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797Y1 - 키패드용 메탈돔스위치 조립체 - Google Patents

키패드용 메탈돔스위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797Y1
KR200453797Y1 KR2020090016046U KR20090016046U KR200453797Y1 KR 200453797 Y1 KR200453797 Y1 KR 200453797Y1 KR 2020090016046 U KR2020090016046 U KR 2020090016046U KR 20090016046 U KR20090016046 U KR 20090016046U KR 200453797 Y1 KR200453797 Y1 KR 2004537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light guide
metal dome
dome switch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60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영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그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그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그마
Priority to KR20200900160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797Y1/ko
Priority to CN2010202523824U priority patent/CN201780915U/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7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7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layers, e.g. by their material or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06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of the contact-making surface, e.g. groov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7/00Dimensions; Characteristics
    • H01H2227/032Operating force
    • H01H2227/034Regulation of operating for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키버튼부의 누름력을 메탈돔스위치의 중앙부에 집중시키기 위한 가압돌기를 메탈돔스위치의 상부에 위치한 도광판에 형성하되, 도광판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하여 메탈돔스위치 조립체의 전체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휴대폰용 키패드를 더욱 얇게 제작할 수 있고, 가압돌기를 도광판에 형성하는 작업이 프레스 기기에 의한 절단가공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이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키패드용 메탈돔스위치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상,하부케이스 내에 구비되어 상면에 접속단자가 형성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어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는 메탈돔스위치와, 상기 메탈돔스위치의 상부에 구비되어 입사된 광을 표면으로 발산하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에 구비되어 누름조작에 의한 가압력이 메탈돔스위치의 중앙부에 집중되도록 하는 가압돌기를 구비하는 키패드용 메탈돔스위치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기는 도광판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움직임 가능하도록 도광판을 절결하여 형성한 가동몸체부와, 상기 가동몸체부의 일측이 도광판에 연결되도록 도광판을 절결하여 형성한 연결부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를 반대쪽에 더욱 구비하여 가동몸체부를 양측에서 도광판과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압돌기의 가동몸체부와 도광판 사이에 연결부의 연결길이에 해당하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키패드용 메탈돔스위치 조립체{Metal dome switch assembly for keypad}
본 고안은 키패드용 메탈돔스위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탈돔스위치의 중앙부에 누름력을 집중시켜 메탈돔스위치가 정상적으로 오목하게 탄성 변형되도록 하기 위한 가압돌기의 형성 작업이 매우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가압돌기의 돌출 길이만큼 메탈돔스위치 조립체의 두께를 감소시켜 키패드의 전체 두께를 더욱 얇게 제조할 수 있는 키패드용 메탈돔스위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되는 키패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케이스(1,2) 내에 구비되어 상면에 접속단자(3a)가 형성된 인쇄회로기판(3), 상기 인쇄회로기판(3) 상에 배치되어 접속단자(3a)에 선택적으로 접속 또는 단락하는 것에 의해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는 메탈돔스위치(4), 상기 인쇄회로기판(3) 상에 구비되어 메탈돔스위치(4)가 설치되는 스페이서(5), 상기 스페이서(5)에 부착되어 메탈돔스위치(4)를 고정하는 테이프(6), 상기 메탈돔스위치(4)의 상부에 구비되어 도시하지 않은 램프로부터 입사된 광을 표면으로 발산하는 도광판(7), 상기 도광판(7) 상의 상부케이스(1)에 구비되어 메탈돔스위치(4) 를 가압하여 탄성변형시키기 위한 키버튼부(9)로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키버튼부(9)를 눌렀다가 놓는 동작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돔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메탈돔스위치(4)의 중앙부가 오목하게 탄성변형하여 접속단자(3a)에 접촉 및 단락함으로써 스위칭기능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때, 