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527Y1 - 물청소용 진동솔 - Google Patents

물청소용 진동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527Y1
KR200454527Y1 KR2020110003115U KR20110003115U KR200454527Y1 KR 200454527 Y1 KR200454527 Y1 KR 200454527Y1 KR 2020110003115 U KR2020110003115 U KR 2020110003115U KR 20110003115 U KR20110003115 U KR 20110003115U KR 200454527 Y1 KR200454527 Y1 KR 2004545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vibration
water
vibrator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31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성
Original Assignee
조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성 filed Critical 조현성
Priority to KR20201100031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5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5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5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6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connected to supply pipe or to other external supply mean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청소용 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의 수압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켜 그 진동으로 인해 브라쉬 털이 진동하게 되어 이물질이 용이하게 제거되게 하는 물청소용 진동솔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한 물청소용 진동솔은 이물질을 문질러 제거하는 진동솔 털(101)과; 다수 개의 상기 진동솔 털(101)이 부착되고, 세척수가 배출되어 이물질을 씻어낼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세척수 배출구(103)가 형성되어 있는 진동솔 하부 커버(123)와; 상기 진동솔 하부 커버(123)의 상부에 부착되어 내부로 세척수가 흘러들어 갈 수 있도록 중앙부가 주변부에 비해 상방으로 불룩하게 돌출되어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진동솔 상부 커버(105)와; 상기 진동솔 하부 커버(123)와 상기 진동솔 상부 커버(105)가 연결되고, 세척수가 지나갈 수 있도록 내부가 통공되어 있는 진동솔 손잡이(115)와; 상기 진동솔 상부 커버(105)의 중앙에 함몰되게 형성되어 있고, 내부 바닥에는 다수 개의 세제 배출구(109)가 형성되어 있는 세제 투입구(121)와; 일 측은 상기 세제 투입구(121)의 상부에 연결되고 다른 일 측은 상기 진동솔 손잡이(115)에 연결되어 있는 세척수 유입로(113)와; 상기 세제 투입구(121)의 상부에 부착되어 세제 투입을 위하여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상기 세제 투입구(121)의 상부 일 측면과 결합된 세제 투입구 커버(107)와; 일 측은 상기 진동솔 손잡이(115)에 연결되고, 다른 일 측은 세척수 유입 호스(119)에 연결되어 유입수의 수압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1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물청소용 진동솔은 손으로 문질러 주지 않아도 물의 압력에 의해 물청소용 솔이 진동하게 되고, 이러한 진동에 의해 물청소용 진동솔 끝에 붙은 진동솔 털이 오물을 진동시켜 제거하므로 근육의 피로 없이 장시간 물청소를 할 수 있으며, 전기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감전의 위험이 없을 뿐만 아니라, 고가의 전자 부품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생산 비용을 저렴하게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물청소용 진동솔{A Water Washing Brush in Which Vibrations are Generated by Water}
본 고안은 물청소용 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하게는 물의 수압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켜 그 진동으로 인해 브라쉬 털이 진동하게 되어 이물질이 용이하게 제거되게 하는 진동 물청소용 솔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물청소용 방법은 청소를 하고자 하는 대상 위에 물을 뿌려 이물질을 불린 다음 브라쉬 털이 달린 물청소용 솔로 문질러 청소를 하거나, 물이 공급되는 호스가 부착된 물청소용 솔로 문질러 청소를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물청소용 솔은 오물이 떨어져 나가도록 계속 문질러야 하므로, 근육의 피로를 누적시켜 장시간 청소를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대한민국 등록 특허 공보 등록번호 10-0442179에는 '초음파 진동자를 부착한 다목적 자동세척용 솔'이 게시되고 있다. 