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935Y1 - 허리와 밀착되는 쿠션부가 구비된 가방 - Google Patents

허리와 밀착되는 쿠션부가 구비된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935Y1
KR200452935Y1 KR2020100004378U KR20100004378U KR200452935Y1 KR 200452935 Y1 KR200452935 Y1 KR 200452935Y1 KR 2020100004378 U KR2020100004378 U KR 2020100004378U KR 20100004378 U KR20100004378 U KR 20100004378U KR 200452935 Y1 KR200452935 Y1 KR 2004529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waist
wearer
close contact
cush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3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식
Original Assignee
김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식 filed Critical 김광식
Priority to KR20201000043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9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9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9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2Shoulder-pads
    • A45F2003/127Dorsal or hip pads for the lumbar back or for the waist

Abstract

본 고안은 개인소지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착용자의 등과 밀착되는 등판이 형성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연결되어 착용자가 가방을 멜 수 있도록 형성된 어깨끈;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몸체의 등판은, 착용자의 등에 접촉되는 원단과, 상기 원단과 상기 몸체를 형성하는 가방원단 사이에 삽입되는 패드와, 착용자의 허리부분과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패드 하단부에 부착되어서 돌출되는 복수개의 쿠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쿠션부는 복수개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쿠션부와 착용자의 허리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가방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허리와 밀착되는 쿠션부가 구비된 가방은 등판의 하단부에 쿠션부가 삽입되어 가방을 착용시 쿠션부가 허리부위와 밀착하여 가방을 지지함으로써, 가방의 무게를 양 어깨와 허리에 분산시킬 수가 있어 어깨에 부담을 줄일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허리와 밀착되는 쿠션부가 구비된 가방{A BAG HAVING CUSHION WITH THE WAIST ADHERES CLOSELY}
본 고안은 허리와 밀착되는 쿠션부가 구비된 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등판 하단부에 쿠션부가 삽입되어 쿠션부가 허리와 밀착됨으로써, 가방을 착용할 때 양어깨에 실리는 하중을 양어깨와 허리로 분산시켜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가방의 무게로 인한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허리와 밀착되는 쿠션부가 구비된 가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방은 개인소지품이나 휴대품 등을 담아서 등에 질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내부에 물건 등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마련되는 몸체와, 몸체 후면에 설치되어 어깨에 걸어 멜 수 있는 어깨끈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가방 안에 각종 소지품을 넣고 출퇴근이나 통학, 여행, 산행을 할 경우에 가방의 무게로 인해 양 어깨에 하중이 크게 실려 착용자의 어깨에 상당한 무리를 주거나 통증을 유발시키는 경우가 많고 가방의 무게에 의한 신체의 피로도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무더운 여름에 장시간 동안 가방을 착용하게 되면, 착용자의 등 부분과 밀착되는 가방의 등판에 땀이 많이 차게 되어 쾌적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고안의 목적은 양 어깨에 가중되는 무게를 효과적으로 분산시켜서 가방의 무게로 인한 신체의 피로도를 줄이고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가방을 착용할 때 가방의 등판에 땀이 차지 않도록 통기성이 좋은 가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허리와 밀착되는 쿠션부가 구비된 가방은 개인소지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착용자의 등과 밀착되는 등판이 형성되는 몸체; 및 몸체에 연결되어 착용자가 가방을 멜 수 있도록 형성된 어깨끈;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몸체의 등판은, 착용자의 등에 접촉되는 원단과, 상기 원단과 상기 몸체를 형성하는 가방원단 사이에 삽입되는 패드와, 착용자의 허리부분과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패드 하단부에 부착되어서 돌출되는 복수개의 쿠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쿠션부는 복수개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쿠션부와 착용자의 허리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된다.
삭제
또한 본 고안의 쿠션부는 가로 또는 세로 또는 대각선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쿠션부의 형상은 일자형 또는 지그재그형 또는 v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허리와 밀착되는 쿠션부가 구비된 가방은 등판의 하단부에 쿠션부가 삽입되어 가방을 착용시 쿠션부가 허리부위와 밀착하여 가방을 지지함으로써, 가방의 무게를 양 어깨와 허리에 분산시킬 수가 있어 어깨에 부담을 줄일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허리와 밀착되는 쿠션부가 구비된 가방은 쿠션부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착용자의 신체와 쿠션부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됨으로써 공간부로 공기가 잘 통하여 통기성이 좋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허리와 밀착되는 쿠션부가 구비된 가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허리와 밀착되는 쿠션부가 구비된 가방을 도시한 후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허리와 밀착되는 쿠션부가 구비된 가방의 등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허리와 밀착되는 쿠션부가 구비된 가방을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허리와 밀착되는 쿠션부가 구비된 가방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후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허리와 밀착되는 쿠션부가 구비된 가방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후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허리와 밀착되는 쿠션부가 구비된 가방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허리와 밀착되는 쿠션부가 구비된 가방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허리와 밀착되는 쿠션부가 구비된 가방을 도시한 후면도이다.
