품 용액을 용이하게 토출시킬 수 있는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장품용기의 개방구를 커버하는 노즐캡과, 상기 노즐캡의 상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버튼과, 상기 버튼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노즐캡을 관통하도록 하방으로 연장되는 작동관을 갖는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튼과 상기 작동관 사이에 배치되며 탄성을 갖는 탄성주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주름부는, 기둥 형태로 형성되되, 일측은 상기 버튼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작동관과 연결되며, 일측과 타측 사이의 외측은 탄성 재질의 제 1 탄성부와 제 2 탄성부가 교호적으로 반복 배열되고, 상기 제 1 탄성부 또는 상기 제 2 탄성부에 탄성 재질의 복원유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복원유도부는 오목하게 형성되는 상기 제 1 탄성부의 외주연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복원유도부는 오목하게 형성되는 상기 제 2 탄성부의 내주연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버튼에 의한 하방 가압력에 의하여 상기 탄성주름부가 압착된 후 상기 탄성주름부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탄성주름부가 복원될 때, 상기 복원유도부는 상기 탄성주름부의 탄성력을 상승시키도록 탄성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복원유도부는 상기 제 1 탄성부 또는 상기 제 2 탄성부에 복수 개가 구비되고, 복수 개의 상기 복원유도부 중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상기 복원유도부는 상호 엇갈리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복원유도부는 상기 제 1 탄성부 또는 상기 제 2 탄성부에 복수 개가 구비되고, 복수 개의 상기 복원유도부 중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상기 복원유도부는 상호 일렬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복원유도부는, 상기 제 1 탄성부의 중앙 또는 상기 제 2 탄성부의 중앙에 구비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부에서 상기 연장부의 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탄성부는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탄성부는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복원유도부는 상기 제 1 탄성부의 외주연에 형성되고, 상기 버튼에 의한 하방 가압력에 의하여 상기 탄성주름부가 압착된 후 상기 탄성주름부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탄성주름부가 복원될 때, 상기 복원유도부는 상기 탄성주름부의 탄성력을 상승시키도록 탄성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복원유도부는 각각의 상기 제 1 탄성부의 외주연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복수 개가 구비되고, 복수 개의 상기 복원유도부 중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상기 복원유도부는 상호 일렬로 배열되고, 상기 제 2 탄성부의 상측과 하측을 각각 감싸도록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복원유도부의 단부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탄성주름부가 실리콘, 고무 등의 합성수지제로 형성되므로, 금속 재질을 사용하지 않아, 펌핑 장치의 재활용이 용이해지고, 환경오염을 최소화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주름부에 복원유도부가 형성되므로, 탄성주름부가 압착 후 탄성을 받은 후 원 상태로 복원될 경우, 복원유도부가 탄성주름부의 탄성 복원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인접한 한 쌍의 복원유도부는 상호 엇갈리도록 배열되므로, 복원유도부에 의한 탄성주름부의 탄성력 상승이 어느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고르게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2 탄성부에 구비되는 복원유도부의 중앙부가 일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므로, 제 2 탄성부에 크랙이 발생되지 않도록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버튼에 의한 하방 가압력에 의하여 탄성주름부가 압착된 후 탄성주름부의 탄성력에 의하여 탄성주름부가 복원될 때, 중앙부와 연장부 사이가 원 상태로 탄성 변형되도록 탄성 유도되어, 탄성주름부의 탄성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 쌍의 제 1 탄성부 사이에 평평하게 형성되는 제 2 탄성부의 높이를 조정하도록 설계하여 탄성주름부의 압착되는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호 인접한 한 쌍의 복원유도부는 상호 일렬로 직렬 배열되도록 하여, 상하 방향으로 펴지도록 하는 복원유도부의 탄성력이 일렬을 따라 가산되도록 유도되어, 탄성주름부의 탄성력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원유도부는 지지부와 연결되고, 지지부는 제 2 탄성부의 외주연 전체를 지지하므로, 복원유도부가 탄성주름부를 복원시키는 과정에서 복원유도부의 탄성력이 어느 한쪽으로 힘이 쏠리지 않고 지지부를 통하여 제 2 탄성부의 외주연 전체로 전달되어, 탄성주름부는 어느 한쪽으로 휘어지지 않고 똑바르게 복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펌핑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펌핑장치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에 구비되는 탄성주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에 구비되는 탄성주름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에 구비되는 복원유도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에 구비되는 탄성주름부가 압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에 구비되는 탄성주름부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에 구비되는 탄성주름부의 또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탄성주름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탄성주름부가 압착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탄성주름부가 압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펌핑장치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는 상단부터 하방으로, 버튼(10), 노즐캡(40), 압축실린더(700) 및 실린더(70)를 포함한다.