그러나, 초음파 진동자를 부착한 다목적 자동세척용 솔은 초음파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초음파 진동자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고, 여기에 전기를 공급하여야 하므로, 전기가 없는 야외에서는 사용하기 곤란할 뿐만 아니라, 누수로 인하여 감전의 위험성이 크다. 또한, 고가의 초음파 진동자 및 초음파 발생기를 사용하므로, 원가가 높아진다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어 저렴하면서도 물로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물청소용 진동 솔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물청소용 진동솔은 물의 압력으로 진동을 발생시켜 물청소용 솔이 진동하게 하고, 이 진동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되게 되는 물청소용 진동솔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물청소용 진동솔은 이물질을 문질러 제거하는 진동솔 털(101)과; 다수 개의 상기 진동솔 털(101)이 부착되고, 세척수가 배출되어 이물질을 씻어낼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세척수 배출구(103)가 형성되어 있는 진동솔 하부 커버(123)와; 상기 진동솔 하부 커버(123)의 상부에 부착되어 내부로 세척수가 흘러들어 갈 수 있도록 중앙부가 주변부에 비해 상방으로 불룩하게 돌출되어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진동솔 상부 커버(105)와; 상기 진동솔 하부 커버(123)와 상기 진동솔 상부 커버(105)가 연결되고, 세척수가 지나갈 수 있도록 내부가 통공되어 있는 진동솔 손잡이(115)와; 상기 진동솔 상부 커버(105)의 중앙에 함몰되게 형성되어 있고, 내부 바닥에는 다수 개의 세제 배출구(109)가 형성되어 있는 세제 투입구(121)와; 일 측은 상기 세제 투입구(121)의 상부에 연결되고 다른 일 측은 상기 진동솔 손잡이(115)에 연결되어 있는 세척수 유입로(113)와; 상기 세제 투입구(121)의 상부에 부착되어 세제 투입을 위하여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상기 세제 투입구(121)의 상부 일 측면과 결합된 세제 투입구 커버(107)와; 일 측은 상기 진동솔 손잡이(115)에 연결되고, 다른 일 측은 세척수 유입 호스(119)에 연결되어 유입수의 수압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1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물청소용 진동솔은 손으로 문질러 주지 않아도 물의 압력에 의해 물청소용 솔이 진동하게 되고, 이러한 진동에 의해 물청소용 진동솔 끝에 붙은 진동솔 털이 오물을 진동시켜 제거하므로 근육의 피로 없이 장시간 물청소를 할 수 있으며, 전기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감전의 위험이 없을 뿐만 아니라, 고가의 전자 부품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생산 비용을 저렴하게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물청소용 진동솔의 측면 단면도이며,
도 2는 진동 발생부에 대한 측면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물청소용 진동솔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물청소용 진동솔은 이물질을 문질러 제거하는 진동솔 털(101)과; 다수 개의 상기 진동솔 털(101)이 부착되고, 세척수가 배출되어 이물질을 씻어낼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세척수 배출구(103)가 형성되어 있는 진동솔 하부 커버(123)와; 상기 진동솔 하부 커버(123)의 상부에 부착되어 내부로 세척수가 흘러들어 갈 수 있도록 중앙부가 주변부에 비해 상방으로 불룩하게 돌출되어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진동솔 상부 커버(105)와; 상기 진동솔 하부 커버(123)와 상기 진동솔 상부 커버(105)가 연결되고, 세척수가 지나갈 수 있도록 내부가 통공되어 있는 진동솔 손잡이(115)와; 상기 진동솔 상부 커버(105)의 중앙에 함몰되게 형성되어 있고, 내부 바닥에는 다수 개의 세제 배출구(109)가 형성되어 있는 세제 투입구(121)와; 일 측은 상기 세제 투입구(121)의 상부에 연결되고 다른 일 측은 상기 진동솔 손잡이(115)에 연결되어 있는 세척수 유입로(113)와; 상기 세제 투입구(121)의 상부에 부착되어 세제 투입을 위하여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상기 세제 투입구(121)의 상부 일 측면과 결합된 세제 투입구 커버(107)와; 일 측은 상기 진동솔 손잡이(115)에 연결되고, 다른 일 측은 세척수 유입 호스(119)에 연결되어 유입수의 수압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1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물청소용 진동솔의 상기 진동 발생부(117)는 수압에 의해 좌우로 왕복 운동을 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며, 내부에는 세척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세척수가 유입되는 진동자 내부 세척수 유입구(203)와 