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650Y1 - Cushion - Google Patents

Cush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650Y1
KR200453650Y1 KR2020090000066U KR20090000066U KR200453650Y1 KR 200453650 Y1 KR200453650 Y1 KR 200453650Y1 KR 2020090000066 U KR2020090000066 U KR 2020090000066U KR 20090000066 U KR20090000066 U KR 20090000066U KR 200453650 Y1 KR200453650 Y1 KR 2004536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se
cushion
unit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0066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07192U (en
Inventor
서정민
Original Assignee
서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민 filed Critical 서정민
Priority to KR20200900000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650Y1/en
Publication of KR201000071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192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6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650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085Fluid mattresses or cushions of liquid type, e.g. filled with water or g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7/74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 active means, e.g. by using air blowers or liquid pum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학교 교실과 같이 정숙이 요구되는 장소에서 오랜 시간 착석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학생들에게 착석 상태에서 시원함을 계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석이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방석은, 편안한 착석 상태를 얻기 위해 의자에 놓고 사용하는 방석으로서, 복수 개의 단위 시트; 상기 단위 시트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단위 시트를 관통하는 호스; 및 물이 저장되는 물 저장부; 를 포함하고, 상기 물 저장부의 물은 투입구를 통해 상기 호스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eat cushions are provided that can continue to provide coolness while seated for students who need to remain seated for a long time in places where quietness is required, such as school classrooms. Cush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ushion used to place the chair to obtain a comfortable seating state, a plurality of unit sheets; A hose connecting between the unit sheets and passing through the unit sheets; And water storage unit for storing water; It include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of the water storage unit is supplied to the hose through the inlet.

방석, 호스, 물 Cushion, hose, water

Description

방석{CUSHION}Cushion {CUSHION}

본 고안은 방석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학교 교실과 같이 정숙이 요구되는 장소에서 오랜 시간 착석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학생들에게 착석 상태에서 시원함을 계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석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shion.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shion that can continuously provide coolness in a seated state to students who need to be seated for a long time in a place where quietness is required such as a school classroom.

일반적으로 방석은 마루바닥이나, 의자 등에 착석하고자 할 때, 깔고 앉는 것으로 내부 쿠션과 내부 쿠션의 겉을 둘러싸는 덮개로 구성된다. In general, a cushion is composed of an inner cushion and a cover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ushion by sitting on a floor or when seating on a chair or the like.

오랜 시간 좌석에 앉아있는 학생들의 경우 아침부터 저녁까지 계속 한 자리에 앉아서 학업에 열중하지만, 학생들이 사용하는 의자는 딱딱한 바닥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러한 의자에 앉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방석을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방석을 이용하여 오랜 동안 착석 상태를 유지하면 엉덩이 부분에 땀이 흘러 속옷이 젖게 되어 불쾌감을 느끼게 되고, 심한 경우 땀띠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For students who sit in seats for a long time, they stay in one seat from morning to evening, but the chairs used by students are made of hard floors, so the cushions are used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of sitting on such chairs. Most of this is. If you stay seated for a long time using a cushion, sweat will flow to your hips and your underwear will get wet and you will feel uncomfortabl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각형의 나무 조각을 끈으로 연결하여 나무 조각과 나무 조각 사이를 통하여 공기가 통하는 방석을 사용하였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rectangular wooden piece was connected with a string, and air cushion was used between the wooden piece and the piece of wood.

도 1a는 종래의 방석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a부분 의 상세도면으로서, 방석(1)은 나무를 재질로 하여 일정한 크기를 갖고 양측에 각각 연결끈(3)이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공(2a)이 구성된 다수개의 단위 시트(2)를 연결시켜 구성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Figure 1a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cushion, Figure 1b is a detailed view of the portion a of Figure 1a, the cushion 1 is made of wood material having a certain size and connecting strings 3 through each side It is shown that the through-hole (2a) is configur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unit sheets (2) configured to be able to.

즉, 각각의 단위 시트(2)의 측면이 서로 면 접촉 되도록 한 후, 이들의 양측에 각각 구성된 관통공(2a)이 일치하도록 하고, 관통공(2a)에 연결끈(3)을 연결시킴으로써 방석이 만들어지게 된다. That is, the side surfaces of each unit sheet 2 are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n the through holes 2a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coincide with each other, and the connecting strap 3 is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s 2a to cushion the cushions. This will be made.

