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8670B1 - 와이어 고정식 태양광 발전 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고정식 태양광 발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8670B1
KR102198670B1 KR1020180116845A KR20180116845A KR102198670B1 KR 102198670 B1 KR102198670 B1 KR 102198670B1 KR 1020180116845 A KR1020180116845 A KR 1020180116845A KR 20180116845 A KR20180116845 A KR 20180116845A KR 102198670 B1 KR102198670 B1 KR 102198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pair
posts
fixed
longitud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7526A (ko
Inventor
우종수
Original Assignee
우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종수 filed Critical 우종수
Priority to KR1020180116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670B1/ko
Publication of KR20200037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7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종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제1 지주; 한 쌍의 제1 지주에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상하 교차되는 제1 종축 와이어; 한 쌍의 제1 지주와 횡 방향으로 이격되어 한 쌍의 제1 지주와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제2 지주; 한 쌍의 제2 지주에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상하 교차되는 제2 종축 와이어; 양단이 제1 종축 와이어와 제2 종축 와이어 중 어느 하나에 상하 위상차를 갖도록 각각 연결 고정되고, 다른 하나에 중간의 두 지점이 지지되어 사선으로 연결 고정되는 횡축 와이어; 및 횡축 와이어에 횡축 와이어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태양전지모듈;을 포함하는 와이어 고정식 태양광 발전 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지주에 지지되는 횡축 와이어의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태양전지모듈을 일정 경사각으로 공중에 부상되게 설치함으로써 설치비용을 크게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와이어 고정식 태양광 발전 장치 {WIRE FIXING TYPE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OR}
본 발명은 와이어 고정식 태양광 발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태양전지모듈을 와이어에 거치시켜 공중에 부상된 상태로 운용할 수 있는 와이어 고정식 태양광 발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발전 장치는 태양에서 복사되어 전달되는 태양 빛을 태양전지모듈에서 받아들여 전기를 생산하고, 생산된 전기를 저장 또는 외부로 송출할 수 있도록 하는 설비를 말한다. 이와 같은 태양광 발전 장치는 땅에 고정되는 지주와, 각 지주의 상단에 결속되는 지지프레임과, 각 지지프레임 상에 태양을 향하도록 장착되는 태양전지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태양광 발전 장치는 지주의 상단에 지지프레임이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됨으로써 다수의 지주 사용으로 인해 자원 낭비를 초래하고, 설치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아울러, 종래의 태양광 발전 장치는 각 지주들 사이가 매우 좁고 그 설치높이가 낮게 마련됨으로써 설치장소의 토지는 다른 용도로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78412호 (공개일자: 2018년 07월 10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설치비용을 최소화하고, 설치장소의 토지를 활용할 수 있는 와이어 고정식 태양광 발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와이어 고정식 태양광 발전 장치는, 종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제1 지주; 한 쌍의 제1 지주에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상하 교차되는 제1 종축 와이어; 한 쌍의 제1 지주와 횡 방향으로 이격되어 한 쌍의 제1 지주와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제2 지주; 한 쌍의 제2 지주에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상하 교차되는 제2 종축 와이어; 양단이 제1 종축 와이어와 제2 종축 와이어 중 어느 하나에 상하 위상차를 갖도록 각각 연결 고정되고, 다른 하나에 중간의 두 지점이 지지되어 사선으로 연결 고정되는 횡축 와이어; 및 횡축 와이어에 횡축 와이어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태양전지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와이어 고정식 태양광 발전 장치 있어 횡축 와이어의 일단에는, 그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턴버클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와이어 고정식 태양광 발전 장치는, 횡축 와이어의 일단과, 제1 종축 와이어와 제2 종축 와이어 중 어느 하나 사이에 설치되어 횡축 와이어를 지지하는 윈치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와이어 고정식 태양광 발전 장치는, 태양전지모듈의 후면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 각 고정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격설치되어 횡축 와이어에 거치될 수 있는 두 쌍의 거치대; 및 각 거치대의 측면과 횡축 와이어 사이에 고정설치되어 태양전지모듈의 좌우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클립;을 포함하는 태양전지모듈 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와이어 고정식 태양광 발전 장치에 있어 각 거치대는,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편; 고정편의 일단에서 만곡되어 내측이 횡축 와이어에 거치될 수 있는 만곡부; 및 만곡부로부터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연장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와이어 고정식 태양광 발전 장치에 있어 고정클립은, 중앙에 곡선으로 형성되는 제1반원부와, 제1반원부의 양측으로 각각 수평 연장된 한 쌍의 제1결합부를 포함하는 제1클립; 및 제1반원부와 대칭되게 형성되어 제1반원부와의 사이에 횡축 와이어가 개재될 수 있는 제2반원부와, 제1클립의 각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한 쌍의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제2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고정식 태양광 발전 장치에 의하면, 지주에 지지되는 횡축 와이어의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태양전지모듈을 일정 경사각으로 공중에 부상되게 설치함으로써 설치비용을 크게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모든 태양전지모듈이 일정높이로 공중에 부양됨으로써 도로나 하천 등에도 설치가 가능하며, 목장, 농지 및 갯벌 등의 토지를 원래의 목적대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식 태양광 발전 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를 확대해서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B'를 확대해서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C'를 확대해서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D'를 확대해서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태양전지모듈의 후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E'를 확대해서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거치대를 확대해서 보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고정클립을 분해해서 보인 사시도이다.