세척수가 배출되는 진동자 내부 세척수 배출구(205)가 상호 연결되도록 '┌'형으로 통공되어 있는 진동자(201)와; 상기 진동자(201)의 진동자 내부 세척수 유입구(203) 반대 측에 위치하여 상기 진동자(201)가 세척수의 압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시 상기 진동자(201)의 운동 에너지를 일시적으로 흡수하였다가 다시 반대 방향으로 밀어내는 진동자 스프링(219)과; 상기 진동자(201)가 수용될 수 있도록 진동자 수용부(22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진동자 수용부(225)의 외측에는 일반 모드 세척수 바이패스 통로(21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진동자 내부 세척수 배출구(205)에서 배출되는 세척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진동자 내부 세척수 배출구(205)와 맞닿도록 상기 일반 모드 세척수 바이패스 통로(217)의 측면에 진동자 배출 세척수 유입구(207)가 형성되어 있는 진동 발생부 본체(2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의한 물청소용 진동솔의 상기 진동솔 손잡이(115)와 연결되는 상기 진동 발생부 본체(221)의 일 측면에는 세척수 조절 밸브(211)가 형성되어 있고, 다른 일 측면에는 세척수가 상기 진동자 수용부 가이드패스 통로(215)로 유입되게 하거나, 세척수가 세척수 바이패스 통로(217)로 유입되도록 세척수 유입 패스를 절체하게 하는 진동 모드 전환 밸브(213)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물청소용 진동솔의 하부에는 이물질을 문질러 제거하는 진동솔 털(101)이 다수 개 부착되고, 세척수가 배출되어 이물질을 씻어낼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세척수 배출구(103)가 형성되어 있는 진동솔 하부 커버(123)와 진동솔 하부 커버(123)의 상부에 부착되어 물청소용 진동솔 내부로 세척수가 흘러들어 갈 수 있도록 중앙부가 주변부에 비해 상방으로 불룩하게 돌출되어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진동솔 상부 커버(105)로 덮혀 있고, 진동솔 상부 커버(105)의 중앙에는 사각형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있고, 함몰부의 내부 바닥에는 다수 개의 세제 배출구(109)가 형성되어 있는 세제 투입구(1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세제 투입구(121)의 상부에는 세제 투입을 위하여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세제 투입구 커버(107)가 세제 투입구(121)의 일 측면 상단과 평행하게 결합되어 있다.
진동솔 손잡이(115)는 진동솔 하부 커버(123)와 진동솔 상부 커버(105)와 연결되고, 내부는 통공되어 세척수가 지나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세제 투입구(121)의 상부 일 측면은 진동솔 손잡이(115)와 세척수 유입로(113)로 연결되어 세척수가 세제 투입구(121)로 흘러 들어가 세제를 녹여 세제가 녹은 세척수가 청소 대상물을 향하여 흘러나가게 된다. 진동솔 손잡이(115)의 일측은 진동 발생부(117)에 연결되고, 진동 발생부(117)는 세척수 유입 호스(119)에 연결되며, 세척수 유입 호스(119)에서 유입되는 세척수의 압력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켜 발생한 진동이 진동솔 털(101)을 진동시켜 세척물의 표면에 붙어 있는 오물을 씻어낸다.
진동 발생부(117)는 수압에 의해 좌우로 왕복 운동을 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며, 진동 발생부(117)의 내부에는 세척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세척수가 유입되는 진동자 내부 세척수 유입구(203)와 세척수가 배출되는 진동자 내부 세척수 배출구(205)가 상호 연결되도록 '┌'형으로 통공되어 있는 진동자(201)가 구비되어 있다.
진동자 스프링(219)은 진동자(201)의 진동자 내부 세척수 유입구(203) 반대 측에 위치하여 진동자(201)가 세척수의 압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시 진동자(201)의 운동 에너지를 일시적으로 흡수하였다가 다시 반대 방향으로 다시 밀어내어 진동자(201)가 왕복 운동을 하게 한다. 여기서 진동자 스토퍼(204)는 진동자가 왕복 운동을 하는 일정 범위를 벗어나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진동자 본체(221)의 내부에는 진동자(201)가 수용될 수 있도록 일정한 공간 즉 진동자 수용부(225)가 형성되어 있으며, 진동자 수용부(225)의 바깥 외측에는 진동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우회 경로로 세척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일반 모드 세척수 바이패스 통로(217)가 형성되어 있으며, 세척수가 일반 모드 세척수 바이패스 통로(217)로 통과할 때에는 진동이 발생하지 않는다. 진동자 수용부(225)의 측면에는 진동자 내부 세척수 배출구(205)에서 배출되는 세척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진동자 내부 세척수 배출구(205)와 맞닿도록 진동자 배출 세척수 유입구(207)가 형성되어 있어 진동자(201)를 통과한 세척수가 일반 모드 세척수 바이패스 통로(217)로 유입되어 진동자 본체(221)를 빠져 나가 진동솔 손잡이(115)로 유입되게 한다.
