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385Y1 - Quick float holder type level switch - Google Patents

Quick float holder type level swit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385Y1
KR200453385Y1 KR2020090003852U KR20090003852U KR200453385Y1 KR 200453385 Y1 KR200453385 Y1 KR 200453385Y1 KR 2020090003852 U KR2020090003852 U KR 2020090003852U KR 20090003852 U KR20090003852 U KR 20090003852U KR 200453385 Y1 KR200453385 Y1 KR 2004533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
switch
cable
housing
epoxy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3852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10003U (en
Inventor
이성규
이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진인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진인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진인스텍
Priority to KR20200900038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385Y1/en
Publication of KR201000100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003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3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385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3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3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using electr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007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for discrete indicating and measu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3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3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using electr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G01F23/363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using electr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using electromechan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6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of the free float type without mechanical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6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of the free float type without mechanical transmission elements using electr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G01F23/7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of the free float type without mechanical transmission elements using electr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for sensing changes in level only at discrete points
    • G01F23/703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of the free float type without mechanical transmission elements using electr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for sensing changes in level only at discrete points using electromechan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7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floa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H01H35/18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liquid level or of liquid density, e.g. float switch
    • H01H35/186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liquid level or of liquid density, e.g. float switch making use of a cable suspended floater containing an inclination sensing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4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체 탱크 내부에 설치하여 수위의 변화에 따른 부력에 의해서 온/오프 상태를 출력하는 일명 '오뚜기식 레벨 스위치'라고도 불리고 있는 플로트 타입 레벨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 type level switch, also referred to as an 'outlet type level switch' installed inside a liquid tank and outputting an on / off state due to buoyancy caused by a change in water level.

본 고안에 의하면, 플로트 하우징 및 플로트 캡 상호간이 접합된 부위인 플로트 접합부가 3중으로 밀폐된 구조로 확실한 밀폐 효과를 보장받을 수 있기 때문에 액체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로트 접합부의 구조로 인하여 플로트 하우징과 플로트 캡이 견고한 일체성을 가지므로 내구성이 향상되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함께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loat joint portion, which is a portion where the float housing and the float cap are joined to each other, can be guaranteed with a triple sealed structure, the liquid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inside. In addition, since the float housing and the float cap have a solid integrity due to the structure of the float joint, durability can be improved and a long-term use can also be obtained.

본 고안은 제작하는 과정에서 플로트 하우징의 내부 아래의 공간에 에폭시 몰딩부를 충진한 후, 곧바로 플로트 하우징과 플로트 캡 상호간을 플로트 접합부에 의해서 접합시킨 상태에서,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를 가스배출공을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에폭시 몰딩시에 생기는 휘발성 가스 성분이 잔류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 가스로 인한 내압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에폭시 함침이 양호하게 되고, 플로트 접합부의 접합상태에도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다.The present invention fills the epoxy molding part in the space below the inside of the float housing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immediately after the float housing and the float cap are bonded to each other by the float joint, the gas generated therein is discharged through the gas discharge hole. By discharg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volatile gas components generated during epoxy molding from remaining and to prevent the formation of internal pressure due to the gas, so that the epoxy impregnation is good, and the bonding state of the float joint is not adversely affected.

플로트, 레벨, 스위치, 플로트 접합부, 스위치 홀더, 에폭시 몰딩. Float, level, switch, float junction, switch holder, epoxy molding.

Description

플로트 타입 레벨 스위치{Quick float holder type level switch}Float type level switch

본 고안은 액체 탱크 내부에 설치하여 수위의 변화에 따른 부력에 의해서 온/오프 상태를 출력하는 일명 '오뚜기식 레벨 스위치'라고도 불리고 있는 플로트 타입 레벨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 type level switch, also referred to as an 'outlet type level switch' installed inside a liquid tank and outputting an on / off state due to buoyancy caused by a change in water level.

플로트 타입 레벨 스위치는 일명 '오뚜기식 레벨 스위치'라고 불리고 있는 데, 수위의 변화에 의하여 플로트가 부력으로 떠오르기 시작하면 기둥형상 내부의 스틸볼이 반대편으로 순간이동하고 스틸볼의 이동에 의한 무게중심의 급격한 변화로 플로트는 마치 오뚜기처럼 뒤집어지면서 마이크로 스위치 또는 Tilt(기울기) 스위치를 동작시켜 온/오프 상태를 출력하여 펌프 등을 정지 또는 작동시켜서 수위를 제어하는 계기이며, 주로 오폐수의 수위를 제어하기 위해 널리 사용하고 있다.Float type level switch is also called 'Bottom level switch'.When float starts to float due to the change of water level, the steel ball inside the column moves to the opposite side and the center of gravity due to the movement of the steel ball Float is an instrument that controls the water level by stopping or operating the pump, etc. by outputting the on / off state by operating the micro switch or the tilt switch while being turned upside down like an Ottogi. It is widely used for.

종래의 플로트 타입 레벨 스위치는 오수 탱크 등의 외부에 설치한 콘트롤러와 케이블로 연결되며, 각각 내부공간을 가지면서 서로 대응되는 개구부를 가지는 원뿔형 몸체를 하고 있는 플로트 하우징과 반구형 몸체를 하고 있는 플로트 캡 상호간을 접합시켜 이루어져 전체적인 형상은 마치 물방울 형상을 하고 있다.The conventional float type level switch is connected by a controller and a cable installed on the outside of a sewage tank, etc., and a float housing having a conical body having an opening corresponding to each other with an inner space, and a float cap having a hemispherical body. The overall shape is made of water droplets.

종래의 플로트 타입 레벨 스위치는 플로트 하우징과 플로트 캡 상호간을 단순 끼움 결합하여 접합하고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플로트 하우징의 개구부 둘레에 돌출테가 있고, 플로트 캡의 개구부 둘레에는 상기 돌출테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어, 대응되는 돌출테가 끼움홈에 끼워지는 1중 구조이기 때문에 접합부위가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Conventional float type level switches are fitted by simply fitting the float housing and the float cap to each other. Specifically, there is a protrusion frame around the opening of the float housing, and a fitting groove into which the protrusion frame is fitted around the opening of the float cap. This is form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joint is fragile because the corresponding protruding frame is a single structure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

한편, 상기 플로트 하우징의 내부에는 스틸볼이 내장된 스위치 홀더가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 홀더의 아래쪽 주위 공간에 에폭시 몰딩을 충진시킨 다음, 플로트 하우징과 플로트 캡 상호간을 단순 끼움 결합하여 접합시켜 제작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 switch holder with a steel ball is installed inside the float housing, and an epoxy molding is filled in the space around the bottom of the switch holder, and then the float housing and the float cap are simply fitted to each other to be bonded to each other. .

상기 스위치 홀더의 아래쪽 주위 공간에 충진된 에폭시 몰딩은 주제와 경화제 두 성분을 일정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충진하는 것으로, 두 성분이 만날 때는 발열과 기포에 의한 가스가 발생한다. 이렇게 발생하는 가스는 플로트 하우징과 플로트 캡 상호간을 접합하기 전에 경화시간을 두어야 한다. 그 이유는 에폭시 몰딩시에 생기는 기포 성분이 잔류하는 경우에는 에폭시 함침이 불량하게 되기 때문이다.The epoxy molding filled in the space around the bottom of the switch holder is filled by mixing a main component and a hardener in a predetermined amount, and when the two components meet, gas generated by heat generation and bubbles is generated. This gas must be allowed to cure before joining the float housing to the float cap. This is because epoxy impregnation becomes poor when the bubble component generated during epoxy molding remains.

그런데, 일반적으로 제작과정에서는 에폭시 몰딩의 경화시간에 여유를 두지 않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곧바로 플로트 하우징과 플로트 캡 상호간을 접합하고 있다.However,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float housing and the float cap are directly bonded to each other in order to improve productivity without allowing time for curing of the epoxy molding.

