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534Y1 - 조명기구를 가진 스틱 - Google Patents

조명기구를 가진 스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534Y1
KR200455534Y1 KR2020080016165U KR20080016165U KR200455534Y1 KR 200455534 Y1 KR200455534 Y1 KR 200455534Y1 KR 2020080016165 U KR2020080016165 U KR 2020080016165U KR 20080016165 U KR20080016165 U KR 20080016165U KR 200455534 Y1 KR200455534 Y1 KR 2004555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grip
stick
emitting diod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61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6027U (ko
Inventor
임동호
Original Assignee
대원트로닉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트로닉스(주) filed Critical 대원트로닉스(주)
Priority to KR20200800161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534Y1/ko
Publication of KR201000060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0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5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5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9/00Apparatus for mountaineering
    • A63B29/08Hand equipment for climb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3/00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B3/02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illuminating devices
    • A45B3/04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illuminating devices electric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명기구를 가진 스틱에 관한 것으로, 개시된 본 고안은 샤프트 및 샤프트의 상단에 결합되는 그립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스틱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샤프트; 샤프트의 상단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그립부; 및 상기 그립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그립부의 축선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발광면이 배치된 발광다이오드를 가진 조명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는 상기 샤프트 보다 작은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명, 발광다이오드, 스틱, 샤프트, 그립