버튼(10)은 공지의 구성으로 사용자가 손으로 누르는 부분이며, 측방으로 내용물이 분출되는 노즐이 형성된다. 그 하방으로는 작동관(20)이 연결되어, 버튼(10)의 하방 가압과 함께 하측으로 이동하며, 피스톤(30)을 하방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버튼(10)과 작동관(20) 사이에 탄성스프링(22)이 구비된다.
버튼(10)은 노즐캡(40)을 통해 화장품 용기(미도시)와 결합하게 되며, 화장품 용기의 내부로는 실린더(70)가 배치된다. 실린더(70)의 내부에는 피스톤(30)과 그 하단에 결합되는 피스톤밸브(50)가 배치되며, 피스톤(30)이 실린더(70)의 내부 하측으로 이동시에, 해당 위치에 수용되어 있던 내용물이 피스톤밸브(50) 사이의 빈틈으로 유입되어 피스톤(30)을 따라 상측의 버튼(10) 쪽으로 밀려 올라가게 배출되는데, 이러한 흡입 및 배출과정은 공지의 기술이다.
그리고 작동관(20)을 밀어 올리는 탄성스프링(22)을 작동관(20)과 노즐캡(40)의 내부 위치에 배치하여, 작동관(20)이 하방 이동되었을 때, 작동관(20)이나 버튼(10)의 하부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힘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탄성스프링(22)은 금속제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사용수명이 다한 화장품용기를 폐기할 때 금속제인 탄성스프링(22)을 제거할 수 없어, 화장품용기의 재활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은 탄성스프링(22)을 합성수지제인 탄성주름부(200: 도 4 도시)로 대처하여 재활용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에 구비되는 탄성주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에 구비되는 탄성주름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탄성주름부(200)는 버튼(10)과 작동관(20) 사이에 위치하여 작동관(20)이 하방 이동되었을 때, 작동관(20) 또는 버튼(10)의 하부를 상방으로 밀어 올려 화장품 용기 내의 화장품 용액을 토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주름부(200)는 탄성을 갖는 실리콘 재질 또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탄성주름부(200)는 실리콘, 고무 등의 합성수지제로 형성되므로, 금속 재질을 사용하지 않아, 펌핑 장치의 재활용이 용이해지고, 환경오염을 최소화 하는 효과가 있다.
탄성주름부(200)는 전체적으로 기둥 형태로 형성되되, 일측은 버튼(10)과 연결되고 타측은 작동관(20)과 연결되며, 일측과 타측 사이의 외측은 전체적으로 물결 형상을 갖도록 제 1 탄성부(210)와 제 2 탄성부(220)가 교호적으로 반복 배열된다. 즉, 탄성주름부(200)는 제 1 탄성부(210)와 제 2 탄성부(220)를 구비하므로, 외부 압력에 의하여 압착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탄성주름부(200)는 압착된 후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원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탄성부(210) 또는 제 2 탄성부(220)에는 탄성 재질의 복원유도부(230)가 구비된다. 복원유도부(230)는 제 2 탄성부(220)의 외주연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버튼(10)에 의한 하방 가압력에 의하여 탄성주름부(200)가 압착된 후 탄성주름부(200)의 탄성력에 의하여 탄성주름부(200)가 복원될 때, 복원유도부(230)는 탄성주름부(200)의 탄성력을 상승시키도록 탄성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탄성주름부(200)에 복원유도부(230)를 구비하므로, 탄성주름부(200)가 압착 후 탄성을 받은 후 원 상태로 복원될 경우, 복원유도부(230)가 탄성주름부(200)의 탄성 복원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복원유도부(230)가 서로 다른 제 2 탄성부(220) 상에 일직선 상으로 위치되면, 제 2 탄성부(220)의 복원유도부(230)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은 복원유도부(230)가 형성된 영역에 비해 탄성 복원력이 약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계속적 반복 사용되는 경우, 복원유도부(230)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은 크랙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져 제품 자체에 파손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 이를 해결하고자, 복원유도부(230)는 각각의 제 2 탄성부(220)에 복수 개가 구비되고, 복수 개의 복원유도부(230) 중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제 2 탄성부(220)에 구비되는 복원유도부(230)는 상호 엇갈리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처럼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인접한 한 쌍의 복원유도부(230)가 