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197Y1 - Station wastes garbage disposal facility - Google Patents

Station wastes garbage disposal faci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197Y1
KR200455197Y1 KR2020080013965U KR20080013965U KR200455197Y1 KR 200455197 Y1 KR200455197 Y1 KR 200455197Y1 KR 2020080013965 U KR2020080013965 U KR 2020080013965U KR 20080013965 U KR20080013965 U KR 20080013965U KR 200455197 Y1 KR200455197 Y1 KR 2004551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stream
water
mat
transverse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3965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04393U (en
Inventor
안익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라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라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라비
Priority to KR20200800139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197Y1/en
Publication of KR201000043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393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1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197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7Buoyancy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48Oil collectors moved over the water skimming the water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07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with stabilis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14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with underwater curt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수역 부유쓰레기 차집시설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기수역 부유쓰레기 차집시설은 수면에 뜨는 부체로서, 하천수의 흐름 방향에 대해 비스듬한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하천을 가로지르는 횡단부와, 상기 횡단부의 양 말단부 중 하천의 상류측 측면부에 연결되어 하천의 상류측에 위치하여 상기 횡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흘러오는 부유 쓰레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쪽이 터진 쓰레기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제1 수집부와 상기 횡단부의 양 말단부 중 하천의 하류측 측면부와 연결되어 하천의 역류에 의해 하천의 하류측에 위치하여 상기 횡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흘러오는 부유 쓰레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쪽이 터진 쓰레기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제2 수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부유 매트 및 상기 부유매트에 매달려서 수면에 떠오거나 수면 밑을 지나는 부유 쓰레기를 차단하기 위한 소정폭의 쓰레기 펜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ing garbage collection facility in a wastewater station, and the floating garbage collec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loating object on the water surface, and is installed at a long angle in an oblique angle with respect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river water, And a first collecting unit connected to the upstream side of the river among the both end portions of the transverse section and located upstream of the stream to form a one-side garbage receiving space through which the floating garbage flow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verse unit can be introduced. And a side wall por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transverse portion which is connected to the downstream side portion of the stream and is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stream by the reverse flow of the stream, so that the floating garbage flow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verse portion can be introduced. And a second collecting unit formed on the floating mat, Sucking that is configured to include a waste fence with a predetermined width to block floating waste rises to the water surface or under the surface of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features.

부유쓰레기, 그물망, 차단막, 수질정화, 기수역 Floating garbage, mesh, barrier, water purification,

Description

기수역 부유쓰레기 차집시설{floating garbage gathering facilities in brackish water zone}The floating garbage gathering facilities in brackish water zone

본 고안은 부유쓰레기 차집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수역에 설치되고 분리 및 이동이 가능하며 쓰레기 제거, 악취 제거, 산소 공급, 슬러지 감소 및 영양 염류 제거기능을 가지는 부유쓰레기 차집시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ing garbage collection facility, more particularly, to a floating garbage collection facility installed in a wastewater station, capable of being separated and moved, and having a function of removing waste, removing bad smell, supplying oxygen, reducing sludge and removing nutrients .

일반적인 도시 하천의 경우 부유쓰레기가 행정구역을 벗어나 바다로 이동하기 때문에 별다른 대책을 세우고 있지 않으나, 해양으로 직유입하는 기수역(brackish water zone)의 경우에는 부유 쓰레기가 해양으로 유출되어 항구 등을 오염시키고 부유 쓰레기가 밀물과 썰물에 따라 하천의 상류 또는 하류로 부유 쓰레기가 재유입되어 하천의 지속적 오염의 원인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of general urban rivers, floating wastes move to the sea beyond the administrative area, so no measures have been taken. However, in the case of the brackish water zone directly entering the ocean, floating wastes are discharged into the ocean, polluting the harbor There is a problem in that suspended trash flows into the upstream or downstream of the stream depending on the tide and ebb tide, which causes the continuous pollution of the stream.

또한, 기수역에서 저층의 용존산소 부족으로 혐기성 환경이 조성되면 퇴적토의 혐기성 분해에 의한 가스 발생으로 인하여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anaerobic environment is formed due to the lack of dissolved oxygen in the bottom layer in the wastewater, odor is generated due to gas generation due to anaerobic decomposition of the sediment.

