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578Y1 - 피난구 유도등 - Google Patents

피난구 유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578Y1
KR200452578Y1 KR2020080002285U KR20080002285U KR200452578Y1 KR 200452578 Y1 KR200452578 Y1 KR 200452578Y1 KR 2020080002285 U KR2020080002285 U KR 2020080002285U KR 20080002285 U KR20080002285 U KR 20080002285U KR 200452578 Y1 KR200452578 Y1 KR 2004525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front panel
plate
evacuation
rea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22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8549U (ko
Inventor
이금성
Original Assignee
이금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금성 filed Critical 이금성
Priority to KR20200800022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578Y1/ko
Publication of KR200900085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5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5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5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ical wires or cables
    • F21V23/002Arrangements of cables or conductors inside a lighting device, e.g. means for guiding along parts of the housing or in a pivoting ar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2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indicating emergency exi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도등의 램프를 보호하면서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피난구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판넬의 삽입부를 통해 표시판, 도광판, 반사판을 차례로 삽입하는 한편, 전면판넬의 외측 상단부에 램프고정부를 내장시켜서 방사되는 빛이 도광판을 투과하여 표시판에 반사되도록 한 것으로, 상기 전면판넬을 다양한 외형을 갖는 후면케이스에 결합함으로써 피난구 유도등의 전면케이스를 대체함과 아울러, 램프고정부를 전면판넬에 결합한 상태에서 피난구 유도등을 시공할 때 상기 후면케이스와 조립함으로써, 조립과정에서 램프의 손상이 발생될 우려가 없으며, 피난구 유도등에 필요로 하는 전자부품인 회로기판, 배터리, 점검스위치 및 감시등 기판을 용이하게 장착함과 동시에, 전선도 함께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도록 절곡편들을 배치하여 형성한 피난구 유도등에 관한 것이다.
피난구, 유도등, 전면패널, 후면케이스, 도광판, 반사판, 표시판, 램프.

Description

피난구 유도등{EXIT-GUIDE LIGHT}
본 고안은 유도등의 램프를 보호하면서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피난구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본 출원인의 등록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304906호)인 피난구 유도등을 개량하여 후면케이스에 표시판과 도광판 및 반사판이 설치된 전면패널을 부착함으로써 피난구 유도등의 조립이 용이하고, 램프를 도광판의 상단부에 밀착시킴으로써 상기 후면케이스에 전면패널을 부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램프의 손상을 보호하도록 한 피난구 유도등에 관한 것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피난구 유도등에 대한 도면으로, 도 8은 분리사시도이고, 도 9는 결합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상부 결합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출원인의 등록실용신안 제20-0304906호의 '피난구 유도등'에서 개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피난구 유도등은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커버(100)와 배면커버(200)로 결합되어 몸체를 형성하고 내부에 램프(R)와 배터리(B) 및 회로기판(P)이 내장되어 전면에 점검스위치와 상시전원 감시등 및 예비전원 감시등이 구성된 피난구 유도등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100)의 내측에는 전면개방부(110) 주위에 돌출되게 형성된 전면삽입부(120)에 표시판(130)과 도광판(140) 및 양면반사판(150)이 차례로 적층되어 삽입되며, 상기 배면커버(200)의 내측에는 배면개방부(210) 주위에 돌출된 배면삽입부(220)에 부착판(400)이 삽입되고, 상기 배면삽입부(220)의 상부에는 하부가 개방된 램프삽입부(230)에 램프고정부(300)가 삽입,고정되어 상기 램프고정부(300) 내의 램프(R)에서 방사되는 빛이 아래에 위치하는 도광판(140)의 입사면(140a)에 입사되어 양면반사판(150)에 의해 반사되면서 표시판(130) 측으로 출사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피난구 유도등은 통상적으로 모든 사람이 가장 잘 볼 수 있는 적당한 장소와 높이에 설치되고, 비상시를 대비하기 위한 것이기에 하루 종일 