이에 따라, 내부의 에폭시 몰딩이 경화되면서 기포 성분이 그대로 잔류하게 되는 경우에는 에폭시 함침 불량이 초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플로트 타입 레벨 스위치는 플로트 접합부가 1중 결합된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에폭시 몰딩이 경화되면서 발생되는 가스가 밀폐된 플로트의 내부공 간에서 빠져나가지 못하고 차게 되면서 이렇게 발생된 가스로 인하여 플로트 캡의 내부면에서 팽창하는 힘이 작용하게 되어 취약한 플로트 접합부가 파손되어 그 부위를 통하여 누수가 발생될 수 있는 원인이 되고 있다. Accordingly, when the bubble component remains as it is while the epoxy molding is cured, not only epoxy impregnation may be caused, but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float type level switch has a fragile structure in which the float joint is coupled to a single layer. As the epoxy molding hardens, the gas generated from curing does not escape from the inside space of the closed float, and as a result of the generated gas, the force that expand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loat cap acts, causing the fragile float joint to be broken. It is a cause that can leak through the site.

또한, 종래의 플로트 타입 레벨 스위치는 오폐수의 출렁임에 따라 스위치 홀더의 내부에 있는 스틸볼이 상,하 반복적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스위치를 온(ON) 또는 오프(OFF) 상태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채터링(chattering) 현상을 불러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종래의 플로트 타입 레벨 스위치의 내부에 설치된 기둥형상의 스위치 홀더의 내부면이 동일면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float type level switch is a chattering in which the steel ball inside the switch holder moves up and down repeatedly as the waste water is swayed, and thus the switch is frequently turned on or off. (chattering) There was a problem bringing up the phenomenon. This is because the inner surface of the columnar switch holder provided inside the conventional float type level switch forms the same surface.

상기한 채터링 현상은 일반적으로 전자회로 내의 스위치나 계전기의 접점이 붙거나 떨어질 때 기계적인 진동에 의해 실제로는 매우 짧은 시간 안에 접점이 붙었다가 떨어지는 것을 반복하는 현상을 말하는데, 이는 회로에 나쁜 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플로트 타입 레벨 스위치와 연결되는 외부의 콘트롤러를 비롯한 전기적인 시스템(예: 펌프 등)의 수명도 떨어뜨리게 된다.The above chattering phenomenon generally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a contact of a switch or a relay in an electronic circuit is attached or dropped by a mechanical vibration and is actually repeated in a very short time. In addition to this, it also shortens the life of electrical systems (eg pumps), including external controllers connected to float type switches.

또한, 종래의 플로트 타입 레벨 스위치에 내부에 설치된 스위치 홀더는, 수위의 변화에 따라 ON/OFF 상태를 출력하는 스위치로 마이크로 스위치 또는 Tilt 스위치를 이용하고 있는데, 마이크로 스위치를 이용하는 경우와 Tilt 스위치를 이용하는 경우에 따라 스위치 홀더를 각각 따로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다. In addition, a switch holder installed inside a conventional float type level switch uses a micro switch or a tilt switch as a switch for outputting an ON / OFF state according to a change in water level. In some cases, switch holders are manufactured separately.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플로트 하우징 및 플로트 캡 상호간이 접합된 부위인 플로트 접합부가 확실한 밀폐 효과를 보장받을 수 있고, 플로트 하우징과 플로트 캡이 견고한 일체성을 가지는 플로트 타입 레벨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ensure that the float joint, which is the portion where the float housing and the float cap are joined to each other, ensures a reliable sealing effect, and that the float housing and the float cap have a solid integrity. The branch is to provide a float type level switch.

또, 본 고안은 제작하는 과정에서 플로트 하우징의 내부 아래의 공간에 에폭시 몰딩부를 충진한 후, 곧바로 플로트 하우징과 플로트 캡 상호간을 플로트 접합부에 의해서 접합시킨 상태에서, 에폭시 몰딩부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시켜 밀폐할 수 있는 플로트 타입 레벨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filling the epoxy molding portion in the space below the inside of the float housing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immediately discharge the gas generated from the epoxy molding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loat housing and the float cap is bonded to each other by the float joint portion To provide a float type level switch that can be sealed.

또한, 외부로 노출된 케이블에서 결로에 의해 발생한 습기 또는 물이 케이블의 심선을 통해 플로트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로트 하우징의 내부에서 에폭시에 함침되는 전선 피복의 일부를 제거하고 몰딩하여 이루어지는 플로트 타입 레벨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 float formed by removing and molding a part of the wire sheath impregnated with epoxy inside the float housing to prevent moisture or water generated by condensation from penetrating into the float through the cable core wire in the exposed cable. It is to provide a type level switch.

또한, 오수 등의 출렁임에 의해 빈번한 스위치 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플로트 타입 레벨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oat type level switch capable of preventing frequent switch operation due to fluctuations of sewage.

또한, 스위치 홀더에 장착하여 수위의 변화에 따라 ON/OFF 상태를 출력하는 스위치로 마이크로 스위치 또는 밀봉관 스위치 선택적으로 선택하여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는 플로트 타입 레벨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float type level switch that can be easily mounted by selectively selecting a micro switch or a sealed tube switch as a switch mounted on a switch holder and outputting an ON / OFF state according to a change in water level.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 홀더에 장착된 스위치가 수위의 변화에 따른 부력에 의해서 온/오프 상태를 출력하며, 외부에 설치된 콘트롤러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수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써, 각각 내부공간을 가지면서 서로 대응되는 개구부를 가지는 플로트 하우징과 플로트 캡 상호간을 접합시켜 이루어진 플로트 타입 레벨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 하우징은 개구부 둘레면에서 위로 올라와서 외주면에는 나사부를 가지는 외측부 돌출테와, 상기 외측부 돌출테의 안쪽을 따라 아래쪽으로 들어간 내측부 삽입홈이 마련되고, 상기 플로트 캡은 개구부 둘레면에서 상기 플로트 하우징의 외측부 돌출테 및 나사부와 대응되면서 상기 외측부 돌출테와의 사이에 틈새를 둘 수 있도록 위쪽으로 들어가고 바깥쪽 내주면에 나사부를 가지는 외측부 삽입홈과, 상기 플로트 하우징의 내측부 삽입홈과 대응되면서 상기 내측부 삽입홈과의 사이에 틈새를 둘 수 있도록 아래쪽으로 연장된 내측부 돌출테가 마련되며, 상기 플로트 하우징 및 플로트 캡에 각각 형성된 내측부 삽입홈과 외측부 삽입홈에 에폭시 몰드를 충진시켜서 경화되어 일체적으로 된 에폭시 몰딩부가 형성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the on / off state by the buoyancy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water level of the switch mounted in the switch holder installed inside, a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and cable installed in the water level The float type level switch is formed by joining the float housing and the float cap each having an opening corresponding to each other, each having an inner space, the float housing is raised up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opening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 outer side protruding frame having a thread and an inner side inserting groove which enters downward along an inner side of the outer protruding frame are provided, and the float cap corresponds to the outer protruding frame and the thread of the float housing at an opening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the outer protruding frame So that there is a gap between An outer side insertion groove having a screw portion on an out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n inner side protrusion extending downward to correspond to the inner side insertion groove of the float housing and having a gap therebetween with the inner side insertion groove, the floa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poxy molding portion formed by curing the epoxy mold is filled in the inner side insertion groove and the outer side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housing and the float cap, respectively.

