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825Y1 - 가스 혼합장치 - Google Patents

가스 혼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825Y1
KR200454825Y1 KR2020090014450U KR20090014450U KR200454825Y1 KR 200454825 Y1 KR200454825 Y1 KR 200454825Y1 KR 2020090014450 U KR2020090014450 U KR 2020090014450U KR 20090014450 U KR20090014450 U KR 20090014450U KR 200454825 Y1 KR200454825 Y1 KR 2004548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mferential surface
gas
bushing
pipe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44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4760U (ko
Inventor
하복진
Original Assignee
하복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복진 filed Critical 하복진
Priority to KR20200900144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825Y1/ko
Publication of KR201100047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7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8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8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2Mixing devices; Mixing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3/00Gaseous fuel burners
    • F23D2203/007Mixing tubes, air supply reg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스 혼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주면 일측과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붓싱(Bushing)과, 외주면이 상기 붓싱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어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붓싱에 체결되며, 중심부를 관형으로 가공한 플러그(Plug)와, 외주면의 충돌부를 타측면의 외경보다 작도록 가공하고, 내주면이 관형몸체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파이프 니플(Pipe Niple)과, 상기 붓싱(Bushing)과 파이프 니플(Pipe Niple)이 체결되는 T형 결합구로 구성된다.
따라서, 적절한 비율의 혼합가스를 공급함으로써 완전연소를 도모하여 연소효율을 향상시키고 그로 인한 가스비용의 절감 효과가 있으며, 실생활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들을 이용하고 그 재료들의 용이한 가공을 통해 제공할 수 있어 설치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이 적고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붓싱(Bushing), 플러그(Plug), 파이프 니플(Pipe Niple), T형 연결구

Description

가스 혼합장치{Mixing device of gas}
본 고안은 가스 혼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연소효율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설치비용이 절감되고 경제적이며 고장이 적고 설치가 용이한 가스 혼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당 등에 사용되는 업소용 버너는 다수개의 버너와, 이 버너로 공기 및 LPG, LNG와 같은 가스연료를 공급하는 다수개의 배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한꺼번에 여러 개의 용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상기 식당에 사용되는 업소용 버너를 포함하여 가정용 가스보일러 등의 가스연소기기에 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가스 버너는 버너의 화염안정성과 화염의 역화현상 등이 발생할 위험성이 적다는 등의 장점을 지니고 있는 세미분젠식 가스버너를 주로 채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세미분젠식 가스버너는 구조적으로 버너에서 형성되는 화염의 길이가 길고, 또 연소시에 필요한 실제 연소공기량이 이론 공기량보다 훨씬 더 많은 양의 과잉공기가 필요하기 때문에 연소배기가스로 인한 손실량과, NOx, CO 등과 같은 공해물질의 배출량이 많을 뿐만 아니라 가스보일러 등의 가스연소기에 가스버너가 부착되는 방향이 모두 상향식으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가스연소 기기의 효율향상과 극대화 등을 기하는 데는 어느 정도 한계성을 지니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버너 중에는 공기와 가스연료를 별도로 공급하여 연소시키는 방식도 있지만, 이러한 방식은 버너에서 연소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서 연소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혼합장치를 이용하여 공기와 가스연료를 강제로 혼합한 상태에서 버너로 분출되도록 하는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은 방식은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설치비가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완전연소를 도모하여 연소효율을 향상시키고 실생활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들을 이용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며,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설치가 용이한 가스 혼합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가스 혼합장치는 외주면 일측과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붓싱과, 외주면이 상기 붓싱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어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붓싱에 체결되며, 중심부를 관형으로 가공한 플러그와, 외주면의 충돌부를 타측면의 외경보다 작도록 가공하고, 내주면이 관형몸체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파이프 니플과, 상기 붓싱과 파이프 니플이 체결되는 T형 결합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합 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스 혼합장치는 적절한 비율의 혼합가스를 공급함으로써 완전연소를 도모하여 연소효율을 향상시키고 그로 인한 가스비용의 절감 효과가 있다.