상호 엇갈리도록 배열되므로, 복원유도부(230)에 의한 탄성주름부(200)의 탄성력 상승이 어느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고르게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복원유도부(231: 도 8 도시)는 후술하는 도 8과 같이 제 1 탄성부(210)의 내주연에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에 구비되는 복원유도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에 구비되는 탄성주름부가 압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복원유도부(230)는 제 2 탄성부(220)의 외주연 원주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세부적으로는 제 2 탄성부(220)의 오목한 중앙에 구비되는 중앙부(232)와, 중앙부(232)의 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234)를 포함한다. 중앙부(232)는 일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고, 연장부(234)는 중앙부(232)에서 연장부(234)의 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얇아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펌핑 장치가 반복적으로 사용되면, 탄성주름부(200) 또한 반복 사용되어, 탄성주름부(200)가 마모되어 제 2 탄성부(220)에 크랙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은 제 2 탄성부(220)에 형성되는 중앙부(232)가 일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므로, 제 2 탄성부(220)에 크랙이 발생되지 않도록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중앙부(232)에는 연장부(234)가 연장 형성되므로, 버튼(10)에 의한 하방 가압력에 의하여 탄성주름부(200)가 압착된 후 탄성주름부(200)의 탄성력에 의하여 탄성주름부(200)가 복원될 때, 중앙부(232)와 연장부(234) 사이가 원 상태로 탄성 변형되도록 탄성 유도되어, 탄성주름부(200)의 탄성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에 구비되는 탄성주름부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에서 제 1 탄성부(210) 및 제 2 탄성부(220)라 함은 탄성주름부(200)의 외측에서 바라본 상태임을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탄성주름부(200)에 형성되는 복원유도부(230)는 제 1 탄성부(210)의 내주연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제 1 탄성부(210)의 내주연에 탄성 재질의 복원유도부(230)가 형성되므로, 탄성주름부(200)가 압착된 후 원 상태로 복원될 때, 복원유도부(230)는 탄성주름부(200)의 탄성력을 상승시키도록 하여, 탄성주름부(200)의 탄성 복원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에 구비되는 탄성주름부의 또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탄성주름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탄성주름부(250)는 기둥 형태로 형성되되, 상측은 버튼(10)과 연결되고 하측은 작동관(20)과 연결되고, 상측과 하측 사이의 외측은 탄성 재질의 제 1 탄성부(252)와 제 2 탄성부(254)가 교호적으로 반복 배열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탄성주름부(250)의 최상측에는 버튼(10)과 연결되기 위한 제 1 연결부(255)가 구비되고, 탄성주름부(250)의 최하측에는 작동관(20)과 연결되기 위한 제 2 연결부(256)가 구비된다. 이때, 제 1 연결부(255) 및 제 2 연결부(256)에는 각각 제 1 탄성부(252)가 연결된다. 여기서 제 1 탄성부(252)는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 2 탄성부(254)는 평평하게 형성된다.
복원유도부(258)는 각각의 제 1 탄성부(252)의 외주연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복수 개가 형성된다. 그리고 복수 개의 복원유도부(258) 중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인접한 한 쌍의 복원유도부(258)는 상호 일렬로 배열된다.
그리고 제 2 탄성부(254)에는 지지부(259)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59)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2 탄성부(254)의 상측과 하측을 각각 감싸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복원유도부(258)의 단부는 지지부(259)에 연결된다. 지지부(259)는 복수의 제 1 탄성부(252) 중 최상단에 위치되는 제 1 탄성부(252)의 상측 및 최하단에 위치되는 제 1 탄성부(252)의 하측에도 형성되어, 탄성주름부(250)의 최상단 및 최하단에 각각 위치되는 복원유도부(258)의 상단 및 하단이 지지부(259)에 연결된다.