종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탈돔스위치(4)의 상부에 위치한 도광판(7)의 저면에 가압돌기(8)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이 가압돌기(8)는 키버튼부(9)의 누름조작에 의한 가압력이 메탈돔스위치(4)의 중앙부에 집중하여 가압되도록 함으로써 메탈돔스위치(4)의 탄성 변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져 스위칭기능이 정확하게 수행되도록 함과 동시에, 키버튼부(9)의 누름조작시 '딸깍'하는 클릭감도 더욱 좋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가압돌기(8)는, 별도의 부재를 도광판(7)의 저면에 열융착시켜 형성하였던 것으로, 열융착에 의해 다수개의 가압돌기(8)를 도광판(7)의 저면에 고정하는 방식은 작업이 매우 번거로워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었고, 또한 가압돌기(8)가 도광판(7)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길이만큼 메탈돔스위치 조립체의 전체 두께가 증가 되므로, 휴대폰용 키패드의 두께를 더욱 얇게 제작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키버튼부의 누름력을 메탈돔스위치의 중앙부에 집중시키기 위한 가압돌기를 메탈돔스위치의 상부에 위치한 도광판에 형성하되, 도광판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하여 메탈돔스위치 조립체의 전체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휴대폰용 키패드를 더욱 얇게 제작할 수 있고, 가압돌기를 도광판에 형성하는 작업이 프레스 기기에 의한 절단가공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이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키패드용 메탈돔스위치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하부케이스 내에 구비되어 상면에 접속단자가 형성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어 접속단자에 선택적으로 접속 또는 단락하는 것에 의해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는 메탈돔스위치와, 상기 메탈돔스위치의 상부에 구비되어 입사된 광을 표면으로 발산하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에 구비되어 누름조작에 의한 가압력이 메탈돔스위치의 중앙부에 집중되도록 하는 가압돌기를 구비하는 키패드용 메탈돔스위치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기는 도광판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움직임 가능하도록 도광판을 절결하여 형성한 가동몸체부와, 상기 가동몸체부의 일측이 도광판에 연결되도록 도광판을 절결하여 형성한 연결부로 구성되는 키패드용 메탈돔스위치 조립체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연결부를 반대쪽에 더욱 구비하여 가동몸체부를 양측 에서 도광판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키패드용 메탈돔스위치 조립체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가압돌기의 가동몸체부와 도광판 사이에 연결부의 연결길이에 해당하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한 키패드용 메탈돔스위치 조립체에 특징이 있다.
상기의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키패드용 메탈돔스위치 조립체는, 키버튼부의 누름조작시 누름력을 메탈돔스위치의 중앙부에 전달하여 중앙부를 하방으로 오목하게 탄성 변형시키기 위한 가압돌기가, 메탈돔스위치의 상부에 위치한 도광판을 프레스 기기에 의한 절단가공으로 절결하여 형성됨에 따라 가압돌기의 형성작업이 매우 용이하여 생산성이 향상되고, 또한 가압돌기가 작동되지 않을 때에는 도광판과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하여 도광판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게 되므로, 메탈돔스위치 조립체의 두께를 종래 가압돌기의 돌출 길이만큼 감소시킬 수 있어 키패드를 더욱 얇게 제조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키패드용 메탈돔스위치 조립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a 내지 도 5d는 도광판에 가압돌기를 형성한 상태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키패드용 메탈돔스위치 조립체는, 상,하부케이스(11,12) 내에 구비되어 상면에 접속단자(13a,13b)가 형성된 인쇄회로기판(13), 상기 인쇄회로기판(13) 상에 배치되어 바깥둘레부는 바깥 쪽 접속단자(13b)에 고정적으로 접속되고 중앙부는 중앙의 접속단자(13a)에 선택적으로 접속 또는 단락하는 것에 의해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는 메탈돔스위치(14), 상기 인쇄회로기판(13) 상에 구비되어 메탈돔스위치(14)가 설치되는 스페이서(15), 상기 스페이서(15)에 부착되어 메탈돔스위치(14)를 고정하는 테이프(16), 상기 메탈돔스위치(14)의 상부에 구비되어 도시하지 않은 램프로부터 입사된 광을 표면으로 발산하는 도광판(17), 상기 도광판(17) 상의 상부케이스(11)에 구비되어 메탈돔스위치(14)를 가압하여 탄성변형시키기 위한 키버튼부(19)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도광판(17)은 일반적으로 광학적 특성이 우수한 수지류 예를 들면, PC(Polycarbonate), PMMA(Poly Methyl Metharylate Acrylate), PET (Polyethylen Terephthalate)등으로 제조되고, 그 저면에 요철부를 형성하여 일측에 구비된 램프(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입사된 광을 상측 표면으로 발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광판(17)에는 키버튼부(19)의 누름조작에 의한 가압력이 메탈돔스위치(14)의 중앙부에 집중되도록 하는 가압돌기(20)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압돌기(20)는 도광판(17)을 절결하여 도광판(17)으로부터 분리형성함으로써 도광판(17)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상,하 움직임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17)에 'С'형상의 절결부(21)를 형성함으로써 가동몸체부(22)가 도광판(17)으로부터 분리형성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가동몸체부(22)의 일측은 소정길이의 연결부(23)에 의해 도광판(17)과 연결되도록 상기 절결부(21)의 양끝단으로부터 연이어 '='형상의 절결부(24)를 형성함으로써 구성된다. 