Description

조명기구를 가진 스틱{STICK WITH LIGHTING}
본 고안은 스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기구를 가진 스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틱이라 함은 길고 얇은 부품(long thin piece)의 일종으로, 등산 또는 보행 보조용구로 이용되거나 그외에 천막 등의 지주 등과 같이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통상, 스틱은 노인·신체장애인·등산가·여행자 등이 사용하며, 때로는 신분이 높은 사람이 권위의 상징으로 또는 호신용으로도 이용하였다. 이러한 의미에서 스틱은 워킹스틱(walking stick), 스탭(staff), 케인(cane)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최근에는, 스틱에 각종 조명기구를 장착함으로써 야간의 시인성 등을 향상시킨 제품들이 다수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조명기구 부착형 스틱은 조명기구의 장착공간에 의해 스틱의 외경 또는 부피가 증대하고, 이에 따라 스틱의 내부 및 외부구조가 매우 복잡해져 그 제조단가 내지 외관미를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조명기구 부착형 스틱은 조명기구가 스틱의 손잡이 단부에 스틱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스틱의 사용성이 취약할 뿐만 아니라 그 외관미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스틱의 외경, 부피 등과 같은 사이즈를 증대시키지 않으면서 조명기구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조명기구를 가진 스틱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스틱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샤프트;
샤프트의 상단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그립부; 및
상기 그립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그립부의 축선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발광면이 배치된 발광다이오드를 가진 조명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는 상기 샤프트 보다 작은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립부는,
스위치가 설치된 상부캡;
상단이 상기 상부캡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건전지 및 구동회로기판이 설치된 그립부재; 및
상단이 상기 그립부재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 축선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장착홈이 형성되고, 이 장착홈에는 발광다이오드가 설치된 하부 캡;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캡은 그 하단에 상기 샤프트의 상단이 결합되는 결합홈을 가지고, 상기 하부캡의 장착홈 주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캡 및 하부캡은 상기 그립부재 보다 그 길이가 짧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발광면은 투광체에 의해 커버되고, 상기 투광체와 발광다이오드 사이에는 스페이서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발광면의 조사각이 75~90°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발광다이오드의 직진성 등이 양호하여 별도의 집광렌즈, 반사갓 등과 같은 광학부품이 요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 상부캡 및 그립부재의 외경은 상기 하부캡의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캡 및 그립부재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그립홈 및 그립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캡 및 그립부재의 외경은 상기 하부캡의 외경 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캡 및 그립부재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그립홈 및 그립돌기가 형성된 그립커버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조명기구의 장착구조를 단순화함과 더불어 스틱의 사이즈 등을 증대시키지 않으므로, 그 제조비용를 절감하고, 그 외관미를 저해하지 않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75~90°범위의 조사각을 가진 높은 조도를 가진 발광다이오드를 적용함으로써 빛의 직진성, 빛의 전파거리 증대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반사갓, 집광렌즈 등과 같은 광학부품이 요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명기구를 가진 스틱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틱(10)은 샤프트(11) 및 샤프트(11)의 상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립부(15)를 포함한다.
샤프트(11)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샤프트(11)는 서로 다른 직경의 파이프들이 길이조절구(11a)에 의해 상대 이동됨에 따라 그 길이가 자유롭게 가변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립부(15)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그립부(15)는 샤프트(11) 보다 짧은 길이를 가진다. 그립부(15)는 샤프트(11)의 상단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 그립부(15) 내에 조명기구(20)가 설치된다.
그립부(15)는 가공의 용이성, 강도 등을 고려하여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재질이 바람직하다.
조명기구(20)은 발광다이오드(21), 발광다이오드(2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구동회로기판(22), 구동회로기판(22)측에 접속된 건전지(23), 건전지(23)의 상부에 접속된 스위치(24)를 구비한다.
발광다이오드(21)는 그립부(15)의 내부에 설치되고, 이 발광다이오드(21)의 발광면(21a)이 그립부(15)의 개구를 통해 외부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발광다이오드(21)의 발광면(21a)이 그립부(15)의 축선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조명기구(20)를 그립부(15)의 내부에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광다이오드(21)는 그 조사각이 75~90°범위 내이고, 높은 조도를 가진 발광다이오드를 적용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단일의 발광다이오드(21)를 설치하더라도 그 직진성 및 빛의 전파거리를 길게함으로써 별도의 집광렌즈, 반사갓 등과 같은 광학부품이 요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구동회로기판(22)은 발광다이오드(21)의 조도를 강, 약 등과 같이 여러 단계로 조절하는 밝기 조절기능을 가진다. 스위치(24)의 다단접촉구조에 의해 구동회로기판(22)의 밝기 조절기능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그립부(15)는 상부캡(16), 그립부재(17), 하부캡(18)이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캡(16)은 그 내부에 스위치(24)가 설치되고, 이 스위치(24)는 상부캡(16)의 상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간편하게 스위치(24)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립부재(17)는 그 상단이 상부캡(16)의 하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특 히 그립부재(17)의 상단에는 수나사부(17a)가 형성되고, 이 수나사부(17a)는 상부캡(16)의 하단 내경면에 형성된 암나사부(16a)에 나사결합된다.
그립부재(17)의 내부에는 수용공간(17b)이 형성되고, 이 수용공간(17b)에 건전지(23)가 설치되며, 이 수용공간(17b)의 하부에는 발광다이오드(21)를 구동시키는 구동회로기판(22)이 설치된다.
하부캡(18)은 그 상단이 그립부재(17)의 하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특히 하부캡(18)의 상단에는 수나사부(18c)가 형성되고, 이 수나사부(18c)는 그립부재(17)의 하단 내경면에 형성된 암나사부(17c)에 나사결합된다.
하부캡(18)의 내부에는 하부캡(18)의 축선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장착홈(18a)이 형성되고, 이 장착홈(18a)에는 발광다이오드(21)가 설치되고, 이 발광다이오드(21)의 발광면(21a)은 장착홈(18a)의 개구를 향해 배치된다.
발광다이오드(21)의 발광면(21a)은 아크릴 등과 같은 투명수지로 이루어진 투광체(26)에 의해 커버되고, 이 투광체(26)는 발광다이오드(21)의 빛을 집광함과 더불어 빛의 전파거리를 길게 할 수 있는 광학적 특성을 가진 투광체(26)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투광체(26)와 발광다이오드(21) 사이에는 스페이서(27)가 개재되고, 이 스페이서(27)에 의해 발광다이오드(21) 및 투광체(26)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다. 투광체(26)의 상면에는 고정부재(28)가 접착제 등을 통해 접착됨으로써 투광체(26)는 발광다이오드(21)의 발광면(21a)와 마주보게 고정된다.
하부캡(18)의 장착홈(18a) 주변에는 소정각도로 경사진 경사면(18b)이 형성 되고, 발광면(21a)에서 조사되는 빛은 경사면(18b)을 통해 반사됨에 따라 빛의 전파거리를 길게 할 뿐만 아니라 빛의 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부캡(18)의 장착홈(18a) 주변에 반사기능을 하는 경사면(18b)을 일체로 형성함에 따라 슬림한 구조를 구현하면서도 발광다이오드(21)의 조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부캡(18)의 하부에는 결합홈(18d)이 형성되고, 이 결합홈(18d)에는 샤프트(11)의 상단이 끼움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부캡(16) 및 하부캡(18)은 그립부재(17)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길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상부캡(16) 및 하부캡(18)에는 스위치(24), 발광다이오드(21)을 간편하게 장착하는데 무리가 없으면 그 길이를 최소화함으로써 기존과 비교하여 그립부(15)의 전체 사이즈를 슬림화 내지 컴팩트하게 구성하기 위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캡 및 그립부재(16, 17)의 외경은 하부캡(18)의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부캡 및 그립부재(16, 17)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그립홈(19a) 및 복수의 그립돌기(19b)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부캡 및 그립부재(16, 17)의 외경은 하부캡(18)의 외경 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부캡 및 그립부재(16, 17)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그립홈(19a) 및 복수의 그립돌기(19a)가 형성된 그립커버가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그립부(15) 내에 조명기구(20)가 설치됨에 따라 종래의 스틱과 달리 조명기구를 위한 별도의 돌출구조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그 외경치수가 증대되지 않은 슬림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그립부(15)의 일측 외주면, 예컨대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그립부재(17)와 하부캡(18)의 결합부분에 링부재(31)가 개재될 수 있고, 이 링부재(31)는 하나 이상의 결합공(31a)을 가지며, 이 결합공(31a)에는 손잡이끈(35)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손잡이끈(35)은 고리 형태로 연결되고, 그 단부에 축광체(36)가 구비되어 야간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손잡이끈(35)의 외표면에는 재귀반사물질(35a)이 일정간격으로 도포됨으로써 야간에 외부 조명에 의한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손잡이끈(35)에는 하나 이상의 길이조절 스토퍼(37)가 구비되고, 이 길이조절 스토퍼(37)에 의해 손잡이끈(35)을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자의 팔목에 기밀하게 착용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37)에 의해 손잡이끈(35)이 사용자의 팔목에 기밀하게 착용됨에 따라 본 고안의 스틱이 사용자의 손에서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를 가진 스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그립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그립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그립부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스틱 11: 샤프트
15: 그립부 16: 상부캡
17: 그립부재 18: 하부캡
20: 조명기구 21: 발광다이오드
22: 구동회로기판

