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557Y1 - 태양광 모듈 구조 - Google Patents

태양광 모듈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557Y1
KR200453557Y1 KR2020080015187U KR20080015187U KR200453557Y1 KR 200453557 Y1 KR200453557 Y1 KR 200453557Y1 KR 2020080015187 U KR2020080015187 U KR 2020080015187U KR 20080015187 U KR20080015187 U KR 20080015187U KR 200453557 Y1 KR200453557 Y1 KR 2004535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support
solar
photovoltaic
sola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51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5297U (ko
Inventor
김영복
Original Assignee
선일전력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일전력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선일전력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151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557Y1/ko
Publication of KR201000052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2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5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5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주나 지주에 간단히 체결하여 태양광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태양광 모듈(module) 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태양광 모듈 뒷쪽면에 태양광 모듈(module) 지지대를 볼 힌지(ball hinge)로 형성하여 고정 시키고 지지대 반대 끝쪽에는 전주나 지주에 체결시키기 위한 원형 밴드(band)를 형성 시키게 된다. 또한 태양광 모듈 뒷쪽면 일측에는 태양광 모듈의 정확한 고정 및 방향 전환을 위한 방향 전환 지지대를 형성 시키고 이 방향 전환 지지대의 고정 또한 볼 힌지(ball hinge)를 방향 전환 지지대 끝단에 형성 시켜 태양광 모듈과 접합 시키게된다. 반대쪽 끝단은 태양광 모듈(module) 지지대에 접합시키게 된다. 또한 방향 전환 지지대의 중간 일측에는 방향 전환시 각도 조절 및 거리 조정을 위한 턴 버클(turn buckle)을 형성 시킴으로써 전주나 지주에 간단히 체결하며 방향 및 위치를 쉽게 조작하여 태양광 전력을 생산할 수 있도록 형성시킨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module)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현재의 태양광 모듈(module)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은 집합식 또는 다양한 방식으로 일정한 구조틀을 통하여 설치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기기들의 몸체에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태양광 모듈(module) 하나 하나를 원하는 전주나 지주에 단독 또는 복수개를 설치하여 탱양광 전력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태양광, 모듈(module), 전주, 지주, 볼 힌지(ball hinge), 턴 버클(turn buckle), 원형 밴드(band), 태양광 발전