또한, 준설을 통하여 퇴적토를 제거하는 경우에는 퇴적물에서 발생한 가스에 의한 오니의 재부유로 인하여 2차 오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sedimentation is removed through dredging, second pollution occurs due to resuspension of the sludge caused by the gas generated in the sediment.

종래에는 주요 강의 하구나 댐 및 호수에 차단막 또는 차단그물막을 설치하여 강우 시 떠내려 오는 부유쓰레기를 차집한 후 수거선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것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차집시설은 밀물과 썰물에 따라 물 흐름이 뒤바뀔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기수역에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고 단순한 하천 상층의 부유 쓰레기만을 수집하는 것으로서 하천의 자정작용을 이용한 정화기능은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ly, a barrier or a blocking net is installed in a main river, a dam, and a lake to collect floating waste that drifts during rainfall, and then remove the waste by using a collection line. However, these facilities do not consider the fact that the water flow can be reversed due to tide and ebb tide, so they are not suitable for use in the watershed. Instead, they only collect floating garbage in the upper stream.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부유 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하여 밀물과 썰물의 영향을 받아 이동되는 기수역에서의 부유 쓰레기를 근본적으로 제거하는 것과 동시에, 퇴적토나 수중 내의 미생물 분해 활동을 촉진하고 산소를 공급하여 하천의 자정능력을 확대할 수 있는 부유쓰레기 차집시설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capable of collecting floating waste, fundamentally eliminating floating waste in a moving water station under the influence of tide and ebb At the same time, it is aimed to provide a floating garbage collection facility that can accelerate the microbial decomposition activity in the sediment and the aquatic environment, and supply the oxygen to expand the midnight capacity of the river.

이와 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기수역 부유쓰레기 차집시설은 수면에 뜨는 부체로서, 하천수의 흐름 방향에 대해 비스듬한 각도를 이루며 하천을 가로질러 길게 설치되는 횡단부와, 상기 횡단부의 하류측 말단부의 상류측 면에 위치하며, 상기 횡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흘러오는 부유 쓰레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쪽이 터진 쓰레기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제1 수집부와, 상기 횡단부의 상류측 말단부의 하류측 면에 위치하며, 상기 횡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흘러오는 부유 쓰레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쪽이 터진 쓰레기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제2 수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부유 매트; 및 상기 부유매트에 매달려서 수면에 떠오거나 수면 밑을 지나는 부유 쓰레기를 차단하기 위한 소정폭의 쓰레기 펜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수역 부유쓰레기 차집시설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oating garbage collection facility for a wastewater, comprising: a transverse section formed at an oblique angle with respect to a flowing direction of stream water and extending long across a river; A first collecting part located on an upstream side surface of a lateral end portion of the transverse portion and having a trash receiving space formed with one side to allow the floating trash flow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verse portion to flow therein; And a second collecting part located on the side of the transverse part and formed with a garbage receiving space for one side to allow the floating garbage flow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verse part to flow in; And a garbage fenc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for hanging on the floating mat to block floating garbage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or under the water surface.

그리고 상기 부유 매트는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다수개의 단위 부체들로 이 루어진 조립식 부체 구조물인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loating mat is a prefabricated substructure made up of a plurality of unit members that can be assembled and disassembled.

또한 상기 쓰레기 펜스는 상기 부유 매트의 측면 가장자리에 매달리는 차단막과, 상기 부유 매트의 하면에 매달리며 하단이 상기 차단막의 하단보다 아래에 위치하게 되는 그물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garbage fence includes a shielding membrane suspended from a side edge of the floating mat, and a mesh network suspended from a lower surface of the floating mat and having a lower end positioned below the lower end of the shielding membrane.

또한 상기 차단망 및 상기 그물망은 각각 쌍을 이루게 되며, 상기 그물망의 쌍은 차단망의 쌍 사이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locking network and the network may be paired, and the pair of the network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부유 매트의 하면에는 미생물 접촉 미디어가 부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microbial contact medium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ating mat.