또한, 실생활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들을 이용하고 그 재료들의 용이한 가공을 통해 제공할 수 있어 설치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이 적고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외주면 일측과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붓싱과, 외주면이 상기 붓싱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어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붓싱에 체결되며, 중심부를 관형으로 가공한 플러그와, 외주면의 충돌부를 타측면의 외경보다 작도록 가공하고, 내주면이 관형몸체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파이프 니플과, 상기 붓싱과 파이프 니플이 체결되는 T형 결합구로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혼합장치를 보여주는 결합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혼합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 혼합장치는 T형 결합구(400)와 상기 T형 결합구(400)에 체결되는 파이프 니플(300)과 붓싱(100)으로 구성되며, 상기 붓싱(100)에는 플러그(200)가 체결된다.
상기 붓싱(Bushing, 100)은 외주면 일측에 나사산(10)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T형 결합구(400)에 체결되며, 내주면 전체에는 나사산(10)이 형성되어 플러그(Plug, 200)가 체결된다.
상기 플러그(Plug, 200)의 외주면은 나사산(10)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붓싱(100)에 체결되며, 중심부는 가스가 유입이 용이하도록 관형으로 가공한다.
특히, 상기 플러그(2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0)은 상기 붓싱(10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0)에 대응되어 체결되도록 그 크기를 고려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붓싱(100)으로는 가스가 유입되며, 유입된 가스는 상기 플러그(200)의 중심부에 가공된 관형의 관통로(미도시)를 통해 유입된다.
외주면에 나사산(10)이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이 관형몸체(320)로 형성되어 있는 파이프 니플(Pipe Niple, 300)은 외주면의 일측면을 타측면의 외경보다 작도록 가공하고, 나사산(10)을 제거하여 충돌부(310)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파이프 니플(3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0)을 통해 상기 T형 결합구(400)에 체결하며, 상기 파이프 니플(300)로는 공기가 유입된다.
상기 T형 결합구(400)는 상기 붓싱(Bushing,100)과 파이프 니플(Pipe Niple,300)이 체결되어 본 고안의 가스 혼합장치를 구성하게 된다.
특히, 상기 파이프 니플(300)의 충돌부(310)는 상기 붓싱(100)에 체결되는 플러그(200)의 출구(210)를 통해 유입되는 가스가 상기 충돌부(310)의 외주면에 부딪히도록 상기 T형 결합구(400)에 장착하며, 상기와 같이 하기 위해 상기 T형 결합구(40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0)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파이프 니플(3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0)의 형성 위치를 결정하며 또한, 상기 파이프 니플(3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충돌부(310)를 가공시 상기 충돌부(310)의 길이를 결정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혼합장치 내에서의 가스 유입상태를 보여주는 정단면도로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가스공급관(510)을 통해 붓싱(100)으로 유입된 가스는 상기 붓싱(100) 내부에 체결되고 좁은 관이 중심부에 형성된 플러그(200)를 통과하면서 압력이 높아진다.
이때 상기 플러그(200)를 통과한 가스는 상기 파이프 니플(300)의 충돌부(310)에 부딪히면서 속도가 저하되고 상기 충돌부(310)의 외주면을 따라 타고 내려오게 되며 다시 상기 T형 결합구(400)와 파이프 니플(300)의 체결부(미도시)에 부딪혀 앞으로 전진하고 다시 상기 파이프 니플(30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와 혼합하게 된다.
도 4a 내지 도 4b는 혼합공간 내에서의 가스와 공기의 혼합상태를 보여주는 설명도로서, 도 4a를 참조하면, 혼합공간(810) 내에서의 공기(900)와 가스(910)의 혼합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공기(900)보다 무거운 가스(910)가 하측에 위치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도 4b를 참조하면, 혼합공간(810) 내에서 공기(900)와 가스(910)가 균일하게 혼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이러한 공기(900)와 가스(910)의 균일한 혼합은 본 고안의 가스 혼합장치에서 있어서, 파이프 니플(300)의 충돌부(310)를 상기 붓싱(100)에 체결되는 플러그(200)의 출구(210)를 통해 유입되는 가스가 상기 충돌부(310)의 외주면에 부딪히도록 상기 파이프 니플(300)의 충돌부(310)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파이프 니플(300)이 T형 결합구(400)에 체결되는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파이프 니플(300)의 외주면에 나사산(10)의 위치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혼합장치의 공기 및 가스 공급계통을 보여주는 단면 구성도로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파이프 니플(300)에는 공기공급관(500)이 연결되며, 상기 공기공급관(500)에는 공기조절밸브(70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붓싱(100)에는 가스공급관(510)이 연결되며, 상기 가스공급관(510)에는 상기 공기조절밸브(700)와 연동 되는 가스조절밸브(71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연동 되는 공기조절밸브(700)와 가스조절밸브(710)에 의해 적정한 양의 가스와 공기가 본 고안의 가스 혼합장치에 유입된다.