Description

태양광 모듈 구조 {solar module system}
본 고안은 태양광 모듈(module)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광 모듈(module) 뒷쪽면 가운데 부분에 태양광 모듈(module) 지지대를 볼 힌지(ball hinge)로 형성 시켜 고정 시키고, 상기 지지대 반대쪽 끝단에는 전주 및 지주에 체결을 위한 원형 밴드(band)를 형성 시키고, 태양광 모듈(module) 뒷쪽면 일측에는 태양광 모듈(module)의 정확한 고정 및 방향 전환을 위한 방향 전환 지지대를 상기 볼 힌지(ball hinge)를 형성 시켜 고정 시키고, 방향 전환 지지대의 반대쪽 끝단은 태양광 모듈(module) 지지대에 고정 시키고, 방향 전환 지지대의 중간부 일측에는 방향 전환시 각도 조절 및 거리 조정을 위한 턴 버클(turn buckle)을 형성 시킴으로써 전주나 지주에 쉽게 부착시켜 태양광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태양광 모듈(module) 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다양한 형태로 태양광 모듈(module)을 생산하여 일정한 구조의 틀 또는 구조물에 형성 시켜 태양광 전력을 생산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물체들의 외면에 태양광 셀(cell) 들을 형성 시켜 필요한 태양광 전기를 생산 하여왔다. 이렇게 생산된 태양광 전력을 자체 사용하거나 한국전력공사에 태양광 전력을 공급하여 수익을 얻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하나의 태양광 전력 생산 방식을 결정한 후 그 틀에 맞게 태양광 모듈(module)을 맞추는 것이였다. 또한 독립적 구조의 태양광 모듈(module)은 단독으로 사용 되는 경우가 어려우며 집단으로 형성 되어야 관리 및 유지 측면에서 효율적 이였다. 태양광 발전은 효율이나 필요한 전력을 얻는 측면에서 넓은 면적이 필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자재비 및 시공비가 과다하게 많이 소요 되고 있다. 이와같은 이유로 인하여 단독 독립적으로 태양광 발전을 위한 태양광 모듈(module) 개발은 진보적이지 못했다. 특히 전주나 지주에 용이한 설치를 위한 독립적인 구조의 태양광 모듈(module) 구조는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하나의 독립적인 태양광 모듈(module) 구조를 형성시켜 전주나 지주등에 쉽고 용이하게 취부하여 태양광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태양광 모듈(module)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태양광 모듈(module) 구조는 개개의 개소에 독립적으로 형성 되지만 대부분이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한국전력공사의 전력선과 근접해 있기 때문에 태양광 전력을 생산한 후 한국전력공사의 전력선을 통해 통합적으로 한국전력공사에게 태양광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주위의 필요한 부분에 태양광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고안의 태양광 모듈(module)(10) 구조는 태양광 모듈(module)(10) 뒷쪽면 가운데 부분에 태양광 모듈(module)(10) 지지대((20)를 볼 힌지(ball hinge)(60)로 형성 시켜 고정 시키고, 상기 지지대(20) 반대쪽 끝단에는 전주 및 지주에 체결을 위한 원형 밴드(band)(30)를 형성 시키게 된다. 또한 태양광 모듈(module)(10) 뒷쪽면 일측에는 태양광 모듈(module)(10)의 정확한 고정 및 방향 전환을 위한 방향 전환 지지대(50)를 상기 볼 힌지(ball hinge)(60, 70)를 형성 시켜 고정 시키고, 방향 전환 지지대(50)의 반대쪽 끝단은 태양광 모듈(module)(10) 지지대(20)에 고정 시키게 된다. 또한 방향 전환 지지대(50)의 중간부 일측에는 방향 전환시 각도 조절 및 거리 조정을 위한 턴 버클(turn buckle)(40)을 형성 시킴으로써 완성되게 된다. 이로써 상기 태양광 모듈(module) 구조를 전주나 지주에 쉽고 용이하게 설치함 으로써 태양광 전력을 생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단독 독립적인 태양광 모듈(module) 구조에 의하여 쉽고 용이하게 전주나 지주에 부착 시켜 태양광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 전력 시설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 비용이 저렴하며 유지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태양광 모듈(module) 구조의 방향을 효율적으로 변경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하여 태양광 모듈(module)(10) 구조의 지지대(20) 끝단의 원형 밴드(band)(30)를 도 3 에서와 같이 전주나 지주에 체결 시키게 된다. 이때 태양광 모듈(module) 구조의 갯수는 상황에 맞게 조정이 가능하다. 이렇게 체결된 태양광 모듈(module)(10)을 계절이나 위치 상황에 맞게 방향 전환 지지대(50)의 중간부 일측에 형성된 턴 버클(turn buckle)(40)을 사용하여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예를 들면, 좌측 부분을 낮추고 우측 부분을 높이고자할 경우 ; 좌측 부분의 턴 버클(turn buckle)(40)을 조임과 동시에 우측 부분의 턴 버클(turn buckle)(40) 풀어줌 으로써 태양광 모듈(module)(10)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완성 시킴으로써 전주나 지주가 서있는 어느 곳에서든 태양광 모듈(module) 구조를 쉽고 간편하게 설치하여 태양광 전력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전술한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의하여 한정된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한국전력공사의 전주, 지주 및 도로변에 설치되어 있는 교통신호등 지주 등에 널리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할 경우 추가적인 설치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하지 않게 되며 한번의 설치로 인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태양광 전력 생산량을 한국전력공사에 판매하여 지속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된다. 또한 다른 태양광 발전소 건설에 소요되는 비용에 비하여 건설 비용 절감 효과가 크며, 태양광 모듈(module) 구조에 의해 생산된 전력을 인근의 필요한 곳에 전력을 공급하여 한국전력공사에서 생산된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 등을 영위할 수 있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산업상 이용가능성은 무궁 무진하다 하겠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태양광 모듈(module)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로써, 배면도( 1 - 1 ), 정면도( 1 - 2 ) 및 측면도( 1 - 3 ) 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태양광 모듈(module) 구조의 상세도를 도시한 사시도 로써, 태양광 모듈(module) 구조 배면도( 2 - 1 ), 방향 전환 지지대 중간부 턴 버클(turn buckle) 확대 평면도( 2 - 2 ) 및 태양광 모듈(module)과 지지대, 방향 전환 지지대 접속 볼 힌지(ball hinge) 확대 평면도( 2 - 3 ) 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태양광 모듈(module) 구조를 전주나 지주에 설치한 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태양광 모듈(module) 구조
20 : 태양광 모듈(module) 지지대
30 : 원형 밴드(band)
40 : 턴 버클(turn buckle)
50 : 방향 전환 지지대
60 : 태양광 모듈(module) 지지대 볼 힌지(ball hinge)
70 : 방향 전환 지지대 볼 힌지(ball hinge)