켜져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피난구 유도등에 내장된 각종 부품의 수리 및 교환이 빈번하게 되고, 그때마다 전면커버(100)를 분리시켜서 보수작업을 하여 재결합할 때, 램프(R)가 내장된 램프고정부(300)가 배면커버(200)의 램프삽입부(230)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전면커버(100)를 분리하여 부품을 수리하거나 교환을 한 후, 배면커버(200)에 전면커버(100)를 밀착시켜 결합하는 조립작업을 하면서 부주의로 인해 즉, 전면커버(100)가 대응되는 배면커버(200)의 결합 위치가 정확하게 맞지 않는 경우에는 전면커버(100)의 상단부가 배면커버(200)에 설치된 램프고정부(300)를 건드려 파손시키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 현장에서 피난구 유도등을 처음 설치할 때에도 전기선의 연결을 위해 전 면커버(100)와 배면커버(200)의 분리 및 조립작업이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해 번거롭게 이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는 피난구 유도등의 제작공정이 복잡하고 조립공수도 많이 소요되어 유도등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배면커버(200)에 전면커버(100)를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 등의 결합수단이 전면커버(100)의 전방으로 노출되어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전면판넬의 삽입부를 통해 표시판, 도광판, 반사판을 차례로 삽입하는 한편, 전면판넬의 외측 상단부에 램프고정부를 내장시켜서 방사되는 빛이 도광판을 투과하여 표시판에 반사되도록 한 것으로, 상기 전면판넬을 다양한 외형을 갖는 후면케이스에 결합함으로써 피난구 유도등의 전면케이스를 대체함과 아울러, 램프고정부를 전면판넬에 결합한 상태에서 피난구 유도등을 시공할 때 상기 후면케이스와 조립함으로써, 조립과정에서 램프의 손상이 발생될 우려가 없으며, 피난구 유도등에 필요로 하는 전자부품인 회로기판, 배터리, 점검스위치 및 감시등 기판을 용이하게 장착함과 동시에, 전선도 함께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도록 절곡편들을 배치하여 형성한 피난구 유도등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피난구 유도등은, 전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에 조립되는 표시판과 도광판 및 반사판과, 상기 도광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램프고정부와, 상기 전면패널이 부착되는 후면케이스로 이루어지며, 배터리와 회로기판이 내장되고, 바깥면에 점검스위치 및 감시등 기판이 설치되는 피난구 유도등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은 내측판이 막혀 있고, 상기 내측판의 앞쪽으로 외측테두리가 절곡되어 상기 표시판과 도광판 및 반사판이 삽입되는 삽입부를 이루고, 상기 삽입부의 앞쪽으로 전면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표시판의 앞면 가장자리는 외측테두리부에 밀착되고, 상기 반사판의 후면은 상기 내측판의 앞면에 밀착되며, 상기 전면패널의 내측판 뒷면 하단부에는 상기 후면케이스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결착판이 형성되고, 상기 후면케이스의 상단부에는 상기 전면패널의 상단부가 수납되는 수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램프고정부는 상기 도광판의 상단부 입사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전면패널의 삽입부 내의 상단부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면패널의 결착판에 상기 점검스위치 및 감시등 기판이 설치되고, 상기 후면케이스의 하단부에는 상기 점검스위치 및 감시등 기판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절개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면패널의 뒤쪽 내측판에는 상기 배터리, 회로기판, 점검스위치와 감시등 기판 및 램프고정부를 서로 연결하는 전선을 고정하는 절곡편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램프고정부는 하측으로 개방되게 절곡된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내측으로 삽입된 램프반사판; 및 램프의 양단부가 장착되고 상기 램프반사판 내로 삽입되는 고정캡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캡은 절연재로 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에 따른 피난구 유도등에 의하면,
첫째, 유도등의 외형이 후면케이스와 이 후면케이스에 결합되는 전면패널만으로 이루어져 있어 외관이 단아할 뿐만 아니라 결합수단이 외부로 보여지지 않으므로 제품의 세련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유도등의 램프를 상단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램프와 함께 전면패널이 후면케이스와 결합함으로써, 결합하여 조립할 때 서로 부딪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램프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표시판의 선명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구조를 상기한 바와 같이 후면케이스와 전면패널로 단순화시켰으므로 제작 및 조립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넷째, 배터리와 회로기판을 절곡편에 의해 간단하게 그리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이들을 서로 연결해주는 전선도 깔끔하게 정리되어 유도등의 제작과 조립이 용이한 실용적인 효과를 갖는다.