그리고 버튼(10)에 의한 하방 가압력에 의하여 탄성주름부(250)가 압착된 후 상기 탄성주름부(250)의 탄성력에 의하여 탄성주름부(250)가 복원될 때, 상기 복원유도부(258)는 탄성주름부(250)의 탄성력을 상승시키도록 탄성을 갖게 된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탄성주름부가 압착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탄성주름부가 압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버튼에 의한 하방 가압력이 탄성주름부(250)에 가해지면 탄성주름부(250)가 압착된다. 이때, 제 1 탄성부(252)는 오목하게 형성되므로 안쪽으로 더욱 이동되면서 압착된다. 반면, 제 2 탄성부(254)는 평평하게 형성되므로 별 다른 형태 변화가 발생되지 않아, 제 2 탄성부(254)의 높이를 조절하면 탄성주름부(250)의 압착되는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한 쌍의 제 1 탄성부(252) 사이에 위치되는 제 2 탄성부(254)의 높이를 조절하여 탄성주름부(250)의 압착되는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탄성주름부(250)가 압착된 이후, 탄성주름부(250)는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펴지도록 복원되고, 복원유도부(258)는 탄성주름부(250)의 탄성력을 상승시키도록 도움을 준다. 이때, 상호 인접한 한 쌍의 복원유도부(258)는 상호 일렬로 직렬 배열되므로, 상하 방향으로 펴지도록 하는 복원유도부(258)의 탄성력이 일렬을 따라 가산되도록 유도되어, 탄성주름부(250)의 탄성력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원유도부(258)는 지지부(259)와 연결되고, 지지부(259)는 제 2 탄성부(254)의 외주연 전체를 지지하므로, 복원유도부(258)가 탄성주름부(250)를 복원시키는 과정에서 복원유도부(258)의 탄성력이 어느 한쪽으로 힘이 쏠리지 않고 지지부(259)를 통하여 제 2 탄성부(254)의 외주연 전체로 전달되어, 탄성주름부(250)는 어느 한쪽으로 휘어지지 않고 똑바르게 복원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 버튼 20 : 작동관
30 : 피스톤 40 : 노즐캡
50 : 피스톤밸브 70 : 실린더
200: 탄성주름부 210: 제 1 탄성부
220: 제 2 탄성부 230, 231: 복원유도부
232: 중앙부 234: 연장부
250: 탄성주름부 252: 제 1 탄성부
254: 제 2 탄성부 255: 제 1 연결부
256: 제 2 연결부 258: 복원유도부
259: 지지부

Claims (7)

  1. 화장품용기의 개방구를 커버하는 노즐캡과, 상기 노즐캡의 상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버튼과, 상기 버튼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노즐캡을 관통하도록 하방으로 연장되는 작동관을 갖는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튼과 상기 작동관 사이에 배치되며 탄성을 갖는 탄성주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주름부는, 기둥 형태로 형성되되, 일측은 상기 버튼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작동관과 연결되며, 일측과 타측 사이의 외측은 탄성 재질의 제 1 탄성부와 제 2 탄성부가 교호적으로 반복 배열되고,
    상기 제 1 탄성부 또는 상기 제 2 탄성부에 탄성 재질의 복원유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유도부는 오목하게 형성되는 상기 제 1 탄성부의 외주연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복원유도부는 오목하게 형성되는 상기 제 2 탄성부의 내주연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버튼에 의한 하방 가압력에 의하여 상기 탄성주름부가 압착된 후 상기 탄성주름부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탄성주름부가 복원될 때, 상기 복원유도부는 상기 탄성주름부의 탄성력을 상승시키도록 탄성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유도부는 상기 제 1 탄성부 또는 상기 제 2 탄성부에 복수 개가 구비되고,
    복수 개의 상기 복원유도부 중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상기 복원유도부는 상호 엇갈리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유도부는 상기 제 1 탄성부 또는 상기 제 2 탄성부에 복수 개가 구비되고,
    복수 개의 상기 복원유도부 중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상기 복원유도부는 상호 일렬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유도부는, 상기 제 1 탄성부의 중앙 또는 상기 제 2 탄성부의 중앙에 구비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부에서 상기 연장부의 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부는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탄성부는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복원유도부는 상기 제 1 탄성부의 외주연에 형성되고,
    상기 버튼에 의한 하방 가압력에 의하여 상기 탄성주름부가 압착된 후 상기 탄성주름부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탄성주름부가 복원될 때, 상기 복원유도부는 상기 탄성주름부의 탄성력을 상승시키도록 탄성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유도부는 각각의 상기 제 1 탄성부의 외주연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복수 개가 구비되고,
    복수 개의 상기 복원유도부 중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상기 복원유도부는 상호 일렬로 배열되고,