도 10a는 도 1의 평면도로서 횡축 와이어의 설치 상태를 화살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b는 도 10a의 변형예로서 횡축 와이어의 또 다른 설치 상태를 화살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식 태양광 발전 장치가 설치된 사례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식 태양광 발전 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를 확대해서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B'를 확대해서 보인 사시도이다. 또, 도 4는 도 3의 'C'를 확대해서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D'를 확대해서 보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1의 태양전지모듈의 후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또, 도 7은 도 6의 'E'를 확대해서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거치대를 확대해서 보인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7의 고정클립을 분해해서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식 태양광 발전 장치는, 한 쌍의 제1 지주(110); 제1 종축 와이어(120); 한 쌍의 제2 지주(130); 제2 종축 와이어(140); 횡축 와이어(150); 복수의 태양전지모듈(160); 윈치유닛(170); 및 태양전지모듈 고정수단(180, 도 6)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지주(110)는 종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지면에 수직으로 매립되며, 각 제1 지주(1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케이블(111)이 연결되어 그 기립 상태를 지지할 수 있다. 각 제1케이블(111)은 그 일단이 각 제1 지주(110)의 일정높이에 결합되고, 그 타단이 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각 제1케이블(111)은 각 제1 지주(110)와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도록 사선으로 형성되어 장력 조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종축 와이어(120)는 한 쌍의 제1 지주(110)에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상하로 교차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종축 와이어(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한 쌍의 제1 지주(110) 중 어느 하나에 U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일정간격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종축 와이어(120)의 중간의 두 지점이 한 쌍의 제1 지주(110)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링 형상의 부재(부호 생략)를 90도로 관통하여 방향 전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종축 와이어(120)의 일단에는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1 턴버클(121)이 설치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제1 지주(110)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여 제1 종축 와이어(120)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는 제1 윈치 유닛(122)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윈치 유닛(122)은 제1 종축 와이어(120)의 상측과 한 쌍의 제1 지주(110)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는 제1 보조케이블(122-1)과, 제1 보조케이블(122-1)의 선상에 설치되어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1 윈치레버(122-2)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지주(130)는 한 쌍의 제1 지주(110)와 횡 방향으로 이격되어 한 쌍의 제1 지주(110)와 대칭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제2 지주(130)는 종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지면에 수직으로 매립되며, 각 제2 지주(13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케이블(131)이 연결되어 그 기립 상태를 지지할 수 있다. 각 제2케이블(131)은 그 일단이 각 제2 지주(130)의 일정높이에 결합되고, 그 타단이 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각 제2케이블(131)은 각 제2 지주(130)와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도록 사선으로 형성되어 장력 조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종축 와이어(140)는 한 쌍의 제2 지주(130)에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상하로 교차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종축 와이어(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각각 한 쌍의 제2 지주(130) 중 어느 하나에 U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일정간격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종축 와이어(140)의 중간의 두 지점이 한 쌍의 제2 지주(130)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링 형상의 부재(부호 생략)를 90도로 관통하여 방향 전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종축 와이어(140)의 일단에는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2 턴버클(141)이 설치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제2 지주(130)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여 제2 종축 와이어(140)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는 제2 윈치 유닛(142)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윈치 유닛(142)은 제2 종축 와이어(140)의 일단과 한 쌍의 제2 지주(130)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는 제2 보조케이블(142-1)과, 제2 보조케이블(142-1)의 선상에 설치되어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2 윈치레버(142-2)로 구성될 수 있다.