상기 도광판(17)은 PC, PMMA 또는 PET등의 수지재로 제조되는 것이므로, 프레스 기기에 의한 절단가공으로 상기 절결부(21,24)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가압돌기(20)의 다른 변형예로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23)를 반대쪽에 더욱 구비하여 가동몸체부(22)를 양측에서 도광판(17)과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로써 도광판(17)에 대하여 가압돌기(20)의 상,하 움직임을 더욱 안정감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5c 및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돌기(20)의 가동몸체부(22)와 도광판(17) 사이에는 연결부(23)의 연결길이에 해당하는 공간부(25)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공간부(25)에 의해 도광판(17)과 가동몸체부(22)의 간격이 넓어짐에 따라 키버튼부(19)의 가압력 작용시 가압돌기(20)의 가동몸체부(22)가 도광판(17)에 의해 간섭될 염려 없이 더욱 자유롭게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키버튼부(9)를 눌렀다가 놓는 동작에 의해 돔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메탈돔스위치(14)의 중앙부가 오목하게 탄성변형하여 접속단자(13a)에 접촉 및 단락함으로써 스위칭기능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사용자가 스위치 조작을 위해 키버튼부(19)를 누르게 되면, 합성수지재의 도광판(17)으로 형성한 가압돌기(20)가 가압되어 눌림방향으로 하강하게 되고, 이때 가압돌기(20)의 가동몸체부(22)는 도광판(7)을 절결하여 도광판(17)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상,하 움직임이 가능하게 형성된 것이므로, 연결부(23)가 굴곡변형하면 서 가압돌기(20)의 가동몸체부(22)만 도광판(17)의 동일 수평선상으로부터 돌출하여 하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압돌기(20)는 키버튼부(19)의 누름조작에 의한 가압력을 메탈돔스위치(14)의 중앙부에 집중시켜 전달할 수 있게 되고, 메탈돔스위치(14)의 중앙부는 정상적으로 오목하게 탄성 변형하게 되므로, 메탈돔스위치(14)의 스위칭기능이 정확하게 수행됨과 동시에, 키버튼부(19)의 누름조작시 '딸깍'하는 좋은 클릭감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버튼부(19)를 누른 상태에서 누름력을 해제하게 되면,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메탈돔스위치(14)의 중앙부가 자체 탄성복원력에 의해 복원하게 되므로 가압돌기(20)의 가동몸체부(22) 및 연결부(23)도 도 4a에 도시된 상태로 원위치하여 다시 도광판(17)과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가압돌기(20)는 도광판(17)을 절결하여 형성된 것으로, 도광판(17)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게 되므로 종래에 도광판의 저면에 가압돌기를 돌출형성한 것에 비하여 가압돌기의 돌출 길이만큼 메탈돔스위치 조립체의 전체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휴대폰용 키패드를 더욱 얇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가압돌기(20)는 도광판(17)에 대하여 프레스 기기에 의한 절단가공을 실시하여 형성되는 것이므로, 별도의 부재를 도광판 저면에 열융착하는 것에 의해 가압돌기를 형성하는 종래의 작업에 비하여 제조가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키패드를 나타낸 주요부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키패드용 메탈돔스위치 조립체를 나타낸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키패드용 메탈돔스위치 조립체에서 메탈돔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키패드용 메탈돔스위치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고안에 따른 키패드용 메탈돔스위치 조립체에서 도광판에 형성한 가압돌기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 : 인쇄회로기판 13a,13b : 접속단자
14 : 메탈돔스위치 17 : 도광판
19 : 키버튼부 20 : 가압돌기
21,24 : 절결부 22 : 가동몸체부
23 : 연결부 25 : 공간부

Claims (3)

  1. 상,하부케이스 내에 구비되어 상면에 접속단자가 형성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어 접속단자에 선택적으로 접속 또는 단락하는 것에 의해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는 메탈돔스위치와, 상기 메탈돔스위치의 상부에 구비되어 입사된 광을 표면으로 발산하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에 구비되어 누름조작에 의한 가압력이 메탈돔스위치의 중앙부에 집중되도록 하는 가압돌기를 구비하는 키패드용 메탈돔스위치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기는, 도광판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움직임 가능하도록 도광판을 절결하여 형성한 가동몸체부와, 상기 가동몸체부의 일측이 도광판에 연결되도록 도광판을 절결하여 형성한 연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용 메탈돔스위치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를 반대쪽에 더욱 구비하여 가동몸체부를 양측에서 도광판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용 메탈돔스위치 조립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기의 가동몸체부와 도광판 사이에 연결부의 연결길이에 해당하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용 메탈돔스위치 조립체.
