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378Y1 - 수납부를 갖는 선반 - Google Patents

수납부를 갖는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378Y1
KR200455378Y1 KR2020080014734U KR20080014734U KR200455378Y1 KR 200455378 Y1 KR200455378 Y1 KR 200455378Y1 KR 2020080014734 U KR2020080014734 U KR 2020080014734U KR 20080014734 U KR20080014734 U KR 20080014734U KR 200455378 Y1 KR200455378 Y1 KR 2004553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helf
main body
draw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47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4945U (ko
Inventor
김형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봉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봉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봉적
Priority to KR20200800147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378Y1/ko
Publication of KR201000049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9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3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3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69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29Guide bearing means
    • A47B2210/0043Wheels

Abstract

본 고안은 주방 등의 작업공간에서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는 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싱크대와 같은 선반의 상판 하부에 잘 사용되지 않는 공간에 인출 가능한 서랍을 설치하여 수납공간을 증가시키며, 외관과의 통일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 수납부를 갖는 선반에 관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수납부를 갖는 선반은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는 작업공간을 갖는 선반에 있어서, 전면부에 개폐가능한 문이 설치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판부와, 상기 본체와 상기 상판부 사이에 구비되며, 슬라이딩 인출가능하게 설치된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는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서랍함과, 전면에 위치되며 상기 서랍함이 인출되는 구멍이 형성된 전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의 후면에 일체로 마주보게 형성된 한 쌍의 후크돌기에 끼워지며 상기 선반의 본체부 측판에 고정되어 상기 전면패널을 지지하는 고정브래킷과, 상기 서랍함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며 일측에 길이방향의 개구부가 형성된 제1블록과, 상기 본체부의 양측판에 각각 고정되며, 일단이 상기 제1블록의 개구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블록을 슬라이딩 인출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블록을 포함한다.
선반, 싱크대, 수납, 서랍, 슬라이딩, 인출