또한 상기 제1 쓰레기부의 쓰레기 수용 공간 및 상기 제2 쓰레기부의 쓰레기 수용 공간의 내부에는 부유슬러지 수거장치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floating sludge collect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refuse receiving space of the first refuse part and the refuse receiving space of the second refuse part.

또한 하천 중 상기 부유 매트와 인접하는 곳에 태양력 물 순환 장치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Gyeonggi water circulation apparatus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floating mat among the rivers.

또한 상기 부유 매트는 하천 바닥에 고정된 무링(mooring) 로프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loating mat is fixedly connected to a mooring rope fixed to the bottom of the river.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기수역 부유쓰레기 차집시설은 하천 상층의 부유 쓰레기를 제거할 수 있고, 하천의 자정 작용 확대를 통한 수질정화 기능을 가지며, 밀물과 썰물에 따라 양방향으로 이동되는 부유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홍수시 신속하게 해체할 수 있으며, 저유속에 따른 부유물도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loating garbage collec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ove floating garbage in the upper stream of the river, has a function of purifying the water by expanding the mid-stream effect of the river, and is capable of moving in both directions depending on tide and ebb It is possible to dismantle them quickly in the event of a flood, and to remove scum due to the low oil level.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기수역 부유쓰레기 차집시설을 나타낸 평면도이다.Fig. 1 is a plan view showing a flushing garbage collec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의한 기수역 부유쓰레기 차집시설은 부유 매트(100), 차단막(200), 그물망(300), 미생물 접촉 미디어그물망(400), 부유슬러지 수거장치그물망(500), 태양력 물 순환 장치(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looded garbage collec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oating mat 100, a shield 200, a mesh 300, a microbial contact media mesh 400, a floating sludge collection network 500, a solar water circulation device 600, .

부유 매트(100)는 차단막(200) 및 그물망(300), 미생물 접촉 미디어(400)를 떠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그 위로 사람이 지나다닐 수 있게 하는 부교 역할도 한다.The floating mat 100 serves to float the barrier 200, the mesh 300, and the microorganism contact media 400, and serves as a bridge for allowing a person to pass over the barrier 200 and the web 300. [

부유 매트(100)는 단위 부체들이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조립식 부체 구조물로서, 다양한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해체도 간편하다. 이와 같은 조립식 부체 구조물은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1996-0008683호에 기재된 “조립식 부력체 구조물” 등을 비롯한 많은 자료에 개시되어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여기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floating mat (100) is a prefabricated support structure in which unit members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floating mat (100)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and is easily disassembled. Such a prefabricated support structure is disclosed and widely known in many data including the " prefabricated buoyant structure " described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6-0008683,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부유 매트(100)는 하천을 가로지르도록 길게 뻗은 횡단부(110)와 횡단부(110)의 말단부에 연결된 제1 수집부(120)와 제2 수집부(130)의 세 부분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부유 매트(100)는 물에 떠내려가지 않도록 양안과 인접하는 양쪽에 두 개씩 총 네 개의 하천 바닥에 고정된 침추부와 연결된 무링 로프(mooring rope)에 의해 고정된다. The floating mat 100 includes a transverse section 110 which extends so as to cross the river and three parts of the first collecting section 120 and the second collecting section 130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transverse section 110 . The floating mat (100) is fixed by a mooring rope connected to a submerged portion fixed to the bottom of a total of four streams, two on both sides adjacent to both eyes so as not to float on the water.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횡단부(110)는 하천 흐름에 대하여 비스듬한 방향으로 길게 뻗으며 양 말단부가 하천의 양안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횡단부(110)의 오른쪽 말단부가 왼쪽 말단부보다 하천의 상류에 더 가깝도록 비스듬하게 설치된다. As shown in Fig. 1, the transverse section 110 is elongated in an obliqu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tream flow, and is installed so that both ends are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stream. In this embodiment, the right distal end of the transverse section 110 is installed obliquely, as shown in FIG. 1, closer to the upstream of the stream than the left distal end.

