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788Y1 -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upplying water in toilet stool - Google Patents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upplying water in toilet stoo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52788Y1 KR200452788Y1 KR2020080014606U KR20080014606U KR200452788Y1 KR 200452788 Y1 KR200452788 Y1 KR 200452788Y1 KR 2020080014606 U KR2020080014606 U KR 2020080014606U KR 20080014606 U KR20080014606 U KR 20080014606U KR 200452788 Y1 KR200452788 Y1 KR 20045278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ilet
- water
- water supply
- supply pipe
- sea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4—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seat or cover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and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seat or cover; Raising or lowering seat and/or cover by flushing or by the flushing mechanism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22—Operating automatically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3—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flo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변기용 자동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양변기(1)는 수조(10), 변기(20), 시트(30) 및, 누름밸브(40)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for a toilet, the toilet 1 is composed of a water tank 10, the toilet 20, the seat 30, and the push valve (40).
특히, 본 고안은 변기(20) 상단면에 누름밸브(40)를 구비하는바, 이 누름밸브(40)는 수도 공급관(100)과 양변기(1)의 급수관(50)을 상호연통하는데, 누름밸브(40)를 가압할 때에만 누름밸브(40)가 개방되어 수도 공급관(100)으로부터 급수관(50)을 따라 양변기 수조(10)로 수돗물(혹은 세정수)을 공급한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ush valve 40 on the top surface of the toilet 20, the push valve 4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water supply pipe 100 and the water supply pipe 50 of the toilet 1, the press Only when the valve 40 is pressurized, the push valve 40 is opened to supply tap water (or washing water) from the water supply pipe 100 to the toilet water tank 10 along the water supply pipe 50.
Description
본 고안은 양변기용 자동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양변기 시트에 착석하면 누름밸브가 작동되어 양변기 수조에 물을 공급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for a toilet, in particular, the user is seated on the toilet sea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ush valve is operated to supply water to the toilet tank.
일반적으로, 현재 화장실에 많이 적용되는 양변기(좌변기)는 부구(浮具)를 수단으로 하여 양변기 수조 내에 물을 공급하고 차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양변기는 양변기 수조에 물이 채워져 있는 상태에서 배수 레버(lever)를 작동시켜 배수마개를 개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In general, toilets (left toilets), which are widely applied to toilets, are currently able to supply and shut off water in toilet bowls by means of floats.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oilet is designed to open the drain cap by operating the drain lever (lever) in the state that the water in the toilet bowl is filled.
특히, 전술된 현재 널리 통용되고 있는 이러한 양변기는 사용자가 양변기 수조에 세정수를 변기로 배수하고 나면 별도의 작업을 거치지 않고서도 급수관을 통해 양변기 수조로 물을 채울 수 있고, 세정수가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게 되면 부구를 매개로 하여 급수관을 폐쇄한다.In particular, such a toilet which is currently widely used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user drains the washing water into the toilet bowl, the water can be filled with the toilet bowl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without any additional work, and the washing water is set at a predetermined level. When it is reached, the water supply line is closed through the buoy.
종래의 양변기는 양변기 수조에 항상 물을 채워 놓고 있다. 이러한 양변기를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수조로부터 변기까지 세정수를 안내하는 유도관을 개폐할 수 있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배수마개가 노후되어 유도관을 확실하게 폐쇄하지 못하게 된다. Conventional toilets are always filled with water in the toilet bowl. When the toilet is used for a long time, the drain plug made of a rubber material that can open and close the induction pipe for guiding the washing water from the water tank to the toilet becomes obsolete, so that the induction pipe cannot be securely closed.
이로 인해서, 양변기 수조에 채워져 있던 세정수는 배수마개의 노후된 부분을 타고 유도관을 따라 변기로 예상치 못했던 누수증상을 보이게 된다. 이와 같이, 지속적으로 세정수가 누수되므로 미리 설정되어 있던 수위에 부구가 도달하지 못하여 급수관을 통해 물이 계속 공급되어야 하는 문제점을 노출한다. 이러한 문제점은 수도의 소모를 증가시키며 수돗세를 더 내야만 하는 불편함을 가져온다.As a result, the washing water filled in the toilet bowl shows an unexpected leak in the toilet along the induction pipe along the old part of the drain plug. As such, since the washing water is continuously leaked, it is difficult to reach the preset water level, thereby exposing a problem that water must be continuously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This problem increases the consumption of water and bring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pay more water.
