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072Y1 -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 - Google Patents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072Y1
KR200456072Y1 KR2020080015951U KR20080015951U KR200456072Y1 KR 200456072 Y1 KR200456072 Y1 KR 200456072Y1 KR 2020080015951 U KR2020080015951 U KR 2020080015951U KR 20080015951 U KR20080015951 U KR 20080015951U KR 200456072 Y1 KR200456072 Y1 KR 2004560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surface
folding
seating
lin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59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0313U (ko
Inventor
김형태
Original Assignee
김형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태 filed Critical 김형태
Publication of KR201000003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3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0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0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021/002Table-ware collapsi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0Articles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저 및 젓가락뿐만 아니라 포크 및 나이프의 받침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접철 방식을 통해 휴대 및 이용 편의성이 증대된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는 평면의 기재가 접혀 형성된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구비되어 식사도구의 안착 공간을 제공하는 식사도구 안착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평면의 기재는 접는 선을 기준으로 제 1 몸체면, 제 2 몸체면, 바닥면, 제 1 접합면, 제 2 접합면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 1 몸체면과 제 2 몸체면이 서로 간의 경계선을 기준으로 접혀 상기 몸체부를 이루며, 상기 제 1 몸체면과 제 2 몸체면에는 상기 경계선으로부터 연장된 접는 선(이하, '안착부 정의선'이라 칭하기로 함)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바닥면의 가운데 부분에는 바닥면을 대칭 형태로 구분하는 접는 선이 구비되며, 접힌 상태의 바닥면은 제 1 몸체면과 제 2 몸체면의 벌림에 의해 몸체부가 형성될 때 함께 펼쳐져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부를 이루며, 상기 제 1 몸체면과 제 2 몸체면이 벌어짐과 함께 상기 제 1 몸체면과 제 2 몸체면이 이루는 뾰족 부분이 눌려질 때, 상기 제 1 몸체면과 제 2 몸체면이 이루는 뾰족 부분은 상기 안착부 정의선이 구비된 위치까지 눌려져 상기 제 1 몸체면의 일부와 제 2 몸체부의 일부가 변환된 상기 식사도구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받침대, 식사도구, 수저, 젓가락, 나이프, 포크

Description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Folding type supporter for eating tools}
본 고안은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저 및 젓가락뿐만 아니라 포크 및 나이프의 받침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접철 방식을 통해 휴대 및 이용 편의성이 증대된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수저 받침대 또는 젓가락 받침대는 수저나 젓가락이 식탁에 닿지 않도록 하여 수저의 밑면이나 젓가락에 이물질이 묻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최근 널리 대중화되어 이용되고 있다.
현재 널리 이용되고 있는 수저 받침대 또는 젓가락 받침대는 대부분 도자기 또는 목재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와 같은 도자기, 목재 재질의 받침대는 가격이 비싼 단점과 함께 사용 후 반드시 세척해야만 하는 관리상의 불편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받침대는 수저와 젓가락을 사용하는 한정식에 그 용도가 한정되어 있어 포크와 나이프를 사용하는 양식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수저 및 젓가락뿐만 아니라 포크 및 나이프의 받침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접철 방식을 통해 휴대 및 이용 편의성이 증대된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는 평면의 기재가 접혀 형성된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구비되어 식사도구의 안착 공간을 제공하는 식사도구 안착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평면의 기재는 접는 선을 기준으로 제 1 몸체면, 제 2 몸체면, 바닥면, 제 1 접합면, 제 2 접합면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 1 몸체면과 제 2 몸체면이 서로 간의 경계선을 기준으로 접혀 상기 몸체부를 이루며, 상기 제 1 몸체면과 제 2 몸체면에는 상기 경계선으로부터 연장된 접는 선(이하, '안착부 정의선'이라 칭하기로 함)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바닥면의 가운데 부분에는 바닥면을 대칭 형태로 구분하는 접는 선이 구비되며, 접힌 상태의 바닥면은 제 1 몸체면과 제 2 몸체면의 벌림에 의해 몸체부가 형성될 때 함께 펼쳐져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부를 