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628Y1 - 규산염 정량 혼합 용해기 - Google Patents

규산염 정량 혼합 용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628Y1
KR200455628Y1 KR2020080012524U KR20080012524U KR200455628Y1 KR 200455628 Y1 KR200455628 Y1 KR 200455628Y1 KR 2020080012524 U KR2020080012524 U KR 2020080012524U KR 20080012524 U KR20080012524 U KR 20080012524U KR 200455628 Y1 KR200455628 Y1 KR 2004556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silicate
raw material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25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3058U (ko
Inventor
이덕우
이승훈
Original Assignee
이승훈
이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훈, 이덕우 filed Critical 이승훈
Priority to KR20200800125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628Y1/ko
Publication of KR201000030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0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6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6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C02F1/685Devices for dosing the additives
    • C02F1/688Devices in which the water progressively dissolves a solid compou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ilicates, Zeolites, And Molecular Sieves (AREA)

Abstract

본체 중앙에 급수관(6)과 배출관(7)을 구성하고 내부에 수장실(15)(15')을 형성하며 수장실 하단에 각기 배수공(11)(11')을 통공한 하단의 조절관(5')에는 손잡이(8')가 부착된 조절축(10')이 축설되며 상기 조절축의 중단에 마개(12')와 양측에 배수공 마개(13')(14')가 구성되고, 본체 상부에는 급수구(3)와 정압기(4) 및 조절관 (5)과 공급구(9)(9')가 구성된 상체(2)를 개폐되게 하고 상기 조절관에는 중단 마개(12)와 공급 마개(13)(14) 및 손잡이 (8)를 부착한 조절축(10)을 축설한 단계와, 상기 본체의 수장실(15)(15')에는 상하부에 각기 경사주입구(17)(17')(17a)(17b)를 계단식으로 다수 구성하고, 중앙에 여과관(18)(18')을 원료통의 배출구에 장착하여 배수공(11)(11')과 일치되게 한 원료통(16)(16')을 착,탈되게 하여서 되는 것과 규산염 용수를 사용치 않을 시 에는 공급구(9)(9')에 물의 공급 차단으로 원료통의 규산염 원료(19)(19')를 항상 건조 상태로 유지케 하여 사용 시 물의 공급이 원료 표면에만 스쳐서 용해되어 일정농도가 유지토록 함을 특징으로 한 규산염 정량 혼합 용해기.
조절관, 급수관, 배출관, 공급구, 조절축, 배수공, 공급 및 배수마개, 수장실, 원료통, 경사 주입구, 여과관.

