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284Y1 - 리머겸용 플라이어 - Google Patents

리머겸용 플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284Y1
KR200454284Y1 KR2020080013596U KR20080013596U KR200454284Y1 KR 200454284 Y1 KR200454284 Y1 KR 200454284Y1 KR 2020080013596 U KR2020080013596 U KR 2020080013596U KR 20080013596 U KR20080013596 U KR 20080013596U KR 200454284 Y1 KR200454284 Y1 KR 2004542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ping portion
pliers
shaft
grip
rea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35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4132U (ko
Inventor
박균덕
Original Assignee
박균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균덕 filed Critical 박균덕
Priority to KR20200800135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284Y1/ko
Publication of KR201000041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1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2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2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 B25B7/22Pliers provided with auxiliary tool elements, e.g. cutting edges, nail ex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 B25B7/06Joints
    • B25B7/10Joints with adjustable fulcr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리머와 플라이어를 겸용하면서 관경 또는 집고자 하는 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리머 또는 플라이어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리머 겸용 플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2개의 몸체가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이 축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짧은 쪽은 파지부를 이루고 상대적으로 긴 쪽은 손잡이부를 이루는 플라이어에 있어서, 각 파지부를 위치상 상부 파지부와 하부 파지부로 나눌 때 상부 파지부의 상단부와 하부 파지부의 하단부는 단면상 뾰족한 형상으로 구성되면서 상부 파지부의 위쪽 부위는 위쪽으로 갈수록 점차 그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되며, 하부 파지부의 아래쪽 부위는 위쪽으로 갈수록 점차 그 폭이 좁아지도록 각각 구성되고, 각 파지부의 선단부는 뾰족한 형상으로 구성되면서 각 파지부는 선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그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되어 파지부의 외측 부위가 리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리머겸용 플라이어{Plier combined with rimer}
본 고안은 리머겸용 플라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머와 플라이어를 겸용하면서 관경 또는 집고자 하는 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리머 또는 플라이어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작업용 공구 중의 하나인 플라이어는 레버의 원리를 이용해서 악력을 배가시키는 집게형 공구로서, 판과 같은 넓은 물건 또는 오일 필터와 같이 원통형 물건을 잡을 수 있도록 집는 부위의 모양이 다양하다.
이러한 플라이어는, 2개의 몸체 앞쪽부위가 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서로 연결되어 축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짧은 부위는 파지부를 이루고 상대적으로 긴 부위는 손잡이부를 각각 이루며, 파지부의 서로 마주보는 부위에는 톱니를 형성하여 레버의 원리에 의해 각 손잡이부를 벌린 상태에서 톱니를 통해 대상물을 집는 역할을 하게 되고, 파지부의 마주보는 부위에 톱니 대신 칼날을 각각 형성한 경우에는 커팅용도로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플라이어의 일측 몸체 상부에 일부분이 절제된 원기둥 형상의 축을 고정하고, 다른 몸체의 축 대응위치에는 축과 동일한 직경을 가진 다수의 고정홈이 일부분씩 겹쳐진 형태의 장공을 형성하여 일측 몸체와 타측 몸체를 연결할 때 축을 장공에 끼워 결합해주며, 이러한 상태에서 일측 몸체를 회전시켜 축의 폭이 좁아지도록 하면 장공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또 원하는 위치에서 일측 몸체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축이 그 위치의 고정홈을 따라 회전되면서 축으로 작용함으로써 집고자 하는 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파지부 사이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플라이어는 레버의 원리를 이용하여 대상물을 집거나, 커팅해주는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는 전혀 다른 기능이 없으며, 이러한 플라이어 이외의 다른 공구들 역시 제각각 그에 해당하는 기능만 있을 뿐 다른 기능이 전혀없어 작업자는 필요한 공구를 일일이 하나씩 챙겨 들고다니면서 작업해야 하므로 매우 무겁고 이동이 어려우며, 작업속도가 지연될 수밖에 없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플라이어와 리머를 겸할 수 있는 공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플라이어의 파지부 상부, 하부, 선단부가 모두 뾰족해지도록 구성하여 이러한 부위가 리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고안은 파지부의 마주보는 부위에는 톱니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톱니를 통해 대상물을 집을 수 있는 것이며, 또한 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파지부의 폭을 조절해줄 수도 있어 플라이어의 기능을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고, 작업도중 관 안쪽으로 버가 발생되어 이를 제거하고자 할 때에는 손잡이부를 서로 당겨 파지부를 완전히 오므린 상태에서 파지부의 선단부를 관 안쪽에 밀착시킨 후 회전시켜주게 되기만 하면 버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되므로 리머의 역할 역시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며, 이때에도 마찬가지로 관경에 따라 파지부의 폭을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관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또한, 파지부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가 일측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을 갖도록 하면 버제거시 최초 힘을 주어 회전시킬 때 그와는 반대방향으로 파지부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가 절곡되어 있어 이 부위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 다.