즉, 상기 공기조절밸브(700) 혹은 가스조절밸브(710)에 직렬 연결된 주조절밸브(미도시)를 단 한번 조작함으로써 상기 연동 된 공기조절밸브(700)와 가스조절밸브(710)는 동시에 작동되며, 가스의 유입량에 맞는 공기의 적정한 양이 본 고안의 가스 혼합장치로 유입되게 된다.
특히, 상기 공기공급관(500)에는 공기압을 높여주는 송풍기(6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공급관(500)이나 가스공급관(510)에는 엘보(520) 등이 장착되어 공기나 가스의 흐름 방향을 전환할 수도 있다.
다음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혼합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크기를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T형 결합구(400)에 있어 상기 파이프 니플(300)과 혼합가스공급관(800)이 체결되는 양쪽 관의 내경의 크기는 약 32~40mm가 바람직하며, 상기 붓싱(100)이 체결되는 관의 내경의 크기는 약 15~20mm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붓싱(100)의 외경은 상기 T형 결합구(400)에 체결되어야 하므로 약 15~20mm가 바람직하고, 상기 플러그(200)가 체결되는 붓싱(100)의 내경은 약 13mm가 바람직하며, 따라서, 플러그(200)의 외경은 약 13mm가 바람직하다. 또한, 가스가 통과하는 플러그(200)의 내경은 약 3mm가 적당하다.
상기 T형 결합구(400)에 체결되는 파이프 니플(300)의 외경은 상기 T형 결합구(400)의 내경과 동일하게 약 32~40mm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가스 혼합장치의 공기 및 가스의 흐름 및 혼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LPG가스통(미도시)으로부터 유입된 가스는 가스공급관(510)을 통해 붓싱(100)에 유입되며, 상기 붓싱(100) 내부에 체결된 플러그(200)를 통과하게 되고, 다시 파이프 니플(300)의 충돌부(310)에 부딪혀 전진하면서 상기 공기공급관(500)을 지나 파이프 니플(300)을 통해 유입된 공기와 혼합공간(810)에 서 혼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스공급관(510)을 통해 유입되는 가스와 공기공급관(50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가스공급관(510) 및 공기공급관(500)에 각각 설치되고 서로 연동되는 가스조절밸브(710)와 공기조절밸브(700)에 그 공급이 조절된다.
따라서, 상기 혼합공간(810)에서 균일하게 혼합된 혼합가스는 혼합가스공급관(800)을 통해 버너(미도시)로 공급된다.
도 6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 혼합장치를 보여주는 결합단면도이고, 도 6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 혼합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단면도로서, 도 6a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 혼합장치는 T형 결합구(400)와 상기 T형 결합구(400)에 체결되는 파이프 니플(300)과 플러그(201)로 구성된다.
상기 플러그(Plug, 201)는 외주면 일측에 나사산(10)이 형성되어 있고, 중심부 끝단으로부터 가스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제1 관형부(202)를 가공하며, 상기 제 1관형부(202)의 내주면 초입(初入)에는 가스공급관(510)이 체결되도록 나사산(10)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 1관형부(202)의 말단(末端)에 연장하여 유입되는 가스가 높은 압력으로 분사되도록 상기 제 1관형부 보다 내경이 작은 제 2관형부(203)를 가공한다.
