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540Y1 - 정압기의 리모트 셋터용 조정지그 - Google Patents

정압기의 리모트 셋터용 조정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540Y1
KR200454540Y1 KR2020090010233U KR20090010233U KR200454540Y1 KR 200454540 Y1 KR200454540 Y1 KR 200454540Y1 KR 2020090010233 U KR2020090010233 U KR 2020090010233U KR 20090010233 U KR20090010233 U KR 20090010233U KR 200454540 Y1 KR200454540 Y1 KR 2004545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main shaft
regulating member
connector
pressure reg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2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1484U (ko
Inventor
김삼환
이재웅
이종석
Original Assignee
한국가스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가스공사 filed Critical 한국가스공사
Priority to KR20200900102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540Y1/ko
Publication of KR201100014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4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5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5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압기의 리모트 셋터용 조정지그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주축(12)과 압력조절부재(15)가 나사결합되어, 설정압력과 실제 공급압력간의 편차 발생시 상기 설정압력을 실제 공급압력으로 일치시키는 수평이동작업을 할 시에 사용되는 정압기의 리모트 셋터용 조정지그로서, 상기 주축과 압력조절부재를 연결하도록 주축과 압력조절부재를 수용하는 공간부(111)가 형성된 커넥터(110)와, 상기 커넥터를 상기 주축에 고정하는 다수의 고정부재(120)를 포함하되, 상기 커넥터에는 상기 주축과 압력조절부재에 끼우도록 상기 공간부(111)에서 개구된 개구부(1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수평이동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실제 공급압력이 급격히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정압기의 리모트 셋터용 조정지그{Adjustment Jig for Remote Setter of Gas Pressure Regulator}
본 고안은 정압기의 리모트 셋트용 조정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압기의 리모트 셋터에서 수평이동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정압기의 리모트 셋터용 조정지그에 관한 것이다.
가스 공급시 고압, 중압, 저압 방식을 채용하는 것은 수송능력의 증대 및 배관 등 공급설비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가스의 공급압력을 고압에서 중압으로, 중압에서 저압으로 용도에 맞게 맞추어 감압,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을 정압기라고 한다. 정압기는 수동으로 조작하는 것이 아니라 수용량의 변동에 따른 압력변화에 의해 자동으로 2차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며, 자동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평소 유지관리가 특히 중요하다.
정압기의 종류는 직동식 정압기 및 파이롯트식 정압기로 구분된다. 직동식 정압기는 본체 내에서 직접 또는 하류측 배관에서 연결된 감지라인(Sensing line)을 통해 조정압력을 스프링이 감지하여 압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작동에 필요한 3요소(감지부, 부하부, 제어부)가 정압기 본체 내에 들어가 있으며, 조정압력은 다이 어프램이 감지하여 밸브(플러그)를 움직이게 된다. 직동식 정압기의 특징은 구조가 간단하고, 경제적이며, 유지관리가 용이하여 널리 쓰이고 있으나, 스프링 및 다이어프램 효과와 같은 특성 등으로 인하여 출구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가 어려운 것이 단점이다. 일반적으로 단독주택 등 소용량의 단독 정압기에 주로 사용된다.
파이롯트식 정압기에는 언로딩(Unloading)형과 로딩(Loading)형의 2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파이롯트식 정압기는 2차측의 미세한 압력을 감지하여 다이어프램에 로딩(구동)압력을 증폭시켜 보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파이롯트식 정압기는 출구압력이 비교적 안정된 형태로 공급이 되는 우수한 특징이 있으며, 대량 수요처 및 지구 정압기 등에 주로 사용된다. 또한, 비슷한 크기의 직동식 정압기 보다 대용량이 요구되는 유량제어 범위가 양호한 정압기이다.
이러한 정압기에는 PCV(Pressure Control Valve)의 셋팅압력을 PIC(Pressure Indicate Controller)로 원격조정할 수 있게 하는 리모트 셋터(Remote Setter)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리모트 셋터는 PIC 패널 상 및 수동핸들 조작을 통해 승압 및 감압을 가능하게 하는 설비이다.
상기 리모트 셋터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2)에 결합된 주축(4)의 상측에 핸들(6)이 결합되고, 상기 주축(4)의 하측에 압력조절부재(8)가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는데, 정압기의 설정압력과 실제 공급압력간의 편차 발생시 설정압력을 실제 공급압력으로 일치시키기 위해 상기 핸들(6)과 압력조절나사(8)를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켜 실제 공급압력의 변동이 없도록 하는 수평이동작업을 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리모트 셋터의 수평이동작업을 할 경우에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손으로 핸들(6)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스패너(S)를 이용하여 압력조절나사(8)를 잡아서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데, 핸들(6)의 회전과 스패너(S)를 통한 압력조절부재(8)의 회전이 동일하지 않으면, 정압기의 설정압력을 실제 공급압력에 일치시키는 작업의 효과가 없게 되고 실제 공급압력이 급격히 높아지거나 낮아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정압기의 리모트 셋터에서 정압기의 설정압력과 실제 공급압력간의 편차 발생시 설정압력을 실제 공급압력으로 일치시키는 수평이동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정압기의 리모트 셋터용 조정지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은, 주축과 압력조절부재가 나사결합되어, 설정압력과 실제 공급압력간의 편차 발생시 상기 설정압력을 실제 공급압력으로 일치시키는 수평이동작업을 할 시에 사용되는 정압기의 리모트 셋터용 조정지그로서, 상기 주축과 압력조절부재를 연결하도록 주축과 압력조절부재를 수용하는 공간부가 형성된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를 상기 주축에 고정하는 다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커넥터에는 상기 주축과 압력조절부재에 끼우도록 상기 공간부에서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간부의 일측 내면은 상기 압력조절부재가 끼워져 걸리도록 각형 내면으로 되어 있다.