    상기 제 2 탄성부의 상측과 하측을 각각 감싸도록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복원유도부의 단부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



KR1020210053694A 2021-04-26 2021-04-26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 KR102298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694A KR102298189B1 (ko) 2021-04-26 2021-04-26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694A KR102298189B1 (ko) 2021-04-26 2021-04-26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8189B1 true KR102298189B1 (ko) 2021-09-06

Family

ID=77782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694A KR102298189B1 (ko) 2021-04-26 2021-04-26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818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5017B1 (ko) * 2021-11-11 2022-03-17 주식회사 신우 플랙시블안내홀을 갖는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
WO2022270698A1 (ko) * 2021-06-23 2022-12-29 주식회사 신우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
KR102633089B1 (ko) * 2023-03-07 2024-02-02 주식회사 두코 펌핑식 용기용 스프링 및 이를 포함하는 펌핑식 용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746Y1 (ko) 2002-02-07 2002-07-23 임준국 화장품용기의 노즐개폐장치
KR20170118716A (ko) * 2015-02-18 2017-10-25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자운스 범퍼
KR101920846B1 (ko) * 2018-08-17 2018-11-21 서현영 에어 튜브를 이용한 에코식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
KR102091210B1 (ko) * 2019-12-16 2020-03-19 (주)민진 에코 펌프 방식의 화장품 용기
KR102186042B1 (ko) * 2020-04-29 2020-12-03 (주)연우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746Y1 (ko) 2002-02-07 2002-07-23 임준국 화장품용기의 노즐개폐장치
KR20170118716A (ko) * 2015-02-18 2017-10-25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자운스 범퍼
KR101920846B1 (ko) * 2018-08-17 2018-11-21 서현영 에어 튜브를 이용한 에코식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
KR102091210B1 (ko) * 2019-12-16 2020-03-19 (주)민진 에코 펌프 방식의 화장품 용기
KR102186042B1 (ko) * 2020-04-29 2020-12-03 (주)연우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70698A1 (ko) * 2021-06-23 2022-12-29 주식회사 신우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
KR102375017B1 (ko) * 2021-11-11 2022-03-17 주식회사 신우 플랙시블안내홀을 갖는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
KR102633089B1 (ko) * 2023-03-07 2024-02-02 주식회사 두코 펌핑식 용기용 스프링 및 이를 포함하는 펌핑식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8189B1 (ko)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
KR102113970B1 (ko) 논메탈 타입 화장품 용기의 펌프 어셈블리
US5924603A (en) Pump made of plastic for dispensing products from containers
CN113562324B (zh) 弹性部件及包括其的泵组件
KR102652794B1 (ko) 펌프 어셈블리 및 내용물 배출 기능을 갖는 용기
KR101448829B1 (ko) 내용물 배출펌프
US11833533B2 (en) Pump container
KR102172655B1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KR102123187B1 (ko) 펌프 용기
KR102414415B1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US10035158B2 (en) Contents dispensing pump
CA2189997C (en) A pump made of plastic for dispensing products from containers
KR102332102B1 (ko)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
KR102375017B1 (ko) 플랙시블안내홀을 갖는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
KR101454255B1 (ko) 액상 화장품 용기용 압출 펌프
KR101615145B1 (ko) 액상 화장품 용기용 펌프 뚜껑
KR102304211B1 (ko) 수지재 스프링 조립체를 탑재한 화장품 용기
KR200412918Y1 (ko) 버튼의 탄성리브를 이용한 디스펜서
KR200449883Y1 (ko) 펌프식 화장품 용기
KR200428096Y1 (ko) 내용물 배출펌프
KR200456237Y1 (ko) 내용물 배출펌프
KR102404868B1 (ko) 친환경 공기압축 펌핑 화장품용기
KR102306691B1 (ko)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
KR200470284Y1 (ko) 화장품용기
KR20200124982A (ko) 내용물 충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용물 충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