상기와 같은 방석은 방석을 깔고 앉을 때, 사용 초기에는 나무로 된 단위 시트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공기에 의해 시원함을 느낄 수 있다. The cushion as described above can feel the cool by the air of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wooden unit sheet in the initial use when sitting on the cushion.

그러나, 사용자가 착석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단위 시트 사이의 공간이 사용자의 엉덩이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공기가 통하지 않게 되어 땀이 흐르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었다. However, in the state where the user is seated, since the space between the unit sheets is kept closed by the hips of the user, the air cannot actually pass through and the conventional problem of sweating cannot be solved.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학생들에게도 차량 운전사들이 사용하는 통풍 방석의 사용이 제안되었다.In order to solve this inconvenience, students have also suggested the use of ventilation cushions used by vehicle drivers.

실용신안등록출원 1999-28857호에는 '차량용 통풍 방석'이 개시되었다. 상기 기술은 차량의 에어컨에서 나오는 냉기를 차량 방석으로 유도하여 시원함을 얻도록 구성되어 있다.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1999-28857 discloses a 'vehicle ventilation cushion'. The technique is configured to induce cool air from the air conditioner of the vehicle to the vehicle cushion to obtain a cool.

그러나, 학생들이 학업에 열중하는 교실에는 설치되어 있는 에어컨은 학생 모두의 방석으로 냉기를 공급하기에는 용량이 너무 작은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air conditioning installed in the classroom where students are engaged in schoolwork has a problem that the capacity is too small to supply cold air to all students' cushions.

실용신안등록출원 1994-18091호에는 '통풍 시트용 공기 주입기의 풍량 조절 장치'에는 통풍 시트에 팬(fan)을 연결하여 공기를 방석으로 공급하는 방법이 개시 되었다. 그러나. 통풍 시트에 연결된 팬에서 발생되는 소음에 의해 학생들의 학업 집중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1994-18091 discloses a method of supplying air to a cushion by connecting a fan to the ventilation sheet in the 'air flow rate control device for the ventilation sheet.' But. There is a problem that inhibits students' academic concentration by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fan connected to the ventilation sheet.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정의 형태로 이루어진 단위 시트를 서로 연결하여 방석을 구성하되 각각의 단위 시트를 물이 흐르는 호스를 이용하여 연결하고 호스 내로는 물이 흐르도록 하여 흐르는 물에 의해 방석의 사용자가 시원함을 느끼도록 하는 방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form a cushion by connecting the unit sheets formed in a predetermined form to each other, each unit sheet is connected by using a hose flowing water and the water flows into the hos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ushion for the user of the cushion to feel cool by wat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 태양에 따른 방석은, 편안한 착석 상태를 얻기 위해 의자에 놓고 사용하는 방석으로서, 복수 개의 단위 시트; 상기 단위 시트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단위 시트를 관통하는 호스; 및 물이 저장되는 물 저장부; 를 포함하고, 상기 물 저장부의 물은 투입구를 통해 상기 호스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ush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ushion used to place the chair to obtain a comfortable seating state, a plurality of unit sheets; A hose connecting between the unit sheets and passing through the unit sheets; And water storage unit for storing water; It include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of the water storage unit is supplied to the hose through the inlet.

상기 호스는 서로 직교하며 복수 개의 상기 단위 시트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 호스,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시트의 외곽에 위치하는 메인 호스로 구성될 수 있다. The hose is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nnecting hoses connecting the plurality of unit sheets to each other, and a main hose positioned outside the plurality of unit sheets.

상기 투입구에는 물의 유입량과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The inlet may be provided with a valve for adjusting the inflow and discharge of water.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단위 시트를 연결 호스로 연결하여 방석을 구성한 후, 연결 호스의 내측으로 물을 흐르도록 하면 물이 흐르며 주위의 열을 빼앗게 되어 방석의 온도를 낮출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랜 시간 착석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사용자가 시원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fter constructing a cushion by connecting the unit sheet with a connection hose, if the water flows into the connection hose, the water flows to take away the surrounding heat to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cushion There is an effect to make the user feels cool to stay seated for a long time.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석(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cushion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방석(100)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단위 시트(200), 복수 개의 단위 시트(200)를 서로 연결하는 호스(300) 및 호스(300)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물 저장부(400)를 기본적인 구성으로 한다. As illustrated, the cushion 100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sheets 200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 hose 300 connecting the plurality of unit sheets 200 to each other, and water supplied to the hose 300. The storage unit 400 has a basic configuration.

본 고안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 요소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단위 시트(200)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unit sheet 200 will be described.