Description

규산염 정량 혼합 용해기{omitted}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단면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급, 배수 조절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급, 배수 조절장치의 예시도
도 4는 종래의 상품화 되고 있는 용수기의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 본체(탱크) 2 : 상체 3 : 급수구 4 : 정압기
5. 5' : 조절관(조절실) 6 : 급수관 7 : 배출관
8. 8' : 손잡이 9. 9' : 공급구 10. 10' :상 하단 조절축
11. 11' : 배수공 12. 12' : 마개
13. 13'. 14. 14' : 공급 및 배수마개 15. 15' : 수장실
16. 16' : 원료통 17. 17' : 경사주입구
17a. 17b : 상부 경사주입구 18. 18' : 여과관
19. 19' : 원료(규산염) A : 본체 탱크 B : 상체
C : 투시구(투명유리) D : 급수구 E : 배수구
F : 원료(규산염)
본 고안은 규산염(실리포리)을 일정량이 필요에 따른 사용목적에 적합하도록 용해되어 일반인의 비전문가가 용수를 측정하기가 가능하지 못하였던 문제를 해결하여 필요에 따른 사용목적에 적합한 규산염의 량을 일정하게 용해, 배출토록 한 규산염 정량 혼합 용해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제20-344148호, 실리포리 용액 정량 혼합기, 와 제20-332733호, 실리포리 정수기, 제20-330119호 실리포리 관수기 등이 등록 되여 있고, 또 도4에 도시된 용수기가 알려져 있는데,
첫째 : 실리포리 용액 정량 혼합기는 주입 관과 배출구 사이에 수돗물 공급 관과 배출호스를 연결하고, 공급 관과 배출호스 사이에는 내부에 받침 돌기를 다수개 돌출시킨 피스톤을 내삽하고 공급구와 상부 요홈 및 배출구를 각 각 형성한 실리포리 용액용기를 차례로 구성하여 상기 용액용기의 실리포리 용액을 배출하여 공급 혼합케 하는 배출호스를 연결,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구성이고,
둘째 : 실리포리 정수기는 급수관이 급수전환기에 급수케 하여 정수기로 연결한 다음 아답터에 실리포리 용해기를 공기압 탱크에 연결하여 활성탄 정수기로 배출케 하고, 배출밸브로 배수케 하되, 실리포리 용해용기를 공기 가압탱크를 기점으로 활성탄 정수기로 배출되게 연결하고 실리포리 용해용기는 주입구와 하단 캡을 구성하여, 캡의 배출구에는 여과망을 씌우며 하부에 유입 공을 다수 천공하고 실리포리를 내장하는 상협 하광 한 용해 조절 갓을 장치하여서 된 것이며,
셋째 : 실리포리 관수기는 동체에 급수구, 배수구 및 청소배수구를 개폐 콕크를 구성하여 배치하고 상하부에는 상하 켑을 고무박킹 및 와샤로 삽지케 한 다음 중심을 통과하는 축을 너트로 조여서 결합하기 전 용해실과 용해 물을 저수실 상부로 분리되게 망판을 받침구로 받쳐서 공급되는 물에 용해 물을 용해시켜 배출케 함을 특징으로 한 구성이고,
넷째 : 도4의 도시에서 내부를 투시해 볼 수 있도록 투명유리로 투시구(C)를 구성하고 급수구(D)와 배수구(E)를 형성한 탱크(본체)(A)에 내용물인 규산염원료(F)를 수장하고 뚜껑(B)을 닫고 사용하는데, 급수구(D)로 공급되는 물은 직접 원료(F)에 침적되면서 용해되는 규산염과 함께 배출케 됨으로서, 규산염이 물에 장시간 침적이 계속되는 상태이거나, 물에 잠겨있는 시간이 길어지면 규산염의 용해농도가 짙어서 배수되는 용수의 필요에 따른 적합한 용해량을 일정하게 유지 시킬 수 없는 결점이 있게 된다, 또한 급수하여 배수치 않을 시에는 원료는 침적되지 않는 건조 상태여야 만 다음 원료 용해농도를 조절할 수 있는데, 상기 첫째 내지 넷째의 종래의 것들에서는 기대할 수 없었던 것이다
즉, 공기압을 이용하여 규산염 원료는 항상 건조 상태를 유지 되어야 하며 물주입시 원료의 표면에만 물이 스쳐서 미약하게 일정농도가 유지되어지고 수압과 침적 수위에 따른 용해농도가 짙어지는데 수위에 따라 침적 량이 비례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인 규산염 원료는 항상 건조 상태를 유지하여 물의 공급 시에 원료 외주면을 스쳐서 용해되도록 하는 기술의 어려움으로 소 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용도가 광범위하고 다양한 규산염은 물과 접촉하는 모든 제품 공정에서 맛, 향기, 품질이 그 수명에 따라 기간이 지나면 물에 포함되여 있고, 금속이온의 산화에 의해 변질을 초래하는데, 규산염의 첨가로 산화와 변질을 방지하여 품질 원래의 성질을 유지토록 하기 위해서는 물에 첨가되는 규산염의 량이 대단히 중요하게 되어 비전문가인 일반인도 조작이 용이하고 간편하면서 효율적인 성능으로 사용목적에 적합한 규산염 용수를 생성(生成) 할 수 있는 규산염 정량 혼합용수기를 출원하게 된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규산염의 용처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양하며. 