이루며, 상기 제 1 몸체면과 제 2 몸체면이 벌어짐과 함께 상기 제 1 몸체면과 제 2 몸체면이 이루는 뾰족 부분이 눌려질 때, 상기 제 1 몸체면과 제 2 몸체면이 이루는 뾰족 부분은 상기 안착부 정의선이 구비된 위치까지 눌려져 상기 제 1 몸체면의 일부와 제 2 몸체부의 일부가 변환된 상기 식사도구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몸체면의 내측에 접합되는 제 1 접합면과, 상기 제 2 몸체면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 1 몸체면의 내측에 접합되는 제 2 접합면을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몸체면에 구비된 안착부 정의선의 일단과 제 2 몸체면에 구비된 안착부 정의선의 일단 사이에 절개선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몸체면, 제 2 몸체면 각각에는 2개의 안착부 정의선이 구비되며, 제 1 몸체면의 안착부 정의선들과 제 2 몸체면의 안착부 정의선들에 의해 2개의 식사도구 안착부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는 평면의 기재가 접혀 형성된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구비되어 식사도구의 안착 공간을 제공하는 식사도구 안착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평면의 기재는 접는 선을 기준으로 제 1 몸체면, 제 2 몸체면, 바닥면, 제 1 접합면, 제 2 접합면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 1 몸체면과 제 2 몸체면이 서로 간의 경계선을 기준으로 접혀 상기 몸체부를 이루며, 상기 제 1 몸체면과 제 2 몸체면 각각에는 일부가 절개되어 제거된 나이프 거치홈이 구비되며, 상기 바닥면의 가운데 부분에는 바닥면을 대칭 형태로 구분하는 접는 선이 구비되며, 접힌 상태의 바닥면은 제 1 몸체면과 제 2 몸체면의 벌림에 의해 몸체부가 형성될 때 함께 펼쳐져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부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수저 및 젓가락뿐만 아니라 포크 및 나이프의 받침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접철 방식을 통해 휴대 및 이용 편의성이 증대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식사도구 받침대의 전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전개도가 접히는 과정을 나타낸 참고도이다.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평면의 기재가 접혀서 도 1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세부적으로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상면에 구비되어 식사도구의 안착 공간을 제공하는 식사도구 안착부(130) 및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110)를 지지하는 지지부(1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평면의 기재는 일 예로 플라스틱 재질 또는 종이를 포함한 유연한(flexible)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의 기재는 접는 선들을 기준으로 복수의 면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각의 면은 제 1 몸체면(111), 제 2 몸체면(112), 바닥면(121), 제 1 접합면(141), 제 2 접합면(142)으로 명명된다.
상기 제 1 몸체면(111)과 제 2 몸체면(112)은 일 실시예로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며, 상기 제 1 몸체면(111)과 제 2 몸체면(112)이 경계선(113)을 기준으로 접히면 상기 몸체부(110)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몸체면(111)과 제 2 몸체면(112)은 동일 형상의 동일 면적을 갖거나 또는 서로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 1 몸체면(111)과 제 2 몸체면(112)에는 상기 경계선(113)으로부터 연장된 접는 선(이하, '안착부 정의선(114)'이라 칭하기로 함)이 각각 구비되는데, 상기 안착부 정의선(114)에 의해 식사도구 안착부(130)가 정의된다. 상기 제 1 몸체면(111)의 안착부 정의선(114)과 제 2 몸체면(112)의 안착부 정의선(114)은 서로로부터 연장된 형상을 이루며 일 실시예로 타원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몸체면(111)과 제 2 몸체면(112)에 각각 구비된 안착부 정의선(114)은 서로 대칭적인 형상 또는 비대칭적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평면의 기재가 완전히 접힌 도 1의 접힌 상태에서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10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물리적 힘을 가하게 되면 밀착되어 있던 제 1 몸체면(111)과 제 2 몸체면(112)이 벌어짐과 함께 상기 제 1 몸체면(111)과 제 2 몸체면(112)이 이루는 뾰족 부분이 눌려지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안착부 정의선(114)에 의해 상기 뾰족 부분이 완전히 펴지게 되며 또한, 상기 안착부 정의 선(114)에 의해 상기 제 1 몸체면(111)과 제 2 몸체면(112) 사이의 경계선(113)이 더 이상 아래로 눌려지는 것이 억제된다. 이를 통해, 상기 안착부 정의선(114)에 의해 정의되는 식사도구 안착부(130)가 상기 몸체부(110)의 상면에 구비된다.
상기 바닥면(121)은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부(120)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바닥면(121)의 가운데 부분에는 바닥면(121)을 대칭 형태로 구분하는 접는 선(122)이 구비된다. 상기 바닥면(121)의 형상은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 단면 형상에 상응하도록 설계되며, 접힌 상태의 바닥면(121)은 제 1 몸체면(111)과 제 2 몸체면(112)의 벌림에 의해 몸체부(110)가 형성될 때 함께 펼쳐져 상기 몸체부(110)를 지지하는 지지부(120)를 이루게 된다.