제1 수집부(120)와 제2 수집부(130)는 원통 형태의 공간인 쓰레기 수용 공간(121, 131)을 둘러싸기 위한 부분으로서, 쓰레기 수용 공간(121, 131)과 통하도록 한쪽 부분이 터져 있는 구성을 가진다. 제1 수집부(120)는 횡단부(110)를 기준으로 할 때 횡단부(110)의 측면 중에서 하천의 상류측에 결합되고, 제2 수집부(130)는 횡단부(110)를 기준으로 할 때 횡단부(110)의 측면 중에서 하천의 하류측에 결합된다. The first collecting part 120 and the second collecting part 130 are parts for enclosing the trash storage spaces 121 and 131 which are cylindrically shaped spaces and one part for communicating with the trash storage spaces 121 and 131 Has a burst configuration. The first collecting unit 120 is coupled to the upstream side of the stream from the side of the transverse section 110 with respect to the transverse section 110 and the second collecting unit 130 is coupled to the upstream side of the stream with respect to the transverse section 110 To the downstream side of the stream from the side of the transverse section (110).

제1 수집부(120) 및 제2 수집부(130)에서 터진 부분은 부유 쓰레기가 차단막(200)에 의해 가로막혀서 횡단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비스듬하게 흘러 들어오는 길목에 형성되어야 한다. 제1 수집부(120)의 경우에는 부유 쓰레기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비스듬히 흘러 내려오기 때문에 제1 수집부(120)의 일부가 오른쪽 방향으로 터져있고, 제2 수집부(130)의 경우에는 부유 쓰레기가 역류에 의하여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비스듬히 흘러 올라가기 때문에 제2 수집부(130)의 일부가 왼쪽 방향으로 터져있다.The parts of the first collecting part 120 and the second collecting part 130 should be formed in such a way that the floating garbage is obstructed by the shield 200 and flows oblique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verse part 110. In the case of the first collecting unit 120, a part of the first collecting unit 120 is blown in the right direction since the floating waste flows obliquely from right to left. In the case of the second collecting unit 130, A part of the second collecting unit 130 is blown in the left direction because the second collecting unit 130 flows obliquely from left to right due to the backward flow.

제1 수집부(120)의 하천의 상류측 측면부는 이 곳에 닿게 되는 하천수의 흐름이 횡단부(110)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비스듬한 경사를 이루고, 제2 수집부(130)의 하천의 하류측 측면부는 이 곳에 닿게 되는 하천수의 흐름이 횡단부(110)의 중 심부를 향하도록 비스듬한 경사를 이룬다.The upstream side surface portion of the stream of the first collecting portion 120 is obliquely inclined so that the flow of the river water to be contacted here is directed toward the center portion of the transverse portion 110 and the downstream side surface portion of the stream of the second collecting portion 130 The slope of the slope is such that the flow of the river water to be brought to this point is directed toward the center of the transverse section 110.

제1 수집부(120)의 쓰레기 수용 공간(121) 및 제2 수집부(130)의 쓰레기 수용 공간(131)의 중심부 각각에는 부유슬러지 수거장치(500)가 설치된다. The floating sludge collecting apparatus 500 is installed in each of the center of the waste accommodating space 121 of the first collecting unit 120 and the waste accommodating space 131 of the second collecting unit 130.

본 실시 예에서의 부유슬러지 수거장치(500)는 수면 부상식 스키머(skimmer)로서, 수면의 요동과 액면 변동에 유연하게 추종하면서 펌프에 의하여 퇴적토의 부유에 의한 미립형 흡착물 및 폐유를 연속적으로 흡입 및 회수하는 장치이다. 이 장치는 플로트와 수중펌프, 임펠러, 토출호스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장치로서 그 구조는 종래에 널린 알려진 것이므로 여기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floating sludge collecting apparatus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water surface skimmer, which is a skimmer of a water surface type, which continuously follows the swinging motion of the water surface and the liquid surface fluctuation, Suction and recovery devices. This apparatus includes a float, an underwater pump, an impeller, a discharge hose, and the like. The structure of the apparatus is well known in the 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 예에서의 태양력 물 순환 장치(600)는 부영양화된 물의 수질을 개선시키기 위해 부유 매트의 횡단부를 사이에 두고 양 편에 하나씩 부유 매트의 근방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07-0088421호에 기재된 것과 같은 태양광 수질순환장치가 알려져 있다.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eutrophication water, the Gyeongsang water circulation apparatus 600 in this embodiment is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floating mat, one on each side with the transverse portion of the floating mat therebetween, A solar water quality circulation apparatus such as that described in EP-A-0088421 is known.