상기 공간부의 타측 내면은 상기 주축이 수용되도록 원통 내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커넥터의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 배치되어 상기 커넥터를 상기 주축에 고정하고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정압기의 리모트 셋터용 조정지그에 의하면, 정압기의 설정압력과 실제 공급압력간의 편차 발생시 설정압력을 실제 공급압력으로 일치시키는 수평이동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실제 공급압력이 급격히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2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정압기의 리모트 셋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트 셋터는 본체(11)에는 주축(12)이 결합되고, 상기 주축(12)의 상측에는 클러치(13)를 매개로 핸들(14)이 결합되며, 상기 주축(12)의 하측에는 정압기의 공급압력를 조절하는 압력조절부재(15)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상기 본체(11)에는 설정압력 및 공급압력을 조정하기 위한 구동부(16), 조정부(17), 파이롯트부(18), 수동조정레버(19) 등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구동부(16)의 축은 워엄 및 워엄기어를 통해 상기 주축(12)에 연결되고, 상기 조정부(17)는 베벨기어를 통해 상기 주축(12)에 연결된다.
본 고안의 조정지그(100 : 도2에서 가상선으로 표시)는 상기 주축(12)과 압 력조절부재(15)를 연결하는 지그로서, 상기 설정압력과 실제 공급압력간의 편차 발생시 상기 설정압력을 실제 공급압력으로 일치시키는 수평이동작업을 할 시에 사용된다.
상기 주축(12)에서 상기 조정지그(100)가 연결되는 부분의 외면은 원형으로 되어 있고, 상기 압력조절부재(15)에서 상기 조정지그(100)가 연결되는 부분의 외면은 사각형으로 되어 있다.
상기 리모트 셋터는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조정지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정지그(100)는 상기 주축(12)과 압력조절부재(15)를 수용하는 공간부(111)가 형성된 커넥터(110)와, 상기 커넥터(110)를 상기 주축(12)에 고정하는 다수의 고정부재(120)를 구비한다.
상기 커넥터(110)은 원통형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주축(12)과 압력조절부재(15)에 끼우도록 상기 공간부(111)에서 개구된(반경방향으로 트인) 개구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간부(111)의 일측(하측) 내면은 상기 압력조절부재(15)가 끼워져 걸리도록 각형 내면(111a)으로 되어 있고, 상기 공간부(111)의 타측(상측) 내면은 상기 주축(12)이 수용되도록 원통 내면(111b)으로 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110)의 하측에는 상기 각형 내면(111a)에 관통하여 상기 압력조절부재(15)에 고정되는 세트스크류(114)가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111)와 압력조절부재(15)간의 고정력을 높이게 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120)는 상기 커넥터(110)의 상측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3개) 배치되어 상기 커넥터(110)를 상기 주축(12)에 고정하는 볼트(육각홈머리 볼트)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조정지그(100)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110)의 개구부(112)을 통해 주축(12)과 압력조절부재(15)의 외면에서 끼워, 각형 내면(111a)에는 상기 압력조절부재(15)의 사각형 외면이 밀착하고 원통 내면(111b)에는 상기 주축(15)의 상기 원형 외면이 간격이 생기게 수용되어, 고정부재(120)를 조여 커넥터(110)를 주축에 고정하여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주축(12)과 압력조절부재(15)를 연결한 상태에서 수평이동작업을 할 경우에는 핸들(14 : 도2에 도시)만 회전시키면 되므로 수평이동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실제 공급압력이 급격히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핸들(14)은 제어실에서 자동으로 조작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도5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조정지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조정지그(200)는 상기 주축(12)과 압력조절부재(15)를 수용하는 공간부(211)가 형성된 커넥터(210)에서, 상기 공간부(211)는 개구된(반경방향으로 트인) 개구부(212)와 동일한 폭으로 되어 있다. 상기 공간부(211) 및 개구부(212)는 상기 주축(12)에 끼워지는 상측부와 상기 압력조절부재(15)에 끼워지는 하측부로 나누어져 있으며, 상기 커넥터(110)의 상측에는 상기 주축(12)에 고정되는 고정부재(220)가 상기 공간부(211)의 평탄면 쪽에 결합되어 있다.
도6은 상기 조정지그(200)가 주축(12) 및 압력조절부(15)에 끼워져, 고정부 재(220)로 상기 주축(12)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1은 종래 정압기의 리모트 셋터와 수평이동작업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정압기의 리모트 셋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정압기의 리모트 셋터용 조정지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4는 도3의 조정지그의 사용상태도,
도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정압기의 리모트 셋터용 조정지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6은 도5의 조정지그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주축 15 : 압력조절부재
100, 200 : 조정지그 110, 210 : 커넥터
111, 211 : 공간부 112, 212 : 개구부
120, 220 : 고정부재