또, 상기 플로트 하우징의 내부 아래쪽에는 원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원통부내에 스위치 홀더의 하단부가 삽입되며, 상기 원통부 아랫면에 관통된 케이블 삽입공을 통해 케이블이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케이블에서 노출된 전선은 상기 스위치 홀더에 장착된 스위치와 접속되어서 상기 원통부 주위 공간에 에폭시 몰딩부가 충진되어 경화된 것을 포함하되, 상기 플로트 하우징과 플로트 캡 상호간을 접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에폭시 몰딩부가 경화되면서 발생되는 휘발성 가스를 외부로 배출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플로트 캡의 면에서 상측에 단턱홈을 가지는 가스배출공이 관통되고, 상기 가스배출공을 통해 가스를 배출한 후에는 상기 가스배출공에 막음구를 결합시키고, 상기 단턱홈에는 에폭시 몰딩부로 충진시켜 밀폐된 것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cylindrical portion is formed below the float housing, a lower end portion of the switch holder is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portion, and a cable is inserted into the cable through a cable insertion hole penetrated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and exposed from the cable. The wire may be connected to a switch mounted on the switch holder, and the epoxy molding part may be filled and cured in the space around the cylindrical part, and the epoxy molding part may be generated while the float housing and the float cap are bonded to each other. In order to discharge the volatile gas to the outside from the surface of the float cap gas exhaust hole having a stepped groove is passed through, after the gas is discharged through the gas discharge hole is coupled to the blocking hole to the gas discharge hole And, the stepped groove further comprises a sealed by filling with an epoxy molding portion And a gong.

또한, 상기 케이블 삽입공을 통해 내부로 삽입된 케이블의 노출된 전선 피복의 일부분이 제거된 전선 피복 제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선 피복 제거부는 상기 에폭시 몰딩부에 함침된 것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wire covering removal portion in which a part of the exposed wire covering of the cable inserted into the cable inserted through the cable insertion hole is removed is formed, and the wire covering remov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n impregnation in the epoxy molding portion. .

또한, 상기 스위치 홀더는 스틸볼이 내장되어 이동하는 내부공간을 가지면서 하부몸체와 상부몸체로 구분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부몸체의 내부면과 상기 하부몸체의 내부면은 단차져서 경사턱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witch holder is divided into the lower body and the upper body is formed while having an internal space to move the steel ball is built,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body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body is stepped to provide an inclined jaw It features.

또한, 상기 스위치 홀더에 장착된 스위치는 마이크로 스위치이며, 상기 스위치 홀더의 상부몸체 상면에는 양측판이 형성되고, 상기 양측판 사이에 해당하는 상부몸체의 상면은 개방되어 있되,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는 접점편이 아래를 향하면서 상기 양측판 사이에 끼워져서 나사로 고정되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witch mounted on the switch holder is a micro switch,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of the switch holder is formed with both side plates,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corresponding to the two side plates is open, the micro switch is the contact piec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mounted between the two side plates while facing toward the fixed with a screw.

또한, 상기 스위치 홀더에 장착된 스위치는 철광석 가루가 내장된 밀봉관 스위치이며, 상기 스위치 홀더의 상부몸체 상면에는 양측판이 형성되고, 상기 양측판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서 상기 밀봉관 스위치의 외주면에 대응되게 오목한 곡면으로 이루어져서 한쪽에 위치하는 제1 안치면 및 다른쪽에 위치하는 제2 안치면을 가지며, 상기 양측판 사이에 해당하는 상부몸체의 상면은 개방되며, 상기 밀봉관 스위치는 상기 제1 안치면과 제2 안치면의 한쪽이나 다른쪽 또는 양쪽 모두에 1개 씩 온/오프 방향을 달리하여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witch mounted on the switch holder is a sealed tube switch in which iron ore powder is embedded, and both side plates ar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of the switch holder, and correspon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led tube switch on opposite sides of the side plates. It has a concave curved surface having a first settled surface located on one side and a second settled surface located on the other,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corresponding to the two side plates is open, the sealing tube switch is the first settled surfa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mounted on one side or the other or both of the second settled and both sides in different on / off direction.

본 고안에 의하면, 플로트 하우징 및 플로트 캡 상호간이 접합된 부위인 플로트 접합부가 3중으로 밀폐된 구조로 확실한 밀폐 효과를 보장받을 수 있기 때문에 액체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로트 접합부의 구조로 인하여 플로트 하우징과 플로트 캡이 견고한 일체성을 가지므로 내구성이 향상되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함께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loat joint portion, which is a portion where the float housing and the float cap are joined to each other, can be guaranteed with a triple sealed structure, the liquid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inside. In addition, since the float housing and the float cap have a solid integrity due to the structure of the float joint, durability can be improved and a long-term use can also be obtained.

또, 본 고안은 제작하는 과정에서 플로트 하우징의 내부 아래의 공간에 에폭시 몰딩부를 충진한 후, 곧바로 플로트 하우징과 플로트 캡 상호간을 플로트 접합부에 의해서 접합시킨 상태에서, 플로트 캡에 형성되어 있는 가스배출공을 통해 에폭시 몰딩부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시키고, 가스배출공에 막음구 및 에폭시 몰딩부로 충진시켜 밀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폭시 몰딩부에서 발생된 가스가 가스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므로, 에폭시 몰딩시에 생기는 기포 성분이 잔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에폭시 함침이 양호하게 되고, 플로트 접합부의 접합상태에도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다른 한편으로는, 플로트 하우징의 내부 아래의 공간에 에폭시 몰딩부를 충진한 후 작업공정상 지체하지 않고 곧바로 플로트 접합부를 접합할 수 있어 작업능률도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filling the epoxy molding portion in the space below the inside of the float housing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gas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float cap in the state in which the float housing and the float cap mutually joined by the float joint portion Through the gas generated in the epoxy molding portion is discharged, it can be sealed by filling the gas discharge hole with a blocking hole and the epoxy molding portion. Accordingly, since the gas generated in the epoxy molding part is discharged through the gas discharge hole, the bubble components generated during the epoxy molding are prevented from remaining, so that the epoxy impregnation is good, and the bonding state of the float joint is not adversely affected. . On the other hand, after filling the epoxy molding in the space below the inside of the float housing, the float joint can be joined immediately without delay in the working process, thereby improving work efficiency.

또한, 플로트 하우징 내부에서 에폭시에 함침되는 전선 피복의 일부를 제거하고 몰딩함으로써, 외부로 노출된 케이블에서 결로에 의해 발생한 습기 또는 물이 케이블의 심선을 통해 플로트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In addition, by removing and molding part of the wire sheath impregnated with epoxy inside the float housing, moisture or water generated by condensation in the cable exposed to the outside can be prevented from penetrating into the float through the core of the cable.

또한, 스틸볼이 내장되어 이동하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스위치 홀더의 내부면에 단차진 경사턱이 마련되어 있어, 플로트의 기울어지는 각도가 10도 ~ 15도 범위내에서는 스틸볼은 경사턱에 걸려져서 이동을 저지하게 됨에 따라, 오수 등의 출렁임에 따른 채터링(chattering)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 stepped inclined jaw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witch holder having an internal space in which the steel ball is built, and the steel ball is caught by the inclined jaw whe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loat is within a range of 10 degrees to 15 degrees. As it prevent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hattering (chattering) phenomenon caused by the runoff, such as sewage.

또한, 스위치 홀더에 장착하여 수위의 변화에 따라 ON/OFF 상태를 출력하는 스위치로 마이크로 스위치 또는 밀봉관 스위치 선택적으로 선택하여 간편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witch is mounted on the switch holder to output the ON / OFF state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in the water level can be easily mounted and used by selectively selecting the micro switch or the sealed tube switch.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is embodiment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complet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inform you.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플로트 타입 레벨 스위치의 결합단면도로서 도 3의 A-A선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플로트 타입 레벨 스위치의 분리단면도로서 도 3의 B-B선 방향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구성된 플로트 하우징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as a combined cross-sectional view of a float type level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3 as a separated cross-sectional view of a float type level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plan view of a float housing construct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 홀 더(10)에 장착된 스위치가 수위의 변화에 따른 부력에 의해서 온/오프 상태를 출력하며, 외부에 설치된 콘트롤러와 케이블(5)로 연결되어 수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써, 각각 내부공간을 가지면서 서로 대응되는 개구부를 가지는 플로트 하우징(1)과 플로트 캡(2) 상호간을 접합시켜 이루어진 플로트 타입 레벨 스위치에 있어서 플로트 하우징(1) 및 플로트 캡(2)의 접합부위인 플로트 접합부(30) 구조에 종래 기술과 차이점이 있다.1 to 3,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the on / off state of the switch mounted in the switch holder 10 installed therein by buoyancy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water level, and the controller and the cable installed outside. Float type level switch which is connected to (5) so that the water level can be adjusted, and the float housing (1) and the float cap (2), each having an internal space and corresponding openings, are joined to each other. There is a difference from the prior art in the structure of the float junction portion 30, which is the junction portion of the housing 1 and the float cap 2.

