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931Y1 - 혈액 냉장냉동설비의 단열구조 - Google Patents

혈액 냉장냉동설비의 단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931Y1
KR200452931Y1 KR2020100007326U KR20100007326U KR200452931Y1 KR 200452931 Y1 KR200452931 Y1 KR 200452931Y1 KR 2020100007326 U KR2020100007326 U KR 2020100007326U KR 20100007326 U KR20100007326 U KR 20100007326U KR 200452931 Y1 KR200452931 Y1 KR 2004529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coupling
fixing
insulating
refrig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73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근진
윤정권
윤정철
Original Assignee
윤근진
윤정철
윤정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근진, 윤정철, 윤정권 filed Critical 윤근진
Priority to KR20201000073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9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9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9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3/00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3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an assembly of pa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10Insulation, e.g. vacuum or aerogel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반복되는 하중에 의하여 바닥의 결합상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혈액 냉장냉동설비의 단열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 혈액 냉장냉동설비의 단열구조는 혈액을 보관하기 위하여 바닥, 외벽, 상부에 단열재가 구비된 혈액 냉장냉동설비에 있어서, 상기 바닥은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제1단열부재와; 상기 제1단열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와; 상기 제1단열부재, 고정부재 및 지면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외벽은 실내와 접하는 부분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는 실내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냉각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은 제1단열부재의 상단에 미끄러움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는 결합부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판상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단열부재의 측면에 구비되어 제1단열부재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의 재질은 아세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반복되는 하중에 의하여 바닥의 결합부분이 변형되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결합부분에 틈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혈액 냉장냉동설비 내부의 냉기가 누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혈액 냉장냉동설비의 단열구조 {STRUCTURE FOR INSULATION OF BLOOD REFRIGERATING EQUIPMENT}
본 고안은 혈액 냉장냉동설비의 단열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혈액 냉장냉동설비의 바닥 결합부재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혈액 냉장냉동설비의 단열구조에 관한 것이다.
혈액 냉장냉동설비는 혈액 및 생물학적 제제를 장기간 그 유효성을 유지하고 관리하기 위한 설비이다. 이러한 목적의 설비는 특히 고내 온도를 정밀하게 유지하도록 설계, 제작되어야 한다.
도 2는 종래 혈액 냉장냉동설비의 단열구조를 도시한 구성도로, 도 2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종래 혈액 냉장냉동설비 단열구조의 바닥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단열부재(10)가 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1단열부재(10)를 결합하기 위하여 고정부(70), 돌출부(71), 연결부(80), 패킹(81), 결합클립(90)을 사용한다.
상기 고정부(70)는 제1단열부재(10)의 일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ㄷ'형상을 가진다. 복수의 제1단열부재(10)를 상호 결합하면, 상기 고정부(70)에 의해 결합되는 제1단열부재(10)사이에 공간이 발생하며, 상기 공간에는 연결부(80)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연결부(80)의 양단에는 패킹(81)이 구비되어, 고정부(70)와 밀착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결합클립(90)은 인접하는 제1단열부재(10)를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고정부(70)의 일단에 형성된 돌출부(71)에 결합되어 제1단열부재(10)를 상호 결한다. 즉, 결합클립(90)에는 상기 돌출부(71)와 대응하는 위치에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71)가 상기 삽입홈(미도시)에 삽입고정되어 제1단열부재(10)를 상호 결합시킨다.