진동자 본체(221)와 진동솔 손잡이(115)가 접속되는 접속 부위에는 세척수 조절 밸브(211)가 형성되어 있어 세척수 조절 밸브 손잡이(209)를 돌려 세척수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진동자 본체(221)와 세척수 유입 호스(119)가 접속되는 접속 부위에는 세척수가 상기 진동자 수용부 가이드패스 통로(215)로 유입되게 하거나, 세척수가 세척수 바이패스 통로(217)로 유입되도록 세척수 유입 통로를 절체하게 된다. 본 고안에 대한 구체적인 사양을 제시하면, 상기 진동자(201)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스토퍼(204)와 마주하게 되는 부위는 '「'형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자(201)의 원통부의 단면적은 0.9~1.1㎠의 크기로 한다.
통상적인 수돗물의 압력은 가압펌프장 또는 건물 내의 가압펌프에서의 가압에 따라 0.8~1.2㎏/㎠의 압력으로 수돗물이 공급되며, 진동 모드 가이드패스 통로(215)가 열린 상태에서 초기 진동자 스프링(219)이 받는 무게는 0.7~1.4㎏이 된다. 이러한 여건에 맞추어 진동자 스프링(219)의 탄성력이 0.3㎏의 중량으로 상부에서 하중을 가할 경우 스프링 전체 길이의 1/4~1/3이 수축되고, 1㎏의 중량으로 상부에서 하중을 가할 경우 스프링 전체 길이의 1/2~3/5이 수축되는 스프링을 상기 진동자 스프링(219)으로 사용하면 되고, 진동자(201)가 세척수의 압력에 의해 후진하여 상기 진동자 배출 세척수 유입구(207)로 세척수가 유출되면 상기 진동자 스프링(219)이 받는 무게는 0.2~0.4㎏ 정도가 되어 해압이 됨에 따라 다시 전진하여 상기 진동자 배출 세척수 유입구(207)는 닫히는 상태가 되어 진동이 계속된다.
100 : 물청소용 진동솔, 101 : 진동솔 털,
103 : 세척수 배출구, 105 : 진동솔 상부 커버,
107 : 세제 투입구 커버, 109 : 세제 배출구,
111 : 세제, 113 : 세척수 유입로,
115 : 진동솔 손잡이, 117 : 진동 발생부,
119 : 세척수 유입 호스, 121 : 세제 투입구,
123 : 진동솔 하부 커버,
201 : 진동자, 203 : 진동자 내부 세척수 유입구,
204 : 진동자 스토퍼,
205 : 진동자 내부 세척수 배출구, 207 : 진동자 배출 세척수 유입구,
209 : 세척수 조절 밸브 손잡이, 211 : 세척수 조절 밸브,
213 : 진동 모드 전환 밸브, 215 : 진동 모드 가이드패스 통로,
217 : 일반 모드 세척수 바이패스 통로,
219 : 진동자 스프링, 221 : 진동자 본체,
225 : 진동자 수용부

Claims (2)

  1. 청소용 솔에 있어서, 이물질을 문질러 제거하는 진동솔 털(101)과;
    다수 개의 진동솔 털(101)이 부착되고, 세척수가 배출되어 이물질을 씻어낼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세척수 배출구(103)가 형성되어 있는 진동솔 하부 커버(123)와;
    상기 진동솔 하부 커버(123)의 상부에 부착되어 내부로 세척수가 흘러들어 갈 수 있도록 중앙부가 주변부에 비해 상방으로 불룩하게 돌출되어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진동솔 상부 커버(105)와;
    상기 진동솔 하부 커버(123)와 상기 진동솔 상부 커버(105)가 연결되고, 세척수가 지나갈 수 있도록 내부가 통공되어 있는 진동솔 손잡이(115)와;
    상기 진동솔 상부 커버(105)의 중앙에 함몰되게 형성되어 있고, 내부 바닥에는 다수 개의 세제 배출구(109)가 형성되어 있는 세제 투입구(121)와;
    일 측은 상기 세제 투입구(121)의 상부에 연결되고 다른 일 측은 상기 진동솔 손잡이(115)에 연결되어 있는 세척수 유입로(113)와;
    상기 세제 투입구(121)의 상부에 부착되어 세제 투입을 위하여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상기 세제 투입구(121)의 상부 일 측면과 결합된 세제 투입구 커버(107)와;
    일 측은 상기 진동솔 손잡이(115)에 연결되고, 다른 일 측은 세척수 유입 호스(119)에 연결되어 유입수의 수압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1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진동 발생부(117)는 수압에 의해 좌우로 왕복 운동을 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며, 내부에는 세척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세척수가 유입되는 진동자 내부 세척수 유입구(203)와 세척수가 배출되는 진동자 내부 세척수 배출구(205)가 상호 연결되도록 '┌'형으로 통공되어 있는 진동자(201)와;
    상기 진동자(201)의 진동자 내부 세척수 유입구(203) 반대 측에 위치하여 상기 진동자(201)가 세척수의 압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시 상기 진동자(201)의 운동 에너지를 일시적으로 흡수하였다가 다시 반대 방향으로 밀어내는 진동자 스프링(219)과;