복수 개의 단위 시트(200)는 나무 재질로 이루어지고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모두 동일한 크기와 형태로 형성되어, 본 고안에 의한 방석(100)의 전체적인 외관 구성에 사용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unit sheets 200 are made of a wood material and ar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are all formed in the same size and shape, and thus may be used in the overall appearance configuration of the cushio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단위 시트(200)의 재질과 형태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즉, 단위 시트(200)의 재질은 가공이 용이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외형은 정사각형 등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material and shape of the unit sheet 200 may be changed by the user's needs. That is, the material of the unit sheet 200 may be made of a plastic that can be easily processed, and the outer shape may be formed in a shape desired by a user such as a square.

복수 개의 단위 시트(200)를 서로 연결하여 방석(100)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각각의 단위 시트(200)에는 관통공(202)이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관통공(202)은 단위 시트(200)의 내부에서 서로 대향하는 변을 향하여 형성됨으로써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위 시트(200)의 내부에서 서로 교차할 수도 있다. In order to configure the cushion 100 b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unit sheets 200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02 may be formed in each unit sheet 200.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202 may be formed to face sides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unit sheet 200, and may be formed in direction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may cross each other in the unit sheet 200.

복수 개의 관통공(202)에는 후술하는 연결 호스가 삽입될 수 있다. Connection hoses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202.

이때, 관통공(202)에 삽입되는 연결 호스의 내부로는 물이 흐르므로, 물에 의한 온도 저하 효과를 얻기 위하여 단위 시트(200)의 내구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관통공(202)은 단위 시트(200)의 표면에 가능한 근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since water flows into the connection hos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02, the through hole 202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affect the durability of the unit sheet 200 in order to obtain a temperature lowering effect by water. The silver is preferably form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surface of the unit sheet 200.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단위 시트(200)는 호스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The unit sheet 2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connected by a hose.

호스(300)는 복수 개의 단위 시트(200)에 형성된 관통공(202)에 삽입되어 단위 시트(20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 호스(310)와 연결 호스(310)로 물을 공급하고 연결 호스(310)를 통해 흐른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메인 호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se 30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02 formed in the plurality of unit sheets 200 to supply water to the connection hose 310 and the connection hose 310 that connect the unit sheets 200 to each other, It may include a main hose 300 for discharging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310 to the outside.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석에서 사용하는 단위 시트와 호스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도면이다. 3 and 4 are partial views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unit sheet and the hose used in the cush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연결 호스(31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First, the connection hose 310 will be described.

연결 호스(310)는 단위 시트(200)에 형성된 관통공(202)을 통해 삽입된 후 이웃하는 단위 시트(200)의 관통공(202) 중 일직선상에 위치하고 있는 관통공(202)에 연속적으로 삽입됨으로써 복수 개의 단위 시트(20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hose 310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202 formed in the unit sheet 200, and then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202 located in a straight line among the through holes 202 of the neighboring unit sheet 200. The plurality of unit sheets 2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being inserted.

도면에는 복수 개의 단위 시트(200)가 동일선상에 정렬된 상태에서 연결 호 스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나,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웃하는 단위 시트와 엇갈린 상태에서 연결될 수도 있다. In the drawing, the plurality of unit sheets 200 are connected by a connection hose in a state aligned on the same line, but may be connected in a staggered state with neighboring unit sheets as shown in FIG. 1A.

단위 시트(200)와 단위 시트(200)의 사이에는 연결 호스(310)가 관통될 수 있는 연결 구슬(204)을 위치시켜 굴곡진 곳에 방석이 위치될 때 단위 시트(200)와 단위 시트(200)의 모서리가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unit sheet 200 and the unit sheet 200 are positioned between the unit sheet 200 and the unit sheet 200 when the cushion is positioned in a bent position by placing a connection bead 204 through which the connection hose 310 can penetrate. It is desirable to prevent the edges of the clash from colliding with each other.

연결 호스(310)는 실리콘 고무와 같은 유연하고 질긴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하여, 사용자가 방석(100)에 착석하였을 때 각각의 단위 시트(200)들이 사용자의 신체 굴곡에 맞추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nection hose 310 is manufactured by using a flexible and tough material such as silicone rubber, so that when the user is seated on the cushion 100, each unit sheet 200 can be fitted to the user's body flexion. Do.

메인 호스(32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The main hose 320 will be described.