[도 1] 및 [도 2]을 참조하면, 허리와 밀착되는 쿠션부가 구비된 가방(10)은 몸체(20), 어깨끈(30) 및 허리조임끈(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20)는 휴대품이나 개인소지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몸체(20) 후면에는 착용자의 등과 밀착되는 등판(2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등판(22)의 하단부에는 착용자의 허리와 밀착되는 쿠션부(25)가 구비된다.
쿠션부(25)는 제1쿠션부(25a), 제2쿠션부(25b), 제3쿠션부(25c)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쿠션부(25)의 개수를 3개로 한정하였으나, 쿠션부(25)의 두께를 다르게 하여 개수를 늘리거나 줄일 수도 있다.
그리고 쿠션부(25)가 한 개인 경우에는 단순히 허리를 지지하는 것이나, 쿠션부(25)가 복수개인 경우에는 허리를 지지할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신체와 복수개의 쿠션부(25) 사이에 공간부(A: 도 4참조)가 형성됨으로써, 이 공간부(A)로 공기가 순환하여 허리부분에 땀이 차지 않아 착용감이 매우 좋게 된다.
쿠션부(25)는 일자형으로 형성되며 복수개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가로로 배치된다. 여기서, 쿠션부(25)가 가로로 배치되었으나, 쿠션부(25)를 세로로 배치하거나 또는 대각선으로 배치하여도 무방하다.
어깨끈(30)은 몸체(20)의 후면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양 어깨에 둘러메어 등에 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가방(10)이 아래로 처지지 않도록 어깨끈(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허리조임끈(40: 도 4참조) 은 몸체(20)의 후면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며, 이동 중에 가방(10)이 들썩거리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허리와 밀착되는 쿠션부가 구비된 가방의 등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허리와 밀착되는 쿠션부가 구비된 가방(10)의 등판(22)은 원단(23), 패드(24) 및 쿠션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원단(23)은 착용자의 등과 접촉되도록 몸체(20)를 형성하는 가방원단(21)에 봉제하여 고정된다. 원단(23)을 봉제할 때 하기 패드(24)와 쿠션부(25)를 같이 봉제하게 된다. 본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원단(23)에 통기공을 형성시켜 착용자의 등에서 발생하는 땀을 통기공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패드(24)는 원단(23)과 가방원단(21)의 사이에 삽입된다. 패드(24)는 탄성력이 있고 통기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며, 착용자의 등 부분을 보호해주고 충격을 완화하는 것은 물론 땀을 흡수하는 기능을 한다.
쿠션부(25)는 패드(24)의 하단부에 접착제를 통해 부착된다. 쿠션부(25)는 탄성이 있는 다공질물질인 스펀지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인 스펀지는 통기성이 미흡하기 때문에 본 고안의 쿠션부(25)는 구멍이 많이 뚫린 메시구조의 스펀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허리와 밀착되는 쿠션부(25)가 구비된 가방(10)을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착용자가 가방(10)을 착용했을 때 쿠션부(25)가 착용자의 허리와 밀착됨으로써, 양어깨와 함께 삼각형 형상으로 가방(10)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허리조임끈(40)을 단단하게 조이게 되면 쿠션부(25)가 착용자의 허리와 더욱더 밀착되어 지지력이 향상될 수가 있어 착용감을 좋게 한다. 이 때문에 착용자의 어깨에 집중되는 하중을 허리와 양어깨에 분산시킬 수가 있으며, 신체에 가해지는 피로감을 줄일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착용자의 신체와 쿠션부(25) 사이에 공간부(A)가 형성됨으로써, 공기가 잘 통하여 땀이 차지 않아 쾌적한 상태로 가방(10)을 메고 다닐 수가 있다.
따라서, 장시간 동안 가방(10)을 메고 있어도 쉽게 피로감을 느끼지 못하며, 신체에 가해지는 하중에도 변화를 줄 수가 있고, 통기성이 향상되어 땀이 차지 않아 가방(10) 착용시 쾌적함을 줄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허리와 밀착되는 쿠션부(25)가 구비된 가방(1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후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허리와 밀착되는 쿠션부(25)가 구비된 가방(10)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후면도이다.
[도 2]의 쿠션부(25)는 일자형으로 형성된 것이나, [도 5]의 쿠션부(25)는 다수의 스펀지를 지그재그로 접합시켜 완성된 지그재그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도 6]의 쿠션부(25)는 2개의 스펀지를 V자로 접합시켜 완성된 V자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 및 [도 6]과 같이, 쿠션부(25)가 지그재그형 또는 V자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일자형보다는 외관이 보다 더 미려하고, 신체에 닿는 촉감도 달라서 소비자에게는 다양함을 충족시킬 수가 있게 된다.
지금까지의 실시예의 경우 쿠션부의 형상은 일자형 또는 지그재그형 또는 V자형으로 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쿠션부의 형상은 원호나 곡선형으로 기타 다양한 형태로 얼마든지 제작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에 도시된 도면을 가방의 일 예로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몸체와 어깨끈을 포함하는 구성되는 어떠한 가방이든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가방 20: 몸체 21: 가방원단
22: 등판 23: 원단 24: 패드
25: 쿠션부 30: 어깨끈 40: 허리조임끈