이하, 본 고안을 제시되는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리머 겸용 플라이어의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의 일실시예이며, 도 2b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의 다른 실시예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리버 겸용 플라이어의 폭 조절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는 폭 조절이 가능한 플라이어가 적용되는데, 이러한 폭 조절이 가능한 플라이어는, 2개의 몸체(10)(20)가 축(1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축(11)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짧은 쪽은 파지부(12)(22)를 이루고 상대적으로 긴 쪽은 손잡이부(13)(23)를 이루되, 몸체(10)(20) 중 일측 몸체(10) 상부에는 일부분이 절제된 원기둥 형상의 축(11)이 고정되고, 다른 몸체(20)의 축 대응위치에는 축(11)과 동일한 직경을 가진 다수의 고정홈(24)이 일부분씩 겹쳐진 형태의 장공(25)이 형성되어 축(11)이 장공(25)의 고정홈(24)에 회전가능하게 선택적으로 끼워져 집고자 하는 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파지부(12)(22) 사이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폭 조절이 가능한 플라이어가 리머의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각 파지부(12)(22)를 위치상 상부 파지부(22)와 하부 파지부(12)로 나눌 때 상부 파지부(22)는 상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그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되고, 하부 파지부(12)는 하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그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되며, 각 파지부(12)(22)는 선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그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되어 결과적으로 파지부(12)(22)의 상단부, 하단부, 선단부가 모두 뾰족한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때, 파지부(12)(22)는 단면상 그 상단부와 하단부를 도 2a와 같이 단순하게 뾰족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도 2b와 같이 단면상 파지부(12)(22)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작업자가 최초로 힘을 주어 회전시키는 방향의 반대방향 즉, 오른손 잡이냐 또는 왼손잡이냐에 따라 단면상 반시계방향 또는 시계방향을 향해 각각 절곡된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면상에는 파지부(12)(22)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시계방향으로 절곡된 것을 예로 하여 도시하였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리머 겸용 플라이어는 마모에 강한 철 합금으로 구성해야 함은 자명하다.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12a 및 22a는 파지부의 마주보는 부위에 형성된 톱니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리머 겸용 플라이어는 먼저, 파지부(12)(22)의 마주보는 부위에 톱니(12a)(22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손잡이부(13)(23)를 벌려 톱니(12a)(22a) 사이를 벌린 후 집고자 하는 대상물을 톱니(12a)(22a)를 통해 집어줄 수 있는 것이며, 집고자 하는 대상물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일측 손잡이부(13)를 회전시켜 축(11)의 직경을 줄인 상태에서 축(11)을 장공(25)을 따라 이동시키고, 대상물의 크기에 맞는 위치에 멈추어 원래의 위치로 손 잡이부(13)를 회전시켜주게 되면 축(11)이 그 위치의 고정홈(24) 내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작동할 수 있게 되므로 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파지부(12)(22)의 폭을 조절해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리머 겸용 플라이어는 파지부(12)(22)의 상방향, 하방향, 선단부 방향으로 모두 점차 그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므로 작업도중 관 안쪽으로 버가 발생되어 이를 제거하고자 할 때 손잡이부(13)(23)를 서로 당겨 파지부(12)(22)를 완전히 오므린 상태에서 파지부(12)(22)의 선단부를 통해 관 입구쪽으로 밀어넣게 되면 관경에 맞게 정확하게 밀착될 수 있으며, 파지부(12)(22)의 뾰족하게 형성된 상단부와 하단부가 관 내경부위와 밀착되어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시켜주게 되면 마치 칼날을 통해 관 내경부위를 긁어주는 것과 같이 버를 손쉽게 제거해줄 수 있어 리머의 역할을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리머 겸용 플라이어는 파지부(12)(22)의 폭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리머 역할을 수행할 때에도 관경에 따라 파지부(12)(22)의 폭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어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도 있는 것이다.
한편, 파지부(12)(22)는 단면상 그 상단부 또는 하단부를 단순하게 뾰족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파지부(12)(22)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를 최초 힘을 주어 회전시키는 방향의 반대반향으로 절곡되도록 구성하게 되면(이는 오른손잡이 또는 왼손잡이에 따라 방향을 반대로 한다) 버제거시 최초 힘을 주어 회전시킬 때 파지부(12)(22)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와 관 내경부위의 마찰력이 감소되어 파지부(12)(22)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폭조절이 가능한 플라이어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폭조절이 되지 않는 일반적인 플라이어의 파지부를 본 고안과 같이 구성하여 리머 역할을 겸할 수 있는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이 본 고안과 기술적 사상을 같이 하면서 약간의 설계를 변경하는 것들 역시 모두 본 고안에 속함은 자명하다.
삭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리머 겸용 플라이어의 사시도.
도 2a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의 일실시예.
도 2b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의 다른 실시예.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리버 겸용 플라이어의 폭 조절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20 : 몸체 11 : 축
12,22 : 파지부 12a,22a : 톱니
13,23 : 손잡이부 24 : 고정홈
25 : 장공