메인 호스(320)는 방석(100)의 외곽을 따라 위치될 수 있고, 메인 호스(320)가 위치된 후, 단위 시트(200)를 연결하는 연결 호스(310)의 양 단부는 메인 호스(320)에 연결될 수 있다. The main hose 320 may be located along the outside of the cushion 100, and after the main hose 320 is positioned, both ends of the connection hose 310 connecting the unit sheet 200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hose 320. ) Can be connected.

연결 호스(310)와 메인 호스(320)는 소정의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메인 호스(320)로 유입된 물은 복수개의 연결 호스(310)로 유입되므로, 연결 호스(310)의 직경은 메인 호스(320)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The connection hose 310 and the main hose 320 may be formed to a predetermined diameter. In this case, since water introduced into the main hose 320 is introduced into the plurality of connection hoses 310, the diameter of the connection hose 310 may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main hose 320.

다시 도 2를 살펴보기로 한다. 2 will be described again.

메인 호스(320)에는 2개의 물 저장부(400)가 연결될 수 있다. Two water reservoirs 400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hose 320.

물 저장부(400)는 소정 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2개의 물 저장부(400)는 서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The water storage unit 400 may be formed in a size capable of stor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and the two water storage units 400 may be formed in the same size.

메인 호스(320) 양측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는 투입구(330)가 형성되고, 투입구(330)에 의해 각각의 물 저장부(400)와 메인 호스(320)가 연결될 수 있다. Inlet positions 330 are formed at opposite sides of the main hose 320, and each water storage unit 400 and the main hose 320 may be connected by the inlet 330.

따라서, 물 저장부(400)의 물은 투입구(330)와 메인 호스(320)를 통해 복수 개의 연결 호스(310) 각각으로 유입될 수 있고, 이후 연결 호스(310)의 타 단을 통해 다시 메인 호스(320)로 유입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water of the water storage unit 400 may be introduced in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hoses 310 through the inlet 330 and the main hose 320, and then again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hose 310. It may flow into the hose 320.

투입구(330)에는 물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34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밸브(340)의 조절에 의해 물 저장부(400)에서 메인 호스(320)로의 물 유입량 또는 메인 호스(320)에서 물 저장부(400)로의 물 배출량이 제어될 수 있다. The inlet 33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valve 340 that can adjust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herefore, the water inflow amount from the water reservoir 400 to the main hose 320 or the water discharge amount from the main hose 320 to the water reservoir 400 may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valve 340.

한편, 물 저장부(400)에 저장된 물이 메인 호스(320)로 원활히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투입구(330)에는 펌프와 같은 기구가 연결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llow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400 to flow smoothly to the main hose 320, the inlet 330 may be connected to a mechanism such as a pump.

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2개의 물 저장부의 높이를 서로 달리하여 위치 에너지에 의해 발생된 수압에 의해 물의 흐름이 발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It is also possible to vary the height of the two water reservoirs without using a pump so that the flow of water is generated by the water pressure generated by the potential energy.

또한, 물 저장부(400) 대신 투입구(330)를 상수도의 수도 꼭지와 같은 물 공급 기구에 직접 연결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stead of the water storage unit 400, the inlet 33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a water supply mechanism such as a tap of water.

상기와 같이 수압을 발생시켜 물 저장부(400)의 물이 호스(300) 내부로 흐르도록 하는 구성은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of generating water pressure to allow the water in the water storage unit 400 to flow into the hose 300 may be selected by a user's needs.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동작될 수 있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operated as follows.

먼저, 사용자는 2개의 물 저장부(400) 중 하나의 저장부에는 물을 넣어 저장하고, 다른 하나는 비워두도록 한다. First, the user puts water in one of the two water storage units 400 and stores the water, and the other is left empty.

본 고안에 의한 방석의 용도는 시원함을 얻기 위함이므로 물 저장부(400)에 저장되는 물은 온도가 가능한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Since the use of the cush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btain coolness,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400 is preferably as low as possible temperature.

이후, 하나의 물 저장부(400)는 방석(100)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시키고, 다른 물 저장부(400)는 방석(100)의 높이 보다 낮게 위치되도록 한다. Then, one water storage unit 400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cushion 100, the other water storage unit 400 is to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cushion 100.

높게 위치되어 있는 물 저장부(400)에 저장되어 있는 물은 위치 에너지에 의해 소정의 수압이 발생되므로, 물은 투입구(330)와 메인 호스(320)를 통해 연결 호스(310)로 유입될 수 있다. Since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400 located at a high position generates a predetermined water pressure due to potential energy, wat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connection hose 310 through the inlet 330 and the main hose 320. have.