상기 플로트 하우징(1)은 개구부 둘레면에서 위로 올라와서 외주면에는 나사부(33a)를 가지는 외측부 돌출테(31)와, 상기 외측부 돌출테(31)의 안쪽을 따라 아래쪽으로 들어간 내측부 삽입홈(34)이 마련되어 있다.The float housing 1 rises upward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ning and has an outer protruding frame 31 having a threaded portion 33a on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n inner side inserting groove 34 which enters downward along the inner side of the outer protruding frame 31. This is provided.

상기 플로트 캡(2)은 개구부 둘레면에서 상기 플로트 하우징(1)의 외측부 돌출테(31) 및 나사부(33a)와 대응되면서 상기 외측부 돌출테(31)와의 사이에 틈새를 둘 수 있도록 위쪽으로 들어가고 바깥쪽 내주면에 나사부(33b)를 가지는 외측부 삽입홈(32)과, 상기 플로트 하우징(1)의 내측부 삽입홈(34)과 대응되면서 상기 내측부 삽입홈(34)과의 사이에 틈새를 둘 수 있도록 아래쪽으로 연장된 내측부 돌출테(35)가 마련되어 있다.The float cap 2 enters upwardly so as to have a gap between the outer protruding frame 31 and the outer protruding frame 31 of the float housing 1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ning and corresponding to the outer protruding frame 31 and the threaded portion 33a of the float housing 1. The outer side insertion groove 32 having a threaded portion 33b on the out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inner side insertion groove 34 corresponding to the inner side insertion groove 34 of the float housing 1 can be provided with a gap therebetween. An inner protruding frame 35 extending downward is provided.

또한, 상기 플로트 하우징(1) 및 플로트 캡(2)에 각각 형성된 내측부 삽입홈(34)과 외측부 삽입홈(32)에 에폭시 몰드를 충진시켜서 경화되어 일체적으로 된 에폭시 몰딩부(E3)가 형성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an epoxy molding part E3 formed by curing an epoxy mold in the inner side insertion groove 34 and the outer side insertion groove 32 formed in the float housing 1 and the float cap 2, respectively, is formed. It is made to include.

여기서, 상기 플로트 하우징(1)의 외측부 돌출테(31)와 대응되는 플로트 캡(2)의 외측부 삽입홈(32) 사이에 틈새를 둔다는 것은 외측부 돌출테(31)의 두께 와 연장된 길이에 비해서 외측부 삽입홈(32)의 폭과 깊이가 조금 더 크게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말하고, 상기 플로트 하우징(1)의 내측부 삽입홈(34)과 대응되는 플로트 캡(2)의 내측부 돌출테(35) 사이에 틈새를 둔다는 것은 내측부 돌출테(35)가 가지는 두께와 연장된 길이에 비해서 내측부 삽입홈(34)의 폭과 깊이가 조금 더 크게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말한다. 상기 플로트 하우징(1) 및 플로트 캡(2) 상호간이 접합된 상태에서는 상기한 틈새 부분에서 에폭시 몰딩부(E3)가 경화된 구조를 이루게 된다.Here, a gap between the outer protruding frame 31 of the float housing 1 and the outer inserting groove 32 of the float cap 2 corresponds to the thickness and the extended length of the outer protruding frame 31. The width and depth of the outer side insertion groove 32 is slightly larger than that of the inner side insertion groove 34 of the float housing 1 and the inner side protruding frame 35 of the float cap 2. Leaving a gap means that the width and depth of the inner side insertion groove 34 are slightly larger than the thickness and the extended length of the inner side protrusion frame 35. In the state in which the float housing 1 and the float cap 2 are bonded to each other, the epoxy molding part E3 is hardened in the gap portion.

이에 따라, 플로트 하우징(1)의 바깥쪽에서부터 나사부(33a)(33b) 결합에 의한 1중 밀폐부위, 플로트 하우징(1)의 외측부 돌출테(31)와 플로트 캡(2)의 외측부 삽입홈(32) 사이의 틈새에서 경화된 에폭시 몰딩부(E3)에 의한 2중 접합부위, 플로트 하우징(1)의 개구부 쪽에서 내측면을 이루는 부위 둘레와 플로트 캡(2)의 내측부 돌출테(35)의 겹쳐진 부위에 의한 3중 밀폐부위를 가진다. 즉, 플로트 접합부(30)는 3중으로 밀폐된 구조를 이루게 되어 확실한 밀폐 효과를 보장받을 수 있기 때문에 액체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플로트 접합부(30) 구조로 인하여 플로트 하우징(1)과 플로트 캡(2)이 견고한 일체성을 가지므로 내구성이 향상되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함께 얻을 수 있다. Accordingly, from the outside of the float housing 1, the single closed portion by coupling the screw portions 33a and 33b, the outer protruding frame 31 of the float housing 1 and the outer insertion groove of the float cap 2 ( 32, the double joints by the hardened epoxy molding part E3 in the gaps between the parts, the inner periphery of the float housing 1 and the inner periphery of the float cap 35 overlapping It has triple closed area by site. That is, since the float joint portion 30 has a triple sealed structure, a sure sealing effect can be ensured, and thus liquid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inside. In addition, due to the structure of the float joint portion 30, the float housing 1 and the float cap 2 have a solid integrity, so that durability can be improved and a long term effect can be obtained.

도 3에 나타나 있듯이, 상기 플로트 하우징(1)의 내부 아래쪽에는 원통부(3)가 세워져 있고, 상기 원통부(3)내에는 스위치 홀더(10)의 하단부를 삽입시켜서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원통부(3) 주위 공간에 에폭시 몰딩부(E1)를 충진하여 경화되 어 있다.(도 1 참조) 도 3에 표기된 미설명 도면부호 (7)은 '절개부'인데, 상기 원통부(3)의 둘레 4곳에서 수직으로 절개되어 원통부(3)에 스위치 홀더(10)를 삽입할 때 절개부(7)에 의한 탄성력이 발휘되어 스위치 홀더(10)와 원통부(3)의 결합상태를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블 배선용 틈새로 이용된다. 미설명 도면부호 (8)은 '보강리브'이다.As shown in FIG. 3, the cylindrical part 3 is erected in the lower part of the inside of the said float housing 1, The cylindrical part 3 is inserted into the lower end part of the switch holder 10, and is installed in the state. It is hardened by filling the epoxy molding part E1 in the space around the part 3 (refer FIG. 1). Unexplained reference numeral 7 shown in FIG. 3 is a 'cutting part', the cylindrical part 3 When the switch holder 10 is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portion 3 by being vertically cut at four circumferences thereof, an elastic force by the cutout portion 7 is exerted to establish a coupling state between the switch holder 10 and the cylindrical portion 3. It can be securely fixed and used as a gap for cable wiring. Unexplained reference numeral 8 denotes a 'reinforcement rib'.