Claims (2)

  1. 2개의 몸체(10)(20)가 축(1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축(11)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짧은 쪽은 파지부(12)(22)를 이루고 상대적으로 긴 쪽은 손잡이부(13)(23)를 이루되, 상기 몸체(10)(20) 중 일측 몸체(10) 상부에는 일부분이 절제된 원기둥 형상의 축(11)이 고정되고, 다른 몸체(20)의 축 대응위치에는 상기 축(11)과 동일한 직경을 가진 다수의 고정홈(24)이 일부분씩 겹쳐진 형태의 장공(25)이 형성되어 상기 축(11)이 상기 장공(25)의 고정홈(24)에 회전가능하게 선택적으로 끼워져 집고자 하는 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상기 파지부(12)(22) 사이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각 파지부(12)(22)를 위치상 상부 파지부(22)와 하부 파지부(12)로 나눌 때 상기 상부 파지부(22)는 상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그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부 파지부(12)는 하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그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각 파지부(12)(22)는 선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그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된 플라이어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12)(22)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단면상 시계방향 또는 시계 반대방향을 향해 각각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머 겸용 플라이어.
  2. 삭제
KR2020080013596U 2008-10-13 2008-10-13 리머겸용 플라이어 KR2004542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596U KR200454284Y1 (ko) 2008-10-13 2008-10-13 리머겸용 플라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596U KR200454284Y1 (ko) 2008-10-13 2008-10-13 리머겸용 플라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132U KR20100004132U (ko) 2010-04-22
KR200454284Y1 true KR200454284Y1 (ko) 2011-06-24

Family

ID=44450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3596U KR200454284Y1 (ko) 2008-10-13 2008-10-13 리머겸용 플라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284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2234Y1 (ko) * 1985-02-13 1988-06-22 김박 절단날을 형성한 워터펌프 풀라이어 (Water Pump Plier)
US20060009583A1 (en) * 2002-12-02 2006-01-12 Naotaka Kubota Method of producing (meth) acrylic acid derivative polymer for resis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2234Y1 (ko) * 1985-02-13 1988-06-22 김박 절단날을 형성한 워터펌프 풀라이어 (Water Pump Plier)
US20060009583A1 (en) * 2002-12-02 2006-01-12 Naotaka Kubota Method of producing (meth) acrylic acid derivative polymer for resi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132U (ko) 201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9389B2 (en) Pliers
US7676873B1 (en) Wrench and reamer tool
WO2004065075A3 (en) Tool with inserted blade members
EP1900485A3 (en) Ergonomic handle
US9849573B2 (en) Broken bolt extractor
CA2800778A1 (en) Bi-directional quick change tool-less lever and wedge actuated collet chuck, system and/or method for using the same
KR200454284Y1 (ko) 리머겸용 플라이어
EP0933156A3 (en) Chuck with jaw blade rotational stop
US20150283626A1 (en) Broken bolt extractor
US8770069B2 (en) Automatically-configurable screwdriver assembly
JP7221543B2 (ja) ピザ等を切るピザカッタートング
WO2017111079A1 (ja) 歯科用根管切削具
US1902913A (en) Pliers
EP1733687A3 (de) Medizinisches Greif- und/oder Schneidinstrument
EP2371494B1 (en) Manually operated cable cutting tool
US3921237A (en) Thinwall reaming pliers for electrical conduit
US20180272503A1 (en) Screwdriver tipped pliers
US20150174741A1 (en) Adjustable wrenches, pliers, and shears
US2525678A (en) Weed puller
CN209734108U (zh) 一种夹钳及夹取装置
CN2915382Y (zh) 钳子
CN113302023B (zh) 夹紧手动工具
JP3218651U (ja) インパクトドライバー用長尺肉厚金属パイプ棒雑草抜き器具
JPH1175543A (ja) 枝切り機
CN216127070U (zh) 一种齿式钳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