횡축 와이어(15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제1 종축 와이어(120)와 제2 종축 와이어(140) 중 어느 하나에 상하 위상차를 갖도록 각각 연결 고정되고, 다른 하나에 중간의 두 지점이 방향 전환되도록 설치되어 사선(도 2 참조)으로 연결 고정될 수 있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횡축 와이어(150)의 일단에 착탈 가능한 걸고리(151)가 형성되어 하부측 제2 종축 와이어(140)에 결합되고, 걸고리(151)의 양측과 제2 종축 와이어(140) 사이에 한 쌍의 제1클립부재(152)가 결합되어 횡축 와이어(150)의 일단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 도 5를 참조하면, 횡축 와이어(150)의 타단에 링 부재(153)가 형성되어 U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상부측 제2 종축 와이어(140)에 결합되고, 한 쌍의 제2클립부재(154)를 이용해 횡축 와이어(150)의 타단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횡축 와이어(150)의 중간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종축 와이어(120)의 상하측에 지지됨과 동시에 일정 각도로 방향 전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종축 와이어(120)의 상하측에는 또 다른 링 부재(123)가 각각 유동 방지되도록 결합되어 횡축 와이어(150)의 중간 두 지점이 또 다른 링 부재(123)를 관통하여 지지될 수 있다. 횡축 와이어(150)의 일단에는, 그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또 다른 턴버클(155)이 더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태양전지모듈(160)은 횡축 와이어(150)에 횡축 와이어(15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각 태양전지모듈(160)은 다수의 태양전지를 연결하여 모듈화한 것으로서, 태양전지에 내장된 반도체 물질이 태양빛을 받아 전기를 생성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태양전지는 온도가 약 25℃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그 내부에 흐르는 전류의 저항값이 커지게 되어 전력이 손실되므로 발전 효율이 저하될 뿐 아니라, 열화로 인한 출력저하로 수명이 단축될 수 있으므로 약 25℃ 미만으로 유지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복수의 태양전지모듈(160)은 횡축 와이어(150)에 거치되어 지상으로부터 일정높이로 부상되도록 설치되므로 지열에 의한 발전 효율의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윈치유닛(170)은 횡축 와이어(150)의 일단과, 한 쌍의 제1 종축 와이어(120)와 한 쌍의 제2 종축 와이어(140) 중 어느 하나 사이에 설치되어 횡축 와이어(150)를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윈치유닛(170)은 제2 종축 와이어(140)의 일단과 횡축 와이어(150)의 상측을 연결하는 제2 보조케이블(171)과, 제2 보조케이블(171)의 선상에 설치되어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2 윈치레버(172)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태양전지모듈 고정수단(18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전지모듈(160)의 후면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181)과, 각 고정프레임(181)의 길이방향으로 이격설치되어 횡축 와이어(150)에 거치될 수 있는 두 쌍의 거치대(182)와, 각 거치대(182)의 측면과 횡축 와이어(150) 사이에 고정설치되어 태양전지모듈(160)의 좌우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클립(183)을 포함할 수 있다.
각 거치대(18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181)에 고정되는 고정편(182-1)과, 고정편(182-1)의 일단에서 만곡되어 내측이 횡축 와이어(150)에 거치될 수 있는 만곡부(182-2)와, 만곡부(182-2)로부터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연장편(182-3)을 포함할 수 있다.
또, 고정클립(183)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반원으로 곡선으로 형성되는 제1반원부(183-1a)와, 제1반원부(183-1)의 양측으로 각각 수평 연장된 한 쌍의 제1결합부(183-1b)로 구성된 제1클립(183-1); 및 제1반원부(183-1a)와 대칭되게 형성되어 제1반원부(183-1a)와의 사이에 횡축 와이어(150)가 개재될 수 있는 제2반원부(183-2a)와, 제1클립(183-1)의 각 제1결합부(183-1b)와 결합되는 한 쌍의 제2결합부(183-2b)로 구성된 제2클립(18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클립(183-1)의 한 쌍의 제1결합부(183-1b)와 제2클립(183-2)의 한 쌍의 제2결합부(183-2b)에는 볼트공(부호 생략)이 서로 대응되도록 각각 형성되어 반원부들(183-1a)(183-2a) 사이에 개재되는 횡축 와이어(150)를 파지하도록 서로 결합된다.