각각의 연결 호스(310)로 유입된 물은 연결 호스(310)를 통해 흐르면서 연결 호스(310) 주위의 열 즉, 단위 시트(200)의 열을 빼앗아 단위 시트(200)의 온도를 낮출 수 있고, 이로 인해 복수 개의 단위 시트(200)를 이용하여 구성된 방석(100)을 차갑게 할 수 있으며, 방석(100) 사용자는 시원함을 느낄 수 있다. Water flowing into each connection hose 310 may flow through the connection hose 310 to take away the heat around the connection hose 310, that is, the heat of the unit sheet 200, thereby lowering the temperature of the unit sheet 200. This makes it possible to cool the cushion 100 configured by using the plurality of unit sheets 200, and the user of the cushion 100 may feel cool.

사용자는 밸브(340)의 조정에 의해 투입구(330)를 통한 물의 유입량과 배출량을 조절하여 연결 호스(310)를 흐르는 수량을 조절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가 원하는 시원함의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The user may adjust the amount of flowing through the connection hose 310 by adjusting the inflow and discharge of water through the inlet 330 by the adjustment of the valve 340, thereby adjusting the degree of coolness desired by the user.

연결 호스(310)를 흐른 물은 연결 호스(310)의 타 단을 통해 메인 호스(320)로 유입되므로, 사용자의 체온에 의해 연결 호스(310)를 따라 흐르는 물의 수온이 높아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방석의 사용자는 계속 시원함을 얻을 수 있다. Since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connection hose 310 is introduced into the main hose 320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hose 310, the water temperature of the water flowing along the connection hose 310 by the user's body temperature can be prevented from increasing. The user of the cushion can still get cool.

메인 호스(320)로 유입된 물은 하수도를 통해 방류할 수 있지만, 반대편에 연결되어 있는 물 저장부(400)에 저장한 후에 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ater introduced into the main hose 320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sewer, but is preferably reused after being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400 connected to the opposite side.

물이 저장되어 있던 물 저장부(400)의 물이 모두 배출되면 더 이상의 시원함 을 얻을 수 없다. 이 경우에는 물이 비워진 물 저장부(400)와 물이 채워진 물 저장부(400)의 높이를 서로 바꾸면 호스 내에서의 물 흐름이 역 방향으로 재개되므로 방석에 착석하고 있는 사용자는 계속적인 시원함을 얻을 수 있다. If all of the water in the water storage unit 400 where the water is stored is discharged, no more coolness can be obtained. In this case, if the height of the water storage unit 400 and the water storage unit 400 filled with water is changed to each other, the water flow in the hose resumes in the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user seated on the cushion is kept cool. You can get it.

물이 물 저장부(400)를 오고 가는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수온이 높아져 사용자는 시원함을 느끼지 못할 수 있으므로, 물 저장부(400)에는 방열핀과 같이 물 저장부(400)의 안팎으로 열 교환이 가능한 구성 요소를 설치하여 저장되어 있는 물의 수온을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Since the water temperature increases as the water goes back and forth to and from the water storage unit 400, the user may not feel cool, so that the water storage unit 400 exchanges heat in and out of the water storage unit 400 such as a heat radiating fin. It is desirable to install possible components to lower the water temperature of the stored water.

한편, 물 저장부(400)와 메인 호스(320)를 연결하는 투입구(330)에 펌프(미도시)를 설치하여 물의 흐름이 발생되도록 하면, 물 저장부(400)의 높이를 조정하지 않아도 시원함을 얻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by installing a pump (not shown) in the inlet 330 connecting the water storage unit 400 and the main hose 320 to generate the flow of water, it is cool even without adjusting the height of the water storage unit 400 Can be obtained.

이 경우에는 일측의 물 저장부(400)에 저장된 물이 모두 타 측의 물 저장부(400)로 이동한 경우에는 펌프의 동작 방향을 변경하는 스위치 조작에 의해 시원함을 계속적으로 얻을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all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400 on one side moves to the water storage unit 400 on the other side, coolness can be continuously obtained by a switch operation for changing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pump.

또한, 수도 꼭지(미도시)와 투입구(330)를 연결하여 수돗물이 직접 투입구(33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면 물 저장부(400)의 높이를 조절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고, 메인 호스와 연결 호스를 통해 계속적으로 물이 흐르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connecting the tap (not shown) and the inlet 330 so that the tap water can be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inlet 330,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water storage unit 400, the main hose and Continuous water flows through the connecting hose.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한 변형예 및 변경예는 본 고안과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 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bu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subject innova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should be regard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ppend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도 1a는 종래의 방석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1A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cushion.