Description

수납부를 갖는 선반 {SHELF HAVING KEEPING SPACE}
본 고안은 주방 등의 작업공간에서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는 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선반의 상판 하부 공간에 수납부를 인출가능하게 설치한 슬라이딩 수납부를 갖는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물품을 올려놓기 위한 선반이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선반의 일례로 사용되는 싱크대에 대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는 작업공간을 갖는 다양한 용도의 선반 등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싱크대는 통상적으로 주방의 공간활용을 위해 벽면측에 밀착되어 위치되고, 주방가사를 하는 작업자는 싱크대의 전방에 서서 주방가사를 수행한다. 이때, 작업자는 식자재 등을 가공하기 위해 칼, 주걱, 계량스푼 등과 같은 주방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주방도구들은 싱크대의 내부에 수납되거나, 별도의 보관함에 저장된다.
그러나, 종래의 싱크대와 같은 선반에는 이러한 주방도구 등을 꺼내거나 보관하기 위해서는 허리를 숙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사용자가 주방도구를 쉽게 확 인하기가 곤란하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싱크대에 별도의 서랍을 설치하고 주방도구들을 보관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러한 서랍은 주방도구와 함께 다른 일반 용품을 보관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종래의 서랍은 싱크대의 상부에서 측면으로 치우치거나, 상부 공간을 모두 차지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싱크대는 서랍을 별도로 설치함에 따라 외관의 통일성이 저하되고 심미감이 떨어지며, 서랍의 설치로 인해 싱크대의 내부공간이 줄어들게 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싱크대와 같은 선반의 상판 하부에 잘 사용되지 않는 공간에 인출 가능한 서랍을 설치하여 수납공간을 증가시키며, 외관과의 통일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 수납부를 갖는 선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수납부를 갖는 선반은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는 작업공간을 갖는 선반에 있어서, 전면부에 개폐가능한 문이 설치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판부와, 상기 본체와 상기 상판부 사이에 구비되며, 슬라이딩 인출가능하게 설치된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는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서랍함과, 전면에 위치되며 상기 서랍함이 인출되는 구멍이 형성된 전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의 후면에 일체로 마주보게 형성된 한 쌍의 후크돌기에 끼워지며 상기 선반의 본체부 측판에 고정되어 상기 전면패널 을 지지하는 고정브래킷과, 상기 서랍함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며 일측에 길이방향의 개구부가 형성된 제1블록과, 상기 본체부의 양측판에 각각 고정되며, 일단이 상기 제1블록의 개구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블록을 슬라이딩 인출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블록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블록과 상기 제2블록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서랍함의 인출길이를 연장시키는 보조인출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인출수단은 일단이 상기 제1블록의 개구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블록이 상기 개구부를 따라 슬라이딩 인출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1연장블록과, 상기 제1연장블록의 길이방향 일단에 고정되며, 상기 제2블록에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보조개구부를 갖는 제2연장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랍함은 수용되는 물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수납부를 갖는 선반은 선반의 상판 아래에 수납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작은 물품들을 효과적으로 수납할 수 있고, 수납부의 내부에 다양한 제품을 수납할 수 있는 용기를 일체로 형성하여 제품의 보관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선반의 외관과 통일성을 유지하여 수납부를 설치할 수 있어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수납부의 서랍에 수용되는 물품과 대응하는 홈부가 형성되어 물품들을 찾기가 쉽고,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수납부를 갖는 선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수납부를 갖는 선반의 수납부를 인출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수납부를 갖는 선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수납부를 갖는 선반의 수납부를 인출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선반(1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0)의 전면에 슬라이딩 인출 가능한 수납부(30)가 설치된다.
상기 본체부(20)는 내부가 중공되어 있으며, 전면부가 개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20)는 전면부에 내부를 차폐하며, 개폐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문(22)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20)의 상부에는 상부를 마감하는 상판부(25)가 설치된다. 상기 상판부(25)는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는 작업공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선반(10)은 주방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주방에 설치되는 선반(10)은 "씽크대"가 대표적이다.
한편, 상기 선반(10)은 상기 본체부(20)와 상기 상판부(25) 사이의 공간에 수납부(30)가 설치된다. 상기 수납부(30)는 칼과 같이 조리 등에 필요한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전면측으로 슬라이딩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수납부(30)는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서랍함(32)을 갖고, 상기 서랍함의 전단에는 인출시 작업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33)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수납부(30)의 전면에는 전면패널(34)이 위치된다. 상기 전면패널(34)에 는 상기 서랍함(32)을 인출하기 위한 구멍(3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패널(34)의 배면 양측에는 고정브래킷(38)이 각 결합되는데, 상기 고정브래킷(38)들은 절곡되어 절곡된 일면이 상기 전면패널(34)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전면패널(34)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브래킷(38)의 절곡된 타면은 상기 본체부(20)의 양측판 내부면에 볼트,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각 고정된다.