다섯째, 이와 같이 유도등의 구조를 단순화시키면서 제작 및 조립이 간편하도록 하였으므로 생산 원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피난구 유도등의 분리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금속판을 프레스 및 밴딩 가공에 의해 제작한 전면패널(10)과, 상기 전면패널(10)과 결합되어 유도등을 이루는 후면케이스(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면패널(10)은 전면개방부(11)의 양측면 및 하단부의 외측테두리(11a)가 ㄱ자로 절곡되어 삽입부(12)를 이루고, 상기 삽입부(12)에는 앞쪽에서부터 차례로 표시판(13)과 도광판(14) 및 반사판(15)이 차례로 삽입되어 밀착됨으로써 피난을 유도하는 표식이 인쇄된 상기 표시판(13)이 전면개방부(11)을 통하여 보이도록 노출되며, 상기 도광판(14)의 입사면(14a)에는 램프고정부(30)이 밀착된다.
또한, 상기 전면패널(10)의 몸체에 해당하는 내측판(11b) 하부에는 일부를 절개하여 아래로 굴곡시킨 결착편(16)이 형성되어 그 위에 점검스위치 및 감시등 기판(17)이 설치되고, 상기 내측판(11b) 상에는 배터리(B)와 회로기판(P)이 부착되며, 이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면의 미설명 부호 16a는 결합공이다.
외측테두리가 후면케이스 외형판(21)으로 형성된 상기 후면케이스(20)는 전 면의 상부에 아래로 개방되는 홈 형상의 수납부(22)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아래쪽 테두리의 외형판(21)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된 절개부(23)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 양쪽의 외형판(21) 상에는 나사공(25)이 형성되고, 상기 아래쪽 테두리의 외형판(21)의 하단면에는 얕고 납작한 홈 형상의 결착홈(24)이 형성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피난구 유도등에 구성된 전면판넬의 사시도로서, 삽입부를 통해 표시판, 도광판, 반사판 및 램프고정부를 삽입한 상태이면서 내측판에는 부품을 결합하지 않은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일부 확대단면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패널(10)의 삽입부(12)를 통해 표시판(13)과 도광판(14) 및 반사판(15)이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도광판(14a)에 밀착되면서 상단부 내에 램프고정부(30)가 삽입되어 있는 전면패널(10)의 내측판(11b) 뒷면 아래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결착판(16)이 형성되며, 상기 결착판(16a) 상에는 삽입공(16b)(16c)(16d)이 차례로 각각 형성됨과 동시에 일부를 절개하여 상부로 절곡시킨 절곡편(5)이 형성되고, 상기 결착판(16)에 설치되는 점검스위치 및 감시등 기판(17)은 하면에 점검스위치(17b)와 상시전원 감시등(17c) 및 예비전원 감시등(17d)이 차례로 각각 설치됨과 동시에 결합공(17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점검스위치 및 감시등 기판(17)에 설치된 점검스위치(17b)와 상시전원 감시등(17c) 및 예비전원 감시등(17d)은 상기 결착판(16a)의 삽입공(16b)(16c)(16d)에 차례로 삽입되어 외부로 각각 노출되고, 점검스위치 및 감시 등 기판(17)에 형성된 결합공(17a)에 상기 결착판(16)에 형성된 절곡편(5)을 삽입한 후 구부림으로써 상기 점검스위치 및 감시등 기판(17)을 결착판(16) 상에 고정한 상태로 설치하게 된다.
또한, 전면패널(10)의 내측판(11b)의 뒷면 중심부에는 일부를 절개하여 절곡시킨 절곡편(3a)(3b)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판(11b) 뒷면 상부에도 일부를 절개하여 절곡시킨 다른 절곡편(1a)(1b)이 형성되어, 상기 절곡편(3a)(3b)들에 의해 배터리(B)가 상기 전면패널(10)의 내측판(11b)에 간단하게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절곡편(1a)(1b)들에 의해 회로기판(P)도 상기 전면패널(10)의 내측판(11b) 뒷면에 간단하게 고정되며, 상기 절곡편(1a)(1b)(3a)(3b)들의 주위에 또 다른 절곡편(4a)(4b)(4c)(4d)이 형성되어 도 1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점검스위치(17b)와 상시전원 감시등(17c) 및 예비전원 감시등(17d), 배터리(B), 회로기판(P) 및 램프고정부(30)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해주는 전선이 상기 절곡편(4a)(4b)(4c)(4d)에 의해 전면패널(10)의 내측판(11b)에 간단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전면패널(10)은 삽입부(12) 내의 양쪽에 표시판(13) 및 반사판(15)이 배치되고, 그 사이에 도광판(14)이 배치되며, 상기 도광판(14a) 상단부의 입사면(14a) 상에는 램프(R)가 내장된 램프고정부(30)가 배치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피난구 유도등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B-B선 일부 확대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저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개방부(11)를 통해 피난을 유도하는 표식이 인쇄된 표시판(13)이 보이는 전면패널(10)이 후면케이스(20)의 외형판(21)에 밀착되면서 결합되어 유도등을 조립하되, 결합되어 조립되는 형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램프(R)가 내장된 램프고정부(30)와 함께 상기 전면패널(10)의 상부가 상기 후면케이스(20) 상부의 수납부(22) 안으로 슬라이딩시켜 수납됨으로써 상기 램프고정부(30)는 보이지 않게 되어 램프(R)와 함께 보호된다.