KR2020090016046U 2009-12-10 2009-12-10 키패드용 메탈돔스위치 조립체 KR2004537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046U KR200453797Y1 (ko) 2009-12-10 2009-12-10 키패드용 메탈돔스위치 조립체
CN2010202523824U CN201780915U (zh) 2009-12-10 2010-07-02 键盘用金属穹顶形开关组装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046U KR200453797Y1 (ko) 2009-12-10 2009-12-10 키패드용 메탈돔스위치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3797Y1 true KR200453797Y1 (ko) 2011-05-27

Family

ID=43794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6046U KR200453797Y1 (ko) 2009-12-10 2009-12-10 키패드용 메탈돔스위치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53797Y1 (ko)
CN (1) CN20178091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44426A (zh) * 2019-09-03 2019-11-12 苏州斯普兰蒂电子有限公司 结构简单的防水薄膜开关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181B1 (ko) 2007-06-08 2008-03-19 주)두성하이텍 도파로 시트를 이용한 휴대폰용 키패드의 제조 방법
JP2009205885A (ja) 2008-02-27 2009-09-10 Sumitomo Electric Printed Circuit Inc スイッチング用の固定接点を備えた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入力モジュール及び携帯機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181B1 (ko) 2007-06-08 2008-03-19 주)두성하이텍 도파로 시트를 이용한 휴대폰용 키패드의 제조 방법
JP2009205885A (ja) 2008-02-27 2009-09-10 Sumitomo Electric Printed Circuit Inc スイッチング用の固定接点を備えた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入力モジュール及び携帯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44426A (zh) * 2019-09-03 2019-11-12 苏州斯普兰蒂电子有限公司 结构简单的防水薄膜开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1780915U (zh) 201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4365B1 (ko) 푸쉬온 스위치
KR100988099B1 (ko) 도광 시트 및 이것을 이용한 가동 접점체와 스위치
US7547858B2 (en) Push button switch
EP2015328B1 (en) Push-button switch
US10354815B2 (en) Push switch
US8431853B2 (en) Metal dome switch for keypad
KR101782244B1 (ko) 가동 접점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그 가동 접점 부재를 사용한 스위치 장치
JP2010135319A (ja) 多段動作スイッチ
KR200453797Y1 (ko) 키패드용 메탈돔스위치 조립체
US20160284488A1 (en) Luminous press key module
JP2007265938A (ja) プッシュ・スライドスイッチ
KR200453798Y1 (ko) 키패드용 메탈돔스위치
CN213781893U (zh) 一种超薄微动按键组件
KR101092179B1 (ko) 도광 필름 일체형 돔 시트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CN213366432U (zh) 一种光轴按键开关
KR20100007489U (ko) 키패드용 메탈돔스위치
CN201319624Y (zh) 手机键盘
CN104505293A (zh) 一种新型键盘开关
JP6399706B2 (ja) 可動接点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可動接点部材を用いたスイッチ装置
KR200457422Y1 (ko) 키패드용 메탈돔스위치
KR101713861B1 (ko)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
KR200462695Y1 (ko) 휴대폰용 키패드
JP2010192275A (ja) 導光シートスイッチ
JP2008181897A (ja) 押釦スイッチ
CN202276386U (zh) 手机及手机按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