도 6에는 고정클립(183)이 각 고정프레임(181)의 서로 대향하는 외측에 각각 하나씩 설치됨이 개시되어 있으나,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각 고정프레임(181)의 서로 대향하는 내측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거나, 각 고정프레임(181)의 내외측에 한 쌍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와이어 고정식 태양광 발전 장치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
도 10a는 도 1의 평면도로서 횡축 와이어의 설치 상태를 화살표로 나타낸 도면이이고, 도 10b는 도 10a의 변형예로서 횡축 와이어의 또 다른 설치 상태를 화살표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식 태양광 발전 장치가 설치된 사례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각각의 횡축 와이어(150)의 양단이 제1 종축 와이어(120)와 제2 종축 와이어(140) 중 어느 하나에 상하 위상차를 갖도록 각각 연결 고정(도 3 참조)되고, 다른 하나에 횡축 와이어(150)의 중간 두 지점이 방향 전환되도록 설치되어 사선(도 2 참조)으로 연결 고정된다. 계절이 바뀌면 태양빛의 입사각도가 달라짐에 따라 사용자는 횡축 와이어(150)의 양단이 이루는 상하 위상차와, 횡축 와이어(150)의 중간 두 지점이 이루는 사선 각도를 임의 조절하여 태양전지모듈(160)의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횡축 와이어(150)는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도 10a의 횡방향으로 배치된 어느 하나의 태양전지모듈(160)군들을 지지할 수 있도록 화살표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한 한 쌍의 태양전지모듈(160)군들을 지지할 수 있도록 화살표 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도 10a 및 도 10b의 시작점(S1)(S2)에는 공히 횡축 와이어(150)의 걸고리(151)가 위치되고, 끝지점(E1)(E2)에는 횡축 와이어(150)의 링 부재(153)가 위치하게 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태양전지모듈(160)이 횡축 와이어(150)에 거치되어 지상으로부터 일정높이로 부상되도록 설치되므로 목장, 농지, 하천, 도로 및 갯벌 등에도 설치가 가능하게 되며, 본 발명의 와이어 고정식 태양광 발전 장치가 설치된 토지의 보존 또는 활용성이 개선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와이어 고정식 태양광 발전 장치에 의하면, 지주에 지지되는 횡축 와이어의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태양전지모듈을 일정 경사각으로 공중에 부상되게 설치함으로써 설치비용을 크게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모든 태양전지모듈이 일정높이로 공중에 부양됨으로써 도로나 하천 등에도 설치가 가능하며, 목장, 농지 및 갯벌 등의 토지를 원래의 목적대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10: 제1 지주
120: 제1 종축 와이어
130: 제2 지주
140: 제2 종축 와이어
150: 횡축 와이어
160: 태양전지모듈
170: 윈치유닛
180: 태양전지모듈 고정수단

Claims (6)

  1. 종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제1 지주;
    상기 한 쌍의 제1 지주에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상하로 배치되도록 연결되는 제1 종축 와이어;
    상기 한 쌍의 제1 지주와 횡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지주와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제2 지주;
    상기 한 쌍의 제2 지주에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상하로 배치되도록 연결되는 제2 종축 와이어;
    양단이 상기 제2 종축 와이어에 상하 위상차를 갖도록 각각 연결 고정되고, 상기 제1 종축 와이어에 중간의 두 지점이 지지되어 사선으로 연결 고정되는 횡축 와이어;
    상기 제1 종축 와이어 및 상기 제2 종축 와이어의 일단에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설치되는 한 쌍의 턴버클;
    상기 제1 종축 와이어의 상측 일단부와 상기 제1 지주 사이 및 상기 제2 종축 와이어의 상측 일단부와 상기 제2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보조케이블과, 상기 보조케이블의 선상에 설치되어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윈치레버로 구성되는 한 쌍의 윈치 유닛;
    상기 제2 종축 와이어에 연결되는 상기 횡축 와이어의 일단에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설치되는 턴버클;
    상기 횡축 와이어의 상측 일단부와 상기 제2 종축 와이어의 상측을 연결하는 보조케이블과, 상기 보조케이블의 선상에 설치되어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윈치레버로 구성되는 윈치유닛; 및
    상기 횡축 와이어에 상기 횡축 와이어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태양전지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고정식 태양광 발전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후면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
    상기 각 고정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격설치되어 상기 횡축 와이어에 거치될 수 있는 두 쌍의 거치대; 및
    상기 각 거치대의 측면과 상기 횡축 와이어 사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좌우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클립;을 포함하는 태양전지모듈 고정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고정식 태양광 발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거치대는,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편;
    상기 고정편의 일단에서 만곡되어 내측이 상기 횡축 와이어에 거치될 수 있는 만곡부; 및
    상기 만곡부로부터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연장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고정식 태양광 발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은,
    중앙에 곡선으로 형성되는 제1반원부와, 상기 제1반원부의 양측으로 각각 수평 연장된 한 쌍의 제1결합부를 포함하는 제1클립; 및
    상기 제1반원부와 대칭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반원부와의 사이에 상기 횡축 와이어가 개재될 수 있는 제2반원부와, 상기 제1클립의 각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한 쌍의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제2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고정식 태양광 발전 장치.