또한, 지속적인 누수로 인하여 좁은 급수관으로 물이 공급되면서 소음이 발생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noise may occur as water is supplied to a narrow water supply pipe due to continuous leakage.
남자들이 소변을 보기 위해 전술된 종류의 양변기를 사용할 때에는 통상적으로 시트커버와 시트를 젖혀 올려 변기에 직접 소변을 본다. 이는 변기 주변에 소변이 묻혀지고 튀겨져 위생상, 특히 냄새가 진동하여 다음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야기한다. 종래의 양변기는 사용자가 대변을 누던 소변을 보던 배수 레버의 일 작동으로 양변기 수조에 담아져 있던 일정량의 세정수가 일률적으로 배수되므로 수돗물의 소모량이 많은 것도 현실적인 문제이다.When men use toilets of the type described above to urinate, they typically fold up the seat cover and sheet to urinate directly into the toilet. This is caused by urine and splashes around the toilet bowl for hygiene, especially odors, causing discomfort to the next user. The conventional toilet is a realistic problem that the consumption of tap water is a lot of water because a certain amount of washing water contained in the toilet bowl by the operation of the drain lever whether the user is stool or urinate.
본 고안은 앞서 기술된 다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many of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본 고안의 목적은 양변기 시트에 착석할 때에만 양변기 수조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수조는 일반적으로 비어져 있는 상태로 유지되나, 양변기 시트에 착석 혹은 누름밸브를 가압한 상태에서만 비어 있던 양변기 수조에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ly water to the toilet tank only when seated on the toilet seat. In other words, the toilet bow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generally maintained in an empty state, it is possible to supply the washing water to the empty toilet tank only when the seat or pressurized valve is pressed on the toilet seat.
이를 위해서, 본 고안은 양변기 시트 하부에 위치된 누름밸브를 가압하면 급수관으로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ssurize the push valve located in the bottom of the toilet seat to supply the washing water to the water supply pipe.
위생상의 이유로 해서, 다수의 남자들도 소변을 보기 위해서 양변기 시트에 착석하여 일을 보는 추세이다. 이로 인해, 양변기 시트에 착석할 때에만 양변기 수조에 세정수를 공급하여도 특별한 문제점을 보이지 않을 것이다.For hygiene reasons, many men also tend to sit on toilet seats to urinate. Because of this, even if the toilet water is supplied to the toilet seat only when seated on the toilet seat will not show a particular problem.
본 고안은 종래의 일반적인 양변기를 그대로 이용하면서 매우 간단하게 급수관에 누름밸브를 장착하는 것으로도 목적을 성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object even by simply mounting a pressure valve to the water supply pipe while using the conventional conventional toilet as it is.
이 누름밸브가 양변기 시트로 누르는 동안 누름밸브가 개방되어 수도 공급관에서 양변기 급수관으로 연속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부구를 통해 소정의 수위에 세정수가 도달하게 되면 누름밸브의 차단 없이도 부구로 인해 급수관이 폐쇄되어 더 이상의 급수를 하지 않게 된다. While the pressure valve is pressed into the toilet seat, the pressure valve is opened so that water can be continuously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to the toilet water supply pipe. In addition, when the washing water reaches a predetermined level through the mouth, the water pipe is closed due to the mouth without blocking the press valve so that no further water is supplied.
배수과정은, 종래의 양변기와 마찬가지로 배수 레버를 작동하여 배수마개를 개방하여 배수시킨다.In the drainage process, the drainage lever is opened and drained by operating the drainage lever as in the conventional toilet.
이상 본 고안의 설명에 의하면, 본 고안은 사용자가 혹은 일정한 하중이 양변기 시트를 가압할 때에만 양변기 수조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supply to the toilet tank only when the user or a constant load to press the toilet seat.
이는 오랜 시간 사용하여 배수마개의 노후된 상태에서도 양변기 시트를 가압하지 않게 되면 양변기 수조에 물이 공급되지 않아 별도의 누수현상이 일어 나지 않게 되어 있다.This means that even if the toilet seat is not pressurized even after the drainage plug is used for a long time, water is not supplied to the toilet bowl so that no leakage occurs.
또한, 본 고안은 양변기 시트를 누를 때에만 자동적으로 급수되므로 소변 혹은 대변과 같이 착석하는 있는 동안 혹은 가압하는 시간에 따라 양변기 수조에 급수하는 물의 양이 달라 절수효과를 창출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utomatically watered only when the toilet seat is pressed, so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toilet tank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time while sitting or pressurized, such as urine or stool to create a water saving effect.