물과 접촉하는 제품에 사용되며 주로 수질개선에 대단한 효과를 갖는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무색, 무취, 무독의 결정체로 물속의 수소이온 농도(PH)를 알카리화로 개선시킴으로서, 음료수의 개질에는 탁월한 원료이고, 사용목적에 따라 적합한 량을 용해시킨 용수를 얻기가 매우 어렵고 공업용수, 냉난방수, 소모성 용수, 음료수 등에 따라 첨가 용해량이 달라져야 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에 본 발명의 용수기가 개발되게 된 것이다,
본체(1) 중앙에 급수관(6)과 배출관(7)을 구성하고 내부에 수장실(15)(15')을 형성하고 수장실 하단에 각기 배수공(11)(11')을 통공한 하단의 조절관(5')에는 손잡이(8')가 부착된 조절축(10')이 축설되며, 상기 조절축의 중단에 마개(12')와 양측에는 중단마개와 엇갈리게 배수공마개(13')(14')가 구성되어지며, 본체 상부에 는 급수구(3)와 정압기(4)및 조절관(5)과 공급구(9)(9')가 구성된 상체(2)를 개폐되게 하고, 조절관(5)에는 중단마개(12)와 양측에 엇갈리게 공급마개(13)(14) 및 손잡이(8)를 부착한 조절축(10)을 축설 한다, 상기 본체의 수장실(15)(15')에는 상하부에 각기 경사주입구(17)(17')(17a)(17b)를 계단식으로 다수 구성하고 중앙에는 여과관(18)(18')을 원료통의 배출구에 장치하여 배수공(11)(11')과 일치되게 한 원료통(16)(16')을 장착케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체(2)를 열고 규산염원료(19)(19')를 충진 시킨 원료통(16)(16')을 수장실(15)(15')에 안착시키면, 상기 원료통 중앙의 여과관(18)(18')은 배수공(11)(11')에 일치되게 장착되며, 급수구(3)로 물을 공급시키면 조절관(5)을 거쳐서 양측 공급구(9)(9')로 물이 공급되면서 각 원료통(16)(16')의 정수리에서 원료통(16)(16')의 외주면, 표면벽을 따라 흘러서 저면부에서부터 물이 차 오르며 최저면 경사주입구(17)(17')에서부터 물이 위로 차 오르면서 내부의 원료(19)에 침적되며, 주입되는 수량에 비례하여 수위가 발생하고 수위발생 원인은 경사주입구(17)(17')의 크기가 공급구(9)(9')의 1/10의 크기이며 경사주입구(17)(17')가 계단식으로 구성 되였기 때문이다,
물의 공급량이 많아짐에 따라 점차 상부의 경사주입구(17)(17')로 주입되며 많은 량의 물을 공급할 때는 상단 경사주입구(17)(17')까지 차올라서 물이 원료에 주입되게 된다, 이때에 물의 공급량을 원료통(16)(16')에 공급되지 않게 하고자 하면, 손잡이(8)를 돌려서 공급마개(13)(14)가 공급구(9)(9')를 막아 주게 되어 물의 공급을 수장실로의 유입을 차단하고 동시에 마개(12)는 급수관(6) 주입구를 개방시켜 곧바로 배출구(7)로 배출케 한다,
또, 규산염 원료(19)(19')에 적셔져서 원료가 용해된 용수를 배출시키지 않고자 할 경우에는 도1의 하단 도시의 배수마개(13')(14')가 배수공(11)(11')을 막아주게 손잡이(8')를 돌려서 조절축(10')을 회전시켜서 조절하게 된다, 원료통(16)(16')의 용수를 배출시킬 경우에는 조절축(10')을 회전시켜 배수마개(13')(14')를 배수공(11)(11')에서 개방시키면 용수는 여과관(18)(18')을 통하여 상기 배수공으로 배수 되여 급수관(6)에서 공급되는 일반 물과 혼합 되여 배출관(7)으로 배출케 된다
즉 손잡이(8)(8')를 돌려서, 조절축(10)(10')을 조절함에 따라 급수관(6)의 수량을 감소시키면 공급구(9)(9')의 수량은 증가하고 공급된 수량은 원료통(16)(16')과 조절관(5)를 거쳐서 배출관(7)으로 배출되는데. 수위에 비례하여 원료의 침수 량이 증가되므로 규산염용수의 농도(PPm)는 사용 목적에 적합(-.+ 5%이하)하게 된다,
특히 원료통(16)(16')의 규산염원료(19)(19')가 다 사용한 다음에는 원료통만 간단히 교체하여 새로운 원료가 충진 된 원료통을 교환함으로서 가능하며, 사용치 않을 때는 공급구(9)(9')로 물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규산염 원료는 항상 건조 상태로 유지시켜지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일반인 등이 규산염 용해(溶
Figure 112008504686168-utm00005
)를 사용목적에 적합 하도록 첨가 용해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고 누구나 조작이 용이하고 간편하며, 저렴하고 효율적인 성능으로 사용목적에 맞도록 하는 효과적인 것이다.