상기 알려진 태양력 물 순환 장치(600)는 수개의 플로트를 사용하여 수질순환장치가 수면에 부상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플로트와 연결된 프레임 상에는 솔라셀(solar cell)을 수개 설치하여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원을 충전한 후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구동할 수 있는 모터와 임펠러를 설치하여 수중으로 설치된 흡입구를 통해 물을 상부로 펌핑하여 순환시킴으로써 수중 수질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The known solar water circulation apparatus 600 allows the water circulation apparatus to float on the water surface by using several floats, and a solar cell is installed on the frame connected to the float, A motor and an impeller which can be driven by using a charged power source after charging are installed and the water is pumped to the upper part through an intake port provided in the water and circulated, thereby improving water quality in the water.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좌우 방향으로 길다란 고무판인 차단막(200) 2개 가 부유 매트(100)의 하천의 하류측 가장자리 끝 측면부를 따라 하나, 부유 매트(100)의 하천의 상류측 가장자리 끝 측면부를 따라 하나가 매달린다. 차단막(200)은 40cm의 상·하 폭을 가지며 수면 아래로 20cm만큼 잠기고, 수면 위로 20cm만큼 나와있도록 설치된다.As shown in FIG. 2, two shielding films 200, which are rubber plates that are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re formed along the downstream side edge side portions of the stream of the floating mat 100, One hangs along the side. The shield 200 has an upper and a lower width of 40 cm and is installed so as to be 20 cm below the water surface and 20 cm above the water surface.

차단막(200)은 수면에 걸쳐있기 때문에 물에 떠서 흘러오는 가벼운 부유쓰레기를 가로막아서 차단막(200)을 따라 비스듬하게 흘러가게 하여 제1 수집부(120) 또는 제2 수집부(130)의 쓰레기 수용 공간(121, 131)에 모이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Since the shielding film 200 spans the water surface, the lightweight floating garbage flowing in the water is blocked to obliquely flow along the shielding film 200 so that the waste water is collected in the first collecting part 120 or the second collecting part 130 Space 121 and 131, respectively.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부유 매트(100)의 하단에는 차단막(200)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다랗게 연속적으로 그물망(300)이 연결된다. 그물망(300)은 두 개가 설치되는데 하나는 부유 매트(100)의 횡단부(110)의 하천의 상류측 가장자리와 가까운 부분에, 나머지 하나는 부유 매트(100)의 횡단부(110)의 하천의 하류측 가장자리와 가까운 부분에 연결된다. 부유 매트(100)와의 연결은 부유 매트(100)에 결합되어 수면 아래로 일정 길이만큼 뻗어있는 연결봉(310)들에 의한다. 그물망(300)의 하단부에는 무거운 철심이 들어가 있어서 그물망(300)의 하단부가 항상 물 속에 가라앉게 되므로 그물망(300)이 수직 방향으로 펼쳐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3, a net 30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loating mat 100 in a long and continuous manner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arrier 200. Two of the nettings 300 are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upstream edge of the stream of the transverse section 110 of the floating mat 100 and the other one of the streams of the transverse section 110 of the floating mat 100 And is connected to a portion near the downstream edge. The connection with the floating mat 100 is performed by connecting rods 310 which are coupled to the floating mat 100 and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below the water surface. Since a heavy iron core is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mesh 300, the lower end of the mesh 300 is always submerged in the water, so that the mesh 300 is maintained in a vertically spread state.

한 쌍의 그물망(300)은 한 쌍의 차단막(200) 사이에 위치하며 차단막(200)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흘러가는 부유 쓰레기를 차단하기 위해 설치된다. 그물망(300)은 상·하 폭이 1m 정도가 되기 때문에 차단막(200)에 의해 차단하기가 어려운 수 면 아래의 고형 쓰레기도 그물망(300)에 의해서는 대부분 차단된다.The pair of mesh 300 is located between the pair of barrier membranes 200 and is installed to block floating waste flowing without being blocked by the barrier membrane 200. Since the top and bottom widths of the net 300 are about 1 m, the solid waste below the water surface, which is difficult to be blocked by the blocking film 200, is mostly blocked by the net 300.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 쌍의 그물망(300)의 사이 공간으로서 부유 매트(100)의 하단에 차단막(200) 및 그물망(300)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다랗게 한 쌍의 미생물 접촉 미디어(400)가 연결된다.As shown in FIG. 4, a pair of mesh media 300 (see FIG. 4) is formed as a space between the pair of mesh media 300 and a pair of microbial contact media 400 (see FIG. 4) ).