상기 제 1 접합면(141) 및 제 2 접합면(142)은 상기 제 1 몸체면(111), 제 2 몸체면(112) 및 바닥면(121)이 접힘에 의해 입체 형상을 갖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접합면(141)은 상기 바닥면(121)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몸체면(111)의 내측에 접합되며, 상기 제 2 접합면(142)은 상기 제 2 몸체면(112)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 1 몸체면(111)의 내측에 접합된다. 이를 통해, 제 1 몸체면(111), 제 2 몸체면(112) 및 바닥면(121)은 일체형을 이룸과 함께 입체 형상으로의 변환 여부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몸체면(111), 제 2 몸체면(112) 및 바닥면(121)이 모두 접히고 상기 제 1 접합면(141)과 제 2 접합면(142)이 모두 접합되면 도 3의 (g)와 같은 입체적이지 않은 형태 즉, 제 1 몸체면(111)과 제 2 몸체면(112)은 서로 밀착되고 상기 바닥면(121)은 가운데의 접는 선을 기준으로 밀착된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100)의 상단(제 1 몸체면(111)과 제 2 몸체면(112)이 이루는 뾰족 부분)과 하단(접힌 바닥면(121)의 뾰족 부분)을 누르게 되면, 바닥면(121)은 평면 상태로 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바닥면(121)과 연결되어 있는 제 1 몸체면(111), 제 2 몸체면(112) 역시 그 사이 벌어지게 되어 몸체부(110)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몸체면(111)과 제 2 몸체면(112)이 이루는 뾰족 부분은 상기 안착부 정의선(114)이 구비된 위치까지 눌려져 상기 제 1 몸체면(111)의 일부와 제 2 몸체부(110)의 일부가 변환된 식사도구 안착부(13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식사도구 안착부(130) 상에는 수저, 젓가락, 나이프, 포크 등의 식사도구가 거치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100)는 제 1 몸체면(111), 제 2 몸체면(112) 및 바닥면(121)이 서로 밀착된 형태로 접힌 상태에서 상부와 하부에 물리적 힘을 가하게 되면 입체 형상 즉, 식사도구 받침대 형상을 이루게 되는 방식임에 따라, 접힌 상태로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100)를 휴대하다가 필요에 따라 입체 형상으로 변환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휴대 및 관리의 용이성이 증대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의 전개도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100) 역시 평면의 기재가 접혀서 입체 형상을 식사도구 받침대를 이루는 것으로서, 제 1 실시예와 같이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상면에 구비되어 식사도구의 안착 공간을 제공하는 식사도구 안착부(130) 및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110)를 지지하는 지지부(120)로 구성된다. 또한, 평면의 기재는 접는 선들을 기준으로 복수의 면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면은 제 1 몸체면(111), 제 2 몸체면(112), 바닥면(121), 제 1 접합면(141), 제 2 접합면(142)으로 명명된다.
제 1 몸체면(111), 제 2 몸체면(112) 및 바닥면(121)이 접혀 이루는 입체 형상 그리고 제 1 접합면(141)과 제 2 접합면(142)의 접합 방식 역시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나 다음과 같은 점에서 제 1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100)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면(111)에 구비된 안착부 정의선(114)의 일단과 제 2 몸체면(112)에 구비된 안착부 정의선(114)의 일단 사이에 절개선(115)이 구비된다. 안착부 정의선(114)의 양단 모두에 상기 절개선(115)이 구비되며 이에 따라, 상부와 하부의 눌림시 상기 안착부 정의선(114)과 상기 절개선(115)에 의해 식사도구 안착부(130)의 공간이 정의된다.
제 1 실시예의 식사도구 안착부(130)는 절개된 부분이 없음에 따라 평면이 아닌 유선형의 형상을 이룸에 반해, 제 2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절개선(115)을 따라 상기 제 1 몸체면(111)과 제 2 몸체면(112)이 이루는 뾰족 부분이 눌려짐에 따라 식사도구 안착부(130)의 공간이 평면 형상을 이루게 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1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100)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100)의 전개도이다.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100)는 상술한 제 1 실시예, 제 2 실시예와 대동소이한 구성을 가지며,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대비하여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는 2개의 식사도구 안착부(13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제 1 몸체면(111), 제 2 몸체면(112) 각각에는 2개의 안착부 정의선(114)이 구비되며, 제 1 몸체면(111)의 안착부 정의선(114)들과 제 2 몸체면(112)의 안착부 정의선(114)들에 의해 2개의 타원 형상의 식사도구 안착부(13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2개의 식사도구 안착부(130)가 구비됨에 따라, 여러 가지의 식사도구 예를 들어, 수저, 젓가락, 포크, 나이프 등을 동시에 거치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1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100)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식사도구 받 침대(100)의 전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전개도가 접히는 과정을 나타낸 참고도이다.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100)는 나이프 거치를 위해 특화된 실시예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4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10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이프 거치홈(116)이 구비된다.