이제, 본 고안은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The invention is now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자동급수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양변기 수조에 본 고안에 따른 자동급수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side view of an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for a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oilet bowl.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1)는 종래의 양변기와 비교하여 누름밸브(40)를 제외하고는 거의 유사한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기존 설치된 양변기에 본 고안에 따른 자동급수장치, 예컨대 누름밸브만을 장착하고서도 본 고안으로 달성될 목적으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The
기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양변기(1)는 일반적인 양변기와 마찬가지로 수 조(10), 변기(20), 시트(30) 등으로 이루어진다.As described, the
특히, 본 고안은 변기(20) 상단면에 누름밸브(40)를 구비한다. 이 누름밸브(40)는 수도 공급관(100)과 양변기(1)의 급수관(50)을 상호연통하는데, 누름밸브(40)를 가압할 때에만 누름밸브(40)가 개방되어 수도 공급관(100)으로부터 급수관(50)을 따라 비어져 있던 양변기 수조(10)로 수돗물(혹은 세정수)을 충분히 공급한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누름밸브(40)는 시트(30)에 사용자가 착석하여 앉아 있으면 시트(30)에 가해진 하중으로 누름밸브(40)를 눌러 작동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누름밸브(40)는 양변기 수조(10) 앞의 변기(20)의 상부 편평면에 삽입홈을 형성/천공하여 그 삽입홈에 삽입하여 고정장착된다. The
가압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누름밸브(40)는 변기(20) 상단면과 시트(30)의 맞닿는 지점에 위치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increase the pressurizing effect, the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사용과정을 기술하면서 본 고안의 특징으로 아래에 기술한다.1 and 2, the following describes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describing the use process.
사용자가 시트커버(31)를 젖혀 올리고 시트(30)에 착석하게 되면, 시트(30)는 사용자의 몸무게로 인하여 변기(20) 상단면에 배치된 누름밸브(40)를 가압한다. 물론, 사용자가 시트(30)에 안착될 때에만 누름밸브(40)를 가압할 수 있다.When the user raises the
누름밸브(40)를 가압하게 되면, 수도 공급관(100)과 급수관(50) 사이에 놓인 누름밸브(40)가 개방되어져 수도 공급관(100)과 급수관(50)을 상호연통시킨다.When the
따라서, 급수관(50)을 따라 비어져 있던 양변기 수조(10)로 세정수가 채워진 다. Therefore, the washing water is filled with the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이미 널리 알려져 있듯이, 부구(11)가 수조(10) 내에 설치되어 미리 세정수의 수위를 설정한다.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여 부구(11)에 연결된 밀봉부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급수관(50)을 폐쇄한다. 이러한 과정은, 장시간 사용자가 시트(30)에 앉아 있어 누름밸브(40)를 계속해서 눌러 개방상태를 유지하여도 미리 설정된 수위만큼 세정수가 채워지면 더 이상의 물공급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As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사용자가 모든 용변을 다 본 후에, 세정수를 수조(10)에서 변기(20)로 배수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배수 레버(12)를 작동하여 이 배수 레버(12)에 연결된 배수마개(13)를 들어올려 유도관을 개방한다. 이 유도관은 수조(10)와 변기(20) 사이를 상호연통하여 세정수의 배수경로를 확보해 준다(누름밸브의 연결을 확보하기 위해서 유도관의 일부만을 도시함). 개방된 유도관을 따라, 세정수는 변기(20)로 배출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 본 고안의 양변기 수조는 빈 상태를 유지한다. 다시 수조를 채우기 위해서는, 누름밸브(40)를 가압하면 전술된 방식으로 수조를 채울 수 있게 된다.After the user sees all the toilets, the user manually operates the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자동급수장치는 변기의 상부 편평면 상에 삽입되어 있던 누름밸브를 사용자가 시트에 착석하면 수조로 급수할 수 있게 되어 있는데, 선택가능하기로, 누름밸브 상에 디스크형 상판을 추가로 구비하여 시트와 누름밸브 사이의 접촉면적을 넓혀 시트를 통해 누름밸브를 확실하게 가압할 수도 있다. 물론, 디스크형 상판은 사용여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The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for a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ly water to a water tank when a user seats a press valve inserted on an upper flat surface of a toilet.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seat and the push valve to reliably pressurize the push valve through the seat. Of course, the disk-shaped top plate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use conditions.