Claims (4)

  1. 태양광 모듈(module)(10) 뒷쪽면 가운데 부분에 태양광 모듈(module)(10) 지지대((20)를 볼 힌지(ball hinge)(60)로 형성 시켜 고정 시키고, 상기 지지대(20) 반대쪽 끝단에는 전주 및 지주에 체결을 위한 원형 밴드(band)(30)를 형성 시킨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구조.
  2. 상기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모듈(module)(10) 뒷쪽면 일측에는 태양광 모듈(module)(10)의 정확한 고정 및 방향 전환을 위한 방향 전환 지지대(50)를 형성 시킨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module) 구조.
  3. 상기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전환 지지대(50) 중간부 일측에는 방향 전환시 각도 조절 및 거리 조정을 위한 턴 버클(turn buckle)(40)을 형성 시킨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module) 구조.
  4. 삭제
KR2020080015187U 2008-11-14 2008-11-14 태양광 모듈 구조 KR2004535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187U KR200453557Y1 (ko) 2008-11-14 2008-11-14 태양광 모듈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187U KR200453557Y1 (ko) 2008-11-14 2008-11-14 태양광 모듈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297U KR20100005297U (ko) 2010-05-25
KR200453557Y1 true KR200453557Y1 (ko) 2011-05-13

Family

ID=44450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5187U KR200453557Y1 (ko) 2008-11-14 2008-11-14 태양광 모듈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557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1955A (en) * 1991-01-14 1992-07-21 General Dynamics Corporation/Space Systems Division Depolyable retractable photovoltaic concentrator solar array assembly for space applications
JP2002076415A (ja) 2000-08-25 2002-03-15 Hitachi Ltd 太陽光発電設備
KR100799771B1 (ko) 2007-06-21 2008-02-01 주식회사 도시환경이엔지 태양광 발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1955A (en) * 1991-01-14 1992-07-21 General Dynamics Corporation/Space Systems Division Depolyable retractable photovoltaic concentrator solar array assembly for space applications
JP2002076415A (ja) 2000-08-25 2002-03-15 Hitachi Ltd 太陽光発電設備
KR100799771B1 (ko) 2007-06-21 2008-02-01 주식회사 도시환경이엔지 태양광 발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297U (ko) 2010-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5500B2 (en) Solar energy collecting systems and methods
JP2022133457A (ja) 太陽光発電装置および該装置の使用
CN203775114U (zh) 水面漂浮式密集型光伏发电装置
WO2016045473A1 (zh) 柔性光伏支架
KR102038530B1 (ko)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CN102271493B (zh) 用于绿色建筑物正面的支撑结构
WO2010129087A3 (en) Photovoltaic solar collection and tracking system
DE10085325T1 (de) Mit Direktfrostschutzmittel gekühltes Brennstoffzellen-Kraftwerksystem
MX2014006844A (es) Sistemas de montaje de modulos fotovoltaicos de auto-lastre de baja resistencia al viento.
AU2017412309A1 (en) Groun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module unit and groun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module
CN206993053U (zh) 一种安装在平房屋顶的双面光伏电池装置
CN203632600U (zh) 光伏组件安装支架及太阳能路灯
KR102198670B1 (ko) 와이어 고정식 태양광 발전 장치
CN204539056U (zh) 景观光伏大道一体化太阳能发电站
KR200453557Y1 (ko) 태양광 모듈 구조
KR20150145454A (ko) 태양광 발전장치
JP2013234462A (ja) 土地の利用方法及び建物ユニット
CN103456816B (zh) 一种管状光伏发电组件的应用方法
CN208016473U (zh) 一种具有组合式骨架的光伏农业大棚
US20180367094A1 (en) Photovoltaic module unit and photovoltaic device
JP2013045975A (ja) 太陽光発電パネル付き保護屋根及び太陽光発電システム
JP2010192777A (ja) 太陽光発電設備及び太陽電池アレイの設置方法
CN207354131U (zh) 一种安装在平房屋顶的双面光伏电池装置
CN203800867U (zh) 光伏阵列支架
CN208581197U (zh) 一种全日跟踪太阳能柔性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