즉,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플러그(200)가 체결된 붓싱(100)의 역할을 내주면이 가공된 플러그(201)가 T형 결합구(400)에 체결되어 대신하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 혼합장치의 공기 및 가스 공급계통을 보여주는 단면 구성도로서, 도 7을 참조하면, LPG가스통(미도시)으로부터 유입된 가스는 가스공급관(510)을 통해 플러그(201)에 유입되며, 제 1관형부(202)와 제 2관형부(203)를 통과하게 되고, 다시 파이프 니플(300)의 충돌부(310)에 부딪혀 전진하면서 상기 공기공급관(500)을 지나 파이프 니플(300)을 통해 유입된 공기와 혼합공간(810)에서 혼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스공급관(510)을 통해 유입되는 가스와 공기공급관(50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가스공급관(510) 및 공기공급관(500)에 각각 설치되고 서로 연동되는 가스조절밸브(710)와 공기조절밸브(700)에 그 공급이 조절된다.
따라서, 상기 혼합공간(810)에서 균일하게 혼합된 혼합가스는 혼합가스공급관(800)을 통해 버너(미도시)로 공급된다.
다음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 혼합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크기를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T형 결합구(400)에 있어 상기 파이프 니플(300)과 혼합가스공급관(800)이 체결되는 양쪽 관의 내경의 크기는 약 32~40mm가 바람직하며, 상기 플러그(201)가 체결되는 관의 내경의 크기는 약 15~20mm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러그(201)의 외경은 상기 T형 결합구(400)에 체결되어야 하므로 약 15~20mm가 바람직하고, 상기 플러그(201)의 제 1관형부(202)의 내경은 약 13mm가 바람직하다.
또한, 가스가 통과하게 되는 상기 플러그(201)의 제 2관형부(203)의 내경은 약 3mm가 적당하다.
상기 T형 결합구(400)에 체결되는 파이프 니플(300)의 외경은 상기 T형 결합구(400)의 내경과 동일하게 약 32~40mm가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혼합장치를 보여주는 결합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혼합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혼합장치 내에서의 가스 유입상태를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4a 내지 도 4b는 혼합공간 내에서의 가스와 공기의 혼합상태를 보여주는 설명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혼합장치의 공기 및 가스 공급계통을 보여주는 단면 구성도
도 6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 혼합장치를 보여주는 결합단면도
도 6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 혼합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 혼합장치의 공기 및 가스 공급계통을 보여주는 단면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0 : 나사산 100 : 붓싱
200, 201 : 플러그 202 : 제 1관형부
203 : 제 2관형부 210 : 출구
300 : 파이프 니플 310 : 충돌부
320 : 관형몸체 400 : T형 결합구
500 : 공기공급관 510 : 가스공급관
520 : 엘보 600 : 송풍기
700 : 공기조절밸브 710 : 가스조절밸브
800 : 혼합가스공급관 810 : 혼합공간
900 : 공기 910 : 가스

Claims (4)

  1. 외주면 일측과 내주면에 나사산(10)이 형성된 붓싱(Bushing, 100);과
    외주면이 상기 붓싱(10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0)에 대응되어 체결되도록 나사산(10)이 형성되어 상기 붓싱(100)에 체결되며, 중심부를 관형으로 가공한 플러그(Plug, 200);와
    외주면의 충돌부(310)를 타측면의 외경보다 작도록 가공하고, 내주면이 관형몸체(320)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10)이 형성된 파이프 니플(Pipe Niple, 300);과
    상기 붓싱(Bushing, 100)과 파이프 니플(Pipe Niple, 300)이 체결되는 T형 결합구(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혼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니플(300)의 충돌부(310)는 상기 붓싱(100)에 체결되는 플러그(200)의 출구(210)를 통해 유입되는 가스가 상기 충돌부(310)의 외주면에 부딪히도록 상기 T형 결합구(400)에 장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혼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니플(300)에 연결되는 공기공급관(500)에는 공기조절밸브(700)가 구비되고, 상기 붓싱(100)에 연결되는 가스공급관(510)에는 상기 공기조절밸브(700)와 연동 되는 가스조절밸브(710)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혼합장치
  4. 외주면 일측에 나사산(10)이 형성되어 있고, 중심부 끝단으로부터 제1 관형부(202)를 가공하며, 상기 제 1관형부(202)의 내주면 초입(初入)에 나사산(10)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관형부(202)의 말단(末端)에 연장하여 제 2관형부(203)를 가공한 플러그(Plug, 201);와