Claims (3)

  1. 주축과 압력조절부재가 나사결합되어, 설정압력과 실제 공급압력간의 편차 발생시 상기 설정압력을 실제 공급압력으로 일치시키는 수평이동작업을 할 시에 사용되는 정압기의 리모트 셋터용 조정지그로서,
    상기 주축과 압력조절부재를 연결하도록 주축과 압력조절부재를 수용하는 공간부가 형성된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를 상기 주축에 고정하는 다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커넥터에는 상기 주축과 압력조절부재에 끼우도록 상기 공간부에서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압기의 리모트 셋터용 조정지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의 일측 내면은 상기 압력조절부재가 끼워져 걸리도록 각형 내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압기의 리모트 셋터용 조정지그.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의 타측 내면은 상기 주축이 수용되도록 원통 내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커넥터의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 배치되어 상기 커넥 터를 상기 주축에 고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압기의 리모트 셋터용 조정지그.
KR2020090010233U 2009-08-05 2009-08-05 정압기의 리모트 셋터용 조정지그 KR2004545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233U KR200454540Y1 (ko) 2009-08-05 2009-08-05 정압기의 리모트 셋터용 조정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233U KR200454540Y1 (ko) 2009-08-05 2009-08-05 정압기의 리모트 셋터용 조정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484U KR20110001484U (ko) 2011-02-11
KR200454540Y1 true KR200454540Y1 (ko) 2011-07-11

Family

ID=44206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233U KR200454540Y1 (ko) 2009-08-05 2009-08-05 정압기의 리모트 셋터용 조정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5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605Y1 (ko) 2019-12-30 2021-04-30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정압기의 스프링용 아답터 구조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411U (ko) * 1996-11-02 1998-08-05 김광호 세탁기의 구동장치
KR19990086661A (ko) * 1998-05-29 1999-12-15 김형국 파이프 정렬용 지그
US7802825B2 (en) 2007-11-15 2010-09-28 Ge-Hitachi Nuclear Energy Americas Method and system for repairing a downcomer pipe in a core spray for a nuclear reac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411U (ko) * 1996-11-02 1998-08-05 김광호 세탁기의 구동장치
KR19990086661A (ko) * 1998-05-29 1999-12-15 김형국 파이프 정렬용 지그
US7802825B2 (en) 2007-11-15 2010-09-28 Ge-Hitachi Nuclear Energy Americas Method and system for repairing a downcomer pipe in a core spray for a nuclear rea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605Y1 (ko) 2019-12-30 2021-04-30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정압기의 스프링용 아답터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484U (ko) 2011-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80734C2 (ru) Регулятор давления газа и способ его сборки и разборки
RU2531545C2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зиционирования (варианты), содержащее гнездо пружины с самовыравниванием, и регулятор текучей среды, содержащий гнездо пружины с самовыравниванием
US8556233B2 (en) Field removable bonnet assemblies for use with valves
KR20140009103A (ko) 모듈식 인라인형 유체조절기
US20150277451A1 (en) Driving Apparatus and Valve Including the Same
TWM466191U (zh) 接頭
CN109424762B (zh) 促动器用电磁阀的安装构造和带有促动器的阀门
RU246104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текучей среды
KR200454540Y1 (ko) 정압기의 리모트 셋터용 조정지그
JP2015532480A (ja) 自動調心弁体
EP3963238B1 (en) Nut locking coupling for actuated valve
CN101652576B (zh) 多工具调节螺丝
KR101127361B1 (ko) 자동온도 유량조절밸브
US6446935B1 (en) Valve device with elevated mounting pads
JP2009281527A (ja) リリーフバルブ
KR20120131758A (ko) 분리형 공기구동식 밸브용 포지셔너장치
KR200493605Y1 (ko) 정압기의 스프링용 아답터 구조체
CN203818043U (zh) 一种牙嵌式定矩扳手
KR101972317B1 (ko) 유량조절밸브
US9353883B2 (en) Excess pressure safety relief valve
JP2008299700A (ja) 減圧弁
EP1178250B1 (en) Self-closing valve
JP2557352Y2 (ja) 直動形圧力制御弁
CN202280916U (zh) 一种用于连接推杆和阀杆的连接装置
CN202371241U (zh) 一种安全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