상기 플로트 하우징(1)의 원통부(3) 아랫면에는 케이블 삽입공(4)이 관통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블 삽입공(4)을 통해 케이블(5)을 삽입하여 케이블(5)에서 노출된 전선을 상기 스위치 홀더(10)에 장착된 스위치와 접속시켜 두고서, 에폭시 몰딩부(E1)를 충진하게 된다.A cable insertion hole 4 penetrates through a low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3 of the float housing 1, and a cable 5 is inserted through the cable insertion hole 4 to expose an electric wire exposed from the cable 5. The epoxy molding part E1 is filled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switch mounted on the switch holder 10.

여기서, 상기 에폭시 몰딩부(E1)를 충진하기 이전에, 상기 케이블 삽입공(4)을 통해 삽입한 케이블(5)의 노출된 전선(3개)의 일정부위, 다시 말해서 에폭시에 함침되는 부위에 해당하는 길이내에 해당하는 전선 피복의 일부를 제거하여 전선 피복 제거부(5a)를 형성시켜 놓는다.Here, before filling the epoxy molding portion E1,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exposed wires (3) of the cable 5 inserted through the cable insertion hole 4, that is to say the site impregnated with epoxy A portion of the wire covering corresponding to the length is removed to form the wire covering removing portion 5a.

그리고, 상기 케이블 삽입공(4)의 안쪽에서 케이블(5)의 선단부의 둘레에는 'O'링(6)을 결합시켜 케이블(5)을 고정함과 아울러, 케이블 삽입공(4)과 케이블(5) 사이의 틈새를 밀폐시킨 상태에서 에폭시 몰딩부(E1)를 충진한다. 이에 따라, 에폭시 몰딩부(E1)가 경화되어 스위치 홀더(10)는 플로트 하우징(1)에 일체적으로 고정되며, 에폭시 몰딩부(E1)에 의하여 케이블 삽입공(4)을 통해서 액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ble insertion hole 4 and the cable (4) are fixed to the periphery of the front end of the cable 5 in the inside of the cable insertion hole 4 by coupling the 'O' ring 6 to the cable 5. 5) Fill the epoxy molding part (E1) with the gap between them sealed. Accordingly, the epoxy molding part E1 is cured so that the switch holder 10 is integrally fixed to the float housing 1, and liquid is introduced through the cable insertion hole 4 by the epoxy molding part E1. Can be prevented.

한편, 상기 전선 피복 제거부(5a)는 도 1에서 보여지듯이, 에폭시 몰딩 부(E1)에 함침되어, 외부로 노출된 케이블(5)에서 결로에 의해 발생한 습기 또는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물속에 잠긴 케이블(5)의 심선을 통해서 플로트 하우징(1)의 내부로 물이 전선을 타고서 침투하는 경우, 에폭시 몰딩부(E1)에 함침된 전선 피복 제거부(5a)에서 차단되어 물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1, the wire covering removing part 5a is impregnated in the epoxy molding part E1 and installed as shown in FIG. 6 or moisture generated by condensation in the cable 5 exposed to the outside. When water penetrates into the float housing 1 through the core wire of the cable 5 submerged in water, it is blocked by the wire covering removing part 5a impregnated in the epoxy molding part E1, and the water penetrates. Can be prevented.

이 후, 곧바로 상기 플로트 하우징(1)과 플로트 캡(2) 상호간을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로트 접합부(30)에 의해서 접합시키게 된다.Immediately thereafter, the float housing 1 and the float cap 2 are joined together by the float joint portion 30 as described above.

여기서, 에폭시 몰딩부(E1)는 몰딩할 때, 화학적 반응에 의해 고온의 휘발성 가스가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플로트 하우징(1)과 플로트 캡(2) 상호간을 접합시킨 상태에서, 에폭시 몰딩부(E1)가 경화되면서 발생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플로트 캡(2)의 면에 가스배출공(2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Here, when the epoxy molding part E1 is molded, a high temperature volatile gas is generated by a chemical rea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float housing 1 and the float cap 2 are bonded to each other, a gas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loat cap 2 so that the gas generated while the epoxy molding part E1 is cured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discharge hole (20).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가스배출공(20)은 상측에 단턱홈(22)을 가지도록 관통되고, 상기 가스배출공(20)을 통해 에폭시 몰딩부(E1)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한 후에는 플로트 접합부의 기밀성 실험을 위한 압력실험구로 이용되며 기밀성 실험에 통과되면 상기 가스배출공(20)에 막음구(21)를 결합시키고, 확실한 밀폐를 보장받기 위해 상기 단턱홈(22)에는 에폭시 몰딩부(E2)로 충진시켜 밀폐한다.Referring to FIG. 4, the gas discharge hole 20 is penetrated to have a stepped groove 22 thereon, and after discharging the gas generated from the epoxy molding part E1 through the gas discharge hole 20. Is used as a pressure test port for the airtightness test of the float joint and when the airtightness test is passed, the blocking hole 21 is coupled to the gas discharge hole 20, and the stepped groove 22 is epoxy-molded in order to ensure a tight sealing. It is sealed by filling with part (E2).

따라서, 에폭시 몰딩부(E1)에서 발생된 가스가 가스배출공(20)을 통해 모두 배출할 수 있으므로, 에폭시 몰딩시에 생기는 기포 성분이 잔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에폭시 함침이 양호하게 되고, 플로트 접합부(30)의 접합상태에도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다.Therefore, since all of the gas generated in the epoxy molding part E1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gas discharge hole 20, the bubble components generated during the epoxy molding are prevented from remaining and the epoxy impregnation becomes good, and the float joint part ( 30) does not adversely affect the bonding stat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스위치 홀더(10)는 원통체로서 스틸볼(11)이 내장되어 이동하는 내부공간을 가지면서 하부몸체(12)와 상부몸체(13)로 구분되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상부몸체(13)의 내부면과 상기 하부몸체(12)의 내부면은 단차져서 경사턱(16)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경사턱(16)은 채터링(chattering)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한다.1 to 3, the switch holder 10 is formed by dividing the lower body 12 and the upper body 13 while having an inner space in which the steel ball 11 is embedded and moved as a cylindrical body. There is,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body 13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body 12 is stepped so that the inclined jaw 16 is provided. The inclined jaw 16 is for preventing a chattering phenomenon,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플로트 타입 레벨 스위치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플로트 타입 레벨 스위치의 작동상태도를 보인 것이다.5 is a state diagram using the float type level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float type level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나타나 있듯이, 본 고안에 따른 플로트 타입 레벨 스위치(100; 이하 '플로트'라고 줄여서 지칭함.)는 예를 들어서 오수 탱크의 내부에 설치하여 사용하는데, 오수 탱크의 상부에는 콘트롤러가 내장된 터미널 박스(200)가 설치되고, 상기 터미널 박스(200)에서 연결된 로프(210)에는 고정추(220)가 매달리고, 본 고안에 따른 플로트(100)에 연결된 케이블(5)을 상기 로프(210)에서 일정길이(보통 200~250mm)를 남겨두고 케이블타이(cable tie)나 기타 고정구를 사용하여 묶어서 고정시킨다. 오수 탱크의 오수가 유출되어서 플로트(100)의 케이블(5)을 고정한 부위의 아래로 수위가 (L2)에서 (L1)으로 내려가는 경우에는 플로트(100)가 아래로 처져서 스위치가 OFF(또는 ON) 접점되고, 그와 반대로 오수가 유입되어 수위가 (L1)에서 (L2)로 높아지면 플로트(100)가 부력에 의해 떠올라 옆으로 누여지면서 스위치가 ON(또는 OFF) 접점되어 고수위경보, 펌프 ON-OFF 제어, 저수위경보, 2대의 모터 교번제어, 순차제어 등 다양한 제어모드를 조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5, the float type level switch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float' for sh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used in the sewage tank, for example, the upper terminal of the sewage tank, the controller is built-in Box 200 is installed, the fixed weight 220 is suspended on the rope 210 connected from the terminal box 200, the cable 5 connected to the floa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rope 210 Leave a certain length (usually 200 ~ 250mm) and fasten it using a cable tie or other fixture. When the sewage from the sewage tank flows out and the water level drops from (L2) to (L1) below the portion where the cable 5 of the float 100 is fixed, the float 100 sags downwards and the switch is turned OFF (or ON). On the contrary, when the sewage flows in and the water level rises from (L1) to (L2), the float 100 floats due to buoyancy and is pushed to the side, and the switch is turned ON (or OFF). -Various control modes such as OFF control, low water level alarm, two motor alternating control and sequential control can be combined.