이러한 종래 혈액 냉장냉동설비 단열구조는 단열부재의 결합은 용이하게 할 수 있으나, 장기간 사용시 반복되는 하중에 의해 고정부(70)와 패킹(81) 사이가 벌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바닥에 틈이 발생하여 냉기가 누수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반복되는 하중에 의하여 바닥의 결합상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혈액 냉장냉동설비의 단열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혈액 냉장설비에 전기공급이 중단되는 경우에도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혈액 냉장냉동설비의 단열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혈액 냉장냉동설비의 단열구조는 혈액을 보관하기 위하여 바닥, 외벽, 상부에 단열재가 구비된 혈액 냉장냉동설비에 있어서, 상기 바닥은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제1단열부재와; 상기 제1단열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와; 상기 제1단열부재, 고정부재 및 지면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외벽은 실내와 접하는 부분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는 실내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냉각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간부는 냉각부재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은 제1단열부재의 상단에 미끄러움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는 결합부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판상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단열부재의 측면에 구비되어 제1단열부재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의 재질은 아세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재는 기역자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며, 상부에 위치한 결합부재는 상기 제1단열부재, 고정부재 및 미끄럼방지부재를 결합하며, 하부에 위치한 결합부재는 상기 제1단열부재, 고정부재 및 지면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반복되는 하중에 의하여 바닥의 결합부분이 변형되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결합부분에 틈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혈액 냉장냉동설비 내부의 냉기가 누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냉각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혈액 냉장설비에 전기공급이 중단된 경우에도 일정시간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혈액 냉장냉동설비의 단열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종래 혈액 냉장냉동설비의 단열구조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본 고안 혈액 냉장냉동설비의 단열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혈액 냉장냉동설비는 혈액 및 생물학적 제제를 장기간 그 유효성을 유지하고 관리하기 위한 설비이다. 일반적인 혈액 냉장냉동설비는 콘크리트 지면위에 설치되고, 바닥, 외벽, 상부에 단열재가 구비되어 열손실을 최소화 하고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혈액 냉장냉동설비의 바닥은 복수의 단열재를 연결하여 구성되며, 외벽은 단열재가 2중으로 구성된다.
도 1에 의하면, 본 고안 혈액 냉장냉동설비의 단열구조는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제1단열부재(10), 상기 제1단열부재(1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20), 상기 제1단열부재(10)와 고정부재(20) 및 지면(60)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닥은 적어도 하나이상의 제1단열부재(10)를 결합하여 형성되며, 제1단열부재(10) 상호간을 결합하기 위해 고정부재(20)와 결합부재(30)가 사용된다. 제1단열부재(10)는 열손실을 최소화 하도록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단열부재(10)의 측면에는 고정부재(20)가 결합되어, 상기 제1단열부재(10)를 고정한다. 고정부재(20)는 판상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20)의 재질은 아세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세탈은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하나로 질기고 단단하고 압력을 가해도 모양이 변하지 않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아세탈로 형성된 고정부재(20)에 하중이 인가되어도, 아세탈의 특성상 모양이 변형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하여 종래 혈액 보관시설과 달리 바닥의 결합구조의 변형에 의하여 냉기가 누수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결합부재(30)는 고정부재(20)의 상단과 하단에 구비되며, 상단에 구비된 결합부재(30)는 제1단열부재(10)와 고정부재(20)를 결합하고 하단에 구비된 결합부재(30)는 제1단열부재와(10), 고정부재(20) 및 지면(60)을 결합한다.
상기 결합부재(30)는 기역자 형태로 형성되고 볼트가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된다. 고정부재(20)의 상단에 구비된 결합부재(30)의 일단은 제1단열부재(10)와 볼트결합되고, 타단은 고정부재(20)와 볼트결합된다. 고정부재(20)의 하단에 구비된 결합부재(30)의 일단은 지면(60)과 볼트결합되고, 타단은 고정부재(20)와 볼트결합된다.
즉, 결합부재(30)에 의해 제1단열부재(10), 고정부재(20) 및 지면(60)은 일체로 형성된다.
본 고안 혈액 냉장냉동설비의 단열구조는 실내와 접하는 외벽에 공간부(50)가 형성된다. 상기 공간부(50)에는 실내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냉각부재(51)가 구비된다. 상기 공간부(50)에 구비된 냉각부재(51)로 인하여 혈액 냉장시설에 전기공급이 중단된 경우에도 일정시간동안 실내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냉각부재(51)는 아이스팩이나 쿨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이상의 아이스팩이나 쿨러가 공간부(51)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간부(50)는 냉각부재(51)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부(52)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52)는 공간부(50)의 일면에 형성되며, 여닫이식 또는 미닫이식으로 형성된다. 냉각부재(51)를 공간부(50)에 삽입하는 경우에는 삽입부(52)를 개방하여 냉각부재(51)를 삽입하고, 냉각부재(51)를 삽입한 후에는 삽입부(52)를 닫아 공간부(50)가 밀페되도록 한다.