    내부에는 상기 진동자(201)가 수용될 수 있도록 진동자 수용부(22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진동자 수용부(225)의 외측에는 일반 모드 세척수 바이패스 통로(21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진동자 내부 세척수 배출구(205)에서 배출되는 세척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진동자 내부 세척수 배출구(205)와 맞닿도록 상기 일반 모드 세척수 바이패스 통로(217)의 측면에 진동자 배출 세척수 유입구(207)가 형성되어 있는 진동 발생부 본체(2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진동자(201)의 원통부의 단면적은 0.9~1.1㎠이고, 상기 진동자 스프링(219)의 탄성력은 0.3㎏의 중량으로 상부에서 하중을 가할 경우 스프링 전체 길이의 1/4~1/3이 수축되고, 1㎏의 중량으로 상부에서 하중을 가할 경우 스프링 전체 길이의 1/2~3/5이 수축되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청소용 진동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솔 손잡이(115)와 연결되는 상기 진동 발생부 본체(221)의 일 측면에는 세척수 조절 밸브(211)가 형성되어 있고, 다른 일 측면에는 세척수가 상기 진동자 수용부 가이드패스 통로(215)로 유입되게 하거나, 세척수가 세척수 바이패스 통로(217)로 유입되도록 세척수 유입 통로를 절체하게 하는 진동 모드 전환 밸브(213)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청소용 진동솔.
KR2020110003115U 2011-04-13 2011-04-13 물청소용 진동솔 KR2004545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115U KR200454527Y1 (ko) 2011-04-13 2011-04-13 물청소용 진동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115U KR200454527Y1 (ko) 2011-04-13 2011-04-13 물청소용 진동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4527Y1 true KR200454527Y1 (ko) 2011-07-15

Family

ID=49299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3115U KR200454527Y1 (ko) 2011-04-13 2011-04-13 물청소용 진동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527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3318Y1 (ko) * 1989-04-25 1991-05-20 정병제 창유리 세척기
KR100442179B1 (ko) 2001-12-29 2004-07-30 김근기 다목적 자동세척용 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3318Y1 (ko) * 1989-04-25 1991-05-20 정병제 창유리 세척기
KR100442179B1 (ko) 2001-12-29 2004-07-30 김근기 다목적 자동세척용 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2924B2 (en) Jet unit, jet nozz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h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CN102166115A (zh) 仿形刷式洗鞋机
US9993133B2 (en) Fixed nozzle assembly and dish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US9976241B2 (en) Hand-held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20063666A (ko) 초음파 진동을 이용한 세탁기
JP2010533582A (ja) 微細気泡を利用したシャワー及び洗浄装置
JP2015507486A5 (ko)
US9943204B2 (en) Hand-held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208303378U (zh) 一种超声波自动清洗装置
KR200454527Y1 (ko) 물청소용 진동솔
US10945581B2 (en) Pump for regenerating a decalcifying device of a dishwashing machine
KR20130004893A (ko) 다용도 세척기
JP4079912B2 (ja) 食器洗浄機
KR20100037461A (ko) 식기 세척기
KR102431200B1 (ko) 식기세척기
KR20070062296A (ko) 식기 세척기의 분사노즐 구조
TWI566733B (zh) 清洗裝置
KR20040053010A (ko) 슬러지 부상배출 초음파세척기
JP2014066197A (ja) 洗浄機
KR100215020B1 (ko) 수류 유도체를 갖는 세탁기
KR101461391B1 (ko) 공기발생장치를 갖는 세탁기
KR101076659B1 (ko) 이동식 살균 세척장치
KR20160042628A (ko) 식기 세척기
JP4135602B2 (ja) 食器洗い機
KR20090024905A (ko) 샤워 방식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