도 5와 도 6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선반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4의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반의 슬라이딩 수납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서랍함(32)은 슬라이딩 인출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안내부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부는 상기 서랍함(32)의 양측에 각각 고정된 제1블록(40)과, 상기 본체부(20)의 양측판에 각각 고정된 제2블록(42)을 포함한다. 상기 제1블록(40)은 상기 제2블록(42)에 슬라이딩 인출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블록(40)은 일측에 길이방향의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블록(40)에 형성되는 개구부는 측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와 같이 하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블록(42)은 상기 제1블록(40)의 개구부에 길이방향을 끼워져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블록(42)은 상기 제1블록(40)의 내측으로 끼워진 부분이 말려져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2블록(42)이 상기 제1블록(40)의 상기 개구부를 통해 빠지지 않게 된다. 바람직 하게는 상기 제1블록(40)의 내부에는 상기 제2블록(42)과 접하는 부쉬(40a)가 설치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블록(40)과 상기 제2블록(42) 사이의 마찰을 저감시키며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수납부(30)는 상기 제1블록(40)과 상기 제2블록(42)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납부(30)는 상기 제1블록(40)과 상기 제2블록(42) 사이에 상기 서랍함(32)의 인출길이를 연장시키기 위한 보조인출수단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인출수단은 일단이 상기 제1블록(40)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제1연장블록(44)을 갖는다. 여기에서, 상기 제1블록(40)은 상기 제1연장블록(44)에 슬라이딩 인출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상기 제1연장블록(44)은 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블록(46)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제2연장블록(46)에는 상기 제2블록(42)이 끼워져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연장블록(46)에는 상기 제2블록(42)이 끼워져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보조개구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연장블록(46)의 내부에는 상기 제2블록(42)과 접하는 부쉬(46a)가 설치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연장블록(46)과 상기 제2블록(42) 사이의 마찰을 저감시키며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납부(30)의 서랍함(32)은 상기 제1블록(40)에 지지되는 프레임(32b)과, 상기 프레임(32b)의 상부에 결합되는 내판부(32a)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판부(32a)에는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홈부(32c)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홈부(32c)는 다양한 물품을 서로 구획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각각의 칸을 구획하는 칸막이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납부(30)의 서랍함(32)에 형성되는 홈부(32c)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물품을 용이하게 수납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일례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반(10)의 서랍함(32)을 도시한 사시도인 도 7을 참고하면, 서랍함(132)은 수용되는 물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홈부(132c)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홈부(132c)는 조리시 사용되는 칼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홈부(132c)는 수용되는 칼의 자루를 가압하여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함(132)에 수용되는 칼 등과 같은 조리도구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이탈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도구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부(132c)는 수용되는 칼의 형상,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선반(10)에 결합되는 서랍함(32)은 상판부(25)와, 본체부(20) 사이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를 위해 서랍함(32)의 양측에 고정된 제1블록(40)이 본체부(20)의 양측판에 고정된 제2블록(42)에 슬라이딩 인출 가능하게 지지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서랍함의 고정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반적인 선반의 고정 구조에 의해 슬라이딩 인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서랍함의 연결구조를 보이기 위해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로서, 이를 참고하면 선반의 서랍함(232)은 프레임(232b)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내판부(232a)로 이루어진다. 그리 고, 상기 내판부(232)에는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홈부(232c)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232b)의 양측면에는 롤러(24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롤러(240)는 내측휠(240a)과, 상기 내측휠의 외측에 마련되는 외측휠(240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선반의 본체부(20)에는 고정블록(242)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블록(242)에는 상기 롤러(24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블록(244)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서랍함(232)은 상기 롤러(240)의 외측휠(240b)이 상기 가이드블록(244)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슬라이딩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수납부를 갖는 선반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수납부를 갖는 선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수납부를 갖는 선반의 수납부를 인출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수납부를 갖는 선반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수납부를 갖는 선반의 수납부를 인출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반의 슬라이딩 수납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서랍함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서랍함의 연결구조를 보이기 위해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선반 20 : 본체부
22 : 문 25 : 상판부
30 : 수납부 32 : 서랍함
32a : 내판부 32b : 프레임
32c : 홈부 33 : 손잡이
34 : 전면패널 35 : 구멍
38 : 고정브래킷
40 : 제1블록 40a, 46a : 부쉬
42 : 제2블록 44 : 제1연장블록
46 : 제2연장블록