도 1b는 도 1a의 a부분의 상세도면,Figure 1b is a detailed view of the portion a of Figure 1a,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석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cush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석에서 사용하는 단위 시트와 호스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도면.3 and 4 are partial views show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unit seat and the hose used in the cush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방석100: cushion

200: 단위 시트200: unit sheet

300: 호스300: hose

310: 연결 호스310: connecting hose

320: 메인 호스320: main hose

330: 투입구330: slot

340: 밸브340: valve

400: 물 저장부400: water reservoir

Claims (3)

편안한 착석 상태를 얻기 위해 의자에 놓고 사용하는 방석으로서, A cushion that is placed on a chair and used to get a comfortable seating state, 복수 개의 단위 시트; A plurality of unit sheets; 상기 단위 시트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단위 시트를 관통하는 호스; 및A hose connecting between the unit sheets and passing through the unit sheets; And 물이 저장되는 물 저장부를 포함하고,It includes a water storage unit for storing water, 상기 물 저장부의 물은 투입구를 통해 상기 호스에 공급되며,The water of the water storage unit is supplied to the hose through the inlet, 상기 호스는,The hose, 서로 직교하며 복수 개의 상기 단위 시트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 호스, 및A plurality of connecting hoses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connecting the plurality of unit sheets to each other; and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시트의 외곽에 위치하는 메인 호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석.Cushio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main hose loca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lurality of unit sheet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투입구에는 물의 유입량과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석.Cush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inlet is provided with a valve that can adjust the inflow and discharge of water.
KR2020090000066U 2009-01-05 2009-01-05 Cushion KR20045365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066U KR200453650Y1 (en) 2009-01-05 2009-01-05 Cush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066U KR200453650Y1 (en) 2009-01-05 2009-01-05 Cush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192U KR20100007192U (en) 2010-07-14
KR200453650Y1 true KR200453650Y1 (en) 2011-05-23

Family

ID=44452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0066U KR200453650Y1 (en) 2009-01-05 2009-01-05 Cush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650Y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418B1 (en) * 2001-12-10 2003-12-31 정용범 Bed mattress for water to be circulated water
KR20050115430A (en) * 2004-06-02 2005-12-07 허석구 Water bag for car heat dissipation and water bag for cushion
KR100694484B1 (en) 2005-06-08 2007-03-13 임동규 Air cushion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20080075812A (en) * 2008-04-10 2008-08-19 이선구 Silicon cushion for preventing bed so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418B1 (en) * 2001-12-10 2003-12-31 정용범 Bed mattress for water to be circulated water
KR20050115430A (en) * 2004-06-02 2005-12-07 허석구 Water bag for car heat dissipation and water bag for cushion
KR100694484B1 (en) 2005-06-08 2007-03-13 임동규 Air cushion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20080075812A (en) * 2008-04-10 2008-08-19 이선구 Silicon cushion for preventing bed so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192U (en) 2010-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34286T3 (en) Air-conditioned bed
US8640281B2 (en) Non-inflatable temperature control system
WO2001015573A1 (en) Cooled bedding, cooled cushion, cooled mat, cooled chair, cooled clothes and cooled shoes
WO1996011617A1 (en) Hydraulic pillow
US9993086B2 (en) Prostatic relief cushion and method
KR101451392B1 (en) Ondol bed
KR200453650Y1 (en) Cushion
KR100718886B1 (en) A pillow where the high and low is controlled
KR20170050473A (en) mattress assembly including air mattresses
KR200485005Y1 (en) Ventilating seat for vehicle
KR20170050471A (en) Mattress comprising a functional layer
KR20140013825A (en) Ventilating seat for wheelchair
KR101027803B1 (en) Cooling seat
KR100553222B1 (en) Healthful cushion
KR102050963B1 (en) Chair ventilation and heating
KR101671147B1 (en) Chair with heat textile improved air-permeability
CN108621885A (en) Ventilating chair
JP2004141210A (en) Seat device having dehumidifying function
CN109532591A (en) A kind of automotive seat with adjustable gas venting system
CN204483613U (en) The elastic pad of resistance to sitting device
KR20230164252A (en) Ventilated air mat for seats capable of pressure dispersion and sequential shift flotation
TWI711411B (en) Inflatable cushion
US11419426B2 (en) Portable seat cushion
CN209474152U (en) A kind of cushion
KR20050101152A (en) Ventilation m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