또한, 상기 전면패널(10)의 하단부에 형성된 결착판(16)이 후면케이스(20) 하단면의 결착홈(24)에 밀착되면서 하부에 형성된 절개부(23)를 막음과 동시에, 상기 결착판(16)에 형성된 결합공(16a)과 후면케이스(20) 하부의 외형판(21)에 형성된 나사공(25)을 서로 일치시켜 나사(26)를 통해 고정함으로써 상기 결착판(16)이 후면케이스(20)에 고정되며, 상기 결착판(16a)에는 점검스위치 및 감시등 기판(17)이 설치되어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점검스위치 및 감시등 기판(17)점검스위치(17b)와 상시전원 감시등(17c) 및 예비전원 감시등(17d)은 결착판(16a)에 형성된 삽입공(16b)(16c)(16d)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보이게 된다.
이렇게 되면 전면패널(10)의 상부를 후면케이스(20)의 수납부(22)에 넣고 상기 전면패널(10)의 결착판(16a)을 후면케이스(20)에 고정하는 것만으로 상기 전면패널(10)과 후면케이스(20)의 결합이 이루어져 피난구 유도등의 조립을 간단하게 완성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피난구 유도등의 램프고정부(30) 결합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으로 개방되게 절곡된 알루미늄재로 된 고정부재(31)의 내측면에 반사판(32)이 삽입되고, 절연재로 된 고정캡(35)의 삽입홈(35a,35b)에 램프(R)와 전선을 함께 삽입하여 상기 고정부재(31)의 양단에 램프(R)를 고정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램프(R)에 용접된 전선부위가 고정캡(35)에 의해 확실하게 절연될 수 있으며, 알루미늄으로 된 고정부재(31)에 의해서는 램프(R)를 보호하면서 램프(R)에서 방출되는 열을 방열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램프(R)는 CCFL(냉음극형광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반사판(32)은 반사효과가 좋은 PET재질이 사용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피난구 유도등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피난구 유도등에 구성된 전면판넬의 사시도로서, 삽입부를 통해 표시판, 도광판, 반사판 및 램프고정부를 삽입한 상태이면서 내측판에는 부품을 결합하지 않은 상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의 A-A선 일부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피난구 유도등의 결합사시도,
도 5는 도 4의 B-B선 일부 확대단면도,
도 6은 도 4의 저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피난구 유도등의 램프고정부 결합구조를 보인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피난구 유도등에 대한 도면으로, 도 8은 분리사시도이고, 도 9는 결합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상부 결합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전면패널 11 : 전면개방부
11a : 외측테두리 11b : 내측판
12 : 삽입부 13 : 표시판
14 : 도광판 14a : 입사면
15 : 반사판 16 : 결착판
17 : 점검스위치 및 감시등 기판 17b : 점검스위치
17b : 상시전원 감시등 17c : 예비전원 감시등
2a, 16a, 17a, : 결합공 16b, 16c, 16d : 삽입공
1a, 1b, 3a, 3b, 4a, 4b, 4c, 4d, 5 : 절곡편
20 : 후면케이스 21 : 후면케이스 외형판
22 : 수납부 23 : 절개부
24 : 결착홈 25 : 나사공
26 : 나사 30 : 램프고정부
31 : 고정부재 32 : 반사판
35 : 고정캡 35a, 35b : 삽입홈
R : 램프 B : 배터리
P : 회로기판

Claims (6)

  1. 전면패널(10)과, 상기 전면패널(10)에 조립되는 표시판(13)과 도광판(14) 및 반사판(15)과, 상기 도광판(14)의 상부에 설치되는 램프고정부(30)와, 상기 전면패널(10)이 부착되는 후면케이스(20)로 이루어지며, 배터리(B)와 회로기판(P)이 내장되고, 바깥면에 점검스위치 및 감시등 기판(17)이 설치되는 피난구 유도등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10)은 내측판(11b)이 막혀 있고, 상기 내측판(11b)의 앞쪽으로 외측테두리(11a)가 절곡되어 상기 표시판(13)과 도광판(14) 및 반사판(15)이 삽입되는 삽입부(12)를 이루고,
    상기 삽입부(12)의 앞쪽으로 전면개방부(11)가 형성되며, 상기 표시판(13)의 앞면가장자리는 외측테두리부(11a)에 밀착되고, 상기 반사판(15)의 후면은 상기 내측판(11b)의 앞면에 밀착되며,
    상기 전면패널(10)의 내측판(11b) 뒷면 하단부에는 상기 후면케이스(2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결착판(16)이 형성되고,
    상기 후면케이스(20)의 상단부에는 상기 전면패널(10)의 상단부가 수납되는 수납부(2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구 유도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고정부(30)는