미생물 접촉 미디어(400)는 수질정화 기능을 가지는 식물성 및 동물성 플랑크톤, 박테리아 등의 종합적인 배양처이며, 유익한 미생물의 최대·최적의 서식공간을 조성한다. 미생물 접촉 미디어는 과도한 영양분으로부터 생성되는 암모니아, 질소, 인 등을 미생물의 분해 작용을 통해 수질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하고, 자연생태계의 균형을 유지시켜 조류균 등의 단위적 개체증가로 인한 녹조현상 방지하며, 수초 형태로 산란처인 동시에 태양빛이나 다른 생물로부터의 안전한 피난처를 제공하고, 수중생태계의 활성화를 통한 수질회복 및 안정화를 달성하며, 하천의 악취를 제거하는 효능을 가진다.The microbial contact media (400) is a comprehensive culture site for plant and animal plankton and bacteria having a water purification function, and provides a maximum and optimal habitat for beneficial microorganisms. The microbial contact media can solve the water quality problem fundamentally by decomposing microorganisms such as ammonia, nitrogen, and phosphorus generated from excessive nutrients, and to maintain the balance of the natural ecosystem and prevent the algae growth It is a spawning site in the form of aquatic plant, it provides a safe haven from sunlight and other creatures, achieves water quality restoration and stabilization through activation of aquatic ecosystem, and has the effect of eliminating the odor of a river.

이러한 미생물 접촉 미디어(400)는 종래에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microorganism contact media 400 is well known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기수역 부유쓰레기 차집시설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construction of a floating garbage disposal facility for a wastewater is as follows.

기수역 부유쓰레기 차집시설은 하천의 상류에 하나가 설치되고, 밀물에 의해 하류에서 올라오는 부유쓰레기를 차집하기 위해 동일 하천의 하류에 하나가 더 설치될 수 있다.In the wastewater flotation facility, one can be installed upstream of the stream, and another one downstream of the same stream to collect floating waste from the tide downstream.

하천의 상류에서 하류 방향으로 내려오는 부유쓰레기는 차단막(200)이나 그물망(300)에 가로막혀서 제1 수집부(120)의 쓰레기 수용 공간(121)에 모이고, 하천 의 하류에서 상류 방향으로 올라오는 부유쓰레기는 차단막(200)이나 그물망(300)에 가로막혀서 제2 수집부(130)의 쓰레기 수용 공간(131)에 모인다. The floating waste falling in the downstream direction from the upstream of the stream is blocked in the blocking film 200 or the mesh 300 and collected in the waste accommodating space 121 of the first collecting unit 120, The suspended trash is trapped in the trash receiving space 131 of the second collecting unit 130 by being blocked by the shield 200 or the mesh 300.

부유슬러지 수거장치는 제1 수집부(120)의 쓰레기 수용 공간(121)과 제2 수집부(130)의 쓰레기 수용 공간(131)에 유입된 미립형 흡착물 및 폐유를 연속 흡입함으로써 차집하고, 그 외의 제1 수집부의 쓰레기 수용 공간(121)과 제2 수집부의 쓰레기 수용 공간(131)에 수집된 부유 쓰레기는 인력으로 수거한다. 작업자는 부유 매트(100) 위를 걸어다니면서 작업을 할 수 있다.The suspended sludge collecting device recovers the particulate adsorbent and the waste oil introduced into the waste accommodation space 121 of the first collecting part 120 and the waste accommodation space 131 of the second collecting part 130 by continuous suction, The collected suspended trash in the trash storage space 121 of the first collecting unit and the trash storage space 131 of the second collecting unit are collected by the human force. The operator can work while walking on the floating mat (100).