KR1020180116845A 2018-10-01 2018-10-01 와이어 고정식 태양광 발전 장치 KR102198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845A KR102198670B1 (ko) 2018-10-01 2018-10-01 와이어 고정식 태양광 발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845A KR102198670B1 (ko) 2018-10-01 2018-10-01 와이어 고정식 태양광 발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526A KR20200037526A (ko) 2020-04-09
KR102198670B1 true KR102198670B1 (ko) 2021-01-05

Family

ID=70275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845A KR102198670B1 (ko) 2018-10-01 2018-10-01 와이어 고정식 태양광 발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86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852B1 (ko) * 2020-06-29 2021-04-16 다스코 주식회사 태양광 패널용 케이블 홀더와 이를 이용한 가드레일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235009B1 (ko) * 2020-06-29 2021-04-01 다스코 주식회사 태양광 패널 설치용 구조체
KR102310429B1 (ko) * 2021-03-26 2021-10-08 (주)유에너지 텐션 조절형 개폐형 태양광 발전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2283A (ja) * 1999-05-17 2000-11-30 Misawa Homes Co Ltd 太陽電池装置
KR101136068B1 (ko) * 2011-10-04 2012-05-02 (주)디에스피이엔지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태양광모듈 설치구조
KR101275078B1 (ko) * 2013-03-13 2013-06-17 김인범 솔라패널 어레이 지지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77503B2 (ja) * 2014-06-09 2018-08-22 株式会社福永博建築研究所 空中ワイヤによる太陽光発電設備
KR101926239B1 (ko) 2016-12-29 2019-02-27 소진 복층 와이어 프레임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2283A (ja) * 1999-05-17 2000-11-30 Misawa Homes Co Ltd 太陽電池装置
KR101136068B1 (ko) * 2011-10-04 2012-05-02 (주)디에스피이엔지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태양광모듈 설치구조
KR101275078B1 (ko) * 2013-03-13 2013-06-17 김인범 솔라패널 어레이 지지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526A (ko) 2020-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8670B1 (ko) 와이어 고정식 태양광 발전 장치
KR101918970B1 (ko)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
KR101541698B1 (ko)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EA037282B1 (ru) Фотогальваническая 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и ее применение
AU2008341994B2 (en) Beam down system solar generation device
KR101035388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태양광 구조물
KR101653921B1 (ko)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
US20200244211A1 (en) Method and system apparatus for vertical installation of solar cell panel
KR101785579B1 (ko)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1102382B1 (ko) 태양전지 어레이
JP2004235188A (ja) 太陽電池アレイ
AU2008319820B2 (en) Beam-down type solar ray lighting device
KR101186349B1 (ko) 태양광발전설비
KR20150145454A (ko) 태양광 발전장치
JP2018152934A (ja) 太陽光発電装置および太陽光発電方法
CN206790410U (zh) 一种太阳能光伏发电板安装支架
KR200486184Y1 (ko) 전신주를 활용한 태양광발전설비
US20230299709A1 (en) Photovoltaic system having a cable support structure
KR101770957B1 (ko)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2263280B1 (ko) 태양광 발전모듈 지지 구조체 및 그 설치 방법
CN207573293U (zh) 聚光型柔性双轴跟踪式光伏、光热支架
IT202000003898A1 (it) Generatore fotovoltaico.
KR20200031776A (ko) 와이어를 이용한 영농형 태양광 발전장치의 지지구조물
KR101757207B1 (ko) 태양광 발전 시스템
CN217883294U (zh) 一种抗风可变角光伏发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