    상기 도광판(14)의 상단부 입사면(14a)에 밀착되면서 상기 전면패널의 삽입부(12) 내의 상단부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구 유도등.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10)의 결착판(16)에 상기 점검스위치 및 감시등 기판(17)이 설치되고, 상기 후면케이스(20)의 하단부에는 상기 점검스위치 및 감시등 기판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절개부(2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구 유도등.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10)의 내측판(11b) 뒷면에 상기 배터리(B), 회로기판(P), 점검스위치와 감시등 기판(17) 및 램프고정부(30)를 서로 연결하는 전선을 고정하는 절곡편((1a)(1b)(3a)(3b)(4a)(4b)(4c)(4d)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구 유도등.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고정부(30)는
    하측으로 개방되게 절곡된 고정부재(31);
    상기 고정부재(31)의 내측으로 삽입된 램프반사판(32); 및
    램프(R)의 양단부가 장착되고 상기 램프반사판(32) 내로 삽입되는 고정캡(35)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캡(35)은 절연재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구 유도등.
KR2020080002285U 2008-02-21 2008-02-21 피난구 유도등 KR2004525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285U KR200452578Y1 (ko) 2008-02-21 2008-02-21 피난구 유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285U KR200452578Y1 (ko) 2008-02-21 2008-02-21 피난구 유도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549U KR20090008549U (ko) 2009-08-26
KR200452578Y1 true KR200452578Y1 (ko) 2011-03-07

Family

ID=41294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2285U KR200452578Y1 (ko) 2008-02-21 2008-02-21 피난구 유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57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85815A (zh) * 2016-10-07 2018-11-23 株式会社普斯坂柯 Pos装置用输入输出端口加装部一体型显示器框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6345B1 (ko) * 2016-11-30 2018-02-06 주식회사 포스뱅크 포스 장치
KR102360272B1 (ko) * 2020-09-29 2022-02-07 이금성 음성 및 점멸형 유도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906Y1 (ko) * 2002-12-03 2003-02-19 이금성 피난구 유도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906Y1 (ko) * 2002-12-03 2003-02-19 이금성 피난구 유도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85815A (zh) * 2016-10-07 2018-11-23 株式会社普斯坂柯 Pos装置用输入输出端口加装部一体型显示器框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549U (ko) 2009-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34565B2 (ja) 液晶モジュール
JP5143490B2 (ja) 一体型ランプソケット、これを有する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表示装置
CN102460857A (zh) Led夜灯
JP5594180B2 (ja) 照明装置
JP2010083210A (ja) 車両室内用光源装置
KR200452578Y1 (ko) 피난구 유도등
JP6071476B2 (ja) 表示装置
JP2011249219A (ja) 照明器具
JP3163304U (ja) Led照明装置
JP4587922B2 (ja) 端子台および照明器具
JP4742814B2 (ja) 表示用照明器具
KR101531287B1 (ko) 슬라이딩 조립식 led 모듈을 이용한 조명장치
JP2007122947A (ja) 電子機器
JP6066738B2 (ja) 表示装置
KR101061534B1 (ko) 비상 유도등용 케이스
JP5734115B2 (ja) 照明器具
US20070297187A1 (en) Lamp socket assembly
JP5842092B2 (ja) 屋外用照明器具
JP6720646B2 (ja) 光源ユニットおよび照明器具
KR200439322Y1 (ko) 퓨즈 홀더
KR101729771B1 (ko) 장착 편리성을 구비한 조명등
CN210921265U (zh) 灯具
CN213983166U (zh) 一种led面板灯及冰箱
JP6513609B2 (ja) 照明装置
CN212848968U (zh) 一种pc材质外壳单接线端子启动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