본 발명에 의한 시설이 홍수시에는 방해하는 시설물이 될 수 있으므로 홍수시 부유 매트(100)를 해체하여 이동할지 또는 부유 매트(100)를 홍수위 이상으로 유지하여 홍수 시에도 부유 매트(100)가 떠 있도록 할지를 결정하여 조치하여야 한다.Since th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obstructive facility at the time of flooding, the floating mat 100 may be dismantled and moved or the floating mat 100 may be maintained at a flood level or higher, And shall decide whether or not to do so.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적인 예들을 바탕으로 한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the scope of claims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to which the amendment is attached.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기수역 부유쓰레기 차집시설을 나타낸 평면도.Fig. 1 is a plan view showing a flushing garbage collec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은 본 고안에 의한 기수역 부유쓰레기 차집시설에서 그물망 및 미생물 접촉 미디어를 생략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FIG. 2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esh and microbial contact media are omitted in a flushing garbage collection facility in a waste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기수역 부유쓰레기 차집시설에서 차단막 및 미생물 접촉 미디어를 생략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Fig. 3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rrier membrane and a microbial contact medium are omitted from the floating waste collection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기수역 부유쓰레기 차집시설에서 차단막 및 그물망을 생략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Fig. 4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rrier and a net are omitted from the flushing garbage collection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Drawings]

100: 부유 매트 110: 횡단부100: Floating mat 110: Cross section

120: 제1 수집부 121, 131: 쓰레기 수용공간120: first collecting unit 121, 131: trash storage space

130: 제2 수집부 200: 차단막130: second collecting unit 200:

300: 그물망 400: 미생물 접촉 미디어300: network 400: microorganism contact media

500: 부유슬러지 수거장치 600: 태양력 물 순환 장치 500: floating sludge collecting device 600: solar water circulating device

Claims (8)

수면에 뜨는 부체로서,As a floating body, 하천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횡단부(110)와,A transverse section 110 installed across the stream, 상기 횡단부(110)의 하류측 말단부의 상류측 면에 위치하며, 상기 횡단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흘러오는 부유 쓰레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쪽이 터진 쓰레기 수용공간(121)이 형성되는 제1 수집부(120)와,A waste accommodating space 121 is form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downstream end portion of the transverse section 110 and has one side to allow floating waste flow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verse section 110 to flow therein A first collecting unit 120, 상기 횡단부(110)의 상류측 말단부의 하류측 면에 위치하며, 상기 횡단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흘러오는 부유 쓰레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쪽이 터진 쓰레기 수용공간(131)이 형성되는 제2 수집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부유 매트(100); 및 A waste accommodating space 131 is formed in the downstream side of the upstream end of the transverse section 110 so as to receive the floating waste flow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verse section 110 A floating mat (100) comprising a second collecting part (130); And 상기 부유 매트(100)에 매달려서 수면에 떠오거나 수면 밑을 지나는 부유 쓰레기를 차단하기 위한 소정폭의 쓰레기 펜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수역 부유쓰레기 차집시설.And a garbage fenc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for hanging on the floating mat (100) to block floating garbage that floats on the water surface or goes under the water surfa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부유 매트(100)는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다수개의 단위 부체들로 이루어진 조립식 부체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수역 부유쓰레기 차집시설.Wherein the floating mat (100) is a prefabricated substructure comprising a plurality of unit members that can be assembled and disassembl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쓰레기 펜스는The garbage fence 상기 부유 매트(100)의 측면 가장자리에 매달리는 차단막(200)과,A shielding film 200 hanging from a side edge of the floating mat 100, 상기 부유 매트(100)의 하면에 매달리며 하단이 상기 차단막(200)의 하단보다 아래에 위치하게 되는 그물망(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수역 부유쓰레기 차집시설.And a mesh network (300) suspend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loating mat (100) and having a lower end located below the lower end of the blocking membrane (200).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차단막(200) 및 상기 그물망(300)은 각각 쌍을 이루게 되며, 상기 그물망(300)의 쌍은 차단망(200)의 쌍 사이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기수역 부유쓰레기 차집시설.Wherein the barrier 200 and the mesh 300 are each paired and the pair of the meshes 3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etween the pair of the mesh 200.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부유 매트(100)의 하면에는 미생물 접촉 미디어(400)가 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수역 부유쓰레기 차집시설.Wherein the microbial contact media (400)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loating mat (10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1 쓰레기부의 쓰레기 수용 공간(121) 및 상기 제2 쓰레기부의 쓰레기 수용 공간(131)의 내부에는 부유슬러지 수거장치(5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수역 부유쓰레기 차집시설.Wherein a floating sludge collecting device (500) is installed in the refuse receiving space (121) of the first refuse part and the refuse receiving space (131) of the second refuse par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하천 중 상기 부유 매트(100)와 인접하는 곳에 태양력 물 순환 장치(6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수역 부유쓰레기 차집시설.Wherein the Gyeonggi water circulation apparatus (600)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floating mat (100) in the riv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부유 매트(100)는 하천 바닥에 고정된 무링(mooring) 로프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수역 부유쓰레기 차집시설.Wherein the floating mat (100) is connected to and fixed to a mooring rope fixed to the bottom of the river.
KR2020080013965U 2008-10-21 2008-10-21 Station wastes garbage disposal facility KR20045519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965U KR200455197Y1 (en) 2008-10-21 2008-10-21 Station wastes garbage disposal fac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965U KR200455197Y1 (en) 2008-10-21 2008-10-21 Station wastes garbage disposal facil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393U KR20100004393U (en) 2010-04-29
KR200455197Y1 true KR200455197Y1 (en) 2011-08-23