제 4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1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10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평면의 기재가 접혀서 도 8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세부적으로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상면에 구비되어 식사도구의 안착 공간을 제공하는 식사도구 안착부(130) 및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110)를 지지하는 지지부(1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평면의 기재는 일 예로 플라스틱 재질 또는 종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의 기재는 접는 선들을 기준으로 복수의 면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각의 면은 제 1 몸체면(111), 제 2 몸체면(112), 바닥면(121), 제 1 접합면(141), 제 2 접합면(142)으로 명명된다.
상기 제 1 몸체면(111)과 제 2 몸체면(112)은 일 실시예로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며, 상기 제 1 몸체면(111)과 제 2 몸체면(112)이 경계선(113)을 기준으로 접히면 상기 몸체부(110)를 이루게 된다. 상기 제 1 몸체면(111)과 제 2 몸체면(112) 각각에는 일부가 절개되어 제거된 나이프 거치홈(116)이 구비되는데 각 몸체면에 형성된 나이프 거치홈(116)은 서로 공간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나이프 거치 홈(116)을 이루게 된다. 참고로, 제 4 실시예에서는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와는 달리 제 1 및 제 2 몸체면(111)(112) 상에 안착부 정의선(114)이 구비되지 않는다.
상기 바닥면(121)은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부(120)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바닥면(121)의 가운데 부분에는 바닥면(121)을 대칭 형태로 구분하는 접는 선이 구비된다. 상기 바닥면(121)의 형상은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 단면 형상에 상응하도록 설계되며, 접힌 상태의 바닥면(121)은 제 1 몸체면(111)과 제 2 몸체면(112)의 벌림에 의해 몸체부(110)가 형성될 때 함께 펼쳐져 상기 몸체부(110)를 지지하는 지지부(120)를 이루게 된다.
상기 제 1 접합면(141) 및 제 2 접합면(142)은 상기 제 1 몸체면(111), 제 2 몸체면(112) 및 바닥면(121)이 접힘에 의해 입체 형상을 갖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접합면(141)은 상기 바닥면(121)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몸체면(111)의 내측에 접합되며, 상기 제 2 접합면(142)은 상기 제 2 몸체면(112)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 1 몸체면(111)의 내측에 접합된다. 이를 통해, 제 1 몸체면(111), 제 2 몸체면(112) 및 바닥면(121)은 일체형을 이룸과 함께 입체 형상으로의 변환 여부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몸체면(111), 제 2 몸체면(112) 및 바닥면(121)이 모두 접히고 상기 제 1 접합면(141)과 제 2 접합면(142)이 모두 접합되면 도 3의 (g)와 같은 입체적이지 않은 형태 즉, 제 1 몸체면(111)과 제 2 몸체면(112)은 서로 밀착되고 상기 바닥면(121)은 가운데의 접는 선을 기준으로 밀착된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100)의 상단(제 1 몸체면(111) 과 제 2 몸체면(112)이 이루는 뾰족 부분)과 하단(접힌 바닥면(121)의 뾰족 부분)을 누르게 되면, 바닥면(121)은 평면 상태로 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바닥면(121)과 연결되어 있는 제 1 몸체면(111), 제 2 몸체면(112) 역시 그 사이 벌어지게 되어 몸체부(110)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몸체면(111)과 제 2 몸체면(112)에 나이프 거치홈(116)이 형성되며 상기 나이프 거치홈(116)에 나이프 등을 거치할 수 있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식사도구 받침대의 전개도.
도 3은 도 2의 전개도가 접히는 과정을 나타낸 참고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식사도구 받침대의 전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식사도구 받침대의 전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의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식사도구 받침대의 전개도.
도 10은 도 9의 전개도가 접히는 과정을 나타낸 참고도.
도 11a는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의 전면 사시도.
도 11b는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의 후면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의 전개도.