본 명세서에서는 일반적인 양변기의 구성부재들과 이들의 결합관계에 대해서는 이미 주지관용적 기술로 널리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배제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ince the constituent members of the general toilet and their coupling relationship are already known as well known technique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본 고안은 상세한 설명에 국한되지 않고 아래의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을 밝혀둔다.It is intended that the invention not be limited to the description but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자동급수장치를 부분절개한 측면도이다.1 is a side view partially cut off the automatic water supply for toilet bow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양변기 수조에 본 고안에 따른 자동급수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automatic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oilet bowl.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 ----- 양변기,1 ----- toilet bowl,
10 ----- 양변기 수조,10 ----- toilet bowl tank,
11 ----- 부구,11 ----- float,
12 ----- 배수 레버,12 ----- drain lever,
13 ----- 배수마개,13 ----- drain plug,
20 ----- 변기,20 ----- toilet bowl,
21 ----- 유도관,21 ----- guide tube,
30 ----- 시트,30 ----- sheet,
31 ----- 시트커버,31 ----- Seat cover,
40 ----- 누름밸브,40 ----- push valve,
50 ----- 급수관,50 ----- water pipe,
100 ----- 수도 공급관.100 ----- water supply pipe.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14606U KR200452788Y1 (en) | 2008-10-31 | 2008-10-31 |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upplying water in toilet stoo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14606U KR200452788Y1 (en) | 2008-10-31 | 2008-10-31 |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upplying water in toilet stoo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4834U KR20100004834U (en) | 2010-05-11 |
KR200452788Y1 true KR200452788Y1 (en) | 2011-03-21 |
Family
ID=44244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80014606U KR200452788Y1 (en) | 2008-10-31 | 2008-10-31 |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upplying water in toilet stoo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2788Y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16637A (en) * | 1997-08-19 | 1999-03-15 | 이덕수 | Toilet seat |
KR200354643Y1 (en) | 2004-04-14 | 2004-07-05 | 서찬복 |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upplying water in a chamber pot |
KR200360731Y1 (en) * | 2004-06-18 | 2004-09-01 | 오경숙 | Automatic toilet flushing system |
KR100811461B1 (en) | 2006-10-04 | 2008-03-10 | 서찬복 | An apparatus for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water supplying in the chamber pot |
-
2008
- 2008-10-31 KR KR2020080014606U patent/KR200452788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16637A (en) * | 1997-08-19 | 1999-03-15 | 이덕수 | Toilet seat |
KR200354643Y1 (en) | 2004-04-14 | 2004-07-05 | 서찬복 |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upplying water in a chamber pot |
KR200360731Y1 (en) * | 2004-06-18 | 2004-09-01 | 오경숙 | Automatic toilet flushing system |
KR100811461B1 (en) | 2006-10-04 | 2008-03-10 | 서찬복 | An apparatus for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water supplying in the chamber po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4834U (en) | 2010-05-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56583B1 (en) | Pressurized trap water saver toilet | |
CN102378843B (en) | Backflow prevention apparatus for toilet fill valve | |
US20090320200A1 (en) | Kinetic Trapway | |
KR100901186B1 (en) | A toilet stool having a check valve for preventing backflowing between bowl and water tank | |
KR101027852B1 (en) | Commode of saving washing water | |
KR200452788Y1 (en) |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upplying water in toilet stool | |
KR20110044050A (en) | Commode of saving washing water | |
KR100499662B1 (en) | Water-saving toilet | |
KR20090101021A (en) | Apparatus for waterway controlled water supply non-power chamber pot auto-flush device by water pressure and body weight | |
JP4941888B2 (en) |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ing toilet | |
KR20100009284U (en) |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upplying water in toilet stool | |
JP2002201690A (en) | Trap device with auxiliary seal water supply mechanism | |
JP5234484B2 (en) | Air bleed structure of flush toilet | |
KR20100071911A (en) | Small enclosure and auxiliary device for water saving of toilet | |
KR200466597Y1 (en) | A home urinating apparatus | |
CN115427644A (en) | Super water-saving toilet | |
KR102439410B1 (en) | Apparatus for Supplying Washing Water in Toilet Stool with Backflow Prevention | |
JP2722790B2 (en) | Hot water washer | |
KR200436367Y1 (en) | Male urinal receptacle on toilet stool | |
JP3049695U (en) | Direct water-saving toilet | |
KR200211536Y1 (en) | deviec water saving of stool toilet | |
KR200206146Y1 (en) | Water saving device of a chamber pot | |
KR100774850B1 (en) | Male urinal receptacle on toilet stool | |
KR102175283B1 (en) | Odor elimination apparatus using water treatment | |
JP2001323537A (en) | Vacuum break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