Claims (4)

  1. 개인소지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착용자의 등과 밀착되는 등판이 형성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연결되어 착용자가 가방을 멜 수 있도록 형성된 어깨끈;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몸체의 등판은,
    착용자의 등에 접촉되는 원단과, 상기 원단과 상기 몸체를 형성하는 가방원단 사이에 삽입되는 패드와, 착용자의 허리부분과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패드 하단부에 부착되어서 돌출되는 복수개의 쿠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쿠션부는 복수개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쿠션부와 착용자의 허리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가방.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는 가로 또는 세로 또는 대각선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의 형상은 일자형 또는 지그재그형 또는 v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KR2020100004378U 2010-04-26 2010-04-26 허리와 밀착되는 쿠션부가 구비된 가방 KR2004529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378U KR200452935Y1 (ko) 2010-04-26 2010-04-26 허리와 밀착되는 쿠션부가 구비된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378U KR200452935Y1 (ko) 2010-04-26 2010-04-26 허리와 밀착되는 쿠션부가 구비된 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2935Y1 true KR200452935Y1 (ko) 2011-03-31

Family

ID=44245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378U KR200452935Y1 (ko) 2010-04-26 2010-04-26 허리와 밀착되는 쿠션부가 구비된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93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11538A (zh) * 2014-04-21 2015-11-04 刘乐凝 太阳能防汗背包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89322U (ko) 1978-12-14 1980-06-20
JPS61149531U (ko) 1985-03-07 1986-09-16
KR200237835Y1 (ko) 2001-04-04 2001-10-10 김재기 배낭용 등받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89322U (ko) 1978-12-14 1980-06-20
JPS61149531U (ko) 1985-03-07 1986-09-16
KR200237835Y1 (ko) 2001-04-04 2001-10-10 김재기 배낭용 등받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11538A (zh) * 2014-04-21 2015-11-04 刘乐凝 太阳能防汗背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9556B2 (en) Backrest pillow
US20140231473A1 (en) Baby carrier
US8726419B2 (en) Head and neck stabilizer for travel
JP3110982U (ja) 背嚢用クッションパッド
US8162194B2 (en) Backpack with side bolsters
US20160183685A1 (en) Portable neck pillow
US9392878B2 (en) Multi-functional supporting cushion
CN106174821B (zh) 硬式裤垫
US6845534B1 (en) Support pillow
CN210299973U (zh) 一种背包
JP3117316U (ja) 保護パッド用衝撃吸収体、これを用いた保護パッド及び保護用衣類
KR200452935Y1 (ko) 허리와 밀착되는 쿠션부가 구비된 가방
US8822011B2 (en) Multi-layer foam structure
KR101304363B1 (ko) 가변형 허리베개
EP2615934B1 (en) Wearable article for support of a baby
CN211672845U (zh) 一种透气工具包
CN210353253U (zh) 一种新型男士运动裤
KR101547595B1 (ko) 핫팩을 이용한 복부찜질용 벨트
CN210299977U (zh) 一种舒适登山背包
CN206252191U (zh) 一种护腰垫
CN207803745U (zh) 一种舒适背包
KR101471337B1 (ko) 기능성 가방
KR20150000645U (ko) 허리 보호용 복대
JP3190413U (ja) 携帯用ネックピロー
CN211795431U (zh) 一种多功能靠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