도 5에서 본 고안에 따른 플로트(100)가 1개만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로프(210)에 각각 서로 다른 길이의 케이블(5)로 연결된 다수개의 본 고안에 따른 플로트(100)를 제어하고자 하는 수위에 따라 위치시켜 설치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In FIG. 5, only one floa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but the plurality of float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to the rope 210 by cables 5 of different lengths, respectively. Of course, it can be located and installed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스위치 홀더(10)의 내부면에 형성된 경사턱(16)의 작용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inclined jaw 16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witch holder 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도 6은 수위가 도 5에 표기된 (L1)에서 (L2)로 높아진 상태를 보여주고 있는데, 본 고안에 따른 플로트(100)는 수위가 낮았을 때에는 플로트(100)가 뒤집어진 상태에서는 스위치 홀더(10)의 내부에 있는 스틸볼(11)은 스위치 홀더(10)의 상부몸체(13) 쪽으로 이동되어 스틸볼(11)이 가지는 중량에 의해서 스위치(14)가 접점(15)된다. 이후, 도 6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일정 수위에 다다를 때까지는 스틸볼(11)은 스위치 홀더(10)의 상부몸체(13) 쪽으로 이동되어 스위치(14)에 접점(15)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6 shows a state in which the water level is elevated from (L1) to (L2) shown in FIG. 5, the floa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witch holder (when the water level is low) when the float 100 is inverted. The steel ball 11 inside the 10 is moved toward the upper body 13 of the switch holder 10 so that the switch 14 is contacted by the weight of the steel ball 11. Thereafter, as shown in FIG. 6, the steel ball 11 is moved toward the upper body 13 of the switch holder 10 until the water level reaches a predetermined level, and maintains the contact 15 on the switch 14.

이러한 상태에서 오수가 유입되거나 유출될 때에는 수면에서 출렁임이 발생되는 경우, 본 고안에 따른 플로트(100)가 위를 향하여 기울어지는 각도와 아래를 향하여 기울어지는 각도를 원호 화살표로 나타낸 것과 같이 플로트(100)의 기울어지는 각도가 10도 ~ 15도 범위내에서는 스틸볼(11)은 경사턱(16)에 걸려져서 이동을 저지하고 있는다. 상기한 각도범위를 벗어나면 그때서야 스틸볼(11)은 경사턱(16)을 올라타서 반대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스위치(14)의 접점이 ON 또는 OFF 된다. 이에 따라, 오수의 출렁임에 따른 채터링(chattering)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When sewage is generated from the surface when the sewage flows in or out of this state, the floa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clined upward and the angle inclined downward as indicated by the circular arrow 100 Steel ball 11 is caught by the inclined jaw (16) in the range of 10 degrees to 15 degrees inclined angle to prevent movement. Only outside the above-described angle range, the steel ball 11 then moves up the inclined jaw 16 to the opposite side, and at the same time, the contact point of the switch 14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 chattering phenomenon due to the sewage of the sewage.

도 7은 본 고안에 구성된 스위치 홀더에 마이크로 스위치를 장착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가)도면은 (나)도면의 C-C선 단면을 보인 평면도이고, (나)도면은 스위치 홀더의 종단면도이다.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ructure in which a micro switch is mounted on a switch holder construct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It is also.

상기 스위치 홀더(10)에 장착되어서 수위의 변화에 따라 ON/OFF 상태를 출력하는 스위치로는, 공지 기술인 소형의 마이크로 스위치(14) 또는 밀봉관 스위치(40) 중에서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본 고안에 구성된 스위치 홀더(10)는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14)와 밀봉관 스위치(40)를 각각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As a switch mounted on the switch holder 10 and outputting an ON / OFF state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water level, one of the well-known compact micro switch 14 or the sealed tube switch 40 may be selectively used. The switch holder 10 configur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micro switch 14 and the seal tube switch 40 can be mounted, respectively.

이를 위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홀더(10)의 상부몸체(13) 상면에는 양측판(17)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양측판(17)의 떨어져 있는 간격은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14)의 폭과 동일하며, 상기 양측판(17) 사이에 해당하는 상부몸체(13)의 상면은 개방되어 있고 그 외 상면부분은 덮여져 있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7, both side plates 17 ar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13 of the switch holder 10,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side plates 17 is spaced apart from the micro switch 14.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13 corresponding to the width between the two side plates 17 is open and the other upper surface portion is covered.

도 7의 (가)도면에 표기한 도면부호 (14a)는 마이크로 스위치(14)에 구비되어 있는 '단자'로서, 3개의 단자에 콘트롤러와 연결된 케이블의 전선을 접속함에 있어 원하는 ON 또는 OFF 동작이 되도록 선택하여 접속할 수 있다. 또, 도면부호 (18a)는 양측판(17)에 형성된 '결합공'으로 마이크로 스위치(14)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도면부호 미표기)과 대응되는 것이고, 도면부호 (18b)는 양측판(17)의 서로 마주보는 안쪽면에 형성된 '걸림돌기'로서, 마이크로 스위치(14)를 양측판(17)에 끼워넣을 때, 마이크로 스위치(14)의 안쪽 측면이 걸리도록 함으로써, 마이크로 스위치(14)의 접점편(15)이 스위치 홀더(10)의 상부몸체(13) 내부 상측에서 스틸볼(11)에 의한 구름운동에 동작될 수 있도록 위치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Reference numeral 14a shown in (a) of FIG. 7 is a 'terminal' provided in the micro switch 14, and the desired ON or OFF operation is performed in connecting three wires of the cabl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to the three terminals. You can choose to connect. In addition, reference numeral 18a corresponds to a through hole (not shown) formed in the micro switch 14 as a 'combination hole' formed in both side plates 17, and reference numeral 18b corresponds to both side plates 17. Of the micro-switch 14 by engaging the inner side of the micro-switch 14 when the micro-switch 14 is inserted into the two side plates 17. The contact piece 15 is to be positioned so that it can be operated in the rolling motion by the steel ball 11 in the upper body 13 of the upper side of the switch holder 10.

도 7에서 양측판(17)에서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미설명 도면부호 (19a)는 '제1 안치면'이고, (19b)는 '제2 안치면'인데, 이들은 밀봉관 스위치(40)를 장착할 수 있게 하는 부위이며, 이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In FIG. 7, non-explained reference numerals 19a formed on side surfaces facing each other in both side plates 17 are 'first set face', and 19b is 'second set face', which are sealed tube switches ( 40) to the mounting por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도 7의 (나)도면에서 가상선인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마이크로 스위치(14)는 접점편(15)이 아래를 향하도록 하여 상기 양측판(17) 사이에 끼워놓고 나사(14b)로 고정함으로써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다.As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as an imaginary line in Fig. 7B, the micro switch 14 is sandwiched between the two side plates 17 with the contact piece 15 facing downward, and fixed with screws 14b. It can be attached easily by doing so.

이에 따라, 상기 스틸볼(11)의 이동에 따라 접점편(15)이 눌러지거나 원래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Accordingly, as the steel ball 11 moves, the contact piece 15 is pressed or maintained in its original state.