Claims (4)

  1.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는 작업공간을 갖는 선반(10)에 있어서,
    전면부에 개폐가능한 문(22)이 설치된 본체부(20)와,
    상기 본체부(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판부(25)와,
    상기 본체부(20)와 상기 상판부(25) 사이에 구비되는 수납부(30)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30)는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서랍함(32)과,
    상기 수납부(30)의 전면에 위치되며 상기 서랍함(32)이 인출되는 구멍(35)이 형성된 전면패널(34)과,
    상기 본체부(20) 측판에 고정되어 상기 전면패널(34)을 지지하는 고정브래킷(38)과,
    상기 서랍함(32)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며 일측에 길이방향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제1블록(40)과,
    상기 본체부(20)의 양측판에 각각 고정되며, 일단이 상기 제1블록(40)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제2블록(42) 및
    상기 제1블록(40)의 내부에는 마찰을 저감시키도록 상기 제2블록(42)과 접하게 설치되는 부쉬(40a)를 포함하여,
    슬라이딩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부를 갖는 선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록(40)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제1연장블록(44)과,
    상기 제1연장블록(44)의 길이방향 일단에 고정되며, 상기 제2블록(42)에 끼워지기 위한 보조개구부를 갖고, 내부에 상기 제2블록(42)과 접하는 부쉬(46a)가 설치되는 제2연장블록(46)을 포함하는 보조인출수단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부를 갖는 선반.
  3. 삭제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함(32)은 수용되는 물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홈부(32c)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부를 갖는 선반.
KR2020080014734U 2008-11-04 2008-11-04 수납부를 갖는 선반 KR2004553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734U KR200455378Y1 (ko) 2008-11-04 2008-11-04 수납부를 갖는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734U KR200455378Y1 (ko) 2008-11-04 2008-11-04 수납부를 갖는 선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945U KR20100004945U (ko) 2010-05-13
KR200455378Y1 true KR200455378Y1 (ko) 2011-09-02

Family

ID=44450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4734U KR200455378Y1 (ko) 2008-11-04 2008-11-04 수납부를 갖는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37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879Y1 (ko) * 2018-12-18 2020-12-28 (주)한국과기산업 서랍식 자연순환형 배양대
KR102276794B1 (ko) * 2019-05-22 2021-07-13 주식회사 위드인푸드 슬라이딩 인출식 양념소스통을 구비하는 가스조리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499Y1 (ko) 2004-03-15 2004-07-07 한국흑판교재주식회사 교육장비 제어용 좌탁
KR200365754Y1 (ko) 2004-07-30 2004-10-22 김판중 펜서랍의 레일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499Y1 (ko) 2004-03-15 2004-07-07 한국흑판교재주식회사 교육장비 제어용 좌탁
KR200365754Y1 (ko) 2004-07-30 2004-10-22 김판중 펜서랍의 레일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945U (ko) 201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313387A1 (en) Customizable organizer assembly
US20080211362A1 (en) Piece of Furniture With a Removable Container in a Drawer
KR200455378Y1 (ko) 수납부를 갖는 선반
JP3593520B2 (ja) キャビネット
US9821720B1 (en) Slideout truck box cover and shelving assembly
KR20200001450U (ko) 수납장치
KR200385893Y1 (ko) 세로형 수납장
CN204450483U (zh) 组合式工具柜
KR200434231Y1 (ko) 이동서랍장에 설치된 슬라이드 선반
JPH026837Y2 (ko)
CN218884424U (zh) 一种用于冰箱的防倾倒装置及冰箱
CN215014829U (zh) 一种多功能衣柜
JP5052185B2 (ja) キッチン収納庫
KR200458821Y1 (ko) 다용도 양념 수납장
JP6358745B2 (ja) 支持ロッド取付構造
KR200276774Y1 (ko) 주방 가구용 보조 수납장치
JPH11131898A (ja) キャビネットの回動扉
CN208496942U (zh) 一种移动收纳多用箱
KR200276775Y1 (ko) 주방 가구용 보조 수납장치
KR200333874Y1 (ko) 캐비닛형의 청소용구 보관함
KR200167922Y1 (ko) 수납장 겸용 쌀통
KR200468658Y1 (ko) 측면개폐용 욕실수납장
KR20230143366A (ko) 실내의 공간 활용을 위한 수납장
KR20100066152A (ko) 이중 수납구를 가진 다용도 꽂이
KR19980067546U (ko) 냉장고의 물품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