도 13은 도 12의 전개도가 접히는 과정을 나타낸 참고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 110 : 몸체부
111 : 제 1 몸체면 112 : 제 2 몸체면
113 : 경계선 114 : 안착부 정의선
115 : 절개선 116 : 나이프 거치홈
120 : 지지부 121 : 바닥면
122 : 바닥면의 접는 선 130 : 식사도구 안착부
141 : 제 1 접합면 142 : 제 2 접합면
210 : 바닥부 211 : 바닥면
212 : 보조 바닥면 220 : 지지부
221 : 제 1 지지면 222 : 제 2 지지면
223 : 보조 지지면 230 : 식사도구 안착부
231 : 식사도구 안착면 241 : 제 1 접합면
242 : 제 2 접합면

Claims (7)

  1. 평면의 기재가 접혀 형성된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구비되어 식사도구의 안착 공간을 제공하는 식사도구 안착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평면의 기재는 접는 선을 기준으로 제 1 몸체면, 제 2 몸체면, 바닥면, 제 1 접합면, 제 2 접합면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 1 몸체면과 제 2 몸체면은 이웃하여 배치되고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바닥면은 상기 제 2 몸체면에 이웃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 1 접합면은 상기 바닥면에 이웃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 2 접합면은 상기 제 2 몸체면의 일측에 이웃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 1 몸체면과 제 2 몸체면이 서로 간의 경계선을 기준으로 접혀 상기 몸체부를 이루며, 상기 제 1 몸체면과 제 2 몸체면에는 상기 경계선으로부터 연장된 접는 선(이하, '안착부 정의선'이라 칭하기로 함)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바닥면의 가운데 부분에는 바닥면을 대칭 형태로 구분하는 접는 선이 구비되며, 접힌 상태의 바닥면은 제 1 몸체면과 제 2 몸체면의 벌림에 의해 몸체부가 형성될 때 함께 펼쳐져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부를 이루며,
    상기 제 1 몸체면과 제 2 몸체면이 벌어짐과 함께 상기 제 1 몸체면과 제 2 몸체면이 이루는 뾰족 부분이 눌려질 때, 상기 제 1 몸체면과 제 2 몸체면이 이루는 뾰족 부분은 상기 안착부 정의선이 구비된 위치까지 눌려져 상기 제 1 몸체면의 일부와 제 2 몸체부의 일부가 변환된 상기 식사도구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1 몸체면과 제 2 몸체면은 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바닥면의 형상은 상기 안착부 정의선에 의해 한정되는 형상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몸체면의 내측에 접합되는 제 1 접합면과, 상기 제 2 몸체면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 1 몸체면의 내측에 접합되는 제 2 접합면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면에 구비된 안착부 정의선의 일단과 제 2 몸체면에 구비된 안착부 정의선의 일단 사이에 절개선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면, 제 2 몸체면 각각에는 2개의 안착부 정의선이 구비되며, 제 1 몸체면의 안착부 정의선들과 제 2 몸체면의 안착부 정의선들에 의해 2개의 식사도구 안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2020080015951U 2008-07-01 2008-12-01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 KR20045607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774 2008-07-01
KR20080008774 2008-07-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313U KR20100000313U (ko) 2010-01-11
KR200456072Y1 true KR200456072Y1 (ko) 2011-10-10

Family

ID=44194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5951U KR200456072Y1 (ko) 2008-07-01 2008-12-01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072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9303A (ja) 1999-03-29 2000-10-10 Tadashi Sumiyasu 箸置き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9303A (ja) 1999-03-29 2000-10-10 Tadashi Sumiyasu 箸置き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313U (ko) 2010-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36222S1 (en) Knife, fork and spoons set
USD551050S1 (en) Foldable knife
USD552382S1 (en) Folding table with pedestal base
USD572088S1 (en) Cutlery set
USD528894S1 (en) Foldable knife handle
USD536221S1 (en) Foldable combined spoon and fork
USD935284S1 (en) Cutlery set
USD503097S1 (en) Handle
USD497083S1 (en) Set of cutlery
USD479103S1 (en) Cutlery
KR200456072Y1 (ko) 접철식 식사도구 받침대
USD511913S1 (en) Table
KR102140956B1 (ko) 받침대 겸용 젓가락 간이 포장지
USD503095S1 (en) Handle
USD475544S1 (en) Chair
USD440070S1 (en) Folding table
USD499938S1 (en) Cutlery
KR200451893Y1 (ko) 일회용 수저받침대
USD948302S1 (en) Foldable magnetic pad
KR100765935B1 (ko) 일회용 위생 식사도구 받침구조
USD503094S1 (en) Handle
USD503096S1 (en) Handle
KR200487023Y1 (ko) 일회용 수저 받침대
CN220512637U (zh) 一种可折叠式塑料刀叉
USD516908S1 (en) Hand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