도 8은 본 고안에 구성된 스위치 홀더에 밀봉관 스위치를 장착하는 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 (가)도면은 2와이어(전선) 타입에서 A접점 (나)도면은 2와이어(전선) 타입에서 B접점 (다)도면은 3와이어(전선) 타입으로 A and B 접점을 나타낸 것이다.8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mounting a sealed tube switch in the switch holder configur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drawing is a 2-wire (wire) type A contact (B) drawing is a 2-wire (wire) type B Contacts (C) The figure shows A and B contacts in 3-wire (wire) type.

상기 밀봉관 스위치(40)는 수위 변화에 따른 플로트의 기울기가 변화되면서 밀봉관에 내장된 철광선 가루가 이동되어 접점을 ON 또는 OFF 출력할 수 있다.The sealing tube switch 40 may change the inclination of the float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water level to move the iron light powder embedded in the sealing tube to output the contact ON or OFF.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위치 홀더(10)의 상면에는 있는 양측판(17)에는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서 상기 밀봉관 스위치(40)의 외주면에 대응되게 오목한 곡면으로 이루어져서 한쪽에 위치하는 제1 안치면(19a) 및 다른쪽에 위치하는 제2 안치면(19b)을 가진다.As described above, both side plates 17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witch holder 10 are formed in a concave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ling tube switch 40 on the side facing each other and positioned on one side ( 19a) and a second settling surface 19b located on the other side.

상기 밀봉관 스위치(40)는 도 8의 (가)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한쪽에 위치된 제1 안치면(19a)에 수직으로 끼워서 장착하거나 (나)도면과 같이 다른쪽에 있는 제2 안치면(19b)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다)도면과 같이 제1 안치면(19a) 및 제2 안치면(19b) 양쪽 모두에 1개씩 온/오프 방향을 달리하여 장착시킬 수 있다.As shown in (a) of FIG. 8, the seal tube switch 40 is mounted vertically on the first set face 19a located on one side thereof, or (b) the second face is placed on the other side as shown in the drawing. It can attach to 19b. In addition, as shown in (c),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surfaces 19a and 19b can be mounted in different on / off directions.

여기서, 도면의 간단한 설명에서 도 8의 (가)도면과 같은 경우를 'A접점', (나)도면과 같은 경우를 'B접점', (다)도면에 대해서는 'A and B 접점'이라 하였는데, 이는 ON/OFF 상태를 그렇게 표현한 것이다. 즉, A접점이 ON이면 B접점은 OFF라 할 수 있다.Here, in the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same case as (A) of FIG. 8 is referred to as 'A contact' and (B) as 'B contact' and (C) is referred to as 'A and B contact'. , Which is an expression of ON / OFF state. That is, if contact A is ON, contact B may be OFF.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플로트 타입 레벨 스위치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the float type level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the drawings disclosed herein, bu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플로트 타입 레벨 스위치의 결합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loat type level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플로트 타입 레벨 스위치의 분리단면도2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float type level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구성된 플로트 하우징의 평면도3 is a plan view of a float housing construct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구성된 가스배출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gas outlet configur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플로트 타입 레벨 스위치의 사용상태도5 is a state diagram using the float type level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플로트 타입 레벨 스위치의 작동상태도6 is an operating state of the float type level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에 구성된 스위치 홀더에 마이크로 스위치를 장착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가)도면은 (나)도면의 C-C선 단면을 보인 평면도이고, (나)도면은 스위치 홀더의 종단면도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ructure in which a micro switch is mounted on the switch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is a plan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CC of (b), and (b) is a longitudinal cross section of the switch holder. Degree

도 8은 본 고안에 구성된 스위치 홀더에 밀봉관 스위치를 장착하는 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 (가)도면은 2와이어(전선) 타입에서 A접점 (나)도면은 2와이어(전선) 타입에서 B접점 (다)도면은 3와이어(전선) 타입으로 A and B 접점을 나타낸 것이다.8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mounting a sealed tube switch in the switch holder configur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drawing is a 2-wire (wire) type A contact (B) drawing is a 2-wire (wire) type B Contacts (C) The figure shows A and B contacts in 3-wire (wire) typ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플로트 하우징 2 : 플로트 캡1 float housing 2 float cap

3 : 원통부 4 : 케이블 삽입공3: cylindrical part 4: cable insertion hole

5 : 케이블 6 : 밀폐링5: cable 6: sealing ring

7 : 절개부 8 : 보강리브7: incision 8: reinforcement rib

10 : 스위치 홀더 11 : 스틸볼10: switch holder 11: steel ball

12 : 하부몸체 13 : 상부몸체12: lower body 13: upper body

14 : 마이크로 스위치 14a : 단자14: micro switch 14a: terminal

15 : 접점편 16 : 경사면 턱15: contact piece 16: inclined surface jaw

17 : 양측판 18a : 결합공17: both side plate 18a: coupling hole

18b : 걸림돌기 19a : 제1 안치면18b: Jamming protrusion 19a: First face

19b : 제2 안치면 20 : 가스배출공19b: second side face 20: gas discharge hole

21 : 막음구 22 : 단턱홈21: blocking hole 22: stepped groove

30 : 플로트 접합부 31 : 외측부 돌출테30 float connection part 31 outer protrusion frame

32 : 외측부 삽입홈 33a, 33b : 나사부32: Outer part insertion groove 33a, 33b: Screw part

34 : 내측부 삽입홈 35 : 내측부 돌출테34: inner side insertion groove 35: inner side protruding frame

E1, E2, E3 : 에폭시 몰딩부 E1, E2, E3: epoxy molding part

100 : 플로트(본 고안에 따른 플로트 타입 레벨 스위치임.)100: float (float type level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00 : 터미널 박스 210 : 로프200: terminal box 210: rope