Claims (6)

  1.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샤프트;
    샤프트의 상단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샤프트보다 작은 길일로 이루어지는 그립부; 및
    상기 그립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그립부의 축선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발광면이 배치된 발광다이오드를 가진 조명기구;를 포함하되,
    상기 그립부는,
    스위치가 설치된 상부캡,
    상단이 상기 상부캡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건전지 및 구동회로기판이 설치된 그립부재, 및
    상단이 상기 그립부재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 축선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 주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장착홈 내부에 발광다이오드가 설치되고,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발광면은 투광체에 의해 커버되고, 상기 투광체와 발광다이오드 사이에는 스페이서가 개재되는 하부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를 가진 스틱.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발광면의 조사각이 75~90°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를 가진 스틱.
KR2020080016165U 2008-12-05 2008-12-05 조명기구를 가진 스틱 KR2004555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165U KR200455534Y1 (ko) 2008-12-05 2008-12-05 조명기구를 가진 스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165U KR200455534Y1 (ko) 2008-12-05 2008-12-05 조명기구를 가진 스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027U KR20100006027U (ko) 2010-06-15
KR200455534Y1 true KR200455534Y1 (ko) 2011-09-08

Family

ID=44451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6165U KR200455534Y1 (ko) 2008-12-05 2008-12-05 조명기구를 가진 스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534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9315A (ja) * 2000-10-17 2002-04-23 Hisatomi Electric Ind Co Ltd
JP2004103373A (ja) * 2002-09-09 2004-04-02 Sureddo Kk 発光装置及びそれを利用した発光物,表示器具
KR200413605Y1 (ko) 2006-01-26 2006-04-07 (주)비쥬얼테크 지팡이용 손잡이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9315A (ja) * 2000-10-17 2002-04-23 Hisatomi Electric Ind Co Ltd
JP2004103373A (ja) * 2002-09-09 2004-04-02 Sureddo Kk 発光装置及びそれを利用した発光物,表示器具
KR200413605Y1 (ko) 2006-01-26 2006-04-07 (주)비쥬얼테크 지팡이용 손잡이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027U (ko) 201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83979B2 (ja) ヘッドライト
US7387402B1 (en) Multiple light LED flashlight
US9416938B2 (en) Integrated optic and bezel for flashlight
US20090196027A1 (en) Convertible flashlight and area light with an aperture shutter
US20080068833A1 (en) Focus-adjustable LED flashlight
WO2006113664A3 (en) Compact task ambient luminiaire with twin tube lamp
JP2008516704A (ja) 多機能の歩行用杖
TW200703725A (en) Light source with improved life
EP1258394A3 (en) A lighting device, particularly a motor vehicle light
US20150285447A1 (en) Multi Illumination Point Flashlight Headlamp
KR200455534Y1 (ko) 조명기구를 가진 스틱
US20020189657A1 (en) Illuminating walking stick
US20040100795A1 (en) Telescopic universal flashlight
KR20180110394A (ko) 이미지 홀더를 구비한 휴대용 랜턴
US8641249B2 (en) Illuminating magnifying lens capable of focusing its light on objects
JP2004045192A5 (ko)
WO2004112153A3 (en) A resonant cavity light emitting diode
AU2003274624A1 (en) Lighting unit
WO2006098252A3 (en) Optical fiber sensor
US20130194809A1 (en) Lighting assembly with cornuate light guide
US6908211B1 (en) Magnified lighting device
KR200285808Y1 (ko) 전등갓의 구조
EP1246227A3 (en) Lamp with a reflector and a lens mutually secured by a silicone adhesive
KR200375372Y1 (ko) 광섬유를 이용한 조명장치가 겸비된 장갑
KR20090014746A (ko) 조명용 빛조사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