본 고안 혈액 냉장냉동설비의 단열구조 바닥은 제1단열부재(10)의 상단에 미끄러움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부재(4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부재(40)는 바닥의 전체면적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결합부재(30)에 의해 제1단열부재(10)와 볼트결합된다. 따라서, 제1단열부재(10), 고정부재(20), 결합부재(30), 미끄럼방지부재(40), 지면(60)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지면(60)은 콘크리트층으로 형성되며, 지면(60)의 상부에는 방수층(61)이 형성된다. 상기 방수층(61)은 콘크리트층의 형성시에 통상적으로 형성되는 방수층(61)이며, 골탄으로 방수 처리하여 방수층(61)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고안 혈액 냉장냉동설비 단열구조의 구성과 기능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이하, 본 고안 혈액 냉장냉동설비 단열구조의 사용상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 혈액 냉장냉동설비 단열구조는, 먼저 결합부재(30)가 지면(60)에 결합되고, 지면(60)에 결합된 결합부재(30)에 고정부재(20)가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재(30)와 지면, 결합부재(30)와 고정부재(20)는 볼트 결합된다.
상기 결합 후, 고정부재(20)와 다른 고정부재(20)에 의해 생성되는 공간에 폴리우레탄을 발포하여 제1단열부재(10)를 형성한다. 제1단열부재(10)를 폴리우레탄으로 형성함므로써, 열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폴리우레탄을 발포하여 제1단열부재(10)를 형성한 후, 상기 제1단열부재(10)의 상부에 미끄럼방지부재(40)를 설치한다. 상기 미끄럼방지부재(40)는 제1단열부재(10), 결합부재(30)를 관통하여 볼트 결합된다.
상기 과정을 통해 복수의 제1단열부재(10)를 형성하여 바닥을 구성한 후, 공간부(50)를 형성하여 냉각부재(51)를 삽입한다. 공간부(50)는 외벽이 실내와 접하는 부분에 마련되며, 냉각부재(51)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부(52)가 형성된다. 즉, 삽입부(52)를 개방하여 냉각부재(51)를 공간부(50)에 삽입하고, 삽입 후 상기 삽입부(52)를 닫아 공간부(50)가 밀폐되도록 한다.
인접하는 제1단열부재(10)가 결합하는 부분은 고정부재(20)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재(20)는 단단한 아세탈 재질로 형성되므로, 상부의 반복되는 하중에 의하여 변형되지 않는다. 상기 고정부재(20)가 변형되지 않음으로써, 고정부재(20)와 다른 고정부재(20)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아 냉기가 누수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10… 제1단열부재
20… 고정부재
30… 결합부재
40… 미끄럼방지부재
50… 공간부
51… 냉각부재
52… 삽입부
60… 지면
61… 방수층
70… 고정부
71… 돌출부
80… 연결부
81… 패킹
90… 결합클립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혈액을 보관하기 위하여 바닥, 외벽, 상부에 단열재가 구비된 혈액 냉장냉동설비에 있어서,
    상기 바닥은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제1단열부재(10)와;
    상기 제1단열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20)와;
    상기 제1단열부재(10), 고정부재(20) 및 지면(60)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30)를 포함하되,
    상기 외벽은 실내와 접하는 부분에 공간부(50)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50)에는 실내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냉각부재(51)가 구비되며,
    상기 공간부(50)는 냉각부재(51)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부(5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냉장냉동설비의 단열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은 제1단열부재(10)의 상단에 미끄러움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부재(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미끄럼방지부재(40)는 결합부재(30)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냉장냉동설비의 단열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는 판상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단열부재(10)의 측면에 구비되어 제1단열부재(10)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냉장냉동설비의 단열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의 재질은 아세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냉장냉동설비의 단열구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30)는 기역자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고정부재(20)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며,
    상부에 위치한 결합부재(30)는 상기 제1단열부재(10), 고정부재(20) 및 미끄럼방지부재(40)를 결합하며,
    하부에 위치한 결합부재(30)는 상기 제1단열부재(10), 고정부재(20) 및 지면(60)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냉장냉동설비의 단열구조.