220 : 고정추 5a : 전선 피복 제거부220: fixed weight 5a: wire cover removing portion

Claims (5)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 홀더(10)에 장착된 스위치가 수위의 변화에 따른 부력에 의해서 온/오프 상태를 출력하며, 외부에 설치된 콘트롤러와 케이블(5)로 연결되어 수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써, 각각 내부공간을 가지면서 서로 대응되는 개구부를 가지는 플로트 하우징(1)과 플로트 캡(2) 상호간을 접합시켜 이루어진 플로트 타입 레벨 스위치에 있어서,The switch mounted in the switch holder 10 installed therein outputs the on / off state by buoyancy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water level, a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and the cable installed in the outside so that the water level can be adjusted. In the float type level switch formed by joining the float housing 1 and the float cap 2 to each other, each having an internal space and corresponding openings, 상기 플로트 하우징(1)은 개구부 둘레면에서 위로 올라와서 외주면에는 나사부(33a)를 가지는 외측부 돌출테(31)와, 상기 외측부 돌출테(31)의 안쪽을 따라 아래쪽으로 들어간 내측부 삽입홈(34)이 마련되고,The float housing 1 rises upward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ning and has an outer protruding frame 31 having a threaded portion 33a on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n inner side inserting groove 34 which enters downward along the inner side of the outer protruding frame 31. Is prepared, 상기 플로트 캡(2)은 개구부 둘레면에서 상기 플로트 하우징(1)의 외측부 돌출테(31) 및 나사부(33a)와 대응되면서 상기 외측부 돌출테(31)와의 사이에 틈새를 둘 수 있도록 위쪽으로 들어가고 바깥쪽 내주면에 나사부(33b)를 가지는 외측부 삽입홈(32)과, 상기 플로트 하우징(1)의 내측부 삽입홈(34)과 대응되면서 상기 내측부 삽입홈(34)과의 사이에 틈새를 둘 수 있도록 아래쪽으로 연장된 내측부 돌출테(35)가 마련되며,The float cap 2 enters upwardly so as to have a gap between the outer protruding frame 31 and the outer protruding frame 31 of the float housing 1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ning and corresponding to the outer protruding frame 31 and the threaded portion 33a of the float housing 1. The outer side insertion groove 32 having a threaded portion 33b on the out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inner side insertion groove 34 corresponding to the inner side insertion groove 34 of the float housing 1 can be provided with a gap therebetween. The inner protruding frame 35 extending downward is provided, 상기 플로트 하우징(1) 및 플로트 캡(2)에 각각 형성된 내측부 삽입홈(34)과 외측부 삽입홈(32)에 에폭시 몰드를 충진시켜서 경화되어 일체적으로 된 에폭시 몰딩부(E3)가 형성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타입 레벨 스위치.Epoxy molding part E3 formed by hardening by filling an epoxy mold in the inner side insertion groove 34 and the outer side insertion groove 32 formed in the float housing 1 and the float cap 2, respectively, is formed. Float type level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플로트 하우징(1)의 내부 아래쪽에는 원통부(3)가 형성되고, 상기 원통부(3)내에 스위치 홀더(10)의 하단부가 삽입되며, 상기 원통부(3) 아랫면에 관통된 케이블 삽입공(4)을 통해 케이블(5)이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케이블(5)에서 노출된 전선은 상기 스위치 홀더(10)에 장착된 스위치와 접속되어서 상기 원통부(3) 주위 공간에 에폭시 몰딩부(E1)가 충진되어 경화된 것을 포함하되,A cylindrical portion 3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loat housing 1, a lower end portion of the switch holder 10 is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portion 3, and a cable insertion hole penetrated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3. A cable 5 is inserted into the cable 5 through the cable 4, and the wires exposed from the cable 5 are connected to a switch mounted on the switch holder 10 so that an epoxy molding portion is formed in the space around the cylindrical portion 3. (E1) is filled and hardened, 상기 플로트 하우징(1)과 플로트 캡(2) 상호간을 접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에폭시 몰딩부(E1)가 경화되면서 발생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플로트 캡(2)의 면에서 상측에 단턱홈(22)을 가지는 가스배출공(20)이 관통되고, 상기 가스배출공(20)을 통해 가스를 배출한 후에는 상기 가스배출공(20)에 막음구(21)를 결합시키고, 상기 단턱홈(22)에는 에폭시 몰딩부(E2)로 충진시켜 밀폐된 것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타입 레벨 스위치.In the state in which the float housing 1 and the float cap 2 are bonded to each other, in order to discharge the gas generated while the epoxy molding part E1 is cured to the outside, After the gas discharge hole 20 having the stepped groove 22 is penetrated therethrough, and the gas is discharged through the gas discharge hole 20, the blocking hole 21 is coupled to the gas discharge hole 20. Float type level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ped groove 22 is further filled with an epoxy molding part (E2) sealed.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케이블 삽입공(4)을 통해 내부로 삽입된 케이블(5)의 노출된 전선 피복의 일부분이 제거된 전선 피복 제거부(5a)가 형성되고, 상기 전선 피복 제거부(5a)는 상기 에폭시 몰딩부(E1)에 함침된 것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타입 레벨 스위치.A wire covering removing portion 5a is formed in which a portion of the exposed wire covering of the cable 5 inserted into the cable 5 is inserted through the cable insertion hole 4, and the wire covering removing portion 5a is formed by the epoxy molding. The float type level switch further comprising an impregnation in the section E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스위치 홀더(10)는 스틸볼(11)이 내장되어 이동하는 내부공간을 가지면서 하부몸체(12)와 상부몸체(13)로 구분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부몸체(13)의 내부면과 상기 하부몸체(12)의 내부면은 단차져서 경사턱(16)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타입 레벨 스위치.The switch holder 10 is formed by dividing the lower body 12 and the upper body 13 while having the internal space in which the steel ball 11 is built and moves,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body 13 and the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body 12 is stepped float type level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jaw (16) is provided.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스위치 홀더(10)에 장착된 스위치는 마이크로 스위치(14)이며,The switch mounted on the switch holder 10 is a micro switch 14, 상기 스위치 홀더(10)의 상부몸체(13) 상면에는 양측판(17)이 형성되고, 상기 양측판(17) 사이에 해당하는 상부몸체(13)의 상면은 개방되어 있되,Both side plates 17 ar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13 of the switch holder 10, and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13 corresponding to the two side plates 17 is opened.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14)는 접점편(15)이 아래를 향하면서 상기 양측판(17) 사이에 끼워져서 나사(14b)로 고정되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타입 레벨 스위치.The micro switch (14) is a float type level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ct piece (15) is inserted between the two side plates (17) while facing downward and fixed with screws (14b).
KR2020090003852U 2009-04-02 2009-04-02 Quick float holder type level switch KR20045338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852U KR200453385Y1 (en) 2009-04-02 2009-04-02 Quick float holder type level swi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852U KR200453385Y1 (en) 2009-04-02 2009-04-02 Quick float holder type level swit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003U KR20100010003U (en) 2010-10-12
KR200453385Y1 true KR200453385Y1 (en) 2011-04-27

Family

ID=44200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3852U KR200453385Y1 (en) 2009-04-02 2009-04-02 Quick float holder type level swit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385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AR20130020A1 (en) * 2013-05-10 2014-11-11 F A E S Di Bernacchi S & C S N C SWITCHING DEVICE FOR FLOATS FOR THE CHECK OF THE LEVEL OF LIQUID SUBSTANCES, PARTICULARLY FOR CHECKING THE LEVEL OF A LIQUID IN A CONTAINER AS WELL, COCKPIT, TANK, STORE AND SIMILAR.
AU2021322840A1 (en) * 2020-08-03 2023-03-02 Nicholas Seymour A device for indicating a liquid level in a liquid contain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8858A (en) 1975-03-17 1981-07-14 The Marley-Wylain Company Liquid level responsive proximity switch
JPH09101192A (en) * 1995-10-06 1997-04-15 Nohken:Kk Float type liquid level detector
JPH1173865A (en) 1997-06-23 1999-03-16 Shin Meiwa Ind Co Ltd Float switch
KR200176982Y1 (en) 1999-07-01 2000-04-15 한기벽 A Switch for Detecting a Floating Leve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8858A (en) 1975-03-17 1981-07-14 The Marley-Wylain Company Liquid level responsive proximity switch
JPH09101192A (en) * 1995-10-06 1997-04-15 Nohken:Kk Float type liquid level detector
JPH1173865A (en) 1997-06-23 1999-03-16 Shin Meiwa Ind Co Ltd Float switch
KR200176982Y1 (en) 1999-07-01 2000-04-15 한기벽 A Switch for Detecting a Floating Lev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003U (en) 2010-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6759B2 (en) Lead acid battery
KR100663711B1 (en) Sealed resin case for housing equipmen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ealed resin case
US7736158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with a decreased height size and waterproof function
US7954601B2 (en) Lubricant dispenser
KR200453385Y1 (en) Quick float holder type level switch
KR20130034404A (en) Humidifier for fuel cell
KR101958290B1 (en) Battery bushing with internal warp-proof protection
JP2009087838A (en) Metal component suppor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623920B2 (en) Double molded product, method for manufacturing double molded product, and battery module
JP5760598B2 (en) Underground control panel
JP6160303B2 (en) Switch unit
US8443664B2 (en) Equalizing container for a hydraulic motor vehicle brake system
JP4317516B2 (en) Case for electric circuit board
JP2010025881A (en) Waterproof test device and method
CN105679716A (en) Pressure detection device
KR100761567B1 (en) Cut-off plate connection construction
US10530139B2 (en) Housing with a sealing body, a sealing body for the housing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ealing body
CN216378805U (en) Water drainage motor assembly for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US6405581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contents of foreign matters in a fluid
CN216040282U (en) Drainage motor installation part, drainage motor assembly and washing machine
CN209673188U (en) A kind of probe level device of waterproof
CN217656792U (en) Filling and sealing device
US20230216162A1 (en) Feedthrough system, method for producing a feedthrough system, electrochemical cell, and electrochemical system
CN211982224U (en) Electronic expansion valve circuit board is fixed and seal structure
CN209733524U (en) Liquid heating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