    외주면의 충돌부(310)를 타측면의 외경보다 작도록 가공하고, 내주면이 관형몸체(320)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10)이 형성된 파이프 니플(Pipe Niple, 300);과
    상기 플러그(Plug, 201)와 파이프 니플(Pipe Niple, 300)이 체결되는 T형 결합구(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혼합장치
KR2020090014450U 2009-11-06 2009-11-06 가스 혼합장치 KR2004548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450U KR200454825Y1 (ko) 2009-11-06 2009-11-06 가스 혼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450U KR200454825Y1 (ko) 2009-11-06 2009-11-06 가스 혼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760U KR20110004760U (ko) 2011-05-13
KR200454825Y1 true KR200454825Y1 (ko) 2011-07-28

Family

ID=49294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4450U KR200454825Y1 (ko) 2009-11-06 2009-11-06 가스 혼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82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734B1 (ko) * 2012-11-06 2014-08-14 하복진 화염조절이 편리한 가스버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3536U (ja) 1982-08-02 1984-02-14 三洋電機株式会社 ガスバ−ナの燃料ガス流量調整用ノズル取り付け構造
KR0148092B1 (ko) * 1995-02-15 1998-10-01 손영목 가스보일러의 고부하 가스연료연소용 초소형 예혼합장치
KR100401391B1 (ko) * 2000-10-05 2003-10-11 전기용 금속산화촉매를 이용한 가스버너 연소장치
KR100708445B1 (ko) * 2003-03-18 2007-04-1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가스용 버너기의 예혼합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3536U (ja) 1982-08-02 1984-02-14 三洋電機株式会社 ガスバ−ナの燃料ガス流量調整用ノズル取り付け構造
KR0148092B1 (ko) * 1995-02-15 1998-10-01 손영목 가스보일러의 고부하 가스연료연소용 초소형 예혼합장치
KR100401391B1 (ko) * 2000-10-05 2003-10-11 전기용 금속산화촉매를 이용한 가스버너 연소장치
KR100708445B1 (ko) * 2003-03-18 2007-04-1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가스용 버너기의 예혼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734B1 (ko) * 2012-11-06 2014-08-14 하복진 화염조절이 편리한 가스버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760U (ko) 2011-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1454B2 (en) Dual fuel burner for a shortened flame and reduced pollutant emissions
RU2013110459A (ru) Система, содержащая топливную форсунку (варианты ), и система, содержащая трубку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го смешивания
CN104903672A (zh) 高效直接接触式热交换器
EP3272411B1 (en) Exhaust gas treatment apparatus
GB2448460A (en) Duel fuel gas-liquid burner
CN106524152A (zh) 一种分级燃气低氮燃烧器
RU2011106121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жигания жидкого топлива
GB2449580A (en) Dual fuel gas-liquid burner
RU2605166C2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вихревая форсунка смесительной головки для газовой горелки
CN107355786A (zh) 工业燃气窑炉多级配风富氧伴烧专用燃烧器
KR200454825Y1 (ko) 가스 혼합장치
CN207407340U (zh) 低氮燃烧器
RU2414646C1 (ru) Пульсирующая вихревая топка
CN203442823U (zh) 自吸式顶装圆火焰燃料分级低NOx气体燃烧器
CN103307600A (zh) 蓄热式燃气燃烧器
CN202835356U (zh) 半喷射式烧嘴
CN106918049A (zh) 燃气锅炉分级送风装置
CN101929675B (zh) 塑料管材外表面热处理预混式燃烧系统及燃气喷嘴
CN104421939A (zh) 锯齿形燃气燃烧器
CN203384976U (zh) 蓄热式燃气燃烧器
CN206669731U (zh) 一种预混式高速射流燃烧器
MXPA04005215A (es) Boquilla de inyeccion de combustible de contraflujo en un sistema quemador-hervidor.
CN211424391U (zh) 一种天然气辅助火焰喷灯
CN211952755U (zh) 具有自由扩散预混燃烧层的低氮燃烧装置及其燃烧头
CN114135870B (zh) 低氮燃烧头及其燃烧装置、预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