KR2020100007326U 2010-07-12 2010-07-12 혈액 냉장냉동설비의 단열구조 KR2004529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326U KR200452931Y1 (ko) 2010-07-12 2010-07-12 혈액 냉장냉동설비의 단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326U KR200452931Y1 (ko) 2010-07-12 2010-07-12 혈액 냉장냉동설비의 단열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2931Y1 true KR200452931Y1 (ko) 2011-03-31

Family

ID=44245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7326U KR200452931Y1 (ko) 2010-07-12 2010-07-12 혈액 냉장냉동설비의 단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93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505B1 (ko) 2015-07-24 2016-07-27 주식회사 코사바이오 응축수 처리 장치를 구비한 혈액제제 분류 작업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324Y1 (ko) * 2007-06-08 2007-11-22 주식회사 승일오이에스 발포성형의 단열바닥판을 이용한 이중바닥구조
KR100813300B1 (ko) * 2007-06-28 2008-03-13 주식회사 신성사 의료용 냉장쇼케이스
KR20090009667A (ko) * 2007-07-20 2009-01-23 이영구 건축용 판넬과 이의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324Y1 (ko) * 2007-06-08 2007-11-22 주식회사 승일오이에스 발포성형의 단열바닥판을 이용한 이중바닥구조
KR100813300B1 (ko) * 2007-06-28 2008-03-13 주식회사 신성사 의료용 냉장쇼케이스
KR20090009667A (ko) * 2007-07-20 2009-01-23 이영구 건축용 판넬과 이의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505B1 (ko) 2015-07-24 2016-07-27 주식회사 코사바이오 응축수 처리 장치를 구비한 혈액제제 분류 작업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28124B (zh) refrigerator
RU2629967C2 (ru)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ый коробчатый корпус и холодильник
RU2370714C2 (ru) Корпус холоди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US20110304253A1 (en) Refrigerated case with thermal door frame
KR100827403B1 (ko) 냉장 및 냉동창고의 조립식 패널 연결구조체
TWI613131B (zh) 冰箱
US20200003481A1 (en) Magnetic gasket and cooling apparatus
KR20130031039A (ko) 냉동/냉장용 창고도어
CN103069233A (zh) 制冷装置和用来制造该制冷装置的方法
KR200452931Y1 (ko) 혈액 냉장냉동설비의 단열구조
KR101423049B1 (ko) 단열패널 접합체결용 모서리부 연결프레임
KR101461432B1 (ko) 냉장,냉동고의 판넬조립구 및 판넬조립방법
KR101709707B1 (ko) 냉동 및 냉장 창고용 칸막이 패널 설치구조
KR100678416B1 (ko) 대형 냉동 냉장고용 단열 패널
KR101151612B1 (ko) 냉동 칸막이 판넬의 하부 받침용 단열패드 및 냉동 칸막이 판넬의 단열 시공방법
AU714080B2 (en) A refrigerating system of a refrigerated freight container
KR20100009238U (ko) 냉동 창고용 도어 장치
KR200411360Y1 (ko) 냉장, 냉동고의 조립식 패널 연결구조
CN203716314U (zh) 夹芯保温板及使用该夹芯保温板的冷库
KR200241717Y1 (ko) 냉동창고용 패널 결합장치
KR102158282B1 (ko) 냉장/냉동창고용 슬라이딩 도어
JP2937010B2 (ja) 摺動断熱パネル下部の気密装置
KR20110006584U (ko) 냉동창고용 벽체 프레임
KR101239292B1 (ko) 밀착 결합구를 갖는 냉장 및 냉동창고용 벽체패널
US20240151460A1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