Claims (2)

  1. 본체 중앙에 급수관(6)과 배출관(7)을 구성하고 내부에 수장실(15)(15')을 형성하며 수장실 하단에 각기 배수공(11)(11')을 통공한 상 하단의 조절관(5)(5')에는 손잡이(8)(8')가 부착된 조절축(10)(10')이 축설 되며, 상단 조절축에는 중단에 마개(12)와 양측에 배수공 마개(13)(14) 및 손잡이(8)가 구성된 조절축이, 본체 상부의 급수구(3)가 정압기(4) 및 조절관(5)과 공급구(9)(9')가 구성된 상체(2)를 개폐되게 하며, 하단 조절관(5')에는 중단마개(12')와 공급마개(13')(14')및 손잡이(8)를 부착한 조절축(10')을 축설하는데, 상기 본체의 수장실(15)(15')의 상하부에 각기 경사주입구(17)(17')(17a)(17b)를 계단식으로 구성하고, 중앙에 여과관(18)(18')을 원료통의 배출구에 장착하여 배수공(11)(11')과 일치되게 한 원료통(16)(16')을 착탈 되게 장착한 하단 조절관에 끼워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규산염 정량 혼합 용해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규산염 용수를 사용치 않을 시에는 공급구(9)(9')에 물의 공급을 차단하여 원료통의 규산염 원료(19)(19')를 건조 상태로 유지되게 하고, 사용 시 물의 공급이 상기 원료 표면으로 공급하여 용해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 규산염 정량 혼합 용해기.
KR2020080012524U 2008-09-08 2008-09-08 규산염 정량 혼합 용해기 KR2004556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524U KR200455628Y1 (ko) 2008-09-08 2008-09-08 규산염 정량 혼합 용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524U KR200455628Y1 (ko) 2008-09-08 2008-09-08 규산염 정량 혼합 용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058U KR20100003058U (ko) 2010-03-17
KR200455628Y1 true KR200455628Y1 (ko) 2011-10-11

Family

ID=44198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2524U KR200455628Y1 (ko) 2008-09-08 2008-09-08 규산염 정량 혼합 용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628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0119Y1 (ko) 2003-07-03 2003-10-17 이은우 실리포리 관수기
KR200332733Y1 (ko) 2003-07-30 2003-11-07 이은우 실리포리 정수기
KR200344148Y1 (ko) 2003-12-13 2004-03-12 이은우 실리포리 용액 정량 혼합기
KR100538653B1 (ko) 2004-02-12 2005-12-23 에이취디알 주식회사 마그네슘을 주재로 한 알칼리환원수 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0119Y1 (ko) 2003-07-03 2003-10-17 이은우 실리포리 관수기
KR200332733Y1 (ko) 2003-07-30 2003-11-07 이은우 실리포리 정수기
KR200344148Y1 (ko) 2003-12-13 2004-03-12 이은우 실리포리 용액 정량 혼합기
KR100538653B1 (ko) 2004-02-12 2005-12-23 에이취디알 주식회사 마그네슘을 주재로 한 알칼리환원수 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058U (ko) 2010-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314808A1 (en) Portable, refillable water dispenser serving batches of water purified of organic and inorganic pollutants
KR20090039999A (ko) 물저장통 및 이를 구비한 스팀청소기
WO2003016225A1 (en) Venturi feeder bypass and control
KR200455628Y1 (ko) 규산염 정량 혼합 용해기
WO2011065289A1 (ja) 給水タンク及びそれを備えた電解装置
KR102213443B1 (ko) 탄산수살균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WO2001044126A1 (fr) Dispositif d'injection de chlore dans l'eau de robinet d'un cabinet dentaire et dispositif d'apport de chlore sous pression par injection
RU2008101637A (ru) Машин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заварных напитков
KR101943794B1 (ko)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가 구비된 오염수 정화장치의 공기 배출장치
KR200240602Y1 (ko) 이온자화 연수기
KR200405857Y1 (ko) 냉이온수기용 냉수통
KR101783908B1 (ko) 수소수 용기
KR0160599B1 (ko) 오존을 이용한 수질살균 믹서장치
KR100639798B1 (ko) 연수기용 재생장치
KR200236404Y1 (ko) 오존 살균 냉·온 정수기
KR101866932B1 (ko) 수소수 제조 장치 및 그 수소수 생성 필터
KR200310761Y1 (ko) 상수도용 간이 염소 자동공급장치
KR101909001B1 (ko) 직수타입 세척모듈 통합형 음료분배헤드
KR100666556B1 (ko) 압력스위치가 구비된 정수기의 초기화 방법
KR200200372Y1 (ko) 용해물질의 무동력 자동 정량공급장치
KR200403931Y1 (ko) 연수기
KR20040099912A (ko) 연수기
RU12826U1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дготовки питьевой воды
JP2001114356A (ja) 液体注出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水道水の塩素除去器
KR200398459Y1 (ko) 연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