Family

ID=44198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3965U KR200455197Y1 (en) 2008-10-21 2008-10-21 Station wastes garbage disposal faci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197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12125B (en) * 2020-09-29 2021-12-31 福建万山水利水电设计有限公司 A slope bank structure for inland water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506B1 (en) 2001-08-27 2003-11-19 차운철 None power auto screen system for waste-remove of river
KR100468438B1 (en) 2004-02-10 2005-01-31 강막동 floating garbage interception induction device and the way of the riv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506B1 (en) 2001-08-27 2003-11-19 차운철 None power auto screen system for waste-remove of river
KR100468438B1 (en) 2004-02-10 2005-01-31 강막동 floating garbage interception induction device and the way of the ri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393U (en) 201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59016B (en) Algae removal system is collected in enrichment of water bloom algae blocking
JP2007319002A (en) Algae-treating ship and algae-treating system
KR101070807B1 (en) System and method of algae disposal barge for improving the lake and river, sea water quality using flotation treatment technologies
WO2012107936A2 (en) A devise and method to separate at entry polluted water from clean water and treat it inside a river and inside a lake
CN107739098A (en) A kind of Polluted Urban inland lake purification of water quality and Water Ecological Recovery method
KR102293872B1 (en) Recovery Apparatus of Green Algae
CN203021357U (en) Assembly type river water purifying device for enhancing sand sedimentation by means of physical and ecological synergy
CN210711186U (en) Urban river sewage composite ecological landscape purification device
CN103755085B (en)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algal bloom and purifying algae source in branch reservoir bay of channel reservoir
CN110790451A (en) Black odorous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black odorous water by using same
CN105668792B (en) Biological contact oxidation filtering sedimentation tank
AU2020102348A4 (en) Water cleaning device
CN207294336U (en) Floating type interim purified in situ device for Drain contamination for river channel mouth
CN213265932U (en) River and lake floater collecting device with water oxygenation function
CN112811726A (en) Advanced sewage treatment device and application thereof
KR200455197Y1 (en) Station wastes garbage disposal facility
KR101547856B1 (en) System for purifying water which uses floating type
CN206014497U (en) A kind of Drain contamination for river channel mouth sewage-treatment plant
KR100819548B1 (en) A river pollutant removing equipment
CN110528453B (en) Intelligent water surface cleaning and circulating device
CN210031735U (en) Water meter floating garbage recovery device
CN102897976B (en) Method for in-situ ecological treatment of town domestic waste water by using river and creek converging
KR101142291B1 (en) Water gate system to puryfy polluted river water
CN213977150U (en) A interception area for river regulation
KR20160000